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074B1 -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074B1
KR100542074B1 KR1020030041133A KR20030041133A KR100542074B1 KR 100542074 B1 KR100542074 B1 KR 100542074B1 KR 1020030041133 A KR1020030041133 A KR 1020030041133A KR 20030041133 A KR20030041133 A KR 20030041133A KR 100542074 B1 KR100542074 B1 KR 100542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barrel
portable terminal
camera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663A (ko
Inventor
류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소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소닉
Priority to KR102003004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0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소형의 휴대단말기에 줌기능을 갖는 렌즈를 설치한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가 개시된다.
이 카메라 장치는, 원거리 촬영 위치로부터 광각 촬영 위치 및 접사 촬영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제 1렌즈군 및 제 2렌즈군과, 위치가 고정된 제 3렌즈군과, 제 1렌즈군 및 제 2렌즈군을 광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경통과, 제 1렌즈군 및 제 2렌즈군을 원거리 촬영 위치로부터 광각 촬영 위치 및 접사 촬영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경통과,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휴대단말기의 신호처리기에 전달하는 이미지센서와, 제 1경통 및 이미지센서가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는다.
이러한 카메라장치는, 제 1경통의 크기를 힌지통체의 크기에 일치시키고, 사이즈가 크고 화질이 양호한 제 1렌즈군과 제 2렌즈군 및 제 3렌즈군과 이미지센서를 사용하고, 줌 기능을 위하여 제 1경통 및 제 2경통을 사용하여 카메라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원거리의 피사체 또는 근거리의 피시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 카메라, 줌

Description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CAMERA DEVICE FOR SMALL COMMUNICATION MACHINE}
도 1은 종래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카메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카메라장치가 휴대단말기에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카메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3의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카메라장치가 휴대단말기에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서 제 2경통을 전개 도시하여 제 1렌즈군 및 제 2렌즈군이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 1렌즈군 112: 제 1핀
120: 제 2렌즈군 122: 제 2핀
130: 제 3렌즈군 210: 제 1경통
212: 슬라이드홈 310: 제 2경통
312: 제 1경사홈 314: 제 2경사홈
316: 요철부 318: 기어치
410: 장착부 412: 개방부
510: 이미지센서 610: 모터
620: 감속기어군 630: 하우징
1000: 본체 1100: 커버
1200: 힌지통체
본 발명은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등 소형의 휴대단말기에 줌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거리의 피사체와 근거리의 피사체를 높은 화질로 촬영 가능하게 한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 휴대단말기에 카메라장치를 설치하여 화상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장치로서, 도 1에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한 예를 도시한다.
이 카메라장치는, 렌즈조립체(10)와 이미지센서(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미지센서(30)에는 띠형태의 플렉시블 피씨비(40)가 연결되어 있다.
이미지센서(30)는 렌즈조립체(10)를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 환하여 플렉시블 피씨비(40)를 통하여 카메라장치가 설치되는 휴대단말기의 신호처리기에 전달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카메라장치는 렌즈조립체(10)가 이미지센서(30)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장치는 렌즈조립체(10)의 제작시 설정된 특정 거리의 물체를 촬영할 때에는 초점이 맞으나, 다른 거리의 물체를 촬영할 때에는 초점이 맞지 않아 촬영된 영상의 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렌즈 고정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이 맞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일반적인 필름형의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서와 같이 촬영 배율을 사용자가 임의로 바꾸는 줌 기능이 카메라로서는 필수적인 기능이나, 현재 휴대폰의 경우에 있어서는 렌즈로서 줌을 실시하는 광학 줌 방식이 아니라, 촬영된 영상의 신호 처리를 통한 디지털 줌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줌은 촬영된 영상의 화질을 저하시키며 실시되는 방식이므로, 어떠한 배율에서도 최고의 화질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배율에서 화질이 저하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광학 줌 방식을 이용하여야 하면, 이를 위해서는 복수 개의 렌즈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 복수개의 렌즈 간 거리는 줌 배율에 따라 연동되어 변화된다.
