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203B1 -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203B1
KR100595203B1 KR1020030098722A KR20030098722A KR100595203B1 KR 100595203 B1 KR100595203 B1 KR 100595203B1 KR 1020030098722 A KR1020030098722 A KR 1020030098722A KR 20030098722 A KR20030098722 A KR 20030098722A KR 100595203 B1 KR100595203 B1 KR 10059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ase
hook
monito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7715A (ko
Inventor
정길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203B1/ko
Publication of KR2005006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스탠드와 베이스를 간단하게 착탈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 부피를 감소시키고, 장입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화상표시부와, 상단부가 상기 화상표시부에 결합되어 화상표시부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바닥면 상에서 스탠드와 화상표시부를 지지하는 판상의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탠드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탄성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후크부재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후크 지지부재와; 상기 후크부재를 후크 지지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모니터, 스탠드, 베이스, 후크

Description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Stand Assembly for Monitor}
도 1은 종래의 모니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스탠드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스탠드 어셈블리의 베이스에 스탠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스탠드 어셈블리의 베이스에 스탠드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상표시부 200 : 스탠드
210 : 스탠드몸체 211 : 결합홈
300 : 베이스 310 : 하부베이스
320 : 베이스커버 321 : 서포트커버
330 : 후크부재 331 : 후크
332 : 연결바아 340 : 후크 지지부재
341 : 결합부 343 : 지지부
344 : 절개홈 350 : 스크류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를 지탱하는 스탠드를 스탠드 베이스에 착탈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포장시 부피를 줄이고, 장입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니터와 같은 모니터들을 책상 또는 원하는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를 지지하여 주는 스탠드를 필요로 한다.
도 1은 모니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모니터는 영상을 출력하는 화상표시부(1)와, 상기 화상표시부(1)를 바닥면 상에서 지지하는 스탠드(2) 및 베이스(3)로 구성된다.
상기 화상표시부(1)는 그 후면이 스탠드(2)의 상단에 구비된 브라켓(2b)과 스크류 체결됨으로써 스탠드(2)와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2)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탠드 몸체(2a) 하단부의 네 가장자리가 베이스(3)에 스크류(4)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베이스(3)와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들은 스탠드와 베이스가 단단히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품 완성 후 출하시 모니터에 스탠드와 베이스가 결합된 상태로 포장되고, 따라서 포장 부피가 커 장입 수량이 작아지고 물류 비용 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니터를 구성하는 스탠드와 베이스를 간단하게 착탈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포장 부피를 감소시키고, 장입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화상표시부와, 상단부가 상기 화상표시부에 결합되어 화상표시부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바닥면 상에서 스탠드와 화상표시부를 지지하는 판상의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탠드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탄성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베이스 상에서 후크부재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후크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모니터는 크게 영상을 출력하는 화상표시부(100)와, 상단부가 상기 화상표시부(100)의 후면에 결합되는 스탠드(200)와, 상기 스탠드(200)의 하단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면 상에서 스탠드(200)와 화상표시부(100)를 지지하는 원형 판상의 베이스(3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00)는 금속 재질의 하부베이스(310)와, 이 하부베이스(310)의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커버(320)로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베이스(310) 상에는 상기 스탠드(200)를 착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후크(331)를 구비하는 후크부재(330)와, 상기 후크부재(330)를 하부베이스(310) 상에서 지지하는 후크 지지부재(340)와, 상기 후크(331)를 후크 지지부재(340)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코일스프링(335)이 설치된다.
상기 후크부재(330)의 각 후크(331)는 수평한 연결바아(332)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후크부재(330)의 각 후크(331)의 배면부에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35)의 일단이 결합되는 돌기(33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후크 지지부재(340)는 복수개의 체결공(342)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베이스(310)의 상면에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편평한 결합부(341)와, 이 결합부(341)의 중앙부에 대략 직립하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331)와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절개홈(344)이 형성되어, 이들 각 절개홈(344) 사이 부분에 상기 후크부재(330)의 연결바아(332)가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중공의 지지부(34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00)의 베이스커버(320)에는 상기 후크 지지부재(340)를 덮는 서포트커버(321)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커버(321)의 일면에는 상기 후크(33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2개의 관통공(3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탠드(200)는 스탠드몸체(210)와, 이 스탠드몸체(210)를 덮도록 설치되는 스탠드커버(220)로 구성된다. 상기 스탠드몸체(210)의 하단부에는 상기 후크(331)와 상응하여 후크(331)가 걸림 결합되는 2개의 결합홈(2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탠드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후크부재(330)의 돌기(333)에 압축코일스프링(335)을 결합하고, 하부베이스(310)의 후방부 상면에 후크(331)가 직립한 자세를 취하도록 상기 후크부재(330)를 놓은 다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크부재(330)의 연결바아(332)가 후크 지지부재(340)의 지지부(343) 내측에 삽입되도록 후크부재(330)의 상측에서부터 후크 지지부재(340)를 결합시킨다.
이어서, 후크 지지부재(340)의 결합부(341)의 체결공(342)을 통해 스크류(350)를 체결하여 후크 지지부재(340)를 하부베이스(310) 상면에 단단히 고정시키면, 후크부재(330)가 하부베이스(310) 상에서 안정되게 지지된다.
그런 다음, 하부베이스(310)의 상면에 베이스커버(320)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후크 지지부재(340)는 베이스커버(320)의 서포트커버(321) 내측으로 삽입되고, 후크(331)는 서포트커버(321)의 관통공(3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써 베이스(3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스탠드(200)의 하단부를 베이스(300)의 서포트커버(321)에 맞추어 결합시키면, 스탠드몸체(210)의 하단부가 후크(331)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다가 스탠드몸체(210) 하단의 결합홈(211)이 후크(331) 위치에 도달하면 후크(331)가 결합홈(211)에 탄성적으로 걸림 결합되면서 스탠드(200)가 베이스(300) 상면에 고정된다.
한편, 포장 또는 수리 등을 위해 스탠드(200)를 베이스(300)로부터 분리하고 할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기다란 막대형태의 도구로 상기 후크(331)를 내측으로 밀어 후크(331)를 결합홈(211)에서 이탈시킨 다음, 스탠드(200)를 위로 당기면 스탠드(200)가 베이스(300)와 간단히 분리된다.
물론, 재결합을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스탠드(200)의 하단부를 서포트커버(321)에 맞추어 밀어넣으면 결합홈(211)에 후크(331)가 탄성적으로 결합되면서 스탠드(200)가 베이스(300)와 재결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의 스탠드와 베이스가 매우 간단한 동작으로 결합 및 분리되므로, 제품 출하시 스탠드와 베이스를 간단히 분리시켜 포장을 하게 되면, 포장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장입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니터의 수리 등을 위해 스탠드를 베이스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매우 간편하게 분리 및 재결합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영상을 출력하는 화상표시부와, 이 화상표시부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와 화상표시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니터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직립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후크와, 이 후크를 연결하는 연결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스탠드에 형성된 결합홈에 탄성 결합되는 후크부재;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직립하게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각 후크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이들 각 절개홈 사이에 상기 연결바아가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중공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상에서 후크부재를 지지하는 후크 지지부재; 및
    상기 후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베이스 상부 및 상기 후크 지지부재를 덮는 베이스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30098722A 2003-12-29 2003-12-29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KR10059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722A KR100595203B1 (ko) 2003-12-29 2003-12-29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722A KR100595203B1 (ko) 2003-12-29 2003-12-29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715A KR20050067715A (ko) 2005-07-05
KR100595203B1 true KR100595203B1 (ko) 2006-06-30

