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745B1 - 시계의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시계의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745B1
KR100595745B1 KR1020000014495A KR20000014495A KR100595745B1 KR 100595745 B1 KR100595745 B1 KR 100595745B1 KR 1020000014495 A KR1020000014495 A KR 1020000014495A KR 20000014495 A KR20000014495 A KR 20000014495A KR 100595745 B1 KR100595745 B1 KR 10059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switch
elastic arm
cam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512A (ko
Inventor
이토히로시
가베히로시
후쿠오카시게루
Original Assignee
리즈무 도께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즈무 도께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즈무 도께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0001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7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3Alarm signal stop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G04C21/1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아암의 변형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자명종 시계의 울림 멈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와 결합되고, 또한 탄성 아암(51)의 배치 방향상에 대략 위치되며, 스위치 본체(2)를 해방 위치에 정지시키는 걸림부(P1) 및 압입 위치에 정지시키는 걸림부(P3)와, 탄성 아암(51)의 양측에 위치되며 스위치 본체(2)를 압입 정지 위치에 정지시키는 걸림부(P2, P4)와, 결합부(52)를 걸림부(P1 내지 P4)의 순서대로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하며, 결합부(52)가 이동하는 활주면 중에서, 적어도 각 걸림부에 정지된 상태의 결합부가 위치하는 캠 표면(30a, 30d, 30i)은 동일면상에 있다.

Description

시계의 스위치 장치 {SWITCH FOR TIMEPIE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울림 멈춤 스위치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케이스로부터 스위치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스위치 본체가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케이스에 형성된 캠 부분 및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근방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캠 부분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캠 부분의 각 표면의 높이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아암의 결합부의 형상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성 아암의 결합부를 화살표 D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탄성 아암의 결합부를 화살표 G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울림 멈춤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울림 멈춤 스위치 장치의 도 9에 계속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울림 멈춤 스위치 장치의 도 10에 계속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종래의 울림 멈춤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울림 멈춤 스위치 장치의 캠 부분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캠 부분의 캠 표면의 높이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스위치 본체
30 : 캠 부분
51 : 탄성 아암
52 : 결합부
30a 내지 30k : 캠 표면(활주면)
31 : 안내 돌기부(안내 수단)
32 : 주벽부
32b : 내벽면(안내 수단)
33 : 캠용 볼록부
P1 내지 P4 : 걸림부
본 발명은, 예컨대 자명종 시계 등의 시계에 구비된 울림 멈춤 스위치 등의 스위치 상태를 조작하는 시계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명종 시계의 울림 멈춤 스위치로서는,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12에 있어서, 자명종 시계 본체(도시 생략)에 내장된 시계 무브먼트 케이스(1)는 스위치 본체(2)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즉, 스위치 본체(2)는 스위치 본체(2)의 4개소에 형성된 안내면부(24)가 케이스(1)의 4개소에 돌출된 안내 돌기(4)의 측부에 형성된 오목부(도시 생략)에 결합되어 화살표 B1B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스위치 본체(2)에는 화살표 B1B2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버 아암부(26)가 마련되고, 이 레버 아암부(26)는 스위치 본체(2)의 이동에 따라 시계 무브먼트 내에 설치되어 자명종 시계의 상태를 조작하는 기준 스위치와 결합되어, 그 기준 스위치의 접속 상태를 조작한다.
또한, 스위치 본체(2)의 하단부에는 스프링 받침부(17)가 설치되고, 케이스(1)에는 스프링 받침부(17)에 대향하는 위치에 수납 프레임(11)이 설치되며, 스프링 받침부(17)와 수납 프레임(11)의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7)이 배치된다. 압축 스프링(7)의 기부(8)는 수납 프레임(11)의 측벽의 중도부에 형성된 계단식 벽부(13)에 결합되고, 압축 스프링(7)의 선단부가 스위치 본체(2)의 스프링 받침부(17)에 결합되어, 스위치 본체(2)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서 화살표 B1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또한, 스위치 본체(2)에는 화살표 B1B2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부분(21)이 형성되며, 케이스(1)에는 스토퍼용 돌기부(20)가 형성되어, 스위치 본체(2)의 왕복 이동시에, 스토퍼 부품(21)의 선단이 스토퍼용 돌기부(20)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 본체(2)의 이동이 규제된다.
