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394B1 -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 Google Patents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394B1
KR100597394B1 KR1020040074573A KR20040074573A KR100597394B1 KR 100597394 B1 KR100597394 B1 KR 100597394B1 KR 1020040074573 A KR1020040074573 A KR 1020040074573A KR 20040074573 A KR20040074573 A KR 20040074573A KR 100597394 B1 KR100597394 B1 KR 10059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butment
coupling protrusion
internal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770A (ko
Inventor
이달호
Original Assignee
이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달호 filed Critical 이달호
Priority to KR102004007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394B1/ko
Priority to PCT/KR2005/002162 priority patent/WO2006019225A1/en
Publication of KR2006002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Abstract

보철물을 안정되게 고정하고 스플린트에 유지한 치과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 관련 제품이 개시된다. 치과 임플란트는 픽스츄어 및 임플란트를 포함하되, 픽스츄어에는 원뿔기둥 형상의 익스터널 결합돌기 및 그 주변에 형성된 인터널 결합홈을 포함하고, 어버트먼트는 픽스츄어를 위한 익스터널 결합홈 및 인터널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익스터널 결합돌기와 익스터널 결합홈이 상호 결속되면서 외부 결합방식이 적용되는 동시에, 인터널 결합홈과 인터널 결합돌기가 상호 결속되면서 내부 결합방식이 적용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이 픽스츄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가 있다.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임프레션 코핑, 랩 아날로그, 외부 결합형, 내부 결합형, 스플린트

Description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DENTAL IMPLANT, IMPRESSION COPING AND LAB ANALOG FOR THE DENTAL IMPLANT}
도 1은 종래의 UCLA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나사 유지형 보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중간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나사 유지형 보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시멘트 유지형 보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 및 임플란트를 도시한 분해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스플린트된 보철물을 종래의 픽스츄어에 밀착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스플린트된 보철물을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에 밀착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를 상호 결속시킨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임플란트 110:픽스츄어
120:픽스츄어 몸체 130:익스터널 결합돌기
140:플랜지 142:인터널 결합홈
144:지지면 146:마진부
150:어버트먼트 152:인터널 결합돌기
154:익스터널 결합홈
본 발명은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를 더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임플란트 시술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 및 임플란트 관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일반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 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을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 치근에 치아 보철(prosthesis)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를 의미한다.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넓게는 이러한 치과 시술 방법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좁게는 픽스츄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임플란트는 주로 일반적인 인공 치아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티타늄으로 구성된 픽스츄어(fixture), 픽스츄어 상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abutment screw) 및 어버트먼트에 고정되는 인공 치아로서의 크라운(crown)으로 구성된다.
임플란트는 손실된 치아 주변의 인접 치아 또는 주위의 조직(tissue)을 손상시키지 않고 손실된 부분에만 시술이 가능하며, 골조직을 지지하여 골조직의 흡수 속도를 지연시키고, 자연 치아와 동일한 저작력을 제공할 수 있고, 외관상 자연 치아와 거의 동일한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 임플란트는 손상 또는 손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한 치과 시술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 방식에 따라 외부 결합형(external connection-type) 임플란트와 내부 결합형(internal connection-type) 임플란트로 구분될 수 있다.
외부(External) 결합형 임플란트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는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포함하며, 픽스츄어의 상면에는 결합돌기(connection projection)가 형성되며 어버트먼트의 저면에는 결합돌기와의 밀착(fit)을 위한 결합홈(connection groove or cavity)가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원형(circular) 또는 비원형(non-circular)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어버트먼트 스크류를 위한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육모(hexagonal) 또는 팔모(octagonal)와 같은 비원형으로 형성된 결합돌기 및 결합홈을 사용하는 경우에, 결합돌기는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간의 상대적인 회전도 방지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를 재위치시킬 때에도 방향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보조하기도 한다.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초기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디자인의 임플란트 및 그에 따른 많은 임상 결과가 축적되어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기도 하다.
도 1은 종래의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임플란트(10)는 UCLA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것으로서 나사 유지형 보철(Screw Retained Prosthesis)에 의한 것이다. 임플란트(10)는 픽스츄어(12), 어버트먼트(14), 및 크라운(18)을 포함하며, 픽스츄어(12)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어버트먼트(14)는 크라운(18)과 일체를 이루며 픽스츄어(12) 상에 고정된다.
픽스츄어(12)의 상면에는 익스터널 결합돌기(external projection)(13)이 형성된다. 익스터널 결합돌기(13)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익스터널 결합돌기(13)의 중앙에는 나사홀이 제공된다. 또한, 익스터널 결합돌기(13)에 대응하여 어버트먼트(14)의 저면에는 익스터널 결합홈(15)이 제공된다. 익스터널 결합홈(15) 은 익스터널 결합돌기(13)에 대응하여 육각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익스터널 결합돌기(13)에 딱 맞게 밀착(snuggly fit)하게 된다.
어버트먼트(14)를 픽스츄어(12) 고정하기 전에 어버트먼트(14) 및 크라운(18)을 일체로 가공하고, 어버트먼트(14) 및 크라운(18)의 중심을 관통하는 홀을 통해 스크류(16)는 픽스츄어(12)와 체결된다. 스크류(16)를 픽스츄어(12)에 체결함으로써 크라운(18) 및 어버트먼트(14)가 픽스츄어(12)에 고정된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임플란트(20)는 중간 어버트먼트(transmucosal abutment)를 이용한 것으로서,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도 2의 임플란트(20)는 픽스츄어(22), 중간 어버트먼트(24) 및 상부 어버트먼트(26) 및 크라운(28)을 포함한다. 상부 어버트먼트(26)는 크라운(28)과 일체를 이루며 중간 어버트먼트(24) 상에 배치된다.
픽스츄어(22)의 상면에는 나사홀을 포함하는 익스터널 결합돌기(23)가 형성되며, 중간 어버트먼트(24)에는 익스터널 결합돌기(23)를 위한 익스터널 결합홈(25)이 형성된다.