상기의 이유로 인하여 소형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에서도 줌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기존 카메라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렌즈군의 사용과 이들 복구 개의 렌즈군의 연동 운동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복수 렌즈의 연동 운동을 위해서 일반 카메라 나 디지털 카메라는 렌즈가 결합된 경통을 복잡한 기어들로서 구동시키는 방식의 카메라장치를 채택하고 있어 그 부피가 크고, 카메라의 광축 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장치를 공간적 제약이 있는 소형의 휴대단말기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등의 소형의 휴대단말기에 줌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기존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의 맹점이었던 단촛점렌즈의 사용으로 인한 피사체의 거리에 따른 화질 저하 문제와 카메라로써 기능을 완성하기 위한 줌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율의 변경이 가능하고, 근거리와 원거리 및 접사 촬영위치에서 화질의 저하 없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제 1렌즈군 및 제 2렌즈군과, 상기 제 1렌즈군 및 상기 제 2렌즈군과 광축이 정열되어 위치가 고정된 제 3렌즈군; 상기 제 1렌즈군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2이상의 제 1핀 및 상기 제 2렌즈군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2이상의 제 2핀이 광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2이상의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제 1경통; 상기 제 1경통과 동축상에 그리고 상기 제 1경통에 대해 회전만 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렌즈군을 최저 배율에서 최고 배율 촬영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 1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렌즈군을 상기 제 1렌즈군의 이동과 연동하여 최저 배율에서 최고 배율 촬영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 2경사홈이 형성된 제 2경통; 상기 제 3렌즈군과 결합되고, 상기 제 1렌즈군과 상기 제 2렌즈군 및 상기 제 3렌즈군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휴대단말기의 신호처리기에 전달하는 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 1경통 및 상기 이미지센서가 결합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카메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카메라장치가 휴대단말기에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구조로서, 제 2경통을 전개 도시하여 제 1렌즈군 및 제 2렌즈군이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는, 피사체의 촬영 배율을 조정 가능하며, 원거리와 근거리 및 접사 위치에서 화질의 저하 없이 촬영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렌즈군(110) 및 제 2렌즈군(120)과, 제 1렌즈군(110) 및 제 2렌즈군(120)과 광축이 정열되어 위치가 고정된 제 3렌즈군(130); 제 1렌즈군(110)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2이상의 제 1핀(112) 및 제 2렌즈군(120)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2이상의 제 2핀(122)이 광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2이상의 슬라이드홈(212)이 형성된 제 1경통(210); 제 1경통(210)과 동축상에 그리고 제 1경통(210)에 대해 회전만 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제 1핀(11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렌즈군(11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 1경사홈(312)이 형성되고, 제 2핀(12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렌즈군(120)을 상기 제 1렌즈군(110)의 이동과 연동되어 배율을 결정하며, 원거리와 근거리 및 접사 위치에서 촬영 영상의 초점이 맞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 2경사홈(314)이 형성된 제 2경통(310); 제 3렌즈군(130)과 결합되고, 제 1렌즈군(110)과 제 2렌즈군(120) 및 제 3렌즈군(130)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휴대단말기의 신호처리기에 전달하는 이미지센서(510); 및 제 1경통(210) 및 이미지센서(510)가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장착부(410)로 이루어진다.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1렌즈군(110) 및 제 2렌즈군(120)에는 제 1핀(112) 및 제 2핀(122)이 180° 간격의 대칭되는 위치에 각 한쌍이 형성되고, 제 2경통(310)에는 1핀(112) 및 제 2핀(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 한쌍의 제 1경사홈(312)과 제 2경사홈(3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핀(112) 및 제 2핀(122)이 한쌍이 구비됨으로써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경통(310)의 외주면에는 제 2경통(310)을 손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환형의 요철부(316)가 형성되고, 장착부(410)에는 요철부(316)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부(412)가 형성되며, 제 1경통(210)에는 요철부(316)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부(214)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410)는 휴대단말기의 커버(1100)를 본체(1000)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통체(12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형태로 휴대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부(410)와 제 1경통(210) 및 힌지통체(1200)의 외경 사이즈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커버(1100)를 본체(1000)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통체(1200)의 일부를 활용하여 제 1경통(210)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통체(1200)와 제 1경통(210)이 일체이며, 제 1경통(210)의 위치를 힌지통체(1200)의 단부측이나 힌지통체(1200)의 중심영역에 둘 수 있다. 제 1경통(210)이 힌지통체(1200)의 중심영역에 올 경우, 제 1렌즈군(110)이 힌지통체(1200)에 내장되는 형태이므로, 카메라장치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 즉 휴대폰을 마주보는 방향으로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렌즈군(110)의 전방에 제 1렌즈군(110)으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경로를 0~180°(특히 90°)의 각도로 변환시키기 위한 반사미러(미도시) 또는 직각 프리즘을 설치한다.
