KR100599468B1 - 자동전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전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468B1
KR100599468B1 KR1020060024534A KR20060024534A KR100599468B1 KR 100599468 B1 KR100599468 B1 KR 100599468B1 KR 1020060024534 A KR1020060024534 A KR 1020060024534A KR 20060024534 A KR20060024534 A KR 20060024534A KR 100599468 B1 KR100599468 B1 KR 10059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ignal
activated
tim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신애
Original Assignee
주신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애 filed Critical 주신애
Priority to KR102006002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대상물의 존재에 따라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상물이 존재하는 경우 활성화된 감지신호(DS)를 출력하는 센서감지부(10)와, 클럭신호(CK)를 출력하는 클럭발생부(20)와, 감지신호(DS)를 수신하여 클럭신호(CK)가 활성화된 구간에서 활성화된 감지신호(DS)의 수를 카운팅하여 감지횟수신호(SC)를 출력하는 감지횟수카운터(30)와, 감지횟수신호(CS)를 수신하여 감지횟수신호(SC)가 기준횟수신호(RSC)보다 크면 활성화된 비교신호(CP)를 출력하는 비교부(40)와, 외부의 시간설정 입력스위치(M1SW,M2SW,SET)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부하(90)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하동작 유지시간(LHT)과 부하동작 유지시간(LHT)보다 작은 값을 갖는 재감지시간(RHT)을 설정하여 비교신호(CP)가 최초 활성화된 이후에 재감지시간(RHT)에서 부하동작 유지시간(LHT) 동안에 비교신호(CP)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비교신호(CP)가 최초 활성화될 때부터 부하동작 유지시간(LHT) 동안에만 활성화된 부하제어신호(ACT)를 출력하고, 비교신호(CP)가 최초 활성화된 이후에 재감지시간(RHT)에서 부하동작 유지시간(LHT) 동안에 활성화된 비교신호(CP)가 있으면 그때부터 부하동작 유지시간(LHT)만큼 활성화구간이 연장된 부하제어신호(ATC)를 출력하는 부하동작 제어부(50)와, 부하(90)에 교류전원(AC)을 공급해 주는 전원공급부(100) 및 부하제어신호(ACT)를 수신하여 부하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되면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AC)을 부하(90)에 공급하여 부하(90)를 동작시키는 스위칭부(80)로 구성된다.
부하, 형광등, 재실 감시, 타이머

Description

자동전력 제어장치{automatic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자동전력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센서감지부의 구성도,
도 4는 도 2의 부하동작 제어부의 구성도,
도 5는 도 2의 스위치 제어부의 구성도,
도 6은 도 2의 부하제어부의 구성도,
도 7은 도 2의 조도제어부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센서감지부, 감지횟수카운터 및 비교부의 동작파형도,
도 9는 본 발명의 부하동작 제어부 및 스위치 제어부의 동작파형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전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공건물, 아파트, 주택 등에서 사람이나 자동차 등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유도성 부하인 형광등과 같은 램프나 환풍기, 에어콘 또는 팬과 같은 공조기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사람이나 자동차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일정시간 동안 램프 등과 같은 부하의 동작을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자동전력 제어장치가 있으며,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자동전력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종래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본 발명자와 동일인에 의해 발명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0448053호이다.
도 1의 종래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사람의 존재에 따라 인체의 열 또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활성화된 감지신호(LS)를 출력하는 감지부(1), 외부의 시간설정 입력스위치(M1SW,M2SW,SET)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형광등의 점등시간 유지시간인 기준시간 데이터(M1,M2)를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2), 타이머(2)에서 출력되는 기준시간 데이터(M1,M2)를 저장하는 버퍼수단(3), 감지부(1)의 출력인 감지신호(LS)를 수신하여 감지신호(LS)가 활성화될 때마다 버퍼수단(3)에 저장된 기준시간 데이터(M1,M2)로 설정되고, 클럭신호(CK)에 동기되어 설정된 기준시간 데이터에서 리셋될때까지 카운팅하여 감지신호가 활성화되서 카운팅한 값이 리셋되기 전까지 활성화된 형광등 제어신호(LC)를 출력하고, 카운팅한 값이 리셋되면 비활성화된 형광등 제어신호(LC)를 출력하는 역카운터(4), 한 단자가 제1공급전압(Vcc)에 연결된 제1저항(R1), 애노드와 캐소드를 가지며 애노드는 제1저항(R1)의 다른 단자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역카운터(4)의 출력인 형광등 제어신호(LC)에 연결되어 형광등 제어신호(LC)가 활성화되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는 포토다이오드(PD)와 콜렉터, 베이스 및 에미터를 가지며 에미터는 제1공급전압(Vcc)에 연결되어 포토다이오드(PD)에 전류가 흐르면 온되어 활성화된 스 위칭제어신호(SCO)를 출력하는 포토트랜지스터(PTR)로 구성된 포토커플러(5), 형광등의 점등을 위해 교류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공급부(6) 및 스위칭제어신호(SCO)를 수신하여 스위칭제어신호(SCO)가 활성화되면 전원공급부(6)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출력단(OUT)으로 출력시켜 형광등에 교류전원을 공급하여 형광등을 점등시키고, 스위칭제어신호(SCO)가 비활성화되면 전원공급부(6)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이 차단되어 형광등을 소등시키는 트라이악(TRIAC)(SW)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사람, 자동차 또는 곤충 등 대상물의 움직임이 있을 때 또는 바람 등에 의한 진동에 의해서도 감지부는 활성화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이로 인해 역카운터가 동작되어 부하의 동작이 제어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물 이외의 곤충이나 바람 등의 진동에 대해서도 부하가 동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사람의 움직임이 최초 감지되었을 때 역카운터는 역카운팅을 시작하여 유도성 부하를 동작시켜주고, 역카운터가 0이 되기 전에 다시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재차 설정된 