중간 어버트먼트(24)는 제1 스크류(24-1)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며, 제1 스크류(24-1)는 중간 어버트먼트(24)를 통해 픽스츄어(22)와 체결됨으로써 중간 어버트먼트(24)를 픽스츄어(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크라운(28) 및 상부 어버트먼트(26)를 관통하는 홀을 통해 제2 스크류(26-1)가 삽입되고, 제2 스크류(26-1)가 제1 스크류(24-1)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홀에 결 속됨으로써 크라운(28) 및 상부 어버트먼트(26)를 중간 어버트먼트(24)에 고정시킨다. 상부 어버트먼트(26)의 저면에는 제1 스크류(24-1)의 헤드에 대응하는 결합홈(27)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에서는 픽스츄어 상면에 형성된 익스터널 결합돌기와 어버트먼트 저면에 형성된 익스터널 결합홈이 상호 밀착되면서 어버트먼트 및 픽스츄어를 상호 결속시킨다. 일반적으로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는 Branemark 방식, 3i 방식 등에 의해서 제작되고 있으며,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곧은 육각기둥 형상으로 약 0.7mm 의 높이 및 약 2.7mm의 너비를 갖는다.
결합돌기의 높이가 작기 때문에, 익스터널 결합돌기가 빨리 닳거나, 익스터널 결합돌기 및 결합홈 간의 결합이 헐거워져 어버트먼트가 쉽게 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결합돌기의 높이는 1mm 이상으로 제작하거나 결합돌기를 팔각 또는 스플라인(spline) 형상으로 제작하기도 하지만 상기 문제점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특히 이러한 방식은 어버트먼트의 호환성이 결여되기 때문에 많은 치과 의사들로부터 외면되고 있다. 이외에도 나사의 풀림이나 스크류의 파절 등이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내부(Internal) 결합형 임플란트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 역시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포함한다. 다만, 픽스츄어의 상면에는 결합돌기가 아닌 결합홈이 형성되며 어버트먼트의 저면에 는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이는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와는 정반대인 구성으로서, 픽스츄어 상부에 긴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접촉 면적으로 넓게 형성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원형(circular) 또는 비원형(non-circular)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어버트먼트 스크류를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는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의 몇몇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픽스츄어 내부로 넓은 결합 면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에는 2종류의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가 각각 (a) 및 (b)로 표시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는 픽스츄어(42), 내부 결합형 어버트먼트(44), 스크류(46) 및 크라운(48)으로 구성된다. 픽스츄어(42)는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홈(43)을 포함하며, 결합홈(43)에 대응하여 어버트먼트(44)는 결합돌기(45)를 포함한다. 어버트먼트(44)의 몸체 하단에 결합돌기(45)가 형성되며, 어버트먼트(44)의 몸체 상부에는 크라운(48)과 접하여 지지하기 위한 상부 지지면이 형성된다.
픽스츄어(42)의 결합홈은 입구측에 위치한 원뿔기둥 형상의 홈과 그 하단에 형성된 육각기둥 또는 팔각기둥 형상의 홈을 포함하며, 어버트먼트(44)의 결합돌기(45)는 결합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뿔기둥 형상의 밀착부(fitted portion)(45a)와 육각기둥 또는 팔각기둥 형상의 회전방지부(anti-rotation portion)(45b)를 포함한 다. 어버트먼트(44)의 결합돌기(45)가 픽스츄어(42)에 삽입되면서, 밀착부(45a)는 어버트먼트(44)의 몸체를 지지하고, 회전방지부(45b)는 결합홈 하부와 결속되어 어버트먼트(44)가 픽스츄어(4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는 픽스츄어(52), 내부 결합형 어버트먼트(54), 스크류(56) 및 크라운(58)으로 구성된다. 픽스츄어(52)는 상단부에 결합홈(53)을 포함하며, 결합홈(53)에 대응하여 어버트먼트(54)의 저면에는 결합돌기(55)가 제공된다.
종래의 픽스츄어(52)에서 결합홈(53)은 원기둥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각기둥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며, 그에 대응하는 어버트먼트(54)의 결합돌기(55)도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원기둥 형상의 결합돌기를 이용하는 경우 결합돌기 및 결합홈 간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서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의 구조에서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면적에서 접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나사의 풀림이 거의 필요 없고, 한번의 수술로도 임플란트를 완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어버트먼트는 반드시 축방향으로 후퇴하여야 하며, 이때 축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도 상당히 길다. 따라서,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는 주로 1개의 치아를 복구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3개 이상 연속적으로 손상된 치아를 스플린트(splint)하여 복구하기 위한 경우에는 많은 어려움과 한계점이 있기 때문 에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또한, 일반적으로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로는 ITI 방식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처럼 선택의 폭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각 제조업체마다 고유의 형상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호환성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미국특허 US6,419,492에 Dental Implant System이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임플란트 시스템 역시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Dental Implant System의 픽스츄어는 헤드부와 몸체부를 포함하며, 헤드부는 테이퍼진(tapered) 측벽을 포함하는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 공간의 저면에서부터 고정용 기둥(anchoring post)이 돌출되고, 고정용 기둥의 단부로는 가이드 수단(indexing means)가 형성되어 있다.
어버트먼트 역시 상하로 연결된 제1 및 제2 공간을 포함하며, 어버트먼트의 외관도 픽스츄어의 헤드부에 형성된 공간의 측벽에 대응하여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아래에 위치한 제1 공간이 고정용 기둥을 수용하면서 어버트먼트의 하부가 픽스츄어의 헤드부에 밀착 고정된다.
픽스츄어에서 고정용 기둥 및 가이드 수단은 어버트먼트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부의 공간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픽스츄어는 내부 결합형 연결방식을 기본으로 회전 방지부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것으로서, 도 3의 (a)의 회전방지부(45b)를 역으로 전환한 것이며, 오히려 가공을 더 어렵게 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형상 및 치수가 기존의 어버트먼트 및 픽스츄어와 상이하여 다른 제품들과 호환될 수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는 초기 형태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방식에 비해 제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대체적으로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의 형상 및 치수가 거의 표준화되어 있어 호환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높이가 약 0.7~1.0 mm 정도로 낮기 때문에, 어버트먼트가 픽스츄어로부터 이탈될 가능성도 다른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나사의 풀림이 상대적으로 자주 발생한다는 단점도 있다.
