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640B1 - Dvr 시스템 - Google Patents

Dvr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640B1
KR100594640B1 KR1020040091818A KR20040091818A KR100594640B1 KR 100594640 B1 KR100594640 B1 KR 100594640B1 KR 1020040091818 A KR1020040091818 A KR 1020040091818A KR 20040091818 A KR20040091818 A KR 20040091818A KR 100594640 B1 KR100594640 B1 KR 100594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vr
data storage
spac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818A (ko
Inventor
고윤화
Original Assignee
아프로하이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로하이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프로하이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640B1/ko
Publication of KR20060046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와 DVR 본체로 구성된 DVR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DVR 본체는, 바닥판, 전면판 및 후면판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판 및 측면판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되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하측에 고정되어 데이터 저장부, 카메라 본체 및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영상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판의 상부에는 하드랙이 인출되기 위한 구멍이, 하부에는 조작버튼 및 작동표시 LED가 형성된 조작판넬이 설치되도록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영상보드의 입출력단자가 노출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영상보드 사이에는 일단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스페이서가 스프링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진 완충부재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이를 볼트로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또는 운송수단 등과 같이 진동이 발생되는 공간에 DVR 시스템을 장착하여 카메라 본체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영상보드 및 데이터 저장부가 내장된 DVR 본체에서 처리 및 저장함에 있어서 차량 또는 운송수단의 운행중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으로부터 데이터 저장부,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을 완충수단으로 고정 지지하며, 이들이 케이스 내에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진동될 때 렌즈, 하드랙, LED 및 입출력단자 등이 케이스의 구멍에 부딪치지 않도록 구멍이 확장 형성되며, 상기 DVR 본체의 전면판을 덮어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어가 구비된 DVR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DVR 시스템{DVR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DVR 시스템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DVR 본체의 정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DVR 본체의 배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의 분해 상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의 분해 상태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의 분해 상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에 의하여 DVR 본체 내부에 데이터 저장부 및 영상보드가 고정 지지되기 위한 상태의 분해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에 의하여 DVR 본체 내부에 데이터 저장부 및 영상보드가 고정 지지된 상태의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에 의하여 DVR 본체 내부에 데이터 저장부의 양측이 고정 지지된 실시예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에 의하여 카메라 본체 내부에 렌즈가 설치된 회로기판이 고정 지지되기 위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에 의하여 카메라 본체 내부에 렌즈가 설치된 회로기판이 고정 지지된 상태의 사시도,
도 6a는 종래의 DVR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종래의 DVR의 본체부에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DVR 본체 3: 카메라 본체
5: 데이터 저장부 6: 영상보드
7: 회로기판 8,8',8": 완충부재
9: 도어 10,30: 상부케이스
11,31: 상판 12,32,42: 측면판
20,40: 하부케이스 21: 전면판
25: 후면판 27,41: 바닥판
37: 브라켓 44: 접속단자
50: 하드랙 51: 하드디스크 박스
52: 하드디스크 53: 하드랙 홀더
60: 조작판넬 61: 입출력단자
63: 조작버튼 64: 작동표시 LED
70: 렌즈 71: LED
72: CDS 센서 73: 마이크
80,80': 스페이서 81: 스프링
90: 잠금장치 91: 투시창
92: 힌지 99: 케이블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와 DVR 본체로 구성된 DVR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또는 운송수단 등과 같이 진동이 발생되는 공간에 DVR 시스템을 장착하여 카메라 본체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영상보드 및 데이터 저장부가 내장된 DVR 본체에서 처리 및 저장함에 있어서 차량 또는 운송수단의 운행중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으로부터 데이터 저장부,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을 완충수단으로 고정 지지하며, 이들이 케이스 내에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진동될 때 렌즈, 하드랙, LED 및 입출력단자 등이 케이스의 구멍에 부딪치지 않도록 구멍이 확장 형성되며, 상기 DVR 본체의 전면판을 덮어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어가 구비된 DVR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VR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자제품의 내부에는 전자제품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각종 전자부품과 소자가 실장(實裝) 또는 고착된 회로기판이 케이스의 바닥판에 형성된 고정프레임 또는 보스 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전자부품과 소자들은 인쇄기판 자동 실장 장치(일명 "리플로어"라고도 함)에 의하여 납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심하게 요동하거나 회로기판이 휘게되면 실장된 전자부품과 소자의 접합부위가 단락되어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은 전자제품이 외부에서 충격을 받더라도 케이스 내부에서 심하게 요동하지 않도록 하면서 충격에 대하여 휨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전자제품 중 특히, DVR이 장착된 차량이 도로의 요철부분을 통과할때 발생되는 수직방향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저장매체(125)를 보호하도록 이를 탄성부재(127)로 하는 종래의 DVR은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 제334204호로 기 등록되었으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DVR은 