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100U - 선반고정구 - Google Patents

선반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100U
KR19990035100U KR2019990009560U KR19990009560U KR19990035100U KR 19990035100 U KR19990035100 U KR 19990035100U KR 2019990009560 U KR2019990009560 U KR 2019990009560U KR 19990009560 U KR19990009560 U KR 19990009560U KR 19990035100 U KR19990035100 U KR 199900351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helf
coupling
frame fix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수
최이술
Original Assignee
박만수
최이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수, 최이술 filed Critical 박만수
Priority to KR2019990009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100U/ko
Publication of KR19990035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100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3C-shaped brackets for gripping the shelf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Abstract

본 고안은 상품진열장 또는 장식장을 구성하기 위한 선반패널을 지탱하는 로드프레임의 안정적인 고정지지를 위한 선반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반패널(60)의 결합을 위한 각형상부(22)의 저면에 그 선반패널(60)의 수평도 유지를 위한 받침부(26)가 형성되고 그 각형상부(22)의 대향측단 저면에 치형상부(24)가 형성된 패널결합부재(20)와, 그 패널결합부재(20)가 관통결합되는 결합관통구(42)의 저면에는 상기 치형상부(24)에 대응하는 치결합부(44)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로드프레임(30)의 착탈을 위해 측방향이 개방된 프레임고정부(48)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통구(42)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탄성편수납홈(46)이 형성된 프레임고정부재(40) 및, 그 프레임고정부재(40)의 측면에 형성된 탄성편수납홈(46)에 수납되는 탄성편(5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선반고정구에 의하면, 프레임고정부재(40)의 결합관통구(42)에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된 탄성편수납홈(46)에는 중앙부가 하향돌설된 탄성편(50)이 결합되어 상기 패널결합부재(20)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와의 치합력을 증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패널결합부재(20)의 측단에 형성된 각형상부(22)의 하측에는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상측 높이와 대응하는 받침부(26)가 형성되어 상기 선반패널(60)에 대한 수평도의 유지가 가능하여 선반패널의 안정적인 지지가 확보된다.