시간으로 역카운터는 동작되어 역카운터가 0이되면 부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전력 제어장치에서 역카운터의 카운터 시간을 5분으로 설정할 경우 화장실과 같은 공간에서 최초 사람 감지되면 부하인 형광등이 점등되고, 최초 사람 감지 후 5분 경과 전, 예를 들어 4분후에 화장실을 나가면 감지부는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역카운터는 동작되어 형광등을 점등시키게 되므로 이 경우 형광등은 9분 동안 점등되고 소등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효과가 좋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스위칭 소자로 트라이악(TRIAC)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트라이악은 무소음, 무접점 방식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적정 부하용량이 300W 미만이므로 300W 이상의 부하용량에 사용할 경우 트라이악 부품 소자에 열이 발생되어 부품의 손상이 야기되므로 반드시 트라이악에 방열판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품을 소형화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감지부에 의해 곤충이나 바람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더라도 부하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물에 대해서만 부하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여 오동작 발생을 감소시키는 자동전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물의 움직임이 최초 감지된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대상물의 움직임이 재차 감지되지 않으면 부하의 동작을 정지시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자동전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트라이악과 릴레이스위치를 동시에 사용하여 무소음과 무접점 방식을 갖는 트라이악을 사용하여 부하의 동작을 개시시키고, 부하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릴레이스위치를 사용하여 부하를 동작시키고 트라이악의 작동을 정지시켜 용량이 큰 부하를 사용하더라도 트라이악에는 열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방열판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부하의 동작을 위해 먼저 트라이악에 의해 부하의 동작을 개시하 고 릴레이스위치에 의해 부하를 계속적으로 동작시키므로 릴레이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시 서지(Surge)전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릴레이스위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는 자동전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실내에서 대상물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대상물의 존재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상물이 존재하는 경우 활성화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감지수단;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클럭발생수단;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클럭신호가 활성화된 구간에서 상기 활성화된 감지신호의 수를 카운팅하여 감지횟수신호를 출력하는 감지횟수카운터; 상기 감지횟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횟수신호가 기준횟수신호보다 크면 활성화된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 외부의 시간설정 입력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하동작 유지시간과 부하동작 유지시간보다 작은 값을 갖는 재감지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비교신호가 최초 활성화된 이후에 재감지시간에서 부하동작 유지시간 동안에 상기 비교신호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상기 비교신호가 최초 활성화될 때부터 부하동작 유지시간 동안에만 활성화된 부하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신호가 최초 활성화된 이후에 재감지시간에서 부하동작 유지시간 동안에 활성화된 비교신호가 있으면 그때부터 부하동작 유지시간만큼 활성화구간이 연장된 부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하동작 제어수단; 상기 부하에 교류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부하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하제 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여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동작 제어수단은 외부의 시간설정 입력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하동작 유지시간과 부하동작 유지시간보다 작은 값을 갖는 재감지시간을 설정하여 부하동작 유지시간 및 재감지시간을 출력하는 시간설정수단; 상기 비교신호와 재감지제어신호를 논리곱하여 시작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수단; 상기 시작신호 및 부하동작 유지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시작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부하동작 유지시간 동안 활성화된 부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타이머; 및 상기 시작신호, 재감지시간 및 부하동작 유지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시작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재감지시간 동안 비활성화된 재감지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재감지시간부터 상기 부하동작 유지시간까지 활성화된 재감지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타이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트라이악과 릴레이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트라이악이 온되어 상기 부하를 최초로 동작시키고, 상기 트라이악이 온된 후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온되고,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온된 후 상기 트라이악은 오프되어 상기 릴레이스위치의 온에 의해 상기 부하는 계속해서 동작되고,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 트라이악이 온된 후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오프되고,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오프된 후 상기 트라이악이 오프되어 상기 부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위칭수단은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제1시간 만큼 지연된 릴레이제어신호와,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활성화될 때 제1시간 보다 큰 값을 갖는 제2시간 동안 