Family

ID=3725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722A KR100595203B1 (ko) 2003-12-29 2003-12-29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52B1 (ko) 2007-08-31 201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235B1 (ko) * 2005-07-11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73131B1 (ko) * 2006-06-15 2008-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 스탠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312A (ko) * 1998-03-19 1999-10-15 구자홍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높이조절장치
KR19990041885U (ko) * 1998-05-27 1999-12-27 윤종용 컴퓨터용 유에스비 허브 결합 장치
KR20000002890U (ko) * 1998-07-13 2000-02-15 윤종용 액정 모니터용 스탠드
KR20020069438A (ko) * 2001-02-26 2002-09-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KR20030067850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엘시디모니터의 착탈 가능한 베이스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312A (ko) * 1998-03-19 1999-10-15 구자홍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높이조절장치
KR19990041885U (ko) * 1998-05-27 1999-12-27 윤종용 컴퓨터용 유에스비 허브 결합 장치
KR20000002890U (ko) * 1998-07-13 2000-02-15 윤종용 액정 모니터용 스탠드
KR20020069438A (ko) * 2001-02-26 2002-09-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KR20030067850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엘시디모니터의 착탈 가능한 베이스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7531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52B1 (ko) 2007-08-31 201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715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2785C2 (ru) Держатель инструмента
KR101629401B1 (ko) 프라이팬 거치대
KR200482311Y1 (ko) 상품 진열대
US20200069083A1 (en) Multiple Configuration Merchandising System
KR100595203B1 (ko) 모니터의 스탠드 어셈블리
US6345722B1 (en) Display rack for golf clubs
KR100563276B1 (ko) 월판넬과 포인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상품진열대
JP2016049220A (ja) システムデスク
US6484985B1 (en) Clip for panel system
JP3211724U (ja) 組み立て式のラック
KR101957293B1 (ko) 물품 진열구대
JP3072882U (ja) 組立式パソコン格納用ラック
KR200482454Y1 (ko) 전면 책꽂이 선반
US20140361128A1 (en) Support Bracket and Screen and Assemblies and Accessories for the Use Therewith
JP4148596B2 (ja) テーブルや棚板等の連結具
KR101621870B1 (ko) 거울셋
KR200233949Y1 (ko) 고정지지구
JP3167526U (ja) 椅子
JP4380517B2 (ja) 収納ラック
JP2000325163A (ja) ボトルラック及びボトル収納棚
JP3116554U (ja) 告知表示装置
KR100855353B1 (ko) 냉장고의 와인병 지지장치
JP3111649U (ja) 物品支持装置
EP1369057A1 (en) Combination frame structure for furniture
KR19990035100U (ko) 선반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