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879B1 -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879B1
KR100595879B1 KR1020030082995A KR20030082995A KR100595879B1 KR 100595879 B1 KR100595879 B1 KR 100595879B1 KR 1020030082995 A KR1020030082995 A KR 1020030082995A KR 20030082995 A KR20030082995 A KR 20030082995A KR 100595879 B1 KR100595879 B1 KR 100595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housing
lens frame
adjustment ring
digit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119A (ko
Inventor
김현호
오주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8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8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폰, PDA 단말기 등의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카메라가 가지는 고유의 디지털 줌 기능에 부가하여,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간단히 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렌즈 프레임(120);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단부면에 구비되는 촬상소자(13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프레임(120)이 광축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렌즈 프레임(120)을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광축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조절 링(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카메라, 수동, 줌, 단말기, 휴대폰

Description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gital camera added the manual zoom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조립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광각 촬영시에 있어서의 조절 부재 및 렌즈 프레임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망원 촬영시에 있어서의 조절 부재 및 렌즈 프레임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신 단말기 12 : 본체
20 : 커버 20a : 하부 케이스
20b : 상부 케이스 32 : 안내홈
100 : 디지털 카메라 110 : 하우징
111 : 나선부 112 : 환형요홈
120 : 렌즈 프레임 120a : 렌즈
121 : 나선부 130 : 촬상소자
140 : 조절링 141 : 탄성 걸림편
142,151 : 기어 치 150 : 조절부재
152 : 중심축 153 : 돌기
154 : 요철부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폰, PDA 단말기 등의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카메라가 가지는 고유의 디지털 줌 기능에 부가하여,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간단히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무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istance) 단말기 등의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의 카메라 기능은, 단말기에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단말기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래의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줌 기능은 렌즈의 이동없이 프로그램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처리 방법을 디지털 줌 기능이라고 하는데, 디지털 줌 기능은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 방법에 의해 수직,수평 화면을 화면비에 맞추어 확장 또는 축소함으로써 광각(Wide Angle) 촬영이나 망원(Telephoto) 촬영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한 디지털 카메라에 부여된 디지털 줌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설정된 기능 탐색을 통하여 소망하는 촬영 모드로 전환 또는 조정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촬영 모드를 전환 또는 조정하는 과정에서는 기능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주밍(Zooming)을 진행할 때에는 기능버튼을 비교적 오랜동안 눌러주어야 함으로써 촬영의 신속성이 떨어지고 피사체의 움직임에 대한 대응능력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가 가지는 고유의 디지털 줌 기능에 부가하여,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간단히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며, 일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렌즈 프레임; 상기 하우징의 내측 단부면에 구비되는 촬상소자; 및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프레임이 광축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렌즈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광축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조절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조절 부재를 돌려 렌즈 프레임을 촬상소자에 근접시키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수동 줌 기능이 구현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가 가지는 고유의 디지털 줌 기능에 부가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간단히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즈 프레임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나선결합되어, 이의 나선결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프레임의 외주면과, 상기 조절 링의 내주면은 모두 다각형의 단면을 취하여 회전되지 않고 직선이동만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렌즈 프레임은 상기 조절 링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절링과 일체로 회전됨과 더불어 광축방향으로 직선 이동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절 링은, 상기 하우징에 환형 요홈과 탄성 걸림편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탈은 되지 않고 회전 운동만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조절 링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절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절 링의 외주에는 기어치들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조절 링의 기어치들에 치합되는 기어치들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조절 부재를 회전시키면 상기 기어치와 기어치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절 링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중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안내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내홈에 의해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량을 일정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 줌 기능 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는 조립 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정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프레임(120),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단부면에 구비되는 촬상소자(130),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렌즈 프레임(120)이 광축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렌즈 프레임(120)을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광축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조절 링(1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디지털 카메라(100)가 설치될 통신 단말기에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크류(101)로써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렌즈 프레임(120)은, 그의 내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렌즈(120a, 도 3 참조)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 프레임(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나선(Helices)결합되어 있어, 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전진 및 후퇴)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주면과 상기 렌즈 프레임(120)의 외주면에는 일정길이의 나선부(111)(1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렌즈 프레임(120)의 외주면 일부분과 상기 조절 링(140)의 내주면은 모두 다각형의 단면을 취하여 광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서로 6각형의 단면을 취하여 결합되어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 프레임(120)과 조절 링(140)은 상대적인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직선이동만이 가능하다. 즉, 상기 렌즈 프레임(120)이 상기 조절 링(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 링(140)을 회전시키면, 렌즈 프레임(120)은 상기 조절링(140)과 일체로 회전됨과 더불어 광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상기 촬상 소자(130)는, 흔히 'CCD(Charge Coupled Device)'라고 하는 것으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센서이다. 이러한 촬상 소자(130)는 광학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것으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부분'과, 변환된 전하를 저장했다가 전송하는 '전송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의 세기는 먼저 CCD에 기록됨과 동시에, 촬영된 영상의 빛은 CCD에 붙어 있는 RGB색필터에 의해 각기 다른 색으로 분리된다.