케이스(1)의 소정의 위치에는 하트 형태의 캠(3)이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 본체(2)에는 하트 형태의 캠(3)에 결합되어 종동되는 결합부(6a)가 선단부에 마련된 탄성 아암(6)이 일체로 마련된다.
상기 하트 형태의 캠(3)은 스위치 본체(2)가 케이스(1)에 대하여 화살표 B1, B2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탄성 아암(6)의 결합부(6a)와 결합되어, 탄성 아암(6)을 탄성 변형시키며, 이에 따라 탄성 아암(6)의 결합부(6a)는 스위치 본체(2)의 조작 상태에 따른 위치에 결합된다.
여기서, 전술한 하트 형태 캠(3)의 구체적 구조를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형태의 캠(3)은 주위에 하트 형태로 형성된 주벽부(5)로 둘러싸인 영역에 안내 볼록부(9)가 마련되고, 이 안내 볼록부(9)와 주벽부(5) 사이에는 탄성 아암(6)의 결합부(6a)가 활주하는 캠 표면(3a 내지 3h)이 형성된다.
도 14는 전술한 캠 표면(3a 내지 3h)의 고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표면 3a는 수평면이며, 캠 표면 3b는 캠 표면 3a에 연속되는 경사면이고, 캠 표면 3c는 캠 표면 3b의 상부에 연속되는 수평면이다.
캠 표면 3d는 캠 표면 3c와 단차가 있는 수평면이며, 캠 표면 3e는 캠 표면 3d와 단차가 있는 수평면이며, 캠 표면 3f는 캠 표면 3e와 단차가 있는 수평면이 며, 캠 표면 3g는 캠 표면 3f와 연속되는 경사면이고, 캠 표면 3h는 캠 표면 3g의 상부와 연속되는 수평면이다. 또한, 캠 표면 3a와 캠 표면 3f는 동일한 높이의 수평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하트 형태의 캠(3)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2)의 탄성 아암(6)의 결합부(6a)는 하트 형태의 캠(3)의 주벽부(5)의 내주 측면과 안내 볼록부(9)의 외주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캠 표면(3a 내지 3h)을 활주 가능하게 이동하면서 스위치 본체(2)의 이동에 따라 하트 형태의 캠(3) 내를 이동한다.
예컨대, 스위치 본체(2)가 온 상태인 경우, 즉 스위치 본체(2)가 자명종 시계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태의 경우, 탄성 아암(6)의 결합부(6a)는 하트 형태의 캠(3)의 주벽부(5)의 내주 측면의 걸림 위치 K1에 위치되어, 탄성 아암(6)은 휘어진 상태가 아니다.
이 상태로부터, 스위치 본체(2)를 도 12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압박하여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고자 하는 경우, 결합부(6a)는 안내 볼록부(9)의 측면의 안내면(9a)을 따라 안내되어 경사면인 캠 표면(3b)을 오르고, 캠 표면(3c)을 통하여 캠 표면(3d)으로 떨어져서, 주벽부(5)의 내주 측면의 걸림 위치(K2)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전술한 레버 아암부(26)는 스위치를 오프시킨다.
탄성 아암(6)의 결합부(6a)가 걸림 위치 K1로부터 K2로 이동하는 경우, 결합부(6a)는 도면의 우측 방향에 위치되고, 또한 캠 표면 3a와 캠 표면 3d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탄성 아암(6)은 휘어진다. 이러한 휘어짐은 캠 표면(3a 내지 3h)을 따른 방향으로도, 그리고 캠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도 휘어진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 본체(2)에 작용하는 압박력을 제거하면, 스위치 본체(2)는 압축 스프링(7)의 압박력에 의해서 도 12의 화살표 B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결합부(6a)는 안내 볼록부(9) 측면의 안내면(9b)을 따라 안내되면서 캠 표면(3d) 상을 활주하여, 캠 표면(3e) 상으로 떨어져서, 안내 볼록부(9)의 측면의 걸림 위치(K3)에 결합된다.