그리고 이미지센서(510)는 플렉시블 피씨비를 통하여 소형 휴대단말기의 신호처리기에 접속시킨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키패드에는 이미지센서(510)를 구동시키는 온/오프 버튼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장치는, 요철부(316)를 손가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 2경통(310)을 회전시켜 자유롭게 배율을 조정한다. 그리고 제 1경통(210)의 크기를 힌지통체(1200)의 크기에 일치시키게 되면, 종래에 힌지통체(1200)내에 카메라 모듈을 내장시킨 것과 달리, 사이즈가 크고 화질이 양호한 제 1렌즈군(110)과 제 2렌즈군(120) 및 제 3렌즈군(130)과 이미지센서(51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줌 기능을 위하여 제 1경통(210)과 제 2경통(31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장치를 적용한 소형 휴대단말기는 배율의 조정이 자유로우며 고화질의 영상을 활영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카메라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카메라장치가 최소 배율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상태에서는, 제 2경통(310)의 제 1경사홈(312)은 제 1렌즈군(110)의 제 1핀(112)을 제 1렌즈군(110)의 최소 배율 위치에 고정하고, 제 2경사홈(314)은 제 2렌즈군(120)의 제 2핀(122)을 제 2렌즈군(120)의 최소 배율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제 1경통(210)의 슬라이드홈(212)은 제 1핀(112) 및 제 2핀(122)의 회전을 억제하여 제 1렌즈군(110) 및 제 2렌즈군(120)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 상태는 제 1렌즈군(110)과 제 2렌즈군(120) 및 제 3렌즈군(130)의 배열이 최소 배율 촬영에 적합하게 된다.
제 1렌즈군(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영상은 제 1렌즈군(110)과 제 2렌즈군(120) 및 제 3렌즈군(130)을 통하여 이미지센서(510)에서 전기적인 시그날로 변환되어 플렉시블 피씨비를 통하여 본체(1000)내의 신호처리기로 전송된다.
한편, 사용자가 배율을 높여 피사체의 촬영을 원할 경우, 사용자는 제 2경통(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부(316)를 손가락으로 회전시켜 제 2경통(310)을 회전시킨다.
제 2경통(310)이 도 11의 화살표로 도시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경통(310)에 형성된 제 1경사홈(312) 및 제 2경사홈(314)이 제 1핀(112) 및 제 2핀(122)을 광축방향인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 1핀(112) 및 제 2핀(122)은 제 1경통(210)의 슬라이드홈(212)에도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핀(112) 및 제 2핀(122)의 회전이 억제되어 제 1렌즈군(110) 및 제 2렌즈군(120)이 광축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 1핀(112)은 슬라이드홈(212)과 제 1경사홈(312)을 따라 최소 배율 위치에서 특정 배율의 위치로 이동하고, 제 2핀(122)은 슬라이드홈(212)과 제 2경사홈(314)을 따라 제 1핀(112)의 이동과 연동되어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 1렌즈군(110)과 제 2렌즈군(120)이 경사홈(312,314)의 형상에 의하여 지정되는 연동 관계로 이동하게 되면, 촬영 배율은 최소 배율에서 증가하게 되어, 제 1렌즈군(110)을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이 확대되어 이미지센서(510)에 맺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카메라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카메라장치가 휴대단말기에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 2실시예의 카메라장치는, 제 1실시예의 카메라장치에서 제 2경통(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부는, 휴대단말기의 신호처리기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모터(610); 모터(6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며, 제 2경통(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기어치(318)에 치합되어 모터(610)의 회전력을 기어치(318)에 전달하는 감속기어군(620); 및 모터(610) 및 감속기어군(620)을 외부에서 커버링하고, 장착부(410) 및 제 1경통(210)에 결합되는 하우징(630)으로 이루어진다.