영상보드(124) 및 저장매체(125)가 내장되고, 전면에 조작버튼(200)이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영상보드(124) 및 저장매체(125)로 전원공급 및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단자(123)가 형성되며,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커버(121)가 구비된 본체부(102); 상기 본체부(102)가 삽입되어 합체되도록 공간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30)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부(102)의 삽입시 상기 접속단자(12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소켓(132)이 형성된 설치랙(103); 및 상기 설치랙(103)을 내부에 보관하고, 상기 소켓(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전원, 카메라 및 외부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부가 형성된 케이스부(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매체(125)는 고정판(126) 상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26)은 탄성부재(127)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2)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도 6b는 종래의 DVR의 본체부에 저장매체가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저장매체(125)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매체(125)를 고정판(126)상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판(126)이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 성부재(127)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02)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DVR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저장매체(125)를 보호하기 위하여 탄성부재(127)로 네지점을 지지하고 있지만 이는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완화시켜줄 수 있지만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을 감소시켜 주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부(102)의 내부에 삽입되어 합체되는 설치랙(103)에는 영상보드(124)가 상기 설치랙(103)의 저면에 형성된 보스에 얹어진 상태로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 상기 설치랙(103)이 변형되거나 진동이 전달될 경우에는 상기 영상보드(124)에도 영향이 미치기 때문에 영상보드(124)에 실장된 전자부품과 소자가 단락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또는 운송수단 등의 내부 공간에 DVR 시스템을 장착하고 운행하는 가운데 노면의 요철부분에 의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진동이 상기 DVR 시스템에 전달될 때 이를 완화시켜 주면서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DVR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영상보드 및 카메라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효과적으로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재를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감쇄 진동될 때 이들이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에 부딪치지 않도록 진동범위보다 크게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을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이 변형 또는 파손되어 전자부품과 소자가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 을 방지하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본체 및 이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저장 및 처리하도록 데이터 저장부와 영상보드가 내장된 DVR 본체로 구성된 DVR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VR 본체는, 바닥판, 전면판 및 후면판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판 및 측면판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되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하측에 고정되어 데이터 저장부, 카메라 본체 및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영상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판의 상부에는 하드랙이 인출되기 위한 구멍이, 하부에는 조작버튼 및 작동표시 LED가 형성된 조작판넬이 설치되도록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영상보드의 입출력단자가 노출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영상보드 사이에는 일단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스페이서가 스프링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진 완충부재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이를 볼트로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본체는 렌즈가 설치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을 고정시키도록 바닥판이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상판 및 측면판이 형성된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판에는 렌즈, CDS 센서 및 LED가 노출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는 일단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스페이서가 스프링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진 완충부재가 삽 입 설치되어 이를 볼트로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DVR 본체의 전면에는 전면판을 덮어 주기 위한 도어가 힌지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에 형성된 구멍은 상기 완충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하드랙의 전면부가 수직 및 수평방향 진동시 전면판의 구멍에 부딪치지 않도록 진동범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에 형성된 구멍은 상기 완충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영상보드의 입출력단자가 수직 및 수평방향 진동시 후면판의 구멍에 부딪치지 않도록 진동범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에 형성된 구멍은 상기 완충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렌즈, LED 및 CDS 센서가 수직 및 수평방향 진동시 상판의 구멍에 부딪치지 않도록 진동범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크게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스프링의 단면 직경에 해당되는 피치(pitch)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아울러 스페이서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두개의 스페이서가 스프링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 스페이서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상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페이서와, 스페이서의 중앙에 