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292B1 - 문양거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문양거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292B1
KR100598292B1 KR1020040053759A KR20040053759A KR100598292B1 KR 100598292 B1 KR100598292 B1 KR 100598292B1 KR 1020040053759 A KR1020040053759 A KR 1020040053759A KR 20040053759 A KR20040053759 A KR 20040053759A KR 100598292 B1 KR100598292 B1 KR 100598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irror
glass
manufacturing
silv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837A (ko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텍
Priority to KR1020040053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2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 B44F1/06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comprising at least two transparent elements, e.g. sheets, layers

Landscapes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양이 인쇄된 거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유리원판을 제품의 규격에 따라 절단하고 절단된 투명유리의 가장자리의 단면 또는 사면을 연마처리 및 광택처리를 행한 후 투명한 유리 표면에 문양을 도안한 다음 그 문양에 여러가지 소재와 색조를 첨가한 도료를 입히고 그 상면에 은막과 동막을 형성하여 거울면을 생성한 뒤 두번에 걸쳐서 상기 문양과 은막 및 동막의 보호 및 습기의 차단을 위해 소부용 도료코팅을 한다. 따라서 미리 재단한 유리를 사용하므로 문양과 거울면이 형성된 후 거울을 제품규격에 맞게 절단하여 연마하는 등의 일체의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거울의 품질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인쇄된 문양이 외기와 차단되기 때문에 항구적이고 선명한 문양이 인쇄된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양거울의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pattern mirror}
도 1은 유리의 배면에 인쇄된 문양의 여백에 은막생성방식을 이용하여 은막을 형성하는 문양거울의 제조공정도.
도 2는 유리의 배면에 인쇄된 문양의 여백에 알루미늄진공증착(眞空蒸着)방식을 이용하여 은막을 형성하는 문양거울의 제조공정도.
도 3은 일반유리가 아닌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문양거울의 제조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상의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으로 제작한 일예로서의 문양거울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상의 은막생성방식으로 제조한 문양거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상의 알루미늄진공증착방식으로 제조한 문양거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G. 투명유리 P. 문양 2. 은막(거울면)
3. 동막 4. 1차보호도장 5. 2차보호도장
6. 소부용 도료
본 발명은 문양이 인쇄된 거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유리원판을 제품의 규격에 따라 절단하고 절단된 투명유리의 가장자리의 단면 또는 사면을 연마처리 및 광택처리를 행한 후 투명한 유리 표면에 문양을 도안한 다음 그 문양에 여러가지 소재와 색조를 첨가한 도료를 입히고 그 상면에 은막과 동막을 형성하여 거울면을 생성한 뒤 두번에 걸쳐서 상기 문양과 은막 및 동막의 보호 및 습기의 차단을 위해 소부용 도료코팅을 한다. 미리 재단된 유리를 사용하므로 문양과 거울면이 형성된 후 거울을 제품규격에 맞게 절단하여 연마하는 등의 일체의 가공이 따르지 않으므로 거울의 품질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인쇄된 문양이 외기와 차단되기 때문에 항구적이고 선명한 문양이 인쇄된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양거울은 건축물의 실내장식이나 가구 등에 사용되며 그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은 재단되지 않은 투명 판유리의 배면에 은막 및 동막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상기 은막 및 동막의 보호용 도료를 코팅한 후 제품의 규격에 맞게 상기 판유리를 재단한 다음 그 재단된 모서리부를 연마 가공한 후 세정하여 완성된 거울의 전면에 문양을 인쇄한 접착성 필름을 접착하여 제조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종래의 문양거울은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기에 노출된 문양의 선명도와 질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은 거울의 제조공정을 마친 후에 제품의 규격에 맞게 재단한 후 가공을 하기 때문에 유리면의 거울막과 페인트 도장막에 연삭진동 및 발열로 인하여 미세한 균열이 발생되고 도장으로 사용된 도료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상기 도료와 은막 사이에 틈이 발생되며 그 균열된 틈 사이로 습기가 스며들어 은막의 부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품의 규격에 맞게 재단되고 연마 가공된 투명유리에 문양을 도안한 후 그 문양에 여러가지 소재와 색조를 첨가한 도료를 인쇄한 투명유리에 은막과 동막을 형성하여 거울면을 생성한 후 두번에 걸쳐 상기 문양과 거울막의 보호코팅 처리를 하여 문양거울을 제조하므로써 문양과 거울면이 형성된 후 거울을 재단하거나 연마하는 등의 일체의 가공을 하지 않게 되므로 거울의 품질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유리면에 인쇄된 문양이 은막과 동막 및 보호코팅제로 인해 외기와 차단되므로써 사용기간이 오래 경과되더라도 문양의 선명도와 질이 저하되지 않는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게 투명유리의 재단 및 가공단계; 문양의 인쇄단계; 은막 및 동막의 형성단계; 소부용 도료의 코팅단계로 이루어지는 제조공정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한 제조공정과 그에 따른 설명을 일실시예로서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이하에 설명한다.
