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007B1 -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007B1
KR100595007B1 KR1020040084704A KR20040084704A KR100595007B1 KR 100595007 B1 KR100595007 B1 KR 100595007B1 KR 1020040084704 A KR1020040084704 A KR 1020040084704A KR 20040084704 A KR20040084704 A KR 20040084704A KR 100595007 B1 KR100595007 B1 KR 10059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eiling
coupled
support b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281A (ko
Inventor
송형필
Original Assignee
송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형필 filed Critical 송형필
Priority to KR1020040084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00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용 덕트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천장마감재(11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바(20)와, 상기 지지바(2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캐링(30)과, 상기 1쌍의 캐링(30) 사이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바(20)의 일측에 지지되는 덕트(D) 및, 상기 지지바(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덕트(D)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캐링(3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마이너찬넬(40), 상기 마이너찬넬(40)과 행거(50)에 의해 결합되고 천장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전산볼트(60), 양단이 상기 마이너찬넬(40)에 결합되고 상기 덕트(D)의 상부 일측을 덮어 지지하는 덕트지지대(70), 상기 덕트(D)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천장마감재(11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디퓨저(80)로 구성되어, 천장구조에 덕트를 결합하여 설치공간을 줄이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천장, 덕트, 마감재, 디퓨저, 행거

Description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A structure for construction of a duct on a ceiling }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천장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천장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덕트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덕트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덕트설치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덕트설치구조를 나타낸 설치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덕트설치구조를 스파이럴덕트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천장마감재 20 : 지지바
21 : 지지부 22 : 걸림부
30 : 캐링 31 : 걸림턱
40 : 마이너찬넬 50 : 헹거
60 : 전산볼트 70 : 덕트지지대
71 : 결합브라켓 80 : 디퓨저
81 : 공기출입구 D : 덕트
DD : 스파이럴덕트
본 발명은 천장용 덕트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장구조에 덕트구조를 결합한 천장용 덕트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공조시설이나 배기, 급기시설에서 공기의 이동통로로, 주로 천장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덕트가 설치되는 천장구조는 천장마감재(11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바(120)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바(120)를 가로질러 구비되고 지지바(12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마이너찬넬(140)과, 상기 마이너찬넬(14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행거(150) 및, 상기 행거(150)를 천장에 지지하는 전산볼트(1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천장마감재(110)는 지지바(120)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20)는 캐링(130)으로 마이너찬넬(140)에 결합되며, 행거(150)는 전산볼트(160)에 볼트결합된다.
종래의 전산볼트(160)는 천장(S)에서 아래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구비됨으로써 천장마감재(110)와 천장(S) 사이의 공간에 덕트(D)를 비롯한 다양한 시설물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덕트(D)는 천장(S)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달대볼트(D1)에 지지되는 앵글(D2)에 얹혀져 지지되며, 플랙시블덕트(FD)를 통해 천장마감재(110)쪽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천장마감재(110)의 디퓨저(180)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출입시키게 된다.
종래의 덕트설치구조는 천장구조의 내부공간에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천장마감재(110)와의 이격된 거리에 플랙시블덕트(D)를 연결하여야 실내로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장치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덕트가 천장구조와 독립적으로 시공되므로 덕트의 설치를 완료한 이후에 천장구조를 설치해야 하고, 그로 인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없으며, 또한 천장구조와 덕트구조의 상대위치가 현장에서 직접 측정되고 이루어져야 하므로 숙련된 전문인력에 의해 시공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장구조에 덕트를 결합하여 설치공간을 줄이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천장용 덕트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마감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캐링과, 상기 1쌍의 캐링 사이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 지지되는 덕트 및, 상기 지지바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덕트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캐링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마이너찬넬, 상기 마이너찬넬과 행거에 의해 결합되고 천장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전산볼트, 양단이 상기 마이너찬넬에 결합되고 상기 덕트의 상부 일측을 덮어 지지하는 덕트지지대, 상기 덕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천장마감재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디퓨저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천장마감재(110)의 천장측면에는 지지바(2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지지바(20)는 캐링(30)에 의해 마이너찬넬(40)에 결합되며, 상기 마이너찬넬(40)의 일측에 전산볼트(60)가 행거(5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바(20)는 천장마감재(110)를 지지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21)의 양단에 캐링(30)을 물어 잡는 걸림부(22)가 절곡되어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1)는 천장마감재(110)와 볼트결합되고, 상기 걸림부(22)는 지지부(21)의 양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링(30)은 양측면에 걸림턱(31)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바(20)의 걸림부(22)를 지지하게 되고, 덕트(D)를 지지하게 된다.
즉, 덕트(D)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래쪽 양단의 사각 모서리가 상기 걸림부(22)에 지지된다.
상기 캐링(30)에는 마이너찬넬(40)이 끼워져 결합되고, 1쌍의 캐링(30)의 사이에 덕트(D)가 끼워져 안착되며, 덕트(D)의 상부에 덕트지지대(70)가 덕트(D)를 감싸 지지한다.
상기 마이너찬넬(40)은 상기 지지바(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덕트(D)의 양측면에 구비됨으로써 덕트(D)를 마이너찬넬(40)과 캐링(30)의 사이에 구비하여 덕트(D)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덕트지지대(70)는 양단이 상기 마이너찬넬(40)에 결합브라켓(71)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1쌍의 마이너찬넬(40)의 사이에 덕트(D)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천장마감재(110)는 천장 전체를 덮도록 지지바(2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마이너찬넬(40)의 아래쪽에만 구비되고 덕트(D)의 아래쪽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별도의 디퓨저(8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덕트(D)의 하부에 천장마감재(110)를 관통하여 디퓨저(80)를 구비하고, 상기 디퓨저(80)는 덕트(D)의 저면에 나사결합시켜 고정한다.
상기 디퓨저(80)의 일측에는 공기출입구(81)가 형성되고, 그 공기출입구(81)와 연통되게 덕트(D)의 저면에 공기통로(도면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덕트(D)의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가 디퓨저(80)의 공기출입구(81)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덕트(D)와 실내와의 사이에 플랙시블덕트와 같은 별도의 설비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D)는 스파이럴덕트(DD)에 연결되어 공기를 출입시키게 되고, 덕트(D)의 바로 위쪽에 스파이럴덕트(DD)를 설치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용 덕트설치구조에 의하면, 천장구조에 덕트를 결합하여 설치공간을 줄이고, 플랙시블덕트와 같은 별도의 설비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비와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천장마감재(11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바(20)와; 상기 지지바(2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캐링(30)과; 상기 1쌍의 캐링(30) 사이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지지바(20)의 일측에 지지되는 덕트(D) 및; 상기 지지바(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덕트(D)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캐링(3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마이너찬넬(40); 상기 마이너찬넬(40)과 행거(50)에 의해 결합되고, 천장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전산볼트(60);를 포함하는 천장용 덕트설치구조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마이너찬넬(40)에 결합되고, 상기 덕트(D)의 상부 일측을 덮어 지지하는 덕트지지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0)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마감재(110)와 결합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양단에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상기 덕트(D)를 지지하며, 상기 캐링(30)을 물어 잡는 걸림부(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D)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천장마감재(11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디퓨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80)의 일측에 공기출입구(8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KR1020040084704A 2004-10-22 2004-10-22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KR100595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704A KR100595007B1 (ko) 2004-10-22 2004-10-22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704A KR100595007B1 (ko) 2004-10-22 2004-10-22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281A KR20060035281A (ko) 2006-04-26
KR100595007B1 true KR100595007B1 (ko) 2006-06-30