탄성 아암(6)의 결합부(6a)가 걸림 위치 K3로 이동함에 따라, 결합부(6a)는 하트 형태의 캠(3)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므로, 휘어진 상태에 있던 탄성 아암(6)은 캠 표면(3a 내지 3h)을 따른 방향으로의 휘어짐이 대략 없어지지만, 캠 표면(3a 내지 3h)에 수직인 방향에서는, 캠 표면 3e3a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휘어진 상태로 있다.
다시,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경우에는 스위치 본체(2)에 재차 압박력이 가해진다. 스위치 본체(2)는 자명종 시계 본체에 대하여 눌리고, 탄성 아암(6)의 결합부(6a)는 주벽부(5)의 내주 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캠 표면(3f)으로 떨어져, 주벽부(5)의 내주 측면의 걸림 위치 K4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 아암(6)의 캠 표면(3a 내지 3h)을 따른 방향으로 결합부(6a)는 도면의 좌측에 위치하여, 전술한 것과는 반대의 휘어짐이 발생하며, 캠 표면(3a 내지 3h)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캠 표면 3f3a의 높이가 같기 때문에 휘어지지 않았다.
스위치 본체(2)에 대한 압박력을 제거하는 경우, 스위치 본체(2)는 압축 스프링(7)의 가압력에 의해서 도 12의 화살표 B1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 아암(6)의 결합부(6a)는 캠 표면 3f를 활주하고, 주벽부(5)의 내주 측면을 따라 안내되어 캠 표면(3g)을 오르고, 캠 표면(3h)을 통하여 다시 캠 표면(3a)으로 떨어져서 걸림 위치 K1에 다시 복귀되고, 스위치는 온으로 된다.
예컨대, 전술한 울림 멈춤 스위치를 구비한 자명종 시계를 출하(出荷)하는 경우, 상자 내에 포장된 상태에서는 스위치 본체(2)가 자명종 시계 본체에 대하여 눌린 상태로 될 가능성이 있다.
스위치 본체(2)가 자명종 시계 본체에 대하여 눌린 상태인 경우, 탄성 아암(6)의 결합부(6a)는 전술한 걸림 위치(K2, K3, K4) 중 어느 한 위치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탄성 아암(6)은 캠 표면(3a 내지 3h)을 따른 방향 혹은 캠 표면(3a 내지 3h)에 수직한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된다.
탄성 아암(6)이 휘어진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거나, 고온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탄성 아암(6)과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 본체(2)는, 예컨대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것의 탄성 아암(6)이 변형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예컨대, 탄성 아암(6)이 걸림 위치 K2로 변형되면, 결합부(6a)가 캠 표면 3d3e 사이의 단차로 떨어지기 어렵거나, 캠 표면 3e3f의 사이의 단차로 떨어지기 어렵거나, 결합부(6a)가 캠 표면을 역행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스위치 본체(2)의 조작이 적절히 행해지지 않는 일이 존재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탄성 아암(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본체(2) 의 형성 재료로 내열성이 높은 비싼 재료를 이용하거나, 탄성 아암(6)을 별도의 부재로 하고, 스프링을 인장 스프링으로 하는 등의 대책을 채용하였지만, 비용이 상승되고 자동 조립이 어려운 단점이 존재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예컨대 자명종 시계에 내장되는 울림 멈춤 스위치 등의 시계 스위치 장치로서,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 본체가 구비하는 탄성 아암의 변형에 기인한 스위치 조작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시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계의 하우징 내에서 소정 범위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소정의 해방 위치, 제1 압입 정지 위치, 압입 위치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의 순서로 이동되며, 압박 조작에 따라 상기 시계가 갖는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조작하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압박 조작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위치 본체를 가압하는 탄성 수단과,
상기 스위치 본체에 있는 가요성 탄성 아암의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로부터 압박이 해방되어 상기 탄성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하는 상기 스위치 본체를 상기 압입 위치에 정지시키는 캠 부분
을 구비하는 시계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 부분은
상기 해방 위치 및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된 상기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 아암의 배치 방향으로 대략 위치하는 해방 위치용 걸림부 및 압입 위치용 걸림부와,
상기 탄성 아암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에 있는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와,
압박력 또는 상기 탄성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되는 상기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결합부를 상기 해방 위치용 걸림부,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 압입 위치용 걸림부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의 순으로 이동시키는 안내 수단과,