활성화되고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제2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수단; 및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는 트라이악과 릴레이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릴레이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릴레이스위치에 의해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고, 상기 트라이악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트라이악에 의해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는 부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부하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하제어신호를 제1시간 만큼 지연시켜 릴레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간지연수단; 상기 부하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활성화될 때 제1시간 보다 큰 값을 갖는 제2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상승판단신호를 출력하는 상승판단수단; 상기 부하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제2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하강판단신호를 출력하는 하강판단수단; 및 상기 상승판단신호와 하강판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승판단신호와 하강판단신호를 논리합하여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제어수단은 상기 릴레이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는 제1트랜지스터; 상기 제1트랜지스터가 온되면 온되어 상기 부하에 상기 교류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는 릴레이스위치; 상기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트라이악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는 제2트랜지스터; 상기 제2트랜지스터가 온되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는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면 온되어 활성화된 트라이악 구 동신호를 출력하는 포토구동수단으로 구성된 트라이악 구동수단; 및 상기 트라이악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트라이악 구동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어 상기 부하에 상기 교류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는 트라이악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의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대상물의 존재에 따라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상물이 존재하는 경우 활성화된 감지신호(DS)를 출력하는 센서감지부(10)와, 클럭신호(CK)를 출력하는 클럭발생부(20)와, 감지신호(DS)를 수신하여 클럭신호(CK)가 활성화된 구간에서 활성화된 감지신호(DS)의 수를 카운팅하여 감지횟수신호(SC)를 출력하는 감지횟수카운터(30)와, 감지횟수신호(CS)를 수신하여 감지횟수신호(SC)가 기준횟수신호(RSC)보다 크면 활성화된 비교신호(CP)를 출력하는 비교부(40)와, 외부의 시간설정 입력스위치(M1SW,M2SW,SET)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부하(90)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하동작 유지시간(LHT)과 부하동작 유지시간(LHT)보다 작은 값을 갖는 재감지시간(RHT)을 설정하여 비교신호(CP)가 최초 활성화된 이후에 재감지시간(RHT)에서 부하동작 유지시간(LHT) 동안에 비교신호(CP)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비교신호(CP)가 최초 활성화될 때부터 부하동작 유지시간(LHT) 동안에만 활성화된 부하제어신호(ACT)를 출력하고, 비교신호(CP)가 최초 활성화된 이후 에 재감지시간(RHT)에서 부하동작 유지시간(LHT) 동안에 활성화된 비교신호(CP)가 있으면 그때부터 부하동작 유지시간(LHT)만큼 활성화구간이 연장된 부하제어신호(ATC)를 출력하는 부하동작 제어부(50)와, 부하(90)에 교류전원(AC)을 공급해 주는 전원공급부(100) 및 부하제어신호(ACT)를 수신하여 부하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되면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AC)을 부하(90)에 공급하여 부하(90)를 동작시키는 스위칭부(80)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2의 부하동작 제어부의 구성도로, 도 4의 부하동작 제어부(50)는 외부의 시간설정 입력스위치(M1SW,M2SW,SET)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부하(90)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하동작 유지시간(LHT)과 부하동작 유지시간(LHT)보다 작은 값을 갖는 재감지시간(RHT)을 설정하여 부하동작 유지시간(LHT) 및 재감지시간(RHT)을 출력하는 시간설정부(51)와, 비교신호(CP)와 재감지제어신호(RS)를 논리곱하여 시작신호(ST)를 출력하는 논리곱부(AND1)와, 시작신호(ST)와 부하동작 유지시간(LHT)을 수신하여 시작신호(ST)가 활성화되면 부하동작 유지시간(LHT) 동안 활성화된 부하제어신호(ACT)를 출력하는 제1타이머(53) 및 시작신호(ST), 재감지시간(RHT) 및 부하동작 유지시간(LHT)을 수신하여 시작신호(ST)가 활성화되면 재감지시간(RHT) 동안 비활성화된 재감지제어신호(RS)를 출력하고, 재감지시간(RHT)부터 부하동작 유지시간(LHT)까지 활성화된 재감지제어신(RS)호를 출력하는 제2타이머(55)로 구성된다.
스위칭부(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제어신호(ACT)가 제1시간(TM1) 만큼 지연된 릴레이제어신호(RSW)와, 부하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될 때 제1시간 (TM1) 보다 큰 값을 갖는 제2시간(TM2) 동안 활성화되고 부하제어신호(ACT)가 비활성화될 때 제2시간(TM2) 동안 활성화되는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부(60) 및 부하(90)를 동작시키는 트라이악(TS)과 릴레이스위치(RS)를 구비하여 릴레이제어신호(RSW)가 활성화되면 릴레이스위치(RS)에 의해 부하(90)를 동작시키고, 트라이악 제어신호(TSW)가 활성화되면 트라이악(TS)에 의해 부하(90)를 동작시키는 부하제어부(70)로 구성된다.
도 5는 스위치 제어부의 구성도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제어부(60)는 부하제어신호(ACT)를 수신하여 부하제어신호(ACT)를 제1시간(TM1) 만큼 지연시켜 릴레이제어신호(RSW)를 출력하는 시간지연부(61)와, 부하제어신호(ACT)를 수신하여 부하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될 때 제1시간(TM1) 보다 큰 값을 갖는 제2시간(TM2) 동안 활성화되는 상승판단신호(RTS)를 출력하는 상승판단부(63)와, 부하제어신호(ACT)를 수신하여 부하제어신호(ACT)가 비활성화될 때 제2시간(TM2) 동안 활성화되는 하강판단신호(FST)를 출력하는 하강판단부(65)와 상승판단신호(RTS)와 하강판단신호(FST)를 수신하여 상승판단신호(RTS)와 하강판단신호(FST)를 논리합하여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출력하는 논리합부(OR)로 구성된다.
