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741B1 -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741B1
KR100596741B1 KR1020030059987A KR20030059987A KR100596741B1 KR 100596741 B1 KR100596741 B1 KR 100596741B1 KR 1020030059987 A KR1020030059987 A KR 1020030059987A KR 20030059987 A KR20030059987 A KR 20030059987A KR 100596741 B1 KR100596741 B1 KR 10059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od waste
hole
food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855A (ko
Inventor
전근식
Original Assignee
전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근식 filed Critical 전근식
Priority to KR102003005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74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평평한 받침대(20)의 상부 양측에 돌출 구비되는 측판(22);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하부에 한쌍의 반원요홈이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판(30); 상기 몸체판의 하부를 감싸게 구비되며, 일측 오일주입공을 통해 내부 공간부에 오일을 저장하고 히터봉삽입공에 히터봉(60)이 삽입되는 열매체판(31); 상기 열매체판의 하부를 감싸게 구비되며, 일측에 공기유입구(40)가 설치된 냉각판(32); 일단은 몸체판의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냉각판의 일측에 구멍이 연통되게 연결된 열공급파이프(36); 상기 몸체판의 일측면에 구멍이 연통되게 설치된 환기배출공(42); 상기 측판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체인과 체인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0);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몸체판의 내부 하단에서 각기 회전되는 오른스크류(53)와 왼스크류(54); 상기 배출공의 하단에 연결되며, 음식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음식물배출구(70);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대량으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악취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고,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는 무공해 비료로 사용 가능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스크류, 구동부, 공기유입구, 환기배출공, 음식물배출구.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a device for perfection treatment of food trash}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를 보인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의 배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의 부분 정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크류와 구동부의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히터봉의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배출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버 11: 제어부
20: 받침대 22: 측판
30: 몸체판 31: 열매체판
32: 냉각판 40: 공기유입구
42: 환기배출공 50: 구동부
53, 54: 오른스크류, 왼스크류 60: 히터봉
70: 음식물 배출구 73: 손잡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으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악취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고,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는 무공해 비료로 사용 가능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매일 나오는 각종 음식물 쓰레기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심각한 환경오염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경비가 소비되며 특히 쓰레기 집하장에는 다량의 오염물질이 배출되어 주변의 토양과 하천을 오염시켜 환경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어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들이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다.
상기한 상황하에서 정부는 2005년부터 음식물쓰레기 매립장 직매립 금지, 음식물쓰레기 공공처리시설 설치 지원 확대방침을 내놓고 있다. 즉 음식물쓰레기 공공 처리시설 설치 지원 예산을 대폭 증액키로 결정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음식물쓰레기를 매립장에 직접매립할 경우 자원낭비는 물론 매립지 주변의 파리, 모기 등 해충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유기물 분해에 따른 악취발생과 침출수 발생으로 매립장 유지관리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 발생량 전체 생활쓰레기의 23%(01년 11,237톤/일) 정부는 음식물쓰레기 직매립에 따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기물 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97.7.19) 2005년 1월 1일부터 음식물쓰레기 직매립을 금지할 예정이다. 그동안 직매립 금지에 대비하여 음식물쓰레기 공공처리시설 및 민간처리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2003. 6월 현재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의 76%를 처리할 수 있는 1일 8,575톤의 시설을 설치 내년에는 05년부터 직매립이 금지되는 점을 감안하여 음식물 쓰레기 공공처리시설 및 전용수거차량 확대를 위해 금년보다 대폭 증액된 289억원을 국고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이들 공공처리시설이 확충되면 음식물쓰레기의 적정처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 자원재활용 증가와 함께 직매립금지 제도의 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종래에도 다수 출원된바 있다. 즉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경우에는, 분쇄 대상물을 분쇄기로 투입하면 분쇄날이 회전 하여 분쇄 대상물이 분쇄되도록 하였지만, 대부분 분쇄날의 방향이 중력방향과 수평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분쇄기의 저면에 분쇄 대상물이 쌓이게 되며, 일부는 분쇄날에 의해 단순히 이송되는 형태로 남게 되어 분쇄 대상물이 완전히 분쇄되지 않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분쇄 대상물이 완전 분쇄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분쇄 후 행해지는 탈수 및 건조과정에서 건조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부피를 감소시키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구조상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악취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없고,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으며, 더 나아가서는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는 무공해 비료로 사용할 수 없다는 등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대량으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며, 제2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악취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는 무공해 비료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평 평한 받침대의 상부 양측에 돌출 구비되는 측판;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하부에 