상기 각 걸림부로 이동되는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활주하는 활주면
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이동하는 활주면 중에서 상기 각 걸림부에 정지된 상태의 결합부가 위치하는 활주면이 동일면상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계의 하우징 내에서 소정 범위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소정의 해방 위치, 제1 압입 정지 위치, 압입 위치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의 순으로 이동되며, 압박 조작에 따라 상기 시계가 갖는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조작하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압박 조작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위치 본체를 가압하는 탄성 수단과,
상기 스위치 본체에 있는 가요성 탄성 아암의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로부터 압박이 해방되어 상기 탄성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되 는 상기 스위치 본체를 상기 압입 위치에 정지시키는 캠 부분
을 구비하는 시계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 부분은
상기 해방 위치 및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된 상기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 아암의 배치 방향으로 대략 위치하는 해방 위치용 걸림부 및 압입 위치용 걸림부와,
상기 탄성 아암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에 있는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와,
압박력 또는 상기 탄성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하는 상기 스위치 본체의 상기 탄성 아암의 결합부를 상기 해방 위치용 걸림부,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 압입 위치용 걸림부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의 순으로 이동시키는 안내 수단과,
상기 각 걸림부로 이동되는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활주하는 활주면
을 구비하며,
상기 각 걸림부 중 적어도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에는 끼워 맞춤 볼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 아암의 결합부에는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에 정지된 상태로 그 탄성 아암의 상기 활주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휘어짐 양을 감소시키고 상기 끼워 맞춤 볼록부에 결합되는 끼워 맞춤 오목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방 위치에 있는 스위치 본체가 압박되면, 탄성 아암의 결합부는 캠 부분의 해방 위치용 걸림부로부터 안내되어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에서 정지된다. 이 때, 탄성 아암은 결합부의 활주면을 따른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 있지만,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에 마련된 활주면은 다른 걸림부에 마련된 활주면과 동일면상에 있기 때문에, 활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스위치 본체의 압박이 해방되고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압입 위치용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 및 다시 스위치 본체의 압박에 의해서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제2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에 결합된 상태일지라도 결합부의 활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아암의 결합부는 캠 부분에서 해방 위치용 걸림부로부터 안내되어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에서 정지된다. 이 때, 탄성 아암의 결합부의 끼워 맞춤 볼록부는 끼워 맞춤 오목부에 결합되어,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에 정지된 상태에 있는 탄성 아암의 휘어진 양은 감소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계 스위치 장치로서의 자명종 시계의 울림 멈춤 스위치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위치 본체가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치 본체가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에 형성된 캠 부분 및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근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 중 도 12에서 설명한 울림 멈춤 스위치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도 1에 있어서, 예컨대 자명종 시계 본체에 내장되는 시계 무브먼트의 케이스(1)는 하트 형태의 캠 부분(30)과, 4개소에 마련되어 스위치 본체(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 및 유지하는 안내 돌기(4)와, 스토퍼용 돌기(20)와, 압축 스프링(7)이 삽입 및 유지되는 수납 프레임(11)을 구비한다.