반면,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는 픽스츄어 내부로 결합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결합되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나사 풀림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처럼 선택의 폭이 다양하지 못하고, 각 제조업체마다 고유의 형상을 채택하고 있어 호환성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치아를 스플린트나 오버덴쳐(overdenture)의 방식으로 복구하기에는 내부 결합형 임플란트는 많은 한계와 어려움을 갖는다.
스플린트나 오버덴쳐에 대해서는 종래의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도 몇몇 한계와 어려움을 갖고 있다. 종래의 외부 결합형 임플란트에서 익스터널 결합돌기는 플랜지에 대해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버트먼트도 픽스츄어에 밀착 또는 분리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나마 수직하게 움직여야 한다. 하지만, 복수개의 픽스츄어들을 완벽한 평행으로 식립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실제로 픽스츄어들도 어느 정도의 각도를 두고 서로 어긋나게 식립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의 이동방 향과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축이 상호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어버트먼트를 스플린트로 결합한 보철물을 픽스츄어에 결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일단 픽스츄어에 고정된 보철물을 픽스츄어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외부 결합방식으로 기본으로 내부 결합방식의 장점을 취사 선택하여 외부 결합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플린트된 보철물을 픽스츄에 용이하게 밀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치과 임플란트 및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다른 외부 결합형 어버트먼트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픽스츄어에 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 임플란트는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픽스츄어는 픽스츄어 몸체, 플랜지, 인터널 결합홈 및 익스터널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익스터널 결합돌기는 원뿔기둥(truncated cone)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나사홀이 결합돌기의 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플랜지는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저단에 제공되며, 픽스츄어의 몸체는 플랜지의 저단에 제공된다. 픽스츄어 몸체 의 외면으로 조직 결속부가 형성되어 골조직에 흡착되며, 플랜지는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인터널 결합홈을 포함한다.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외면으로는 일정 방향으로 배향된 제1 요철이 형성되어 회전방지 기능을 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 조립체는 익스터널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익스터널 결합홈, 인터널 결함홈에 대응하는 인터널 결합돌기, 및 제1 나사홀에 대응하는 제2 나사홀을 포함한다. 익스터널 결합홈은 익스터널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원뿔기둥 형상으로 어버트먼트의 저면에 형성되고, 인터널 결합돌기도 익스터널 결합홈의 주변을 따라 동일한 저면에 형성된다. 익스터널 결합홈의 내면에는 제1 요철에 대응하는 제2 요철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요철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간의 상대적 회전이 제한된다. 어버트먼트 조립체는 종래의 어버트먼트와 같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부 어버트먼트 및 중간 어버트먼트로 구성된 2개의 몸체로도 구성될 수가 있다.
픽스츄어는 익스터널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어버트먼트 조립체는 그에 대응하는 익스터널 결합홈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외부 결합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픽스츄어는 익스터널 결합돌기 주변으로 인터널 결합홈을 포함하고, 어버트먼트 조립체는 인터널 결합돌기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조립체를 내부 결합방식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양 결합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조립체는 더 길어진 결합길이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종래의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구조보다 더욱 안정된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익스터널 결합돌기 및 익스터널 결합홈이 각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픽스츄어가 어버트먼트 조립체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접근하여도 익스터널 결합돌기 및 익스터널 결합홈이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합돌기 및 결합홈을 용이하게 밀착할 수가 있다.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조립체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외부 결합방식 및 내부 결합방식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수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외부 결합방식의 어버트먼트도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인터널 결합돌기가 없는 종래의 어버트먼트를 이용하여 스플린트된 보철물을 제작하고 그 보철물을 픽스츄어들 상에 고정시킬 때, 픽스츄어의 익스터널 결합돌기는 각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어버트먼트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으며, 보철물을 분리할 때에도 어버트먼트는 걸림 없이 픽스츄어로부터 분리될 수가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요철은 익스터널 결합돌기가 아닌 인터널 결합홈의 측벽에 형성되며, 제2 요철은 인터널 결합홈에 대등하는 인터널 결합돌기의 외면에 형성될 수가 있다. 제1 및 제2 요철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역시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간의 상대적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널 결합돌기 및 인터널 결합홈을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비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간의 회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픽스츄어의 플랜지 상에 인터널 결합홈을 120도, 90도 또는 72도 각도 간격으 로 규칙적으로 형성하고, 어버트먼트 역시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요철 없이도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간의 회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 및 임플란트를 도시한 분해 정면도이며,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임플란트(100)는 픽스츄어(110) 및 어버트먼트(150)를 포함하며, 픽스츄어(110)는 픽스츄어 몸체(120), 플랜지(140), 인터널(internal) 결합홈(142) 및 익스터널(external) 결합돌기(130)를 포함한다.
픽스츄어 몸체(120)는 티타늄 합금으로 구성되며, 몸체의 외면으로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픽스츄어 몸체(120)는 나사선을 이용하여 골조직에 파고들 수 있으며, 골조직에 진입한 이후에는 장기간이 소요되면서 골조직과 흡착된다. 골조직에 흡착되면서 픽스츄어 몸체(120)는 턱뼈 등과 일체를 이루고, 인공치근으로서 임플란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나사선은 픽스츄어 몸체(120)가 용이하게 진입하게 하는 것 외에도 골조직과 흡착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조직 결 속부로서의 기능도 한다.