한쌍의 반원요홈이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판; 상기 몸체판의 하부를 감싸게 구비되며, 일측 오일주입공을 통해 내부 공간부에 오일을 저장하고 히터봉삽입공에 히터봉이 삽입되는 열매체판; 상기 열매체판의 하부를 감싸게 구비되며,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설치된 냉각판; 일단은 몸체판의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냉각판의 일측에 구멍이 연통되게 연결된 열공급파이프; 상기 몸체판의 일측면에 구멍이 연통되게 설치된 환기배출공; 상기 측판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체인과 체인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몸체판의 내부 하단에서 각기 회전되는 오른스크류와 왼스크류; 상기 배출공의 하단에 연결되며, 음식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음식물배출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평평한 받침대(2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측판(22)이 돌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20)의 하단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캐스터(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양 측판(22)의 사이에는 하부에 한쌍의 반원요홈이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판(3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몸체판(30)의 하부를 감싸게 구비되며, 일측 오일주입공(41)을 통해 내부 공간부에 오일을 저장하고 히터봉삽입공(34)에 히터봉(60)이 삽입되는 열매체판(3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열매체판(31)의 일측에는 오일을 교체하도록 오일교체공(35)이 구비되고, 상기 오일주입공(41)의 상단에는 유량게이지(14)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매체판(31)의 하부를 감싸게 구비되며, 일측에 공기유입구(40)가 설치된 냉각판(32)이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냉각판(32)의 외주면에는 과열방지테잎(32a)이 더 부착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판(30), 열매체판(31), 냉각판(32)을 관통하게 배출공(3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일단은 몸체판(30)의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냉각판(32)의 일측에 구멍이 연통되게 연결된 열공급파 이프(36)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열공급파이프(36)의 반대편인 상기 몸체판(30)의 일측면에 구멍이 연통되게 환기배출공(42)이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몸체판(30)에 연결된 열공급파이프(36)의 구멍은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체판(30)에 연결된 환기배출공(42)의 구멍도 내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배출공(42)의 하단 내부에는 다수의 탈취제(4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판(22)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모터(52)의 구동에 의해 체인(51)과 체인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50)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몸체판(30)의 내부 하단에서 각기 회전되는 오른스크류(53)와 왼스크류(54)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50)에 적용된 체인(51)과 체인스프로킷 대신에 벨트와 벨트풀리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이외의 구동수단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공(33)의 하단에 연결되며, 음식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음식물배출구(7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음식물배출구(70)는, 힌지(75)를 중심으로 레버(7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손잡이(73)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73)의 일측에는 레버(74)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홈(76)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73)의 회전에 의해서는 구멍(7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회전판(7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 측판(22)의 상단에 중앙에 구멍(24)이 형성된 플레이트(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20)를 중심으로 전체 외주면에는 뚜껑(12)과 도어(13) 그리고 제어부(11)가 구비된 커버(1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의 기술적 구성은 일반적인 전기회로와 버튼 그리고 스위치 등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의 상단에 구비된 뚜껑(12)을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커버(10)의 내부에 구비된 플레이트(23)의 구멍(24)을 통해 몸체판(30)의 내부로 투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에는 뚜껑(12)을 닫고 제어부(11)의 버튼이나 스위치를 조작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구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사용자는 커버(10)의 상부로 돌출된 유량게이지(14)를 보고 열매체판(31)의 공 간부에 오일이 얼마나 남아 있나 확인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1)의 조작에 의해서는 구동부(50)가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50)는 모터(52)의 구동에 의해 체인(51)과 체인 스프로킷을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부(50)의 구동에 의해서는 이와 연결된 오른스크류(53)와 왼스크류(54)가 도 5,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열매체판(31)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회전되는 오른스크류(53)와 왼스크류(54)에 의해 절단되게 된다.
즉, 상기 열매체판(31)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오른스크류(53)와 왼스크류(54)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방향의 타원형으로 계속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음식물 쓰레기가 오른스크류(53)와 왼스크류(54)의 미세한 틈사이 위치하게 되면 회전되는 오른스크류(53)와 왼스크류(54)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용이하게 절단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른스크류(53)와 왼스크류(54)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나, 스크류(53)(54)의 날개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타원형으로 계속 이송시키게 됨은 물론 일정 크기로 용이하게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은 몸체판(30)의 내부로 고온의 열이 공급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게 된다.
즉, 히터봉삽입공(34)에 내장된 히터봉(60)은 전원의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 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 열매체판(31)의 내부에는 오일이 저장되어 상기 히터봉(60)에서 발생된 열이 오일을 100℃ 이상으로 끓게 만든다.
이와 같이 오일이 뜨거워 지면 열이 발생되는 것으로, 이 열은 몸체판(30)을 달구게 되어 몸체판(30)상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발생된 열은 열공급파이프(36)를 통해 몸체판(30)의 내부로 투입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바삭바삭하게 건조시키게 된다.