실 시 예
도 1은 본 발명상의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로서 유리의 배면에 인쇄된 문양의 여백에 은막생성방식을 이용하여 은막을 형성하는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1단계 내지 3단계는 투명유리(G) 원판을 거울제품의 규격 사이즈로 재단하는 공정 및 재단 후 유리가장자리 면의 가공단계이다.
규격 사이즈로 재단된 투명유리(G)의 가장자리는 매우 날카로운 형태이므로 이 상태의 가장자리 면을 연마휠로 연삭하고 그 연삭한 면을 고르게 하고 광택을 내기 위해 광택 레진휠(resin wheel)로 다시 연마를 하여 가장자리 면의 가공처리를 한다. 이 공정에서는 연삭중 순간적으로 연삭마찰로 인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를 사용한다.
4단계는 상기 투명유리(G)의 배면에 문양(P)을 인쇄하는 단계이다.
제품의 규격에 따라 재단되고 연마가공된 투명유리(G)에 문양(P)을 인쇄한다. 여기서 인쇄된 문양(P)을 제외한 여백의 유리(G)면은 후에 거울면이 되게 된다. 투명유리(G)에 도안된 문양(P)을 실크스크린 인쇄나 스프레이 방식으로 색조도료를 입혀 인쇄한다. 도료의 소재는 진주분말을 사용하는 펄이나 알루미늄분말을 사용하는 특수도료를 사용하여 인쇄한 후 1차로 섭씨 170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이 공정에서는 투명유리에 문양만 인쇄하게 되며 여백은 투명상태로 남게된다.
5단계는 상기 문양(P)이 인쇄된 투명유리(G)의 세척단계이다.
문양(P)이 인쇄된 투명유리(G)에 은막(2)을 형성하기 위하여 투명유리(G)의 표면에 묻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공정이다. 유리표면의 유분 등의 미립자를 제거하고, 유리(G)표면의 청정을 위해 산화세륨(cerium oxide)을 첨가한 세척수로 세척하고 공냉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6단계는 안정촉매처리단계이다.
유리(G)면에 은막(2)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유리(G)면과 은막(2)의 밀착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은막(2)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유기합성 촉매인 염화제일주석(SnCl2·2H2O)의 희석수와 이온화 정화수를 유리(G)의 표면에 살포하여 촉매처리를 한 후 10메가옴(MΩ)이상의 순도를 갖는 정화수를 덧입혀서 촉매를 안정화 시킨다.
7단계는 안정처리단계이다.
위와 같이 촉매처리를 행한 후 염화제일주석의 분자가 완전하게 안정되는 시간을 확보한다. 안정된 상태가 완료되면 다시 정화수를 살포하여 촉매면을 보호한다.
8단계는 은막(거울면)생성단계이다.
촉매처리된 표면에 질산은(AgNO3)에 암모니아수와 환원제(포도당)가 혼합된 수용액을 살포한다. 상기 질산은이 환원반응을 하면 유리(G)표면에 은막(2)이 형성된다. 형성된 은막(2)이 유리(G)면에 골고루 퍼지게 하기 위해 정화수를 살포하여 은막(2)을 안정화시킨다. 이때 문양(P)이 인쇄된 부분은 은막(2)이 형성되지 않는다.
9단계는 동막(3) 형성단계이다.
위와 같이 은막(2)이 형성된 유리(G)면에 동 시안화물(Copper cyanide : CuCN)을 입혀서 상기 은막(2)을 보호한다. 즉, 은막(2)이 생성된 후 안정화가 되면 거울면이 형성되는데 그 거울면을 보호하기 위해 동으로 코팅을 한다. 동막(3)을 형성하기 위해 동화합물과 촉매제가 희석된 수용액을 상기 문양(P)과 은막(2)이 형성된 유리(G)면에 살포한 후 약 65도로 가열된 정화수를 살포하여 동막(3)을 안정화 시킨다. 이때 동막(3)은 문양(P)인쇄부분의 표면도 덮게 된다.
