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356B1 -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356B1
KR100597356B1 KR1020030088078A KR20030088078A KR100597356B1 KR 100597356 B1 KR100597356 B1 KR 100597356B1 KR 1020030088078 A KR1020030088078 A KR 1020030088078A KR 20030088078 A KR20030088078 A KR 20030088078A KR 100597356 B1 KR100597356 B1 KR 10059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ransmission
amount
manual transmission
lubr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142A (ko
Inventor
홍한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356B1/ko
Publication of KR2005005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5Pressure control for supplying lubricant; Circuits or val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기 케이스 내의 일정 위치에 각 기어류의 회전에 따라 비산된 오일이 일정량 저장되도록 하는 오일량 조절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는 그 밑면에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 배출구가 형성됨으로써, 운전 조건에 따라 보다 적절한 양의 오일을 사용하여 변속기의 윤활 효율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동력 전달 효율도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오일 가이드, 오일량 조절챔버, 변속기 케이스, 오일 유입구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Lubricative control apparatus in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종래 수동 변속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수동 변속기가 도시된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
도 3은 종래 수동 변속기의 윤활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절 장치가 구비된 수동 변속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절 장치의 오일 가이드 및 오일량 조절챔버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절 장치의 오일 가이드 및 오일량 조절챔버가 도시된 주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량 조절챔버의 설치 상태가 도시된 도 4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변속기 케이스 50a : 공간부
55 : 기어류 55' : 디프 기어
60 : 오일 가이드 62 : 가이드 플레이트
70 : 오일량 조절챔버 71 : 가이드 리브
72 : 오일 유입구 75 : 오일 배출구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윤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 조건에 따라 변속기 내부의 오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 변속기는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른 기관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역전 장치도 갖추고 있다.
상기 수동 변속기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 및 종동축(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과 종동축(2)에는 상호 치합되어 변속 동력을 전달하는 각 변속단 기어(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1) 및 종동축(2)과 각 변속단 기어(3), 그리고 클러치 하우징(11) 및 변속기 케이스(12) 사이에는 다수의 베어링류가 설치되어 각 축(1,2) 및 각 기어(3)가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돕게 된다.
상기 변속기 케이스(12)의 상부에는 콘트롤 샤프트(25)가 장치되는 콘트롤 하우징(13)이 결합된다. 상기 콘트롤 하우징(13)의 상단에는 변속기 케이스(12) 내의 압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에어 브리더(25)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각 축(1,2) 및 각 변속단 기어(3)와 베어링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마찰 접동부에 윤활 및 냉각 작용을 하는 윤활유가 필요한 바, 변속기 케이스(12) 내부에는 일정량의 윤활 오일이 항상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2)에 내재된 오일은 각 변속단 기어(3)의 회전에 따라 주변으로 비산되면서 각 마찰 접동부에 공급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12) 내의 각 기어류(3)에 의해 비산된 오일은 변속기 케이스(12) 내부의 각 윤활 부위에 공급되고, 특히 콘트롤 하우징(13) 내부로도 유입된다.
한편, 참조 번호 30은 비산된 오일이 변속기 케이스(20) 내의 특정 부분으로 오일을 안내하는 오일 가이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수동 변속기의 윤활 구조는, 최적의 윤활 성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변속기 내에 주입하는 오일의 양을 최적화해야 하지만, 축(1)(2) 및 기어류(3)의 회전속도에 따라 비산되는 오일의 양이 변화하므로 오일량 조절이 쉽지 않고, 이에 따라 고속회전시에 비산되는 오일량이 많으면 오일이 각 회전 요소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으로 작용하여 변속기의 전달효율을 저하시키게 되고, 이는 오일의 온도 상승으로 이어져 마찰부의 열화를 촉진하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변속기의 내구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일량 조절챔버를 구비하여 고속 회전시에는 변속기 내에 비산되는 오일의 양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 조건에 따라 보다 적절한 양의 오일을 사용하여 변속기의 윤활 효율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동력 전달 효율도 상승되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는, 변속기 케이스 내의 일정 위치에 각 기어류의 회전에 따라 비산된 오일이 일정량 저장되도록 하는 오일량 조절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는 그 밑면에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절 장치가 구비된 수동 변속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절 장치의 오일 가이드 및 오일량 조절챔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 조절 장치의 오일 가이드 및 오일량 조절챔버가 도시된 주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량 조절챔버의 설치 상태가 도시된 도 4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50) 내의 일정 위치에 각 기어류(55)의 회전에 따라 비산된 오일이 일정량 저장되도록 하는 오일량 조절챔버(70)가 구비된다.
상기 변속기 케이스(50) 내에는 축방향으로 길게 공지 기술인 오일 가이드(60)가 구비되는 바,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70)는 상기 오일 가이드(60)에서 가이드 플레이트(62)가 형성된 한쪽 끝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7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밑면에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 배출구(75)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오일 유입구(7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70)는 소량의 오일 저장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오일 유입구(72)는 오일 배출구(75)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70)는 상기 오일 유입구(72)로 오일 유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7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리브(71)는 상기 오일 유입구(72)를 형성하기 위해 천공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변속기 케이스(50)는 디프 기어(55')가 장착되는 부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연장된 공간부(50a)가 형성되는 바,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70)는 상기 공간부(50a)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참고로, 도 4에서 참조 번호 51은 콘트롤 하우징이고, 53은 콘트롤 샤프트이며, 54는 에어 브리더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의 작용 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오일량 조절챔버(70)가 구비되어 수동변속기 내부의 회전 마찰부로 공급되는 오일의 양을 운전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하므로써 동력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변속기 케이스(50) 내부에 비산되는 오일의 온도를 냉각시켜 부품의 열화를 방지함과 아울러 에어 브리더(54)로의 누유 가능성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변속기 내의 회전 요소가 저속 회전할 경우에는 비산된 오일의 양이 적기 때문에 오일량 조절챔버(70) 내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도 그만큼 작게 되어 변속기 케이스(50) 내부의 오일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고속 회전시에는 비산되는 오일의 양이 많기 때문에 오일량 조절챔버(70) 내로 유입되는 오일의 양도 그만큼 많게 되고, 이에 따라 변속기 케이스(50) 내에서 비산되는 오일의 양을 일정량만큼 줄어들게 되어 보다 최적화된 오일량으로 회전 마찰부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는, 변속기의 회전 요소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때에는 오일량 조절챔버를 통해 변속기 케이스 내에서 비산되는 윤활 오일량을 줄여 주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오일에 의한 운동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변속 동력 전달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일의 마찰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의 발생을 억제하여 변속기 내부 부품의 열화를 방지하고, 내구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고온고속의 운전조건에서 변속기 내부압력 증가에 의해 에어 브리더 로의 누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8)