Family

ID=3714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704A KR100595007B1 (ko) 2004-10-22 2004-10-22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581B1 (ko) 2009-06-25 2011-10-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에어 디퓨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581B1 (ko) 2009-06-25 2011-10-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에어 디퓨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281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9958B2 (en) Under-floor pliable air duct/dispersion systems
EP2773909B1 (en) Pliable-wall air duct with suspended inner frame and method of installing a pliable-wall air duct
US8701261B2 (en) Air handler quick sling
US20120318934A1 (en) Multiple vertical clevis hangers
WO2014069921A1 (ko) 천정마감장치
KR102369917B1 (ko)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KR100595007B1 (ko) 천장용 덕트설치구조
JP6343239B2 (ja) システム天井構造および支持金具
KR20130116786A (ko) 천장패널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4460874B2 (ja) 天井装置
KR20110050023A (ko) 천장 마감 판넬의 고정장치
KR20110037515A (ko) 공동주택용 천장의 경량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19988A (ko) 퍼지 실링 시스템
JP6302434B2 (ja) 長尺物の支持設備、支持方法、およびこれらに用いられる保持部材
KR101865792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
KR101416729B1 (ko) 크린룸 벽체 고정장치
KR101348175B1 (ko) 사이드 롤러를 구성한 배선용 케이블 트레이
CN215172844U (zh) 一种维护便捷的装配式地铁车站站厅层管线敷设结构
KR101613300B1 (ko) 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0867326B1 (ko) 공조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천정 몰딩 조립체.
KR101355403B1 (ko) 조립식 환풍기 설치장치
KR101174624B1 (ko) 천정패널 설치구조
KR100728573B1 (ko) 도관 설치구
JP3713652B2 (ja) 内装設備の施工工法
KR20090002833U (ko) 조명 설치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