스위치 본체(2)는 전술한 각 안내 돌기(4)에 결합되는 안내면 부분(24)과, 스토퍼용 돌기(20)에 결합되는 스토퍼 돌기 부분(21)과, 스위치 본체(2)에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에 결합부(52)가 있는 탄성 아암(51)과, 레버 아암부(26)와, 하단부에 배치된 스프링 받침부(17)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2)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케이스(1)에 장착되고, 각 안내면 부분(24)이 대응하는 안내 돌기(4)에 결합되게 안내 및 유지된다.
스위치 본체(2)를 화살표 B1의 방향으로 억지 끼워맞추는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 본체(2)가 이동하여, 레버 아암부(26)는 시계 무브먼트 내에 마련되어 자명종 시계의 자명종 음의 출력 상태를 온·오프 조작하는 기준 스위치와 결합되어, 그 기준 스위치를 조작한다.
스프링 받침부(17)에는 전술한 압축 스프링(7)의 선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삽입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이 받침부에는 압축 스프링(7)이 삽입되어, 압축 스프링(7)으로부터의 작용력을 받는다.
스토퍼 돌기 부분(21)의 선단은 스토퍼용 돌기부(20)에 접촉하며, 이에 의하여 스위치 본체(2)가 케이스(1)에 대하여 스위치 본체(2)의 화살표 B1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탄성 아암(51)의 선단에 마련된 결합부(52)가 하트 형태의 캠 부분(30)과 결합되고, 스위치 본체(2)가 화살표 B1B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아암(51)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F1F2의 방향으로 휜다.
도 3은 도 2의 케이스(1)에 형성된 캠 부분(30) 및 스위치 본체(2)의 탄성 아암(51) 근방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2)가 화살표 B1B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아암(51)은 화살표 E1E2 방향으로 휜다.
도 4는 전술한 캠 부분(3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분(30)은 주위에 하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주벽부(32)를 구비하여, 주벽부(32)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내에는 안내 볼록부(3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주벽부(32)의 내주측에는 주벽부(32)에 인접한 캠용 볼록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안내 볼록부(31)와 주벽부(32) 및 캠용 돌기부(33) 사이에는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활주하는 캠 표면(30a 내지 30k)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전술한 캠 표면(30a 내지 30k) 및 캠용 볼록부(33)의 상부면 33a33f의 고저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표면 30a는 수평면이며, 캠 표면 30b는 바닥부 가 캠 표면 30a와 연속되는 경사면이고, 캠 표면 30c는 캠 표면 30b의 상부와 연속되는 수평면이다.
캠 표면 30d는 캠 표면 30c와 단차가 있는 수평면이다.
캠용 볼록부(33)의 상부면 33a는 캠 표면 30d와 단차가 있는 수평면이고, 캠용 볼록부(33)의 상부면 33f는 상부면 33a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수평면이다.
캠 표면 30g는 바닥부가 캠 표면 30d와 연속되는 경사면이며, 캠 표면 30h는 캠 표면 30g의 상부와 연속되는 수평면이고, 캠 표면 30i는 캠 표면 30h의 사이에 단차가 있는 수평면이다.
캠 표면 30j는 바닥부가 캠 표면 30i와 연속하는 경사면이며, 캠 표면 30k는 캠 표면 30j의 상부와 연속하고, 또한 캠 표면 30a와 단차가 있는 수평면이다.
또한, 캠 표면 30a, 30d, 30i는 동일면상에 위치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벽부(32)의 내벽면(32b)은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걸리는 걸림부 P1을 형성한다.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걸림부 P1에 걸림으로써, 스위치 본체(2)는 자명종 시계 본체에 대하여 해방된 위치에 위치된다.
캠용 볼록부(33)는 측면에 측벽면(33b, 33c, 33d, 33e, 33g, 33h)이 있고, 이 중 측벽면 33b, 33d33e는 탄성 아암(41)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끼워 맞춤 볼록부를 형성한다. 이 끼워 맞춤 볼록부는 캠 부분(30)의 대략 중앙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캠용 볼록부(33)의 측벽면(33c)과 주벽부(32)의 내벽면(32b)은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걸리는 걸림부 P2를 형성한다. 걸림부 P2가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에 결합됨으로써 스위치 본체(2)를 압박하는 경우, 걸림부는 스위치 본체(2)의 압박이 정지되고, 스위치 본체(2)는 제1 압입 정지 위치에 위치된다.