보스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페이서가 스프링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 또는 스페이서의 중앙에 보스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두개의 스페이서가 스프링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제3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를 사용하여 저장부,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을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을 일측으로 우측을 타측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DVR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상기 DVR 시스템은 카메라 본체(3)와 상기 카메라 본체(3)와 케이블(99)로 연결되는 DVR 본체(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본체(3)는 렌즈(70)가 설치된 회로기판(7); 상기 회로기판(7)을 고정시키도록 바닥판(4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40); 및 상판(31) 및 측면판(32)이 형성된 상부케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판(31)에는 렌즈(70), CDS 센서(72) 및 LED(71)가 노출되기 위한 구멍(33,34,35,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 본체(3)의 전면부에는 중앙에 렌즈(70)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렌즈(70)의 양측으로 복수의 LED(71)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70)의 상측으로는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LED(71)를 발광 작동시키기 위한 CDS 센서(72)(광량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그 반대편에는 마이크(7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CDS 센서(72)는 주위의 빛을 읽어들일 수 있는 photo resistor 이며, 빛의 양에 따라서 저항이 변화된다. 즉 상기 CDS 센서(72)를 이루고 있는 CDS 셀(cell)은 완전한 암흑속에서 가장 큰 저항을 나타내고, 빛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저항은 감소하며, 이와 같이 CDS의 저항을 측정함으로 해서 주위의 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DS 센서(72)에 의하여 감지된 광량에 따라 상기 카메라 본체(3)에 내장된 회로기판(7)은 상기 LED(71)의 점멸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 본체(3)는 차량 또는 운송수단의 전후방 또는 내부 공간을 촬영하기 위하여 적절한 장소에 설치되는데 상기 카메라 본체(3)의 케이스 양측으로 브라켓(37)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카메라 본체(3)의 배면부에는 전원 및 통신 케이블(99)이 연결되기 위한 접속단자(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DVR 본체(1)는 상기 카메라 본체(3)와 연결된 케이블(99)이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저장 및 처리하도록 데이터 저장부(5)와 영상보드(6)가 내장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5)가 DVR 본체(1)의 바닥판(27)에 고정 지지되어 있고, 상기 영상보드(6)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하측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DVR 본체(1)는 바닥판(27)과 상기 바닥판(27)을 중심으로 전후측으로 연장되어 각각 상향 절곡된 전면판(21) 및 후면판(2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부케이스(20);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각각 하향 절곡된 측면판(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케이스(10); 상기 바닥판(27) 상에 고정되는 데이터 저장부(5);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하측에 고정되어 데이터 저장부(5), 카메라 본체(3) 및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영상보드(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5)는 영상보드(6)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 정보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저장(백업)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컴퓨터용 하드디스크(52)와 같은 수단으로 5.25인치, 3.5인치 및 노트북용 2.5인치 등의 다양한 규격을 갖는 데이터 저장장치를 칭하며, 이러한 데이터 저장장치가 하드디스크 박스(51)에 수납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도록 하드랙(50)의 내부 공간에 결합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하드랙(50)에는 상기 하드디스크 박스(51)가 결합된 상태로 잠금되어 보호될 수 있도록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21)의 상부에는 상기 하드랙(50)이 인출되기 위한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조작버튼(63) 및 작동표시 LED(64)가 형성된 조작판넬(60)이 설치되도록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21)에 형성된 구멍(22,23) 특히 상기 하드랙(50)이 인출되기 위한 구멍(22)은 상기 완충부재(8)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하드랙(50)의 전면부가 수직 및 수평방향 진동시 전면판(21)의 구멍(22)에 부딪치지 않도록 진동범위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판(25)에는 상기 영상보드(6)의 입출력단자(61)가 노출되도록 구멍(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판(25) 및 측면판(12)에는 상기 DVR 본체(1)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배출시켜 주기 위한 통기구(13,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21)의 상단부 중앙에는 잠금장치(90)의 고리부가 삽입되기 위한 잠금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21)을 덮어 주기 위한 도어(9)의 소정의 위치 즉 상기 잠금구멍(2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잠금장치(9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9)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면판(21)에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힌지(9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9)의 하단부 중앙에는 상기 조작판넬(60)의 중앙에 형성된 작동표시 LED(64)의 점멸 상태가 외부에서도 확인될 수 있도록 하고, 리모콘 신호 수신부인 IR리시버로 IR빔이 투시될 수 있도록 투시창(9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DVR 본체의 정면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도어(9)가 상기 DVR 본체(1)의 전면판(21)을 덮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9)의 중앙 상부에는 잠금장치(9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어(90)의 하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창(91)이 형성되어 조작판넬(60)의 중앙에 형성된 복수의 작동표시 LED(64)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DVR 본체의 배면도이며, 상기 DVR 본체(1)의 후면판(25)에 형성된 구멍(26)으로 상기 DVR 본체(1) 