10단계는 건조단계이다.
상기 은막(2)과 은막(2)보호를 위한 동막(3)에 남아있는 정화수 안정액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섭씨 약65도의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유리(G)의 코팅면에 불어서 건조시킨다.
11단계는 1차보호 도장(4)단계이다.
상기 은막(2)과 동막(3)의 보호를 위하여 소부용 도료로 도장한다. 상기 유리(G)의 코팅면 전체를 일정한 두께로 도장하기 위하여 커튼코터(curtain coater) 도장방식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도장을 행한 후 상기 소부용 도료를 건조시키기 위해 섭씨 170도 전후로 가열된 건조로에서 약40분동안 건조한다.
12단계는 2차보호 도장(5)단계이다.
상기 문양(P)인쇄층과 은막(2) 및 동막(3)을 보호하고 습기로부터 차단하기 위하여 다시 재도장을 한다. 도장을 한 후 소부용 도료를 건조시키기 위해 섭씨 170도 전후로 가열된 건조로에서 약40분동안 건조한다.
마지막으로, 13단계는 거울세척단계이다.
위와 같이 건조공정처리 된 문양거울의 거울면에 남아있는 수용제성분 등을 세척한다. 세척처리 후 상온에서 건조하고나면 본 발명상의 일실시예로서의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으로 제작한 문양거울이 완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상의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유리의 배면에 인쇄된 문양의 여백에 알루미늄진공증착방식을 이용하여 은막을 형성하는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이다. 여기에서,
1단계 내지 4단계는 이상에서 설명한 은막생성방식을 이용한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의 1단계 내지 4단계와 동일하며
5단계는 증발대 거치단계이다.
문양(P)이 인쇄된 유리(G)면이 텅스텐 필라멘트가 있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증발대에 거치한다.
6단계는 알루미늄 진공증착(眞空蒸着)단계이다.
문양(P)이 인쇄된 유리(G)가 거치된 증발대를 진공증착기에 넣고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투입구 문을 닫은 후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기내의 공기를 빼낸다. 예 를 들면, 공기를 빼내어 기내의 진공밀도가 6~10토르(torr)에 이르르면 순간적으로 일례로 18볼트(V)의 전압으로 2000암페어(A)의 전류를 텅스텐 필라멘트에 가하여 섭씨 2510도의 온도로 알루미늄박을 가열하므로써 기체화된 알루미늄은 진공 중에서 음이온 성질을 띤 유리(G)표면에 증착된다. 알루미늄이 증착된 유리(G)면에는 은막(2), 즉 거울면이 형성되고 이때 문양(P)이 인쇄된 면에는 알루미늄이 증착되지 않는다.
7단계는 보호도장단계이다.
위와 같이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형성된 은막(2)과 문양(P)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부용 도료(6)를 코팅한 후 예컨데 170도 전후의 온도로 약30분간 가열 건조 시킨다. 건조된 문양거울을 공기로 서냉하면 본 발명상의 이실시예로서의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으로 제작한 문양거울이 완성된다.
본 발명상의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에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일반유리 대신 투명강화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투명강화유리를 사용한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에 대한 제 3실시예로서,
1단계 내지 3단계는 이상에서 설명한 은막생성방식을 이용한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의 1단계 내지 3단계와 동일하며
4단계는 강화유리제조단계이다.
절단면을 가공처리한 투명유리를 가열 및 냉각을 하는 열처리방식을 적용하여 유리의 응력과 인장력을 보강하므로써 내충격력과 탄력을 5~8배 이상 갖도록 하 는 강화유리를 제조한다. 유리의 강화에 필요한 유리 연화점 온도는 섭씨 650도~720도 내에서 가열하지 않으면 가열로 밖으로 나오는 순간 파손되거나 오히려 내충격력과 탄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적정의 온도로 가열된 유리를 급속히 냉기를 불어 유리의 양 표면만 급냉시켜 인장력과 응력을 갖게 한다. 특히 열처리에 필요한 냉기의 온도도 중요하므로 겨울철과 여름철, 건조기와 장마철 등 공기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냉각 노즐의 간격 및 풍량을 적절히 조절하여야 한다.