안내 볼록부(31)의 측벽면(31b)은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걸리는 걸림부 P3를 형성한다. 걸림부 P3가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에 결합됨으로써, 스위치 본체(2)는 자명종 본체에 대하여 눌린 상태의 압입 위치에 위치된다.
캠용 볼록부(33)의 측벽면 33g33h는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걸리는 걸림부 P4를 형성한다. 걸림부 P4가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에 결합됨으로써, 스위치 본체(2)를 압박하는 경우에 스위치 본체(2)의 눌림은 정지되고, 스위치 본체(2)는 제2 압입 정지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는 압입 위치보다 더욱 스위치 본체(2)가 눌린 위치에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는 다른 위치이든, 또는 동일한 위치이든 상관없으나 통상은 동일한 위치이다.
도 6은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의 형상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탄성 아암의 결합부를 화살표 D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탄성 아암의 결합부를 화살표 G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는 탄성 아암(51)의 길이 방향을 따른 평행면(52a, 52b)과, 평행면(52b)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52g)과, 평행면(52a, 52b)에 평행하고 캠용 볼록부(33)의 측벽면(33d)과 접촉 하는 접촉면(52c)과, 접촉면(52c)에 인접하여 접촉면(52c)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52d)과, 경사면(52d)에 인접하며 평행면(52a)과 평행한 면(52e)과, 경사면(52d)과 면(52e)에 인접한 경사면(52h)으로 구성된다.
접촉면(52c)과 경사면(52d)은 전술한 캠용 볼록부(33)의 측벽면 33b, 33d 및 33e로 구성되는 끼워 맞춤 볼록부와 결합되는 끼워 맞춤 오목부를 구성한다.
다음에, 울림 멈춤 스위치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스위치의 조작 상태가 온 상태, 즉 스위치 본체(2)가 해방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분(30)의 주벽부(32)의 내주측면(32b)의 걸림부(P1)에 결합되고, 탄성 아암(51)은 휘어지지 않은 상태로 있다.
이 상태로부터, 스위치 본체(2)를 압박하여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고자 하는 경우,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는 캠 부분(30)의 안내 볼록부(31)의 측면의 안내면(31c)을 따라 안내되어 경사면인 캠 표면(30b)을 오르고, 캠 표면(30c)을 통하여 캠 표면(30d)으로 떨어진다.
탄성 아암(51)은 결합부(52)가 캠 표면(30c)을 통과할 때까지는 캠 표면이 형성된 면을 따른 방향과 이에 수직인 방향 모두의 방향으로 휘어지지만, 결합부(52)가 캠 표면(30d)으로 떨어지면 캠 표면이 형성된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휘어짐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캠 표면(30d)으로 이동한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는 탄성 아암(51)의 복원력에 의해서 캠용 돌기부(33)를 향하여, 그리고 결합부(52)의 접촉면(52c)이 캠용 돌기부(33)의 측벽면(33d)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여, 결합부(52)의 접촉면(52c)과 경사면(52d)으로 구성되는 끼워 맞춤 오목부가 캠용 볼록부(33)의 측벽면 33b, 33d 및 33e로 구성되는 끼워 맞춤 볼록부에 결합된 상태로 되어,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걸림 위치 P2에 정지된다. 이에 의해서, 스위치는 오프 상태로 된다.