픽스츄어 몸체(120)의 단부에는 나사선과 함께 수개의 리세스(recess)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공성 처리된 표면을 픽스츄어 몸체(120)에 형성함으로써, 골조직과 흡착될 수 있는 면적을 최대한 넓힐 수가 있다. 일 예로, 엔도포어(Endopore) 임플란트의 경우 산부식이나 수산화인회석 코팅으로 표면처리를 한 다른 임플란트 제품과는 달리 sintered surface라는 다공성의 독특한 표면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픽스츄어의 표면적을 최대로 넓히고, 그 결과 뼈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도 강한 골 결합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픽스츄어 몸체(120) 상부로 플랜지(140)가 제공되며, 플랜지(140) 상부로는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익스터널 결합돌기(130)가 제공된다. 여기서 플랜지(140) 및 익스터널 결합돌기(130)는 픽스츄어 몸체(120)와 일체로 형성되며, 티타늄 합금으로 구성된다.
익스터널 결합돌기(130)는 어버트먼트를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소정의 깊이로 제1 나사홀(138)이 형성되어 있다. 익스터널 결합돌기(130)는 외부 결합방식에 의해서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나사홀(138)은 픽스츄어(110)의 축을 따라 픽스츄어 몸체(120)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150)를 관통한 스크류(160)와 체결되면서 크라운(C) 및 어버트먼트(150)를 픽스츄어(110)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익스터널 결합돌기(130)의 상하로 배향된 제1 요철(132)이 형성된다. 제1 요철(132)은 어버트먼트(150)의 제2 요철(155)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요 철(132, 155)가 상호 맞물림으로써 픽스츄어(110) 및 어버트먼트(150)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요철의 개수는 하나 이상으로 제한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요철(13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익스터널 결합돌기(130)의 전체 높이로 형성되어 있지만, 요철의 종류는 설계자의 설계 의동에 따라 오목 또는 볼록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요철의 길이 또한 조절될 수 있다. 참고로, 하기의 실시예 2에서는 요철의 종류 및 길이가 본 실시예와는 다르다.
다시 도면들을 참조하면, 익스터널 결합돌기(130)의 주변으로 플랜지(140) 상에는 원형의 인터널 결합홈(142)이 형성된다. 인터널 결합홈(142)은 약 0.2~0.5mm의 폭 및 약 0.6~1.0mm의 깊이로 형성되며, 하나로 이어진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140) 상면의 단부와 인터널 결합홈(142)의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지지면(14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144)는 인터널 결합홈(142)과 함께 어버트먼트(15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부에 장착되는 어버트먼트가 인터널 결합돌기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어버트먼트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플랜지(140)의 주변으로는 마진부(146)가 제공된다. 마진부(146)는 정해진 크기의 플랜지(140) 상면에 형성됨으로써, 1차적으로 픽스츄어(110) 주변의 골조직이 주저 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 인터널 결합홈(142)이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측벽을 제공할 수가 있다.
어버트먼트(150)는 나사 유지형 또는 시멘트 유지형 어버트먼트로서, 픽스츄 어(110)의 익스터널 결합돌기(130)에 대응하는 익스터널 결합홈(154)을 포함하며, 익스터널 결합홈(154)의 내벽에는 제1 요철(132)에 대응하는 제2 요철(155)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익스터널 결합돌기(130)가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었기에, 익스터널 결합홈(154)도 동일한 치수의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익스터널 결합홈(154)의 입구 주변으로 어버트먼트(150)의 저면에는 인터널 결합돌기(152)가 형성된다. 인터널 결합돌기(152)는 인터널 결합홈(142)에 대응하여 환형으로 형성되며 어버트먼트(15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어버트먼트(150)의 중앙으로 익스터널 결합홈(154)과 연결된 제2 나사홀(158)이 형성되며, 제2 나사홀(158)을 통해서 스크류(160)가 픽스츄어(110)의 제1 나사홀(38)과 체결된다. 이때 어버트먼트(150)는 크라운(C)과 결속된 상태로 제공되어 스크류(160)에 의해서 픽스츄어(110)에 고정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어버트먼트(150)만 스크류(160)에 의해서 픽스츄어(110)에 고정된 후, 시멘트에 의해서 크라운(C)을 어버트먼트(15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익스터널 결합돌기(130)의 높이가 약 0.7mm이고, 인터널 결합홈(142)의 깊이가 약 0.8mm인 경우에, 픽스츄어(110) 및 어버트먼트(150) 간의 결합길이를 종래에 비해 2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인터널 결합홈(142)의 측벽은 플랜지(140)의 상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는 위를 바라보는 경사를 제공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그 경사면에 의해서 용이하게 밀착 및 분리될 수가 있다.
도 8a는 스플린트된 보철물을 종래의 픽스츄어에 밀착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스플린트된 보철물을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에 밀착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치조골 상에 2개의 픽스츄어(62)들이 약간씩 어긋나게 식립되어 있으며, 픽스츄어(62)의 상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익스터널 결합돌기(63)가 형성되어 있다. 보철물(P)은 종래의 외부 결합형 어버트먼트(64) 상에 크라운(68)을 덮씌운 것으로서, 외부에서 가공된 보철물(P)은 2개의 어버트먼트(64)를 포함하며, 어버트먼트(64)들의 중심축은 픽스츄어(62)와 마찬가지로 어긋난 상태로 제작되어 있다.
이렇게 중심축이 상호 기울어진 어버트먼트(64)에서 익스터널 결합홈(65)의 입구 끝은 익스터널 결합돌기(63)의 끝단보다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a)의 가상선을 참고), 익스터널 결합홈(65)의 단부가 익스터널 결합돌(63)에 걸리게 된다.
즉, 2개 이상의 어버트먼트(64)를 포함하는 보철물(P)은 서로 어긋나게 식립된 픽스츄어(62) 상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가 없게 된다. 물론, 억지로 픽스츄어를 당겨서 보철물(P)이 통과하도록 할 수는 있지만, 픽스츄어와 주변 조직과의 결속을 파괴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밀한 보철물(P)을 만들기 위해서는 스톤에 고정된 랩 아날로그에 중간 단계의 보철물을 수 차례 결합 또는 분리해야 하는데, 종래의 구조에 따르면 결속 및 분리가 서로 제한되기 때문에 공정이 매우 어려워진다. 그래서인지, 일반적으로 나사 결합형 보철은 한 개의 픽스츄어 상에 보철물을 고정할 때 사용되고 있으며, 스플린트된 보철물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물론, 시멘트 결합형 보철에 의해서 스플린트된 보철물을 픽스츄어 상에 고정할 수도 있지만, 한번 고정된 보철물(P)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해서 잘 분리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도 8a의 (b) 참고).