상기 조절 링(1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에 축방향으로 이동은 되지 못하고 회전 운동만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렌즈 프레임(12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절 링(140)은 상기 하우징(110)에 환형 요홈(112)과 탄성 걸림편(141)으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형 요홈(112)은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걸림편(141)은 상기 조절 링(14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상기 탄성 걸림편(141)은 상기 환형 요홈(112)에 탄성적으로 걸려짐으로써, 상기 조절 링(140)으로 하여금 원주방향으로는 미끄럼운동 가능하나 광축방향으로는 이탈(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걸림편(141)은 원주 둘레로 등각을 이루어 3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2개 이상이면 그의 개수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동 주밍(Zooming) 즉, 수동 광각촬영이나 망원촬영은 상기 조절 링(140)을 손으로 회전시켜 상기 렌즈 프레임(120)을 진퇴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상기 조절 링(14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조절 부재(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1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0)를 통신 단말기 내부에 장입시키는 경우, 통신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 링(140)의 외주에 기어치(142, Gear Teeth)들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 부재(150)의 외주에는 상기 조절 링(140)의 기어치(142)들에 치합되는 기어치(151)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 부재(150)가 회전되면 상기 기어치(142)와 기어치(15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절 링(140)이 회전된다.
첨부도면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가 구비된 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휴대폰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라고 하는 단말기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통신 단말기(10)는 입력키들이 구비되는 본체(12)와, 이 본체(12)에 회동힌지되며 외부에 서브 엘씨디 화면(22)이 구비되는 커버(20)를 가지는 형태의 통신 단말기이다.
이와 같은 통신 단말기(10)에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상기 커버(20)에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20)의 외측에는 외부를 투시하기 위한 투명창(24)이 구비된다.
상기 조절부재(150)는 상기 커버(20)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절부재(150)에는 회전시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요철부(1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5에는 도 4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커버(20)의 하부 케이스(20a)로부터는 수용 리브(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 리브(26)에는 상기 카메라(100)의 하우징(110)이 수용되어 전술한 스크류(101)로써 고정된다.
상기 단말기의 상부 케이스(20b)에는 카메라(100)의 렌즈를 보호하면서 외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술한 투명창(2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재(150)에는 중심축(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심축(152)은 상기 하부 케이스(20a) 및 상부 케이스(20b)의 보스(28)(30)에 형성된 구멍(28a)(30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150)의 회전량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 부재(150)나 상기 단말기의 커버(20)중 하나에는 돌기(153)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조절부재(150) 회전시 상기 돌기(153)의 회전량을 제한하기 위한 안내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돌기(153)는 상기 조절 부재(150)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32)은 상기 하부 케이스(20a)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00)에 부여된 디지털 줌 기능에 더하여 수동으로 주밍을 하고자 하는 경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예는, 광각 촬영의 경우를 나타낸다.
광각 촬영시에는 조절부재(150)를 일측으로(도 5의 상부에 도시된 도면에서 시계방향) 끝까지 회전시키면, 조절부재(150)의 기어치(151)가 상기 조절 링(140)의 기어치(142)를 회전시켜 조절 링(140)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조절부재(150)는 그의 돌기(153)가 케이스(20a)의 안내홈(3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내홈(32)을 따라 이동하다가 안내홈(32)의 일측 단부에 막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 링(14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조절 링(140)은 상기 하우징(110)에 탄성 걸림편(141)과 환형 요홈(112)으로써 결합되어 있어 광축방향으로는 이동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회전만 가능하다. 상기 조절 링(140)이 회전되면 조절 링(140)에 다각형 결합되어 있는 렌즈 프레임(120)이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렌즈 프레임(120)은, 또한 상기 하우징(110)에 나선결합되어 있으므 로, 렌즈 프레임(120)은 하우징(110)의 나선부(111)를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10)과의 다각형 결합에 의해 하우징(110)의 바닥을 향해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렌즈(120a)와 촬상소자(1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므로 광각촬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가 가지는 고유의 디지털 줌 기능에 부가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간단히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절 부재(150)를 돌리는 동작만으로 줌 기능이 구현됨으로써 조작이 매우 용이하다.
도 6에는 망원 촬영시에 있어서의 조절 부재(150) 및 렌즈 프레임(120)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120)을 촬상소자(130)에 근접시키면 광각촬영 모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렌즈 프레임(120)을 촬상소자(130)로부터 서서히 이격시키면 망원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망원촬영을 위하여는 전술한 광각촬영 상태에서 조절 부재(150)를 반대 방향(도 6의 상측에 도시된 도면상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재(150)에 의해 조절 링(140)이 회전한다.