Description

선반고정구{Shelf Supporter}
본 고안은 선반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진열장 또는 장식장을 구성하기 위한 선반패널을 지탱하는 로드프레임의 안정적인 고정지지를 위한 선반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품의 진열전시를 위한 상품진열장이라던지 가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형태의 장식장이 널리 사용되는 상황인 바, 도 1은 그러한 선반고정구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선반고정구에 따르면, 선반패널(1)의 측단면에 결합되는 패널결합부재(2)와, 그 패널결합부재(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 하측에는 상기 선반패널(1)을 지탱하기 위한 로드프레임(3)이 결합되는 프레임고정부재(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결합부재(2)의 일단은 상기 선반패널(1)의 측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상화된 각형상부(5)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타단의 하면에는 상기 로드프레임(3)의 지지위치를 가변설정하기 위해 치형상부(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는 그 상측에 상기 패널결합부재(2)가 관통가능하도록 관통구(7)가 형성되면서 그 관통구(7)를 정의하는 저면상에는 상기 패널결합부재(2)의 치형상부(6)에 대응하는 형상(즉, 치형상)이 형성된다. 또, 그 프레임고정부재(4)의 하측은 상기 로드프레임(3)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정하향방향으로 개구된다.
따라서, 그러한 구조의 선반고정구에 의하면 상기 패널결합부재(2)의 치형상부(6)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의 관통구(7)를 통해 수납된 상태에서 적정한 위치로 조정하게 되면 상기 패널결합부재(2)의 하면에 형성된 치형상부(6)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의 관통구(7)를 정의하는 저면에 형성된 상기 치형상부(6)에 대응하는 형상(즉, 치형상)이 치합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패널결합부재(2)의 각형상부(5)가 지지대상의 선반패널(1)의 측단면에 결합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의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로드프레임(3)을 삽착시키게 되면 상기 선반패널(1)의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선반고정구를 복수로 사용하여 도 2에 예시된 형태의 장식장 선반 또는 상품진열장의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선반고정구의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에 형성되는 프레임착탈을 위한 개구위치가 정하향방향으로 설정됨으로 말미암아, 예컨대 상품진열장이라던지 장식장 선반을 조립하기 위해 그 프레임고정부재(4)에 상기 로드프레임(3)을 삽착하게 되면 선반패널(1)의 설치 및 조립시 그 로드프레임(3)의 자중에 의해 그 로드프레임(3)이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로부터 예기치 않게 이탈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패널결합부재(2)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가 상호 위치설정결합된 상태에서는 그 패널결합부재(2)의 저면에 형성된 치형상부(6)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의 관통구(7)의 저면에 형성된 치형상과의 사이에서 적절한 결합력이 보장되어야만 바람직하게 되지만, 실제적으로는 그 치합부분의 고저도(高低度)가 그다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예기치 않은 외력에 의해 상기 패널결합부재(2)와 프레임고정부재(4)의 치합위치가 변경되거나 패널결합부재(2)가 그 프레임고정부재(4)의관통구(7)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선반패널을 지지하는 로드프레임의 착탈이 측방향에서 행해지도록 하면서 프레임고정부재와 패널결합부재의 치합력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개량된 선반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반패널의 결합을 위한 각형상부의 저면에 그 선반패널의 수평도 유지를 위한 받침부가 형성되고 그 각형상부의 대향측단 저면에 치형상부가 형성된 패널결합부재와, 그 패널결합부재가 관통결합되는 관통결합구의 저면에는 상기 치형상부에 대응하는 치결합부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로드프레임의 착탈을 위해 측방향이 개방된 프레임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통구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탄성편수납홈이 형성된 프레임고정부재 및, 그 프레임고정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탄성편수납홈에 수납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선반고정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선반패널에 대해서는 복수의 로드프레임이 배설되고, 그 복수의 로드프레임에 대해서는 상기 패널결합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프레임고정부재의 개구방향이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반고정구에 의하면, 패널결합부재와 결합되는 프레임고정부재의 측면이 로드프레임의 착탈을 위해 개구되고, 그 프레임고정부재의 결합관통구에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된 탄성편수납홈에는 중앙부가 하향돌설된 탄성편이 결합되어 상기 패널결합부재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와의 치합력을 증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패널결합부재의 측단에 형성된 각형상부의 하측에는 상기 프레임고정부재의 상측 높이와 대응하는 받침부가 형성되어 상기 선반패널에 대한 수평도의 유지가 가능하여 선반패널의 안정적인 지지가 확보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선반고정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반고정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선반고정구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고정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선반고정구, 20: 패널결합부재,
26: 받침부, 30: 로드프레임,
40: 프레임고정부재, 42: 결합관통구,
46: 탄성편수납홈, 50: 탄성편.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고정구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선반고정구의 개략단면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고정구는 선반패널(도 4에서 6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패널결합부재(20)와, 그 패널결합부재(20)에 위치조정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면서 프레임로드(30)의 착탈이 가능한 프레임고정부재(40) 및, 그 프레임고정부재(40)의 소정위치에 수용되어 상기 패널결합부재(20)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치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탄성편(5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널결합부재(20)는 그 일단이 상기 선반패널(60)의 측단면과 끼움결합되도록 그 선반패널(60)의 측단면에 대응하는 각형상부(22)로 형성되고, 그 패널결합부재(20)의 타단의 하측면에는 치형상부(24)로서 형성된다.
또,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상부측에는 상기 패널결합부재(20)와의 가변적인 결합을 위한 결합관통구(42)가 형성되는 바, 그 결합관통구(42)의 저면에는 상기 패널결합부재(20)의 타단에 형성된 치형상부(24)와 대응하는 치결합부(44)가 형성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패널결합부재(40)의 측면에서 상기 결합관통구(4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탄성편(50)의 수납을 위한 탄성편장착홈(46)이 형성되는 바, 그 탄성편장착홈(46)에 상기 탄성편(50)이 장착되는 경우 그 탄성편(50)의 중앙돌출부분은 상기 결합관통구(42)를 통해 하향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널결합부재(20)를 하향탄성가압함으로써 그 패널결합부재(20)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치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즉, 상기 탄성편(50)의 중앙부분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결합관통구(42)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치결합부(44)와 상기 패널결합부재(20)의 치형상부(24)에 대한 탄성가압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하측에 정의되는 프레임장착부(48)는 그 측방향으로 프레임로드(30)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개구되어, 장식장 선반 또는 상품진열장의 실제적인 조립상태에서 프레임로드(30)의 자중에 의한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더욱이, 상기 패널결합부재(20)의 각형상부(22)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와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선반패널(6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상측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받침부(26)가 형성되는 바, 그 받침부(26)의 형성에 의해서는 상기 선반패널(60)의 측단저부에 대한 수평도 유지가 가능하면서 유동이 방지되어 상기 선반패널(60)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선반고정구에 의하면, 예컨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측면에 형성된 탄성편수납홈(46)에 중앙부가 하향돌출된 탄성편(50)을 삽설하는 한편, 상기 패널결합부재(20)의 치형상부(24)가 형성된 측을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결합관통구(42)를 통과하도록 결합시켜 적정한 위치의 조정이 행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탄성편(50)에 의해 상기 패널결합부재(20)가 하향탄성가압되고, 그에 따라 그 패널결합부재(20)의 하측면에 형성된 치형상부(24)와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결합관통구(42)의 저면에 형성된 치결합부(44)의 사이에서 밀착결합력이 증가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패널결합부재(20)에 상기 선반패널(60)을 재치시키고나서 상기 프레임고정부재(40)의 프레임장착부(48)의 측방향으로부터 상기 로드프레임(30)를 결합시키거나 그 역순의 과정을 실행하게 되면 소망하는 장식장 선반 또는 상품진열장의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 도 5에 도시된 형태, 예컨대 복수의 로드프레임(30)에 대해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고정부재(40)의 개구방향이 상호 상반되도록 배치하거나 각 로드프레임(30)에 대해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고정구(10)의 개구방향이 상호 어긋나는 상태로 배치하게 되면 로드프레임(30)의 이탈을 더욱 효과높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로드프레임(30)의 양측에는 예컨대 양측 벽면에 대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주프레임 고정구(70)를 설치하게 되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반고정구에 의하면 패널결합부재와 프레임고정부재의 결합위치사이에 탄성편을 보강함으로써 그 치합력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안정적인 선반고정기능이 달성되고, 또한 로드프레임의 착탈이 측방향에서 행해지게 됨에 따라 그 로드프레임의 이탈이 극력 억제되게 된다.
또, 패널결합부재와 프레임고정부재의 결합시 프레임고정부재의 상측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패널결합부재의 측단저면에는 받침부가 형성됨에 따라 선반패널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선반패널의 결합을 위한 각형상부의 저면에 그 선반패널의 수평도 유지를 위한 받침부가 형성되고 그 각형상부의 대향측단 저면에 치형상부가 형성된 패널결합부재와,
    상기 패널결합부재가 관통결합되는 관통결합구의 저면에는 상기 치형상부에 대응하는 치결합부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로드프레임의 착탈을 위해 측방향이 개방된 프레임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통구에 해당하는 측면에는 탄성편수납홈이 형성된 프레임고정부재 및,
    상기 프레임고정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탄성편수납홈에 수납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그 중앙부분이 상기 프레임고정부재의 결합관통구 내측에서 상기 패널결합부재와 프레임고정부재를 하향탄성가압하도록 하향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고정구.
KR2019990009560U 1999-06-01 1999-06-01 선반고정구 KR199900351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560U KR19990035100U (ko) 1999-06-01 1999-06-01 선반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560U KR19990035100U (ko) 1999-06-01 1999-06-01 선반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00U true KR19990035100U (ko) 1999-09-06