도 8b를 참조하면, 치조골 상에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픽스츄어(110)들이 약간씩 어긋나게 식립되어 있으며, 픽스츄어(110)의 상부에는 원뿔기둥 형상의 익스터널 결합돌기(130)가 형성되며, 익스터널 결합돌기(130)의 주변으로 인터널 결합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보철물(P)은 종래의 외부 결합형 어버트먼트(64) 상에 크라운(68)을 덮씌운 것으로서, 외부에서 가공된 보철물(P)은 2개의 어버트먼트(64)를 포함하며, 어버트먼트(64)들의 중심축은 픽스츄어(62)와 마찬가지로 어긋난 상태로 제작되어 있다.
이렇게 중심축이 상호 기울어진 어버트먼트(64)에서 익스터널 결합홈(65)의 입구는 익스터널 결합돌기(130)의 단부에서 걸리지 않기 때문에(도 8b의 (a) 가상선 참고), 보철물(P)은 픽스츄어(11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가 있다. 일단 어버트먼트(64)가 픽스츄어(110) 상에 안착되면서, 익스터널 결합돌기(130)의 하단이 어버트먼트(64)의 결함홈(65) 하단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물론, 고정된 스플린트 보철물(P)을 픽스츄어(1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걸림 없이 분리될 수가 있다(도 8b의 (b) 참고).
실시예 2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임플란트(200)는 픽스츄어(210) 및 어버트먼트(250)를 포함한다. 픽스츄어(210)는 픽스츄어 몸체(220), 플랜지(240), 인터널(internal) 결합홈(242) 및 익스터널(external) 결합돌기(230)를 포함하며, 어버트먼트(250)는 인터널 결합돌기(252) 및 익스터널 결합홈(254)을 포함한다.
픽스츄어 몸체(220)는 티타늄 합금으로 구성되며, 몸체의 외면으로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픽스츄어 몸체(220)는 나사선을 이용하여 골조직에 파고들 수 있으며, 골조직에 진입한 이후에는 장기간이 소요되면서 골조직과 흡착된다. 이때 나사선은 픽스츄어 몸체(220)가 용이하게 진입하게 하는 것 외에도 골조직과 흡착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조직 결속부로서의 기능도 한다.
픽스츄어 몸체(220) 상부로 플랜지(240)가 제공되며, 플랜지(240) 상부로는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익스터널 결합돌기(230)가 제공된다. 여기서 플랜지(240) 및 익스터널 결합돌기(230)는 픽스츄어 몸체(220)와 일체로 형성되며, 티타늄 합금으로 구성된다. 익스터널 결합돌기(230)는 어버트먼트를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소정의 깊이로 제1 나사홀(238)이 형성되어 있다.
익스터널 결합돌기(230)의 주변으로 플랜지(240) 상에는 원형의 인터널 결합홈(242)이 형성된다. 인터널 결합홈(242)은 약 0.2~0.5mm의 폭 및 약 0.6~1.0mm의 깊이로 형성되며, 하나로 이어진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인터널 결합홈(242)의 내벽 하단에는 상하로 배향된 제1 요철(243)이 형성된다. 제1 요철(243)은 어버트 먼트(250)의 제2 요철(253)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요철(243, 253)가 상호 맞물림으로써 픽스츄어(210) 및 어버트먼트(250)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 요철은 인터널 결합방식에 의해서 결합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터널 결합홈(243)의 전체 높이에 대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내벽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픽스츄어(210) 및 어버트먼트(250) 간의 상대적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걸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길이라면 충분하다.
또한, 플랜지(240) 상면의 단부와 인터널 결합홈(242)의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지지면(244)이 형성되며, 플랜지(240)의 주변으로는 마진부(246)가 제공된다. 마진부(246)는 정해진 크기의 플랜지(240) 상면에 형성됨으로써, 2차적으로 픽스츄어(210) 주변의 골조직이 주저 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 인터널 결합홈(242)이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측벽을 제공할 수가 있다. 상기 마진부(246)와 유사한 목적으로, 플랜지(240)의 측면, 즉 마진부(246)의 외벽을 따라 미세요철(249)이 형성된다. 미세요철(249)은 플랜지(240)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요철라인을 형성하며, 주위의 잇몸 조직과 쉽게 흡착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주변의 잇몸 조직이 흘러 내리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어버트먼트(250)는 나사 유지형 또는 시멘트 유지형 어버트먼트로서, 픽스츄어(210)의 익스터널 결합돌기(230)에 대응하는 익스터널 결합홈(254)을 포함하며, 익스터널 결합홈(254)도 익스터널 결합돌기(230)와 동일한 치수의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익스터널 결합홈(254)의 입구 주변으로 어버트먼트(250)의 저면에는 인터널 결합돌기(252)가 형성된다. 인터널 결합돌기(252)는 인터널 결합홈(242)에 대응하여 환형으로 형성되며 어버트먼트(25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인터널 결합돌기(252)의 외측 하단으로는 제1 요철(243)에 대응하는 제2 요철(253)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요철(243, 253)은 각각 볼록 및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요철은, CAMLOG 시스템과 유사하게, 오목 및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어버트먼트(250)의 중앙으로 익스터널 결합홈(254)과 연결된 제2 나사홀(258)이 형성되며, 제2 나사홀(258)을 통해서 스크류(260)가 픽스츄어(210)의 제1 나사홀(38)과 체결된다. 이때 어버트먼트(250)는 크라운(C)과 결속된 상태로 제공되어 스크류(260)에 의해서 픽스츄어(210)에 고정될 수 있지만, 다르게는 어버트먼트(250)만 스크류(260)에 의해서 픽스츄어(210)에 고정된 후, 시멘트에 의해서 크라운(C)을 어버트먼트(25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익스터널 결합돌기(230)의 높이가 약 0.7mm이고, 인터널 결합홈(242)의 깊이가 약 0.8mm인 경우에, 픽스츄어(210) 및 어버트먼트(250) 간의 결합길이를 종래에 비해 2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임플란트(300)는 픽스츄어(310) 및 어버트먼트(350)를 포함한다. 픽스츄어(310)는 픽스츄어 몸체(320), 플랜지, 인터널(internal) 결합홈(342) 및 익스터널(external) 결합돌기(330)를 포함하며, 어버트먼트(350)는 인터널 결합돌기(352) 및 익스터널 결합홈(354)을 포함한다.