상기 조절 링(140)의 회전에 의해, 렌즈 프레임(120)은 전술한 광각 촬영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 프레임(120)에 구비되는 렌즈(120a)는 촬상소자(130)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이로써 망원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조절 부재(150)를 더 회전시키면 조절 부재(150) 의 돌기(153)가 케이스(20a)의 안내홈(32)의 타측 단부에 막혀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는 위치에 이른다. 이 위치가 망원촬영을 위해 허용된 최대한의 범위가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가 가지는 고유의 디지털 줌 기능에 부가하여, 카메라에 기구적인 줌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간단히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절 부재를 돌리는 등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줌 기능이 구현됨으로써 카메라의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20) 내부에 고정되는 일측 개구된 중공형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단부면에 구비되는 촬상소자(130);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프레임(120); 및
    상기 렌즈 프레임(120)을 광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조절 링(140)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 링(140)은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부에 축방향 이동은 불가하나 회전은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렌즈 프레임(120)의 일측 부분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나선결합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렌즈 프레임(120)의 다른 일측 부분은 상기 조절 링(140)의 내측으로 상대적인 회전은 불가하나 축방향 이동은 자유로운 상태로 관통결합되어,
    상기 조절 링(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렌즈 프레임(120)이 일체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프레임(120)과 상기 하우징(110)과의 나선결합에 의해 상기 렌즈 프레임(120)이 상기 조절 링(140)의 내측에서 광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며,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20)에는, 일측이 상기 조절 링(140)과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절 링(140)을 회전시키는 조절 부재(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렌즈 프레임(120)에 대하여 상기 조절 링(140)이 상대적인 회전은 불가하나 축방향 이동은 자유로운 상태로 관통결합되는 구성은, 상기 렌즈 프레임(120)의 외주면과 상기 조절 링(140)의 내주면이 서로 일치하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져 광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부에 상기 조절 링(140)이 축방향 이동은 불가하나 회전은 자유롭게 결합되는 구성은,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 요홈(112)과, 상기 조절 링(14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환형 요홈(112)에 원주 방향으로는 미끄럼 운동 가능하고 축방향으로는 이탈불가하게 탄성적으로 걸리는 탄성 걸림편(14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150)와 상기 조절 링(140)의 연결은, 상기 조절 링(140)의 외주에 기어치(142)들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 부재(150)의 외주에 상기 조절 링(140)의 기어치(142)들에 치합되는 기어치(151)들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150)와 상기 단말기 케이스(20) 중 어느 한쪽에는 돌기(153)가 형성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상기 조절 부재(150) 회전시 상기 돌기(153)의 회전량을 제한하기 위한 안내홈(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 케이스(20)는, 입력키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회동힌지되는 커버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의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KR1020030082995A 2003-11-21 2003-11-21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KR100595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995A KR100595879B1 (ko) 2003-11-21 2003-11-21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995A KR100595879B1 (ko) 2003-11-21 2003-11-21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119A KR20050049119A (ko) 2005-05-25
KR100595879B1 true KR100595879B1 (ko) 2006-06-30

Family

ID=3724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995A KR100595879B1 (ko) 2003-11-21 2003-11-21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292B1 (ko) 2013-12-24 2020-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497A (ja) * 1986-10-29 1988-05-16 株式会社東芝 放射性気体廃棄物処理装置
JPH09297257A (ja) * 1996-05-08 1997-11-18 Fuji Photo Film Co Ltd ズームレンズ
KR20010028988A (ko)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30091176A (ko) * 2002-05-24 2003-12-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장치
KR20050020515A (ko) * 2003-08-23 200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497A (ja) * 1986-10-29 1988-05-16 株式会社東芝 放射性気体廃棄物処理装置
JPH09297257A (ja) * 1996-05-08 1997-11-18 Fuji Photo Film Co Ltd ズームレンズ
KR20010028988A (ko)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30091176A (ko) * 2002-05-24 2003-12-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 장치
KR20050020515A (ko) * 2003-08-23 200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119A (ko)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9696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7352516B2 (en) Lens apparatus and camera
US7595937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pickup apparatus
US20120188659A1 (en) Lens apparatus and image-pickup apparatus
JP2006276240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JP2009063675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8493667B2 (en) Lens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EP2101206B1 (en) Lens barrel
KR100595879B1 (ko) 수동 줌 기능이 부가된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는 통신 단말기
KR101469981B1 (ko) 카메라모듈의 줌 조절장치
JP2006276242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KR100542074B1 (ko)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JP3863629B2 (ja) ズーム機能付カメラ
EP2203773B1 (en) Lens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KR1005483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자동 개폐 장치
JP6771898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100526652B1 (ko)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JP2010066412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04246116A (ja) 撮影装置
CN2715436Y (zh) 具数码相机镜头模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0611253B1 (ko) 광학줌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JP6271996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影装置
JP2004077733A (ja) ズームレンズ鏡筒
KR100592888B1 (ko) 줌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20071315A (ja) レンズ鏡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