  1. 변속기 케이스 내의 일정 위치에 각 기어류의 회전에 따라 비산된 오일을 일정량 저장하여 변속기내 오일량을 조절하여 오일량 조절챔버가 사각 박스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는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 배출구와 오일이 유입되는오일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배출구는 상기 오일유입구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케이스 내에는 축방향으로 길게 오일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는 상기 오일 가이드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는 상기 오일 유입구로 오일 유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오일 유입구를 형성하기 위해 천공한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케이스는 디프 기어가 장착되는 부분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량 조절챔버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KR1020030088078A 2003-12-05 2003-12-05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KR10059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078A KR100597356B1 (ko) 2003-12-05 2003-12-05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078A KR100597356B1 (ko) 2003-12-05 2003-12-05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142A KR20050055142A (ko) 2005-06-13
KR100597356B1 true KR100597356B1 (ko) 2006-07-10

Family

ID=3725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078A KR100597356B1 (ko) 2003-12-05 2003-12-05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3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142A (ko) 200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03033A (zh) 一种强制换热式增速空气泵
KR20050017516A (ko) 수동 변속기의 윤활 구조
KR100597356B1 (ko) 수동 변속기의 윤활 조절 장치
JP2008504497A (ja) 油供給装置
JP2011250524A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冷却装置
US9671010B2 (en) Hybrid driveline for a motor vehicle
KR20110000040A (ko) 변속형 유체커플링
KR20120061829A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3501878B2 (ja) 冷却・潤滑系統を一体化した高速電動機
JP4894839B2 (ja) 動力伝達装置の潤滑構造
US20060096566A1 (en) Crankcase cover plate
US8435090B1 (en) Marine drives and methods of operating marine drives having a lubricant exclusion cover
US7032379B2 (en) Oil supply unit for a running power transmission
KR20040033980A (ko) 수동변속기의 윤활 구조
KR100895667B1 (ko) 터보 블로어 및 이에 사용되는 고속회전체
KR20040049205A (ko) 수동 변속기의 냉각 시스템
KR100196742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윤활패널
KR101596681B1 (ko) 차량용 냉각팬의 동력전달 장치
KR100359869B1 (ko) 엔진 동력 소모 저감을 위한 오일 펌프
KR100218891B1 (ko) 펌핑용량 가변형 오일펌프
JP7004081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KR970005788B1 (ko) 수동변속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0249247B1 (ko) 워터펌프 구동장치
JP2002142408A (ja) 動力出力装置
KR200483658Y1 (ko) 자동변속기 케이스의 펌프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