즉, 공기유입구(40)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판(32)의 공간부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냉각판(32)의 공간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열에 의해 금방 고온으로 바뀌면서 상기 열공급파이프(36)를 통해 몸체판(30)의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와 같이 고온의 열이 몸체판(30)의 내부로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바삭바삭하게 만들게 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되는 스크류(53)(54)에 의해 작은 사이즈로 절단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판(30)에 열결된 열공급파이프(36)의 구멍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온의 열이 직접 음식물 쓰레기에 전달되도록 하여 단시간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건조과정에서 발생된 악취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즉, 환기배출공(42)이 몸체판(30)의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 환기배출공(42)의 끝단 내부에는 세라믹가 같은 탈취제(43)가 내장되어 악취가 이 탈취제(43)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외부로 배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몸체판(30)의 내부에서 일정 크기로 절단되고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배출구(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73)를 잡은 상태에서 레버(74)를 누르면 이 레버(74)는 힌지(75)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레버(74)의 선단이 걸림홈(76)에 걸려지게 되면 손잡이(73)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되고, 상기 레버(74)의 작동에 의해 레버(74)의 선단이 걸림홈(76)에서 이탈되면 상기 손잡이(73)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73)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72)이 선택적으로 구멍(71)을 개폐시키게 되면 이 구멍(71)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멍(71)을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배출구(70)의 하단에 구비된 봉투나 그 외의 함(도면상 미 도시함)에 저장되고, 이와 같이 봉투나 함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는 사용자가 도어(13)를 열고 외부로 인출하여 무공해 비료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냉각판(32)의 외주면에 과열방지테잎(32a)이 부착되어 열의 손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잘못하여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오일주입공(41)을 통해 열매체판(31)의 내부 공간부에 오일을 보충해 주고 또한 열매체판(31)의 일측에 구비된 오일교체공(35)을 통해 오래된 오일을 교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받침대(20)의 하단에 캐스터(21)가 설치되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량으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와 악취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는 무공해 비료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평평한 받침대(20)의 상부 양측에 돌출 구비되는 측판(22);
    상기 양 측판의 사이에 구비되며, 하부에 한쌍의 반원요홈이 돌출되게 형성된 몸체판(30);
    상기 몸체판의 하부를 감싸게 구비되며, 일측 오일주입공을 통해 내부 공간부에 오일을 저장하고 히터봉삽입공에 히터봉(60)이 삽입되는 열매체판(31);
    상기 열매체판의 하부를 감싸게 구비되며, 일측에 공기유입구(40)가 설치된 냉각판(32);
    일단은 몸체판의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고, 타단은 냉각판의 일측에 구멍이 연통되게 연결된 열공급파이프(36);
    상기 몸체판의 일측면에 구멍이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환기배출공(42);
    상기 측판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체인과 체인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부(50);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몸체판의 내부 하단에서 각기 회전되는 오른스크류(53)와 왼스크류(54);
    상기 배출공의 하단에 연결되며, 음식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음식물배출구(70);로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32)의 외주면에는 과열방지테잎(32a)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6. 삭제
  7. 제 5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주입공(41)의 상단에는 유량게이지(1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8. 제 5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배출구(70)는, 힌지를 중심으로 레버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손잡이(73)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는 레버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홈(76)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서는 구멍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회전판(7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30059987A 2003-08-28 2003-08-28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KR10059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987A KR100596741B1 (ko) 2003-08-28 2003-08-28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987A KR100596741B1 (ko) 2003-08-28 2003-08-28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883U Division KR200333521Y1 (ko) 2003-08-29 2003-08-29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855A KR20050021855A (ko) 2005-03-07
KR100596741B1 true KR100596741B1 (ko) 2006-07-10

Family

ID=3723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987A KR100596741B1 (ko) 2003-08-28 2003-08-28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33B1 (ko) * 2009-11-04 2013-01-08 (주)유로파 음식물 쓰레기 저장조의 냉각구조
KR102461907B1 (ko) * 2022-05-17 2022-10-31 나민수 음폐기물 이송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히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855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100964282B1 (ko) 원스톱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06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96741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KR100626880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처리장치
KR200333521Y1 (ko)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 처리장치
KR1007437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663882B1 (ko) 음식물 잔반 건조 처리기
KR20090066946A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03417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퇴비 재생처리장치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27593B1 (ko) 파쇄건조기
KR20041048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21392Y1 (ko) 음식물 쓰레기 소각장치
KR100909941B1 (ko) 음식물 쓰레기 탄화장치
KR200255753Y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건조기
KR1014544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31951B1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2642031B1 (ko)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건조장치
KR20070011938A (ko)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122359A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0663702B1 (ko) 음식물쓰레기 자동 건조 장치
KR10256301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478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