모터(610)는 휴대단말기의 본체(1000)에 내장된 신호처리기에 접속하고, 본체(1000)의 키패드에는 모터(610)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한다.
이러한 카메라장치를 휴대단말기에 장착할 때에는, 장착부(410)를 휴대단말 기의 커버(1100)를 본체(1000)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통체(1200)의 일단에 결합시키고, 하우징(630)을 본체(1000)에 내장하여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장치는, 제 1경통(210)의 크기를 힌지통체(1200)의 크기에 일치시키므로, 사이즈가 크고 화질이 양호한 제 1렌즈군(110)과 제 2렌즈군(120) 및 제 3렌즈군(130)과 이미지센서(51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줌 기능을 위하여 제 1경통(210)과 제 2경통(31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피가 큰 하우징(630) 부분이 본체(1000)의 내부로 감추어지므로, 감속기어군(620) 및 모터(610)를 이용한 구동방식의 카메라장치를 소형 휴대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장치를 적용한 소형 휴대단말기는 배율의 조정이 자유로우며 고화질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경통(210)을 휴대단말기의 커버(1100)를 본체(1000)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통체(1200)의 일부를 활용할 경우에도, 하우징(630)을 본체(1000)에 내장 결합하고 힌지통체(12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로 대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장치는 사용자가 원거리 촬영을 원할 경우, 사용자는 키패드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모터(610)를 일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모터(610)가 회전하면 감속기어군(620)을 통해 제 2경통(310)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치(318)를 회전시킨다. 감속기어군(620)은 모터(6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기어치(318)에 전달함으로써 제 2경통(310)의 회전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경통(310)의 회전에 의해 줌 촬영이 가능해지는 과정은 제 1실시예와 같다.
원하는 줌 촬영상태가 되면 버튼에서 손을 떼서 모터(610)의 회전을 멈춘다. 모터(610)가 정지하면, 감속기어군(620) 및 제 2경통(310)의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줌 촬영모드에서 일반촬영 모드로 전환할 경우에는 상기와 다른 버튼을 눌러 모터(6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감속기어군(620)과 제 2경통(31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배율 촬영위치로부터 고배율 그리고 접사 촬영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제 1렌즈군(110) 및 제 2렌즈군(120)과, 위치가 고정된 제 3렌즈군(130)과, 제 1렌즈군(110) 제 2렌즈군(120)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경통(210)과, 제 1렌즈군(110) 및 제 2렌즈군(120)을 저배율 촬영위치와 고배율 그리고 접사 촬영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경통(310)과,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휴대단말기의 신호처리기에 전달하는 이미지센서(510)와, 제 1경통(210) 및 이미지센서(510)가 결합되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장착부(410)를 갖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로서, 제 1경통(210)의 크기를 힌지통체(1200)의 크기에 일치시키고, 사이즈가 크고 화질이 양호한 제 1렌즈군(110)과 제 2렌즈군(120) 및 제 3렌즈군(130)과 이미지센서(510)를 사용하고, 줌 기능을 위하여 제 1경통(210) 및 제 2경통(310)을 사용하여 카메라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배율을 변경시키며 근거리, 원거리 그리고 접사 위치의 피 사체를 선명하게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배율의 변경이 가능하고, 근거리와 원거리 및 접사 촬영위치에서 화질의 저하 없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제 1렌즈군(110) 및 제 2렌즈군(120)과, 상기 제 1렌즈군(110) 및 상기 제 2렌즈군(120)과 광축이 정열되어 위치가 고정된 제 3렌즈군(130);
    상기 제 1렌즈군(110)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2이상의 제 1핀(112) 및 상기 제 2렌즈군(120)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2이상의 제 2핀(122)이 광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2이상의 슬라이드홈(212)이 형성된 제 1경통(210);
    상기 제 1경통(210)과 동축상에 그리고 상기 제 1경통(210)에 대해 회전만 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핀(11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렌즈군(110)을 최저 배율에서 최고 배율 촬영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 1경사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핀(12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렌즈군(120)을 상기 제 1렌즈군(110)의 이동과 연동하여 최저 배율에서 최고 배율 촬영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 2경사홈(314)이 형성된 제 2경통(310);
    상기 제 3렌즈군(130)과 결합되고, 상기 제 1렌즈군(110)과 상기 제 2렌즈군(120) 및 상기 제 3렌즈군(130)을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휴대단말기의 신호처리기에 전달하는 이미지센서(510); 및