Family

ID=5475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560U KR19990035100U (ko) 1999-06-01 1999-06-01 선반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10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92B1 (ko) * 2006-12-28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7467931A (zh) * 2016-06-08 2017-12-15 严能进 一种铝合金层板的结构
KR20210001740U (ko) * 2020-01-20 2021-07-28 왕자엔에이치시 주식회사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92B1 (ko) * 2006-12-28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7467931A (zh) * 2016-06-08 2017-12-15 严能进 一种铝合金层板的结构
KR20210001740U (ko) * 2020-01-20 2021-07-28 왕자엔에이치시 주식회사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3373A (en) Shelf display system
US6631812B2 (en) Stemware suspenders
KR20070019494A (ko) 조립식 선반
US5961082A (en) Supporting-bar arrangement for hanging goods to be displayed or for supporting a goods display unit
EP1585407A2 (en) A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drawers or the like
KR100563276B1 (ko) 월판넬과 포인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상품진열대
KR200441498Y1 (ko) 수납가구의 선반 고정시스템
KR101797641B1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19990035100U (ko) 선반고정구
KR100455516B1 (ko) 각형지주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상품진열용 선반받침구 및파이프 행거홀더
US4981226A (en) Merchandise display assembly
KR20210001740U (ko)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KR20020089169A (ko) 모듈형 디스플레이 래크
KR200291211Y1 (ko) 책장
KR200169248Y1 (ko) 조립식 선반집기
JP4094748B2 (ja) 陳列棚
KR200386082Y1 (ko) 선반 지지 장치
JP4594490B2 (ja) 商品陳列棚
JP4094749B2 (ja) 陳列棚の棚板
KR200189524Y1 (ko) 선반 고정구
KR200246977Y1 (ko) 모서리 장식장
KR0125048Y1 (ko) 싱크대용 선반
KR200222709Y1 (ko) 전시용 패널
JPH11221124A (ja) 支柱と連結杆との連結装置
KR200169245Y1 (ko) 조립식 점포용 진열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