도 6은 도 2의 부하제어부의 구성도로, 부하제어부(70)는 릴레이제어신호(RSW)를 수신하여 릴레이제어신호(RSW)가 활성화되면 온되는 제1트랜지스터(Q1)와, 제1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온되어 부하(90)에 교류전원(100)이 공급되어 부하를 동작시키는 릴레이스위치(RS)와,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수신하여 트라이악 제어신호(TSW)가 활성화되면 온되는 제2트랜지스터(Q2)와, 제2트랜지스터(Q2)가 온되 면 애노드(A)로부터 캐소드(K)로 전류가 흐르는 포토다이오드(PD)와 포토다이오드(D)에 전류가 흐르면 온되어 활성화된 트라이악 구동신호(TD)를 출력하는 포토구동부(PT)로 구성된 트라이악 구동부(71)와, 트라이악 구동신호(TD)를 수신하여 트라이악 구동신호(TD)가 활성화되면 온되어 부하(90)에 교류전원(100)이 공급되어 부하(90)를 동작시키는 트라이악(TS)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도 2의 조도제어부의 구성도로, 조도제어부(110)는 주간/야간 입력신호(LNSW)를 수신하여 주간/야간 입력신호(LNSW)가 활성화되고, 주위 공간의 조도가 높으면 비활성화되고, 주위 공간의 조도가 낮으면 활성화된 조도제어신호(LC)를 출력하여 조도제어신호(LC)가 활성화될 때만 부하제어신호(ACT)에 따라 부하(90)의 동작이 제어되고, 조도제어신호(LC)가 비활성화되면 부하(9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인 자동전력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감지부(10)는 도플러센서부(11)와, 필터 및 증폭부(13)와, A/D변환부(15)로 구성된다.
도플러센서부(11)는 인체의 움직임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미세하게 감지해 내기 위한 센서로 10.5㎓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X-Band용 센서를 사용하여 넓은 공간에서도 유동체를 감지할 수 있다. 도플러센서부(11)는 유동체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유동체 검출신호(M1)를 출력한다. 유동체 검출신호(M1)는 아주 미약한 신호이므로 필터 및 증폭부(13)는 사용하여 유동체 검출신호(M1)의 잡음을 제거하고 잡음이 제거된 유동체 검출신호(M1)를 증폭시킨다. A/D변화부(15)는 아날로그신호인 유동체 검출신호(M1)를 디지털로 변환시켜 감지신호(DS)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경우 사람의 평균보행속도는 약 4㎞/Hour라고 가정하면 감지신호(DS)는 100㎐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출력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신호(CK)가 1㎐인 경우 클럭신호(CK)의 반주기 동안에 센서감지부(10)는 감지신호(DS)가 하이 논리값을 갖는 다수의 활성화된 감지신호(DS)를 출력한다. 그러나 곤충이 움직이거나 바람에 의한 진동이 발생된 경우 도플러센서부(11)는 이를 감지하게 되나 이러한 경우에는 센서감지부(10)는 클럭신호(CK)의 반주기 동안에 감지신호(DS)가 활성화되는 펄스의 수는 하나 내지 두 개 정도의 펄스만이 출력된다.
클럭발생부(20)는 1㎐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CK)를 출력한다.
감지횟수카운터(30)는 클럭신호(CK)가 활성화된 구간에서만 동작되어 활성화된 감지신호(DS)의 수를 실시간으로 카운팅하여 비교부(40)로 감지횟수신호(SC)를 출력하고, 비교부(40)는 실시간으로 수신받은 감지횟수신호(CS)가 기준횟수신호(RSC)보다 크면 활성화된 비교신호(CP)를 출력하고, 클럭신호(CK)에 의해 클럭신호(CK)가 로우 논리값을 가질 때 리셋된다.
예를 들어 기준횟수신호를 3이라 하고 클럭신호(CK)가 하이 논리값을 갖는 구간에서 활성화된 감지신호(DS)의 펄스의 수가 3 이상이면 비교부(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신호(CK)가 하이 논리값을 구간에서 감지횟수카운터(30)의 감지횟수신호(SC)가 3일 때 하이 논리값을 갖는 비교신호(CP)를 출력하고, 클럭신호(CK)가 비활성화될 때 즉, 로우 논리값을 가질 때 리셋되어 로우 논리값을 갖는 비교신호(CP)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대상물 이외의 곤충 등의 경우 센서감지부(10)에서 활성화된 감지신호(DS)가 출력되어도 감지횟수신호(SC)가 2 이하이므로 비교부(40)는 항상 비활성화된 비교신호(CP)를 출력하여 부하(90)는 동작되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목적하는 대상물 이외의 곤충 등의 움직임을 도플러센서부(11)에서 감지되더라도 비교신호(CP)가 항상 로우 논리값을 갖게 되므로 부하(90)의 동작을 제어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물에 대해서만 부하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여 자동전력 제어장치의 오동작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설정부(51)는 외부에 위치한 1분에서 9분까지 분단위로 사용자가 임의로 셋팅할 수 있는 제1분스위치(M1SW)와 10분에서 50분까지 10분단위로 사용자가 임의로 셋팅할 수 있는 제2분스위치(M2SW)와 사용자가 제1분스위치(M1SW)와 제2분스위치(M2SW)와 세팅스위치(SET)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부하(90)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하동작 유지시간(LHT)과 부하동작 유지시간(LHT)보다 작은 값을 갖는 재감지시간(RHT)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부하동작 유지시간(LHT)을 5분으로 설정하고, 재감지시간(RHT)을 4분 30초로 설정되고, 조도제어신호(LC)는 하이 논리값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0시간에서는 제1타이머(53)와 제2타이머(55)는 동작을 정지하여 제1타이머(53)의 출력인 부하제어신호(ACT)는 비활성화된 신호인 로우 논리값을 출력하고, 제2타이머(55)의 출력인 재감지제어신호(RS)는 하이 논리값 을 출력한다. 