    상기 제 1경통(210) 및 상기 이미지센서(510)가 결합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장착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 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경통(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2경통(310)을 손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환형의 요철부(316)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410)에는 상기 요철부(316)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부(41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경통(210)에는 상기 요철부(316)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부(2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4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커버(1100)를 본체(1000)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통체(1200)의 일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경통(210)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커버(1100)를 본체(1000)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통체(1200)의 일부를 활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영상의 촬영을 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에서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렌즈군(110)의 전방에는 상기 제 1렌즈군(110)으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광경로를 0~180°의 각도로 변환시키기 위한 반사미러 또는 프리즘 중 하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에는,
    상기 제 2경통(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신호처리기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모터(610);
    상기 모터(6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며, 상기 제 2경통(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기어치(318)에 치합되어 상기 모터(610)의 회전력을 상기 기어치(318)에 전달하는 감속기어군(620); 및
    상기 모터(610) 및 상기 감속기어군(620)을 외부에서 커버링하고, 상기 장착부(410) 및 상기 제 1경통(210)에 결합되는 하우징(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4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커버(1100)를 본체(1000)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통체(1200)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630)은 상기 본체(1000)에 내장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경통(210)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커버(1100)를 본체(1000)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한 힌지통체(1200)의 일부를 활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630)은 상기 본체(1000)에 내장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KR1020030041133A 2003-06-24 2003-06-24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KR100542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133A KR100542074B1 (ko) 2003-06-24 2003-06-24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133A KR100542074B1 (ko) 2003-06-24 2003-06-24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663A KR20050000663A (ko) 2005-01-06
KR100542074B1 true KR100542074B1 (ko) 2006-01-11

Family

ID=3721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133A KR100542074B1 (ko) 2003-06-24 2003-06-24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76B1 (ko) * 2006-03-20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장치 및 통신기기
TWI315807B (en) 2006-12-15 2009-10-11 Ind Tech Res Inst Lens module
WO2008140611A2 (en) * 2006-12-18 2008-11-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wire array-based light emitting diodes and lasers
CN112333351B (zh) * 2019-08-05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663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5024B2 (en) Webcam with moveable zoom lens
KR100900486B1 (ko) 촬상 장치용 광학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3778490B2 (ja)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US20060045515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KR20070043643A (ko) 렌즈 배럴
EP1734744A2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s
KR20080063099A (ko) 줌렌즈 배럴 어셈블리
KR20070043636A (ko) 렌즈 배럴
JP2004247887A (ja) カメラユニット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CN2748937Y (zh) 一种可光学变焦和旋转拍摄的便携信息终端及拍摄装置
CN104698568A (zh) 镜头装置和摄像设备
KR100542074B1 (ko)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JP2008046200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KR100526652B1 (ko) 소형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장치
CN112887563B (zh) 镜头装置和电子设备
JP200731016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7272105A (ja) ズームレンズ鏡筒ユニット、撮像装置、カメラ、携帯情報端末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100519632B1 (ko) 통신기기용 카메라장치
JP2006276242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JP2002277723A (ja) 携帯情報端末機
JP200724100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4007121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1109590B1 (ko) 경통 모듈
JP2004246116A (ja) 撮影装置
JP200725678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とそ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