이전 실시예들과는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 임플란트(300)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형성된 요철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인터널 결합돌기(352) 및 인터널 결합홈(342)을 비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픽스츄어(310) 및 어버트먼트(350) 간의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외의 픽스츄어 구성 및 재질, 어버트먼트의 재질 및 기본적 기능은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유사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기재는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40) 상에 인터널 결합홈(342)이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터널 결합홈이 원형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인터널 결합홈(342)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픽스츄어(310) 및 어버트먼트(350) 간의 회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요철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터널 결합홈(343)이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버트먼트가 장착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정의할 수 있으며, 종래의 어버트먼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344)도 더 넓게 확보할 수도 있다.
실시예 4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 및 랩 아날로그(lab analog)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픽스츄어(110) 및 어버트먼트(150)를 위한 것으로서, 픽스츄어(110)를 치조골에 식립한 후 보철물(prosthesis)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프레션 코핑은 인상을 채득하는 과정에서 식립된 픽스츄어의 위치 및 방향을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상재를 이용하여 치아의 인상을 채득하기 전에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물품을 말하며, 랩 아날로그는 인상재에 고정된 임프레션 코핑에 결속되어 채득된 인상을 스톤에 고정되는 물품을 말한다.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를 통해 치아 및 주변 구조와 동일한 스톤 모형을 만들 수 있으며, 스톤 모형을 통해 정밀한 보철물을 제작할 수가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400)은 코핑 몸체(410) 및 코핑 결속부(420)를 포함한다. 코핑 몸체(410)는 어버트먼트와 같이 픽스츄어 상에 고정되며, 이전 실시예의 어버트먼트(150)와 마찬가지로 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익스터널 결합홈(414) 및 인터널 결합돌기(412)를 포함한다. 익스터널 결합홈(414)은 픽스츄어 또는 랩 아날로그의 익스터널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익스터널 결합홈(416)의 내벽 측면으로 제2 요철(416)이 돌출 형성되며, 제2 요철(416)을 상하로 배향하도록 형성되어 임프레션 코핑(400) 및 픽스츄어(110)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제2 요철(416)은 픽스츄어(110)의 제1 요철(132)에 대응하여 볼록한 반원기둥 형으로 형성되어, 픽스 츄어(110)에 대해 임프레션 코핑(4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익스터널 결합홈(414)의 주변으로 인터널 결합돌기(412)가 형성된다.
인터널 결합돌기(412)는 픽스츄어의 인터널 결합홈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픽스츄어 및 임프레션 코핑(400) 간의 안정적인 결속을 보조한다.
픽스츄어 및 임프레션 코핑(400) 간의 결속을 더욱 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임프레션 코핑(400)에는 픽스츄어의 나사홀에 대응하는 제2 나사홀(426)이 형성되며, 제2 나사홀(426)을 통해서 코핑 스크류(430)가 픽스츄어 또는 랩 아날로그 상부에 고정될 수가 있다.
코핑 결속부(420)는 언더컷(422)을 포함하며, 언더컷(422) 주변으로 안티 로테이션부(424)가 제공된다. 언더컷(422)은 주변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상재를 이용하여 치아의 인상을 채득한 다음, 언더컷(422)은 의해서 임프레션 코핑(40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안티 로테이션부(424)는 언더컷(422) 주변으로 평면 형상으로 일부 커팅된 면으로서, 안티 로테이션부(424)는 인상재 내부에서 임프레션 코핑(4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500)는 이전 실시예의 픽스츄어(110)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스톤 모형에 고정되어 픽스츄어(110) 대신 임프레션 코핑(400)을 체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픽스츄어(110)가 장착된 위치, 방향 등과 동일한 위치 및 방향을 특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랩 아날로그(500)는 익스터널 결합돌기(520), 플랜지(530). 인터널 결합홈(532) 및 스톤 결속부(510)를 포함한다.
익스터널 결합돌기(520)는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임프레션 코핑(400)을 결속시키기 위한 제1 나사홀(522)을 포함한다. 또한, 익스터널 결합돌기(520)의 외면으로는 랩 아날로그(500)의 제1 요철(524)에 대응하는 제1 요철(4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익스터널 결합돌기(520) 및 익스터널 결합홈(414)에 의해서 랩 아날로그(500)와 임프레션 코핑(400)이 상호 체결되며, 제1 및 제2 요철(524, 416)에 의해서 랩 아날로그(500)와 임프레션 코핑(400) 간의 상호 회전이 제한된다. 코핑 스크류(430)는 임프레션 코핑(420)의 제2 나사홀을 통해 제1 나사홀(522)에 결속된다.
익스터널 결합돌기(520)의 저단에는 플랜지(530)가 제공된다. 플랜지(530)는 익스터널 결합돌기(520)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인터널 결합홈(532)을 포함하며, 인터널 결합홈(532)는 임프레션 코핑(400)의 인터널 결합돌기(412)가 삽입된다. 임프레션 코핑(40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해 플랜지(530) 상면의 단부와 인터널 결합홈(532)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지지면(534)이 형성된다.