센서감지부(10)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대상물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t1에서 비교신호(CP)가 활성화되면 논리곱부(AND1)의 출력인 시작신호(ST)는 하이 논리값을 출력하여 제1타이머(53)는 클럭신호(CK)에 동기되어 동작되어 활성화된 하이 논리값을 갖는 부하제어신호(ACT)를 출력한다. 제2타이머(55)는 시작신호(ST)가 하이 논리값을 출력하여 제1타이머(53)의 동작이 개시되면 바로 동작이 개시되어 4분 30초로 설정된 재감지시간(RHT) 동안 즉, t2에서 t5 시간 동안 로우 논리값을 갖는 재감지제어신호(RS)를 출력한다. 재감지제어신호(RS)는 t2에서 t5 시간 동안 로우 논리값을 가지므로 비교신호(CP)가 최초로 활성화된 이후에 계속해서 대상물이 움직여서 비교신호(CP)가 계속해서 활성화되더라도 비교신호(CP)가 최초로 활성화될 때만 논리곱부(AND1)의 출력인 시작신호(ST)는 하이 논리값을 갖게 되어 제1타이머(53)는 첫 번째 비교신호(CP)가 활성화될 때만 동작이 개시되어 계속해서 활성화된 부하제어신호(ACT)를 출력한다. 제2타이머(55)는 시작신호(ST)가 활성화되면 타이머가 동작되어 t2에서 t5 시간 동안 로우 논리값을 갖는 재감지제어신호(RS)를 출력하고, 타이머 동작이 완료되면 재감지시간(RHT)인 4분 30초 즉, t5에서 하이 논리값을 갖는 재감지제어신호(RS)를 출력하며, 재감지시간(RHT)에서 부하동작 유지시간(LHT)까지 즉, 30초 동안에 비교신호(CP)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그 시간 영역에서 활성화된 비교신호(CP)가 있으면 즉, t6시간에서 시작신호(ST)는 하이 논리값을 갖게 되어 제1타이머(53)는 다시 5분 동안 타이머가 동작되어 계속해서 활성화된 부하제어신호(ACT)를 출력하게 된다. 제2타이머(55)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1타이머(53)가 동작한 이후 바로 4분 30초 동안 타이머가 동작되어 로우 논리값을 갖는 재감지제어신호(RS)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2타이머(55)가 타이머를 다시 시작하여 4분 30초가 경과되면 즉, t7시간에서 타이머의 동작을 완료하면 제2타이머(55)는 하이 논리값을 갖는 재감시제어신호(RS)를 출력하고, t7시간에서 t8 시간 구간 동안인 30초 동안에 비교신호(CP)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제1타이머(53)는 t6시간에서 t8시간 구간인 5분 경과 후에 타이머를 종료하여 비활성화된 부하제어신호(ACT)를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최초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바로 부하(90)를 동작시키고, 부하(90)가 동작된 시점에서 4분 30초(t4)가 경과 되면 30초 동안에 대상물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검출하여 30초 내에 대상물의 움직임이 있으면 부하(90)를 계속해서 동작시키고, 30초 내에 대상물의 움직임이 없으면 동작된 시점에서 5분 경과 후에 부하(9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종래의 경우 대상물의 움직임이 있을 때마다 역카운터는 다시 시작되어 부하를 계속해서 동작시키게 되므로 예를 들어 역카운터의 동작시간을 5분으로 설정한 경우 사람이 화장실에 들어와서 일을 마치고 4분 전에 화장실을 나가게 되면 종래의 경우 총 9분 동안 화장실 등이 점등되나, 본 발명의 경우 4분 전에 화장실을 나갔기 때문에 화장실 등은 총 5분 동안만 점등되고 소등되므로 종래에 비해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외부에 위치한 주/야간스위치(LNSW)를 작동시켜 현재의 시간이 주간이면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TB)의 제어신호로 활성화된 주간/야간 입력신호(LN)를 출력하고, 현재의 시간이 야간이면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TB)의 제어신호로 비활성화된 주간/야간 입력신호(LN)를 출력한다. 즉,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TB)는 주간/야간 입력신호(LN)가 활성화되면 저항(R)과 광도전셀(CDS)의 저항값의 비에 의해 결정된 전압에 의해 하이 논리값 또는 로우 논리값을 갖는 조도제어신호(LC)를 출력하고, 주간/야간 입력신호(LN)가 비활성화되면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TB)는 항상 풀업저항(RP)에 의해 하이 논리값을 갖는 조도제어신호(LC)를 출력하는 조도제어부(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의 시간이 주간이어서 주/야간스위치(LNSW)를 주간모드로 설정하고, 현재 부하(90)인 형광등이 위치한 공간의 조도 상태가 밝아서 형광등을 점등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광도전셀(CDS)의 저항값은 저항(R)에 비해 상당히 작은값을 가지게 되므로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TB)는 로우 논리값을 갖는 조도제어신호(LC)를 출력하여 부하동작 제어부(50)의 논리곱부(AND1)는 로우 논리값을 출력하여 제1타이머(53)와 제2타이머(55)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되어 부하(90)는 동작되지 않게 된다. 만약 주/야간스위치(LNSW)를 주간모드로 설정되고, 현재 부하(90)인 형광등이 위치한 공간의 조도 상태가 어두운 경우 광도전셀(CDS)의 저항값은 저항(R)에 비해 상당히 큰 값을 가지게 되어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TB)는 하이 논리값을 갖는 조도제어신호(LC)를 출력하여 논리곱부(AND1)는 비교신호(CP)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하이 논리값 또는 로우 논리값을 출력한다. 