5단계 이후의 공정은 이상에서 설명한 은막생성방식을 이용한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의 4단계 이후의 공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상의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품의 규격에 맞게 재단되고 연마 가공된 투명유리에 문양을 도안한 후 그 문양에 여러가지 소재와 색조를 첨가한 도료를 인쇄한 투명유리에 은막과 동막을 형성하여 거울면을 생성한 후 두번에 걸쳐 상기 문양과 거울막의 보호코팅 처리를 하여 문양거울을 제조하므로써 문양과 거울면이 형성된 후 거울을 재단하거나 연마하는 등의 일체의 가공을 하지 않으므로 거울의 품질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유리면에 인쇄된 문양이 동막 및 보호코팅제로 인해 외기와 차단되므로 사용기간이 오래 경과되더라도 문양의 선명도와 질이 저하되지 않는 문양거울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삭제
  2. 투명유리(G)원판의 재단 및 가공단계와, 상기 투명유리(G)의 배면에 문양(P)을 인쇄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유리(G)를 증발대에 거치하는 단계 및 보호도장단계로 이루어지는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알루미늄진공증착방식으로 상기 투명유리(G)에 은막(거울면)(2)을 생성하고, 상기 은막(2)의 보호를 위한 동막(3)의 형성단계를 생략한 후 보호도장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거울의 제조방법.
  3. 삭제
KR1020040053759A 2004-07-10 2004-07-10 문양거울의 제조방법 KR100598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759A KR100598292B1 (ko) 2004-07-10 2004-07-10 문양거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759A KR100598292B1 (ko) 2004-07-10 2004-07-10 문양거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837A KR20060004837A (ko) 2006-01-16
KR100598292B1 true KR100598292B1 (ko) 2006-07-07

Family

ID=3711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759A KR100598292B1 (ko) 2004-07-10 2004-07-10 문양거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2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364B1 (ko) 2009-12-18 2012-04-06 김강득 가장자리 부식을 방지한 거울
KR101373779B1 (ko) * 2013-07-01 2014-03-13 주식회사 동명유리 거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655B1 (ko) * 2006-04-25 2007-08-06 대건환경조명 주식회사 친환경 세라믹 도료를 이용한 가로등주 및 가드레일의 도장 방법
KR100941889B1 (ko) * 2008-04-29 2010-02-11 주식회사 에이치디데칼 배경무늬가 형성된 광반사체패널 및 이의 제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796A (ko) * 2001-06-28 2003-01-08 주식회사 세명 안전강화거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796A (ko) * 2001-06-28 2003-01-08 주식회사 세명 안전강화거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364B1 (ko) 2009-12-18 2012-04-06 김강득 가장자리 부식을 방지한 거울
KR101373779B1 (ko) * 2013-07-01 2014-03-13 주식회사 동명유리 거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837A (ko) 2006-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46707B (zh) 镀膜玻璃边部除膜的方法
JP2009530215A (ja) 被覆されたガラスシート
CN102596842B (zh) 涂覆玻璃板
EP1886739B1 (en) Coating process for forming films containing ultraviolet- or infrared-screening agents
JP2007093241A (ja) レーダー装置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98292B1 (ko) 문양거울의 제조방법
US20070275168A1 (en) Manufacturing of Photocatalytic, Antibacterial, Selfcleaning and Optically Non-Interfering Sufaces on Tiles and Glazed Ceramic Products
KR20180101585A (ko) 글레이징 기판 상에 층 또는 층의 스택을 선택적으로 패턴화하는 방법
EP2599639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co glass panel and glass panel using the same
US5431966A (en) Process for enamelling a glass substrate
WO2002072683A1 (en) Release films
JPH0570164A (ja) 装飾被覆を有する自動車窓ガラスの製造方法
US9994952B2 (en) UV irradiation apparatus with an additional monochromatic radiation source
WO1994029115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e motifs sur des objets, notamment en ceramique
JP7234358B2 (ja) ガラス基材の層又は層の積層物の選択的エッチングのための方法
KR100865946B1 (ko) 강화거울의 제조방법
JP6498216B2 (ja) オブジェクトの表面を部分的にコ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方法
WO2020065664A1 (en) A patterned functionally coated glass article
KR20090056510A (ko) 적외선 차단 유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65019A (ko) 코팅막을 가진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20180031248A (ko) 초소수성 박막, 이의 전기변색 스마트 유리의 표면 보호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11029A (ko) 플라스틱거울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90049170A (ko) 그림을 그려 넣은 암염램프 및 그 제조방법
RU2152912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антибликовой поверхности индикатора
KR101492103B1 (ko) 금속 질감을 갖는 판유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판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