플랜지(530)의 저단에는 스톤 결속부(510)가 제공된다. 스톤 결속부(510)는 치아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스톤에 랩 아날로그(5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언더컷(512) 및 안티 로테이션부(514)를 포함한다. 임프레션 코핑(4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언더컷(512)은 플랜지(530)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상을 채득한 후 임프레션 코핑(400)에 랩 아날로그(500)를 결속시키고, 랩 아날로그(500) 상에 스톤을 채워 경화시킴으로써 환자의 치아 구조를 재현할 수가 있다. 언더컷(512)에 의해서 랩 아날로그(500)는 스톤 모형 상에 고정된다.
또한, 안티 로테이션부(514)는 언더컷(512) 주변으로 평면 형상으로 일부 커팅된 면으로서, 안티 로테이션부(514)는 스톤 모형 내부에서 랩 아날로그(5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를 상호 결속시킨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톤 모형을 형성하기 전에 임프레션 코핑(400)에 랩 아날로그(500)를 결속시키고, 임프레션 코핑(400)과 랩 아날로그(500)는 코핑 스크류(430)에 의해서 상호 고정된다. 랩 아날로그(500)의 익스터널 결합돌기(522)를 임프레션 코핑(400)의 익스터널 결합홈(414)이 수용하고, 랩 아날로그(500)의 인터널 결합홈(532)에 임프레션 코핑(400)의 인터널 결합돌기(412)가 삽입되어 안정하게 고정된다. 이때 제1 요철(524) 및 제2 요철(416)이 상호 결속됨으로써 임프레션 코핑(400) 및 랩 아날로그(500) 간의 상호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임프레션 코핑의 인터널 결합돌기 하단을 따라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랩 아날로그의 인터널 결합홈에는 내부 측면 하단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임프레션 코핑과 랩 아날로그를 수시로 결합 및 분리할 때, 걸림돌기 및 걸림홈이 임프레션 코핑과 랩 아날로그 간의 결합을 보조할 수 있으며, 상호 결합되는 위치를 확인하게 할 수 있고, 손쉬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수가 있다.
임프레션의 인터널 결합돌기가 용이하게 결속 및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인터널 결합돌기는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터널 결합돌기는 인터널 결합홈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변형되어 용이하게 통과할 수가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된 임프레션 코핑(400) 및 랩 아날로그(5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110) 및 어버트먼트(150)를 위한 것으로서, 랩 아날로그(500)의 익스터널 결합돌기(520)에 제1 요철(524)가 형성되고, 임프레션 코핑(400)의 익스터널 결합홈(414)에 제2 요철(416)이 형성된다. 이외에도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는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또는 기재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외부형 및 내부형 결합구조에 의해서 대부분 특정되는 것이기에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의 다른 실시예는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을 기초로 자명하게 특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널 결합홈을 포함하는 픽스츄어는 외부 결합방식으로 기본으로 사용하면서 내부 결합방식의 장점을 선택하여 외부 결합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인터널 결합홈과 인터널 결합돌기 간의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 간의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합되는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픽스츄어에 대응하여 제작된 어버트먼트를 사용함으로써 외부 결합형 및 내부 결합형의 장점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시술자가 의도하는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 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2)

  1.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나사홀이 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익스터널 결합돌기,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저단에 제공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저단에 제공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조직 결속부가 외면에 형성된 픽스츄어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인터널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외면으로는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제1 요철이 형성된 픽스츄어; 및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익스터널 결합홈, 상기 인터널 결함홈에 대응하는 인터널 결합돌기, 및 상기 제1 나사홀에 대응하는 제2 나사홀을 포함하며, 상기 익스터널 결합홈 및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는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익스터널 결합홈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요철에 대응하는 제2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픽스츄어 상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를 구비하는 치과 임플란트.
  2.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나사홀이 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익스터널 결합돌기,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저단에 제공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저단에 제공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조직 결속부가 외면에 형성된 픽스츄어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인터널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널 결합홈의 내부 측벽으로는 일정 방향으로 배향된 제1 요철이 형성된 픽스츄어; 및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익스터널 결합홈, 상기 인터널 결함홈에 대응하는 인터널 결합돌기, 및 상기 제1 나사홀에 대응하는 제2 나사홀을 포함하며, 상기 익스터널 결합홈 및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는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의 외면에는 상기 제1 요철에 대응하는 제2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픽스츄어 상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를 구비하는 치과 임플란트.
  3.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나사홀이 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익스터널 결합돌기,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저단에 제공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저단에 제공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조직 결속부가 외면에 형성된 픽스츄어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주변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형성된 인터널 결합홈을 포함하는 픽스츄어; 및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익스터널 결합홈, 상기 인터널 결함홈에 대응하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된 인터널 결합돌기, 및 상기 제1 나사홀에 대응하는 제2 나사홀을 포함하며, 상기 익스터널 결합홈 및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는 저면에 형성된 어버트먼트 조립체;를 구비하는 치과 임플란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상면의 단부와 상기 인터널 결합홈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지지면이 형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의 주변으로 형성된 마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진부와 상기 플랜지의 상면은 바깥을 향하는 경사면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용이한 삽입 및 분리를 위해서, 상기 인터널 결합홈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측면은 위를 향하도록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도 상기 인터널 결합홈에 대응하여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결속부는 상기 픽스츄어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결속부는 골조직과 상기 픽스츄어 몸체 간의 접촉면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다공성 처리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미세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10.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임프레션 코핑을 결속시키기 위한 제1 나사홀이 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익스터널 결합돌기;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저단에 제공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는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인터널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 상면의 단부와 상기 인터널 결합홈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저단에 제공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스톤 결속부가 외면에 형성된 아날로그 몸체; 및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 또는 상기 인터널 결합홈에 일정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형성된 제1 요철;를 구비하는 랩 아날로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은 상기 익스터널 결합돌기의 외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아날로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은 상기 인터널 결합홈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아날로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결합홈은 상기 플랜지 상에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아날로그.