이 때,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의 끼워 맞춤 오목부가 캠용 볼록부(33)의 끼워 맞춤 볼록부에 결합되고,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캠 부분(3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끼워 맞춤 오목부와 끼워 맞춤 볼록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탄성 아암(51)의 캠 표면의 형성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휘어짐 양은 작아진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 본체(2)의 압박을 정지하면, 스위치 본체(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7)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압박되고,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의 경사면(52d)은 캠용 돌기부(33)의 측벽면(33b)을 따라 미끄러지게 이동하고, 또한 안내 돌기부의 측벽면(31b)을 따라 미끄러져서, 걸림 위치 P3로 이동된다.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걸림 위치(P3)에 있는 상태에서는 결합부(52)가 캠 부분(3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또한 캠 표면(30d)은 캠 표면(30a)과 동일한 높이에 있으므로, 탄성 아암(51)에는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상태에서, 스위치를 다시 온으로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본체(2)는 다시 압박된다.
스위치 본체(2)를 압박하면,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용 볼록부(33)의 측벽면(33e)을 향하여 이동하고, 결합부(52)의 경사면(52g)이 측벽면(33e)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는 동시에, 캠 표면(30g, 30h)을 활주하여 캠 표면(30i)으로 떨어지고, 결합부(52)의 경사면(52g)과 평행면(52b)이 캠용 볼록부(33)의 측벽면 33g33h에 접촉한 상태에서 정지하여, 결합부(52)는 걸림 위치 P4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탄성 아암(51)에는 캠 표면의 형성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휘어짐이 발생되지만, 캠 표면(30i)과 캠 표면(30a)이 동일한 높이에 있기 때문에, 캠 표면이 형성된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휘어짐은 없어진다.
스위치 본체(2)로의 압박력을 제거하면, 스위치 본체(2)는 압축 스프링(7)의 가압력에 의해서 캠 표면(30i, 30j, 30k)을 활주하고, 다시 걸림부(P1)에 복귀하여 스위치는 온 상태로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걸림부(P1 내지 P4)에 면하는 캠 표면(30a, 30d, 30i)은 동일면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각 걸림부(P1 내지 P4)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탄성 아암(51)에 캠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휘어짐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예컨대 걸림부 P2P4에 위치한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거나 고온하에 놓여져 있을 경우에도 탄성 아암(5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에 끼워 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캠용 볼록부(33)에 끼워 맞춤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가 걸림부(P2)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탄성 아암(51)의 휘어진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탄성 아암(51)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캠용 볼록부(33)의 측벽면 33c33b로 구성되는 오목부와,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의 면 52d, 52e52g으로 구성되는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동작상 문제는 없지만, 이들 오목부와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양자의 접촉이 많아져 결합부(52)의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캠 부분(30)의 걸림부 P1, P2P4가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에 결합됨으로써 스위치 본체(2)가 해방 위치, 제1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에 위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1)의 스토퍼용 돌기부(20)와 스위치 본체(2)의 스토퍼 부분(21)을 접촉시켜서, 스위치 본체(2)를 해방 위치에 정지시키고, 안내 돌기(4)와 스위치 본체(2)의 접촉면부(25)를 접촉시켜서, 스위치 본체(2)를 동일한 위치인 제1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에 정지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걸림부 P1, P2 및 P4에 있어서, 탄성 아암(51)의 결합부(52)와 주벽부(32)의 내벽면(32b)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존재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를 울림 멈춤 스위치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스위치 본체(2)의 압박 조작에 의해서 자명종 음의 종류를 순차 변경하는 스위치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각 걸림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 아암의 미끄럼 이동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휘어짐을 없애고, 또한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제1 가압 정지용 걸림부에 결합될 때 탄성 아암의 활주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휘어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탄성 아암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스위치 조작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2)

  1. 시계의 하우징 내에서 소정 범위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소정의 해방 위치, 제1 압입 정지 위치, 압입 위치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의 순으로 이동되며, 압박 조작에 따라 상기 시계가 갖는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조작하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압박 조작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위치 본체를 가압하는 탄성 수단과,
    상기 스위치 본체에 있는 가요성 탄성 아암의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로부터 압박이 해방되어 상기 탄성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되는 상기 스위치 본체를 상기 압입 위치로 정지시키는 캠 부분
    을 구비하는 시계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 부분은
    상기 해방 위치 및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된 상기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 아암의 배치 방향으로 대략 위치하는 해방 위치용 걸림부 및 압입 위치용 걸림부와,
    상기 탄성 아암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에 있는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와,
    압박력 또는 상기 탄성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되는 상기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결합부를 상기 해방 위치용 걸림부,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 압입 위치용 걸림부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의 순으로 이동시키는 안내 수단과,
    상기 각 걸림부로 이동되는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활주하는 활주면
    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이동하는 활주면 중에서 상기 각 걸림부에 정지된 상태의 결합부가 위치하는 활주면은 동일면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의 스위치 장치.