만약 비교신호(CP)와 재감지제어신호(RS)가 활성화되면 논리곱부(AND1)는 하이 논리값을 출력하게 되어 제1타이머(53)와 제2타이머(55)는 타이머 동작을 시작하게 되고, 비교신호(CP)가 비활성화되면 풀업저항(RP)에 의해 논리곱부(AND1)는 로우 논리값을 출력하게 되어 제1타이머(53)와 제2타이머(55)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현재의 시간이 야간이어서 사용자가 주/야간스위치(LNSW)를 야간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공간의 조도 상태에 관계없이 트라이 스테이트 버퍼(TB)는 하이 논리값을 갖는 조도제어신호(LC)를 출력하므로 상기와 동일하게 논리곱부(AND1)는 비교신호(CP)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하이 논리값 또는 로우 논리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주/야간스위치(LNSW)의 작동에 따라 현재 시간이 주간인 경우에는 광도전셀(CDS)에 의한 공간의 조도 상태와 비교신호(CP)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형광등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현재시간이 야간인 경우에는 공간의 조도 상태에 관계없이 비교신호(CP)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형광등의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제어부(60)는 시간지연부(61)와, 상승판단부(63)와, 하강판단부(65)와 논리합부(OR)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지연부(61)는 부하제어신호(ACT)를 제1시간(TM1)인 0.5초 만큼 지연시켜 릴레이제어신호(RSW)를 출력한다. 상승판단부(63)는 부하제어신호(ACT)를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INV1)와 제1인버터(INV1)신호를 직렬로 연결된 저항(R)과 캐패시터(C)에 의해 이들의 시정수값에 따라 신호를 지연시켜 제1노드(A)로 출력하고, 부하제어신호(ACT)와 제1노드(A)와 부정논리곱하는 부정논리곱부(NAND)와 부정논리곱부(NAND)의 출력을 수신하여 클럭신호(CK)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1플립플롭(DFF1)으로 구성되어 부하제어신호(ACT)가 로우 논리값에서 하이 논리값으로 상승할 때 활성화되고 제1시간(TM1)인 0.5초보다 큰 값을 갖는 제2시간(TM2)인 1초 동안만 활성화되는 펄스를 갖는 상승판단신호(RTS)를 출력한다. 하강판단부(65)는 부하제어신호(ACT)를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INV1)와 제1인버터(INV1)신호를 직렬로 연결된 저항(R)과 캐패시터(C)에 의해 이들의 시정수값에 따라 신호를 지연시켜 제2노드(B)로 출력하고, 부하제어신호(ACT)와 제2노드(B)와 부정논리합하는 부정논리합부(NOR)와 부정논리합부(NOR)의 출력을 수신하여 클럭신호(CK)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제2플립플롭(DFF2)으로 구성되어 부하제어신호(ACT)가 하이 논리값에서 로우 논리값으로 상승할 때 활성화되고 제1시간(TM1)인 0.5초보다 큰 값을 갖는 제2시간(TM2)인 1초 동안만 활성화되는 펄스를 갖는 하강판단신호(FST)를 출력한다. 논리합부(OR)는 상승판단신호(RTS)와 하강판단신호(FST)를 논리합하여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출력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판단부(61)는 t1시간에서 부하제어신호(ACT)의 상승 에지를 감지하여 부하제어신호(ACT)가 로우 논리값에서 하이 논리값으로 상승할 때인 t1시간에서 t4 시간인 1초 동안에만 활성화되는 상승판단신호(RTS)를 출력하고, 하강판단부(63)는 t8시간에서 부하제어신호(ACT)의 하강 에지를 감지하여 부하제어신호(ACT)가 하이 논리값에서 로우 논리값으로 하강할 때인 t8시간에서 t10 시간인 1초 동안에만 활성화되는 상승판단신호(RTS)를 출력하고, 논리합부(OR)는 상기 두 신호를 논리합하여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릴레이제어신호(RSW)와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비교해 보면 부하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될 때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도 바로 활성화되고, 트라이악 제어신호(TSW)가 활성화된 이후에 릴레이제어신호(RSW)를 계속해서 활성화 시키고, 릴레이제어신호(RSW)가 활성화된 이후에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비활성화시키고, 부하제어신호(ACT)가 비활성화될 때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는 바로 활성화되고, 트라이악 제어신호(TSW)가 활성화된 이후에 릴레이제어신호(RSW)를 비활성화시키고, 릴레이제어신호(RSW)가 비활성화된 이후에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비활성화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100)의 한 단자가 부하(90)의 일측(c)에 연결되고, 부하(90)의 타측(a)은 릴레이스위치(RS)의 일단과 트라이악(TS)의 애노드(A)와 연결되고, 교류전원(100)의 다른 단자(b)는 릴레이스위치(RS)의 타단과 트라이악(TS)의 캐소드(C)에 연결된다. 제1트랜지스터(Q1)는 릴레이제어신호(RSW)가 활성화되면 온되고, 릴레이스위치(RS)가 온되면 교류전원(100)이 부하(90)에 공급되어 부하(90)를 동작시킨다. 이와 동일하게 트라이악 제어신호(TSW)가 활성화되면 제2트랜지스터(Q2)는 온되고, 제2트랜지스터(Q2)의 온에 의해 포토다이오드(PD)는 애노드(A)로부터 캐소드(K)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포토구동부(PT)는 활성화된 트라이악 구동신호(TD)를 출력하고, 트라이악(TS)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활성화된 트라이악 구동신호(TD)에 의해 트라이악(TS)은 애노드(A)로부터 캐소드(K)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교류전원(100)이 부하(90)에 공급되어 부하(90)를 동작시킨다.