  14. 제10항에 있어서,
    고체화되는 스톤에 상기 랩 아날로그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스톤 결속부는 언더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아날로그.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랩 아날로그의 안티 로테이션을 위해 상기 스톤 결속부는 안티 로테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아날로그.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결합홈에서 두 내부 측면 중 바깥에 위치한 내부 측면의 하단에는 상기 인터널 결합홈의 하단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랩 아날로그.
  17.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또는 랩 아날로그에 대응하는 임프레션 코핑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와 결속되는 코핑 몸체; 및
    상기 코핑 몸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코핑 몸체를 인상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언더컷을 포함하는 코핑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핑 몸체는 픽스츄어의 익스터널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익스터널 결합홈 및 상기 익스터널 결합홈의 입구 주변으로 형성된 인터널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픽스츄어의 나사홀에 대응하여 제2 나사홀이 상기 코핑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픽스츄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요철이 상기 익스터널 결합홈 또는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에 일정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프레션 코핑.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익스터널 결합홈의 내부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프레션 코핑.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철은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의 외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프레션 코핑.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는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프레션 코핑.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안티 로테이션을 위해 상기 코핑 결속부는 안티 로테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프레션 코핑.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는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의 하단의 외측으로 걸림돌기가 상기 인터널 결합돌기의 하단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프레션 코핑.
KR1020040074573A 2004-08-20 2004-09-17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KR10059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573A KR100597394B1 (ko) 2004-09-17 2004-09-17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PCT/KR2005/002162 WO2006019225A1 (en) 2004-08-20 2005-07-06 Dental implant, impression coping and lab analog for the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573A KR100597394B1 (ko) 2004-09-17 2004-09-17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770A KR20060025770A (ko) 2006-03-22
KR100597394B1 true KR100597394B1 (ko) 2006-07-10

Family

ID=3713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573A KR100597394B1 (ko) 2004-08-20 2004-09-17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3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85Y1 (ko) 2015-05-06 2016-01-22 주식회사 지오메디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치기공용 아날로그
KR200497643Y1 (ko) 2023-10-31 2024-01-16 주식회사 쓰리포인트덴탈 임플란트용 록 아날로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466B1 (ko) * 2011-10-06 2014-02-03 김노국 틀니고정장치
KR101727732B1 (ko) 2016-09-02 2017-05-02 박기웅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KR101879550B1 (ko) * 2017-10-19 2018-07-17 김오봉 구조개선을 통한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2119932B1 (ko) * 2018-01-22 2020-06-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치유지대주 및 인상용캡 복합체
DE102018113237A1 (de) * 2018-06-04 2019-12-05 TRI Dental Implants Int. AG Zahnimplantat und Zahnprothese
KR102209274B1 (ko) * 2020-06-11 2021-01-29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랩 아나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작업 모형
KR102233682B1 (ko) * 2020-09-29 2021-03-29 김경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보철물
KR20220071408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컴포넌트와 그 시술용 홀더
KR102501215B1 (ko) * 2020-12-10 2023-02-17 최재익 블록형 레코딩베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스캔 디바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039A (ja) * 1995-03-22 1996-10-08 Nikon Corp 骨内インプラント埋植用器具の組合わせ構造
JPH1142239A (ja) 1997-05-15 1999-02-16 Core Vent Corp 1パーツの根形の骨内歯科用インプラント
JP2000024004A (ja) 1998-07-16 2000-01-25 Aichi Steel Works Ltd 無歯顎に固定されるインプラント
KR20000056128A (ko) * 1999-02-12 2000-09-15 정필훈 즉시 고정가능한 형태조절 팽창형 임플란트
JP2002078720A (ja) 2000-09-06 2002-03-19 Aichi Steel Works Ltd 義歯アタッチメント用キーパの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039A (ja) * 1995-03-22 1996-10-08 Nikon Corp 骨内インプラント埋植用器具の組合わせ構造
JPH1142239A (ja) 1997-05-15 1999-02-16 Core Vent Corp 1パーツの根形の骨内歯科用インプラント
JP2000024004A (ja) 1998-07-16 2000-01-25 Aichi Steel Works Ltd 無歯顎に固定されるインプラント
KR20000056128A (ko) * 1999-02-12 2000-09-15 정필훈 즉시 고정가능한 형태조절 팽창형 임플란트
JP2002078720A (ja) 2000-09-06 2002-03-19 Aichi Steel Works Ltd 義歯アタッチメント用キーパの取付け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385Y1 (ko) 2015-05-06 2016-01-22 주식회사 지오메디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치기공용 아날로그
KR200497643Y1 (ko) 2023-10-31 2024-01-16 주식회사 쓰리포인트덴탈 임플란트용 록 아날로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770A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219B1 (ko)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및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20060141418A1 (en) Method for treat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butment and impla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US8920170B2 (en) Abutment and abutment systems for use with implants
KR101489345B1 (ko) 치아 임플란트
EP0670699B1 (en) Dental implant
KR10109158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JP2010524606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歯科用要素連結
CN110944598B (zh) 牙科连接系统
KR200386621Y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05067812A1 (en) Multi-part abutment and transfer cap for an endosseous dental implant
AU2009285941A1 (en)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JP2011514226A (ja) 非対称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20120164599A1 (en) Dental fixture, a dental component and a dental implant assembly
KR100597394B1 (ko)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WO2003049636A1 (en) Healing abutment
KR100597393B1 (ko) 치과 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임프레션 코핑및 랩 아날로그
KR100597392B1 (ko)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KR100597389B1 (ko)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및 랩 아날로그
US20060141419A1 (en) Method for treating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and adjustment for a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
WO2006019225A1 (en) Dental implant, impression coping and lab analog for the dental implant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WO2006019224A1 (en) Fixture for dental implant, dental implant, impression coping and lab analog for the dental implant
KR200378567Y1 (ko) 로킹 테이퍼형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임시 어버트먼트
KR200346034Y1 (ko) 로킹테이퍼형 임플란트의 픽스쳐 고정용 임시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