  2. 시계의 하우징 내에서 소정 범위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소정의 해방 위치, 제1 압입 정지 위치, 압입 위치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의 순으로 이동되며, 압박 조작에 따라 상기 시계가 갖는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조작하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압박 조작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위치 본체를 가압하는 탄성 수단과,
    상기 스위치 본체에 있는 가요성 탄성 아암의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로부터 압박이 해방되어 상기 탄성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되는 상기 스위치 본체를 상기 압입 위치에 정지시키는 캠 부분
    을 구비하는 시계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 부분은
    상기 해방 위치 및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된 상기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 아암의 배치 방향으로 대략 위치하는 해방 위치용 걸림부 및 압입 위치용 걸림부와,
    상기 탄성 아암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에 있는 스위치 본체의 탄성 아암의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와,
    압박력 또는 상기 탄성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하는 상기 스위치 본체의 상기 탄성 아암의 결합부를 상기 해방 위치용 걸림부,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 압입 위치용 걸림부 및 제2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의 순으로 이동시키는 안내 수단과,
    상기 각 걸림부로 이동되는 탄성 아암의 결합부가 활주하는 활주면
    을 구비하며,
    상기 각 걸림부 중 적어도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에는 끼워 맞춤 볼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 아암의 결합부에는 상기 제1 압입 정지 위치용 걸림부에 정지된 상태로 그 탄성 아암의 상기 활주면을 따른 방향으로의 휘어짐 양을 감소시키고 상기 끼워 맞춤 볼록부에 결합되는 끼워 맞춤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의 스위치 장치.
KR1020000014495A 2000-03-22 2000-03-22 시계의 스위치 장치 KR10059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495A KR100595745B1 (ko) 2000-03-22 2000-03-22 시계의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495A KR100595745B1 (ko) 2000-03-22 2000-03-22 시계의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512A KR20010092512A (ko) 2001-10-26
KR100595745B1 true KR100595745B1 (ko) 2006-07-03

Family

ID=3753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495A KR100595745B1 (ko) 2000-03-22 2000-03-22 시계의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7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512A (ko) 200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3428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0917633B1 (ko) 카드용 커넥터의 이젝터 기구
US5009609A (en) Contact shutter device in IC socket
US20070004258A1 (en) Card connector
US20050274593A1 (en) Push switch
US7198498B2 (en) Card connector
US5186641A (en) Socket for electric part
KR100595745B1 (ko) 시계의 스위치 장치
JPH07211188A (ja) 押ボタンスイッチ
CN108873220B (zh) 光收发器及光收发器插拔机构
JPH0526652Y2 (ko)
JPS6026424Y2 (ja) ロック式押釦スイッチ
JP3553416B2 (ja) 時計のスイッチ装置
US5147212A (en) Socket for electric part
JP2005142144A (ja) Fpc用コネクタ
KR100363468B1 (ko) 푸시 스위치
JP3645742B2 (ja) 時計のスイッチ装置
JP2002025730A (ja) Pga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US4408109A (en) Latch down device for push-button switches
KR0130438B1 (ko) 록크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형 스위치
KR100216312B1 (ko) 전기부품용 소켓
JP2592856Y2 (ja) 可動コンタクトの取付構造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WO2023139912A1 (ja) 電磁接触器
JP2001338740A (ja) ランドグリッドアレイ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