즉, 부하(90)에 교류전원(100)을 공급하여 부하(9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대상물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부하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되면 먼저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활성화시켜 트라이악(TS)에 의해 부하(90)에는 교류전원(100)이 공급되 고, 부하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된 이후 제1시간(TM1) 경과 후, 예를 들어 약 0.5초 경과 후에 릴레이제어신호(RSW)를 활성화시켜 릴레이스위치(RS)를 온시켜 트라이악(TS)과 릴레이스위치(RS)에 의해 부하(90)에는 교류전원(100)이 공급되고, 부하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된 이후 제2시간(TM2) 경과 후 즉, 릴레이스위치(RS)가 온된 후 약 0.5초 경과 후에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비활성화시켜 부하제어신호(ACT)가 활성화된 구간 동안 릴레이스위치(RS)에 의해 부하(90)에는 교류전원(100)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대상물의 움직임이 최초 감지되면 먼저 트라이악(TS)을 온시켜 부하(90)의 동작을 개시하고, 그 후 릴레이스위치(RS)를 온시켜 부하(90)를 동작시키고, 어느 정도 부하(90)가 안정적으로 동작이 되면 트라이악(TS)을 오프시켜 부하제어신호(ACT)가 비활성화될 때까지 계속해서 릴레이스위치(RS)에 의해 부하(90)를 동작시켜 주어 종래에 릴레이스위치만을 사용하여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릴레이스위치가 온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높은 전압을 갖는 서지전압이 발생되나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서지전압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종래에 트라이악만을 사용하는 경우 트라이악에서 열이 발생되어 방열판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약 1초 정도만 트라이악이 동작되므로 트라이악 동작시 열이 발생되지 않고, 이로 인해 트라이악에는 방열판이 필요 없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하제어신호(ACT)가 비활성화되면 바로 부하(90)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고, 먼저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활성화시켜 트라이악(TS)에 의해 부하(90)에 교류전원(100)을 공급시키고, 부하제어신호(ACT)가 비활성화된 이후 제1시간(TM1) 경과 후, 예를 들어 약 0.5초 경과 후에 릴레이제어신호(RSW)를 비활성화시키고, 부하제어신호(ACT)가 비활성화된 이후 제2시간(TM2) 경과 후 즉, 릴레이스위치(RS)가 오프된 후 약 0.5초 경과 후에 트라이악 제어신호(TSW)를 비활성화시켜 부하(9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부하(9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먼저 트라이악(TS)을 온시키고, 그 후 릴레이스위치(RS)를 오프시킨 후 드라이악(TS)을 오프시켜 부하(90)를 정지시켜 릴레이스위치(RS)만을 사용하여 부하(90)의 동작을 정지시킬 경우 서지전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하제어부(70)의 포토구동부(PT)는 교류전원(100)의 전원이 0이 되는 구간에서만 트라이악(TS)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로 크로스(Zero-Cross) 트라이악 구동부인 MOC3040이나 MOC3041과 같은 전용 집적회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트라이악(TS)이 60㎐ 주파수를 갖는 교류전원(100)의 무작위 위치에서 온 또는 오프되면 교류전류가 급격히 온 또는 오프되게 되어 강한 잡음이 발생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로 크로스(Zero-Cross) 트라이악 구동부를 사용하여 교류전원(100)의 전압이 제로되는 지점에서만 활성화된 트라이악 구동신호(TD)를 출력하여 트라이악(TS)이 제로되는 지점에서만 온 또는 오프되도록 하여 교류전류의 변화가 없어 과도 현상에 의한 잡음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센서감지부에 의해 곤충이나 바람에 의한 진동이 감지되더라도 부하가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물에 대해서만 부하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하여 오동작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대상물의 움 직임이 최초 감지된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대상물의 움직임이 재차 감지되지 않으면 부하의 동작을 정지시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트라이악과 릴레이스위치를 동시에 사용하여 무소음과 무접점 방식을 갖는 트라이악을 사용하여 부하의 동작을 개시시키고 부하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릴레이스위치를 사용하여 부하를 동작시킨 후 트라이악을 오프시켜 트라이악에는 열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방열판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부하의 동작을 위해 먼저 트라이악에 의해 부하의 동작을 개시하고 릴레이스위치에 의해 부하를 계속적으로 동작시키므로 릴레이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시 서지전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릴레이스위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실내에서 대상물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부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존재에 따라 상기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상물이 존재하는 경우 활성화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감지수단;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클럭발생수단;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클럭신호가 활성화된 구간에서 상기 활성화된 감지신호의 수를 카운팅하여 감지횟수신호를 출력하는 감지횟수카운터;
    상기 감지횟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횟수신호가 기준횟수신호보다 크면 활성화된 비교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
    외부의 시간설정 입력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하동작 유지시간과 부하동작 유지시간보다 작은 값을 갖는 재감지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비교신호가 최초 활성화된 이후에 재감지시간에서 부하동작 유지시간 동안에 상기 비교신호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상기 비교신호가 최초 활성화될 때부터 부하동작 유지시간 동안에만 활성화된 부하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신호가 최초 활성화된 이후에 재감지시간에서 부하동작 유지시간 동안에 활성화된 비교신호가 있으면 그때부터 부하동작 유지시간만큼 활성화구간이 연장된 부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부하동작 제어수단;
    상기 부하에 교류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부하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여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동작 제어수단은
    외부의 시간설정 입력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하동작 유지시간과 부하동작 유지시간보다 작은 값을 갖는 재감지시간을 설정하여 부하동작 유지시간 및 재감지시간을 출력하는 시간설정수단;
    상기 비교신호와 재감지제어신호를 논리곱하여 시작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수단;
    상기 시작신호 및 부하동작 유지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시작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부하동작 유지시간 동안 활성화된 부하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타이머; 및
    상기 시작신호, 재감지시간 및 부하동작 유지시간을 수신하여 상기 시작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재감지시간 동안 비활성화된 재감지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재감지시간부터 상기 부하동작 유지시간까지 활성화된 재감지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타이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트라이악과 릴레이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트라이악이 온되어 상기 부하를 최초로 동작시키고, 상기 트라이악이 온된 후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온되고,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온된 후 상기 트라이악은 오프되어 상기 릴레이스위치의 온에 의해 상기 부하는 계속해서 동작되고,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 트라이악이 온된 후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오프되고,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오프된 후 상기 트라이악이 오프되어 상기 부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제1시간 만큼 지연된 릴레이제어신호와,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활성화될 때 제1시간 보다 큰 값을 갖는 제2시간 동안 활성화되고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제2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수단; 및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는 트라이악과 릴레이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릴레이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릴레이스위치에 의해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고, 상기 트라이악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트라이악에 의해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는 부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부하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하제어신호를 제1시간 만큼 지연시켜 릴레이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간지연수단;
    상기 부하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활성화될 때 제1시간 보다 큰 값을 갖는 제2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상승판단신호를 출력하는 상승판단수단;
    상기 부하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하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제2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하강판단신호를 출력하는 하강판단수단; 및
    상기 상승판단신호와 하강판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승판단신호와 하강판단신호를 논리합하여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제어수단은
    상기 릴레이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는 제1트랜지스터;
    상기 제1트랜지스터가 온되면 온되어 상기 부하에 상기 교류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는 릴레이스위치;
    상기 트라이악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트라이악 제어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는 제2트랜지스터;
    상기 제2트랜지스터가 온되면 애노드로부터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는 포토다 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면 온되어 활성화된 트라이악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포토구동수단으로 구성된 트라이악 구동수단; 및
    상기 트라이악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트라이악 구동신호가 활성화되면 온되어 상기 부하에 상기 교류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부하를 동작시키는 트라이악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횟수신호는 3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은 0.5초이고, 상기 제2시간은 1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전력 제어장치는
    주간/야간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주간/야간 입력신호가 활성화되고, 주위 공간의 조도가 높으면 비활성화되고, 주위 공간의 조도가 낮으면 활성화된 조도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조도제어신호가 활성화될 때만 상기 부하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하의 동작이 제어되고, 상기 조도제어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부하의 동작 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도제어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력 제어장치.
KR1020060024534A 2006-03-16 2006-03-16 자동전력 제어장치 KR100599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534A KR100599468B1 (ko) 2006-03-16 2006-03-16 자동전력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534A KR100599468B1 (ko) 2006-03-16 2006-03-16 자동전력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468B1 true KR100599468B1 (ko) 2006-07-12

Family

ID=3718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534A KR100599468B1 (ko) 2006-03-16 2006-03-16 자동전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46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4071A (en) Light switching mechanism
JP5717948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8742937B2 (en) Alarm unit
CN201797628U (zh) 一种智能照明控制系统
US87171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SIC controlled alarm unit
CN104780679A (zh) 一种灯具调控方法及装置
JP2010206714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KR100599468B1 (ko) 자동전력 제어장치
JP2008210579A (ja) 負荷制御回路
CN203378117U (zh) 基于单片机的应用于酒店等场合的节能灯电路
JP3760713B2 (ja) 照明制御装置
US200900153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missing article
KR100773806B1 (ko) 전력절전제어장치
KR100448053B1 (ko) 인체 감시 절전용 자동전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085170A (ja) 照明装置
CN101938875A (zh) 智能照明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1237085A (ja) 人体検出機能付配線器具
JP2001345187A (ja) 自動点灯制御装置付照明器具
KR200279633Y1 (ko) 전등스위치와 습도검출기가 결합된 제습 환풍장치
JP4274890B2 (ja) トイレ用熱線式自動スイッチ
TW201030686A (en) Fire alarm
JP2002048877A (ja) 物体検知装置
JPH06209250A (ja) 光電スイッチ
JP2005129440A (ja) 人感センサ付照明装置
JP2520383Y2 (ja) 自動調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