내부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상부에 고정된 영상보드(6)의 입출력단자(6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DVR 본체(1)는 차량 또는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작동되 므로 운행중 도로면의 요철 등에 의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고 이것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5) 및 영상보드(6)로 전달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8')에 의하여 고정 지지된 영상보드(6)가 진동하더라도 상기 영상보드(6)의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입출력단자(61)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후면판(25)에 형성된 구멍(26)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후면판(25)에는 각각의 구멍(26)이 진동범위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의 분해 상태 단면도이며, 상기 완충부재(8)는 한 쌍의 너트형 스페이서(80)와 스프링(81)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너트형 스페이서(80)(nut type spacer)는 통상 육각기둥으로 제작되는데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단차가 가공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서(80)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스프링(81)의 단면 직경에 해당되는 피치(pitch)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80)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영상보드(6), 회로기판(7), 바닥판(27,41), 상판(11) 및 하드랙 홀더(53)의 리브(54)에 형성된 구멍(28,43,55,74)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82)가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8)는 스프링(81)의 양단으로 상기 너트형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각각의 스페이서(80)가 나선 결합되어 완성되며, 이의 외측으로 상판(11), 바닥판(27,41), 하드랙 홀더(53)의 리브(54), 영상보드(6) 및 회로기판(7)에 형성된 구멍(28,43,55,74)을 일치시킨 상태로 볼트(82)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부(5), 영상보드(6) 및 회로기판(7)을 고정 및 탄성 지지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의 분해 상태 단면도이며, 상기 완충부재(8')는 한 개의 너트형 스페이서(80), 한 개의 링형 스페이서(80')(ring type spacer) 및 스프링(81)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너트형 스페이서(8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성 요소와 동일하고, 상기 링형 스페이서(80')는 통상 육각기둥으로 제작되는데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단차가 가공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서(80,80')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스프링(81)의 단면 직경에 해당되는 피치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80')의 중앙에 보스(29,58)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있으며, 상기 바닥판(27) 및 상기 하드랙 홀더(53)의 리브(54)의 연장 절곡단(57)에 형성된 보스(29,58)에 상기 링형 스페이서(8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스(29,58)의 상측으로 볼트(82')가 결합되어 일체화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8')는 상기 보스(29,58)에 상기 링형 스페이서(80')가 끼워진 상태로 볼트(82')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상기 스프링(81)의 일단이 나선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81)의 타단은 상기 너트형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페이서(80)가 나선 결합되며, 이의 외측으로 측면판(12) 및 영상보드(6)에 형성된 구멍(14,62)을 일치시킨 상태로 볼트(82)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부(5) 및 영상보 드(6)를 고정 및 탄성 지지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의 분해 상태 단면도이며, 상기 완충부재(8")는 한 쌍의 링형 스페이서(80')와 스프링(81)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링형 스페이서(8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8")는 상판, 바닥판(27') 및 하드랙 홀더(53)의 리브(54')에 형성된 보스에 상기 링형 스페이서(8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스의 상측으로 볼트(82')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한 쌍의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상기 스프링(81)의 양단이 나선 결합되므로써 데이터 저장부(5) 및 영상보드(6)를 고정 및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8")의 적용예는 비록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상기 DVR 본체(1) 및 카메라 본체(3)의 외부면에 볼트(82)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보스와 링형 스페이서(80')를 사용한 방법을 응용하면 본 발명에 의한 DVR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부(5), 영상보드(6) 및 회로기판(7)을 고정 지지하는 수단으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에 의하여 DVR 본체 내부에 데이터 저장부 및 영상보드가 고정 지지되기 위한 상태의 분해 단면도이며, 상기 바닥판(27)에는 영상 보드(6)가 완충부재(8')에 의하여 고정 지지되어 있고, 상기 영상보드(6)의 상측에는 데이터 저장부(5)가 위치되어 상기 바닥판(27) 상에 완충부재(8)에 의하여 고정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상측에는 상판(11)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27)에는 상기 영상보드(6)의 양측 구멍(62)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스(2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상보드(6)의 양외측 바닥판(27)에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5)를 수납하고 있는 하드랙 홀더(53)의 양측 하단부에 형성된 리브(54)의 구멍(55)과 대응되도록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영상보드(6)와 보스(29)가 형성된 상기 바닥판(27) 사이에는 일단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너트형 스페이서(80)와 링형 스페이서(80')가 스프링(81)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완성된 완충부재(8')가 삽입 위치되는데, 이때 상기 링형 스페이서(80')는 상기 바닥판(27)에 형성된 보스(29)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82')가 결합되어 일체화 되고, 상기 링형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스프링(81)의 하단부가 나선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81)의 상단부와 상기 너트형 스페이서(80)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나선 결합되면 이후 상기 너트형 스페이서(80)의 상측으로 상기 영상보드(6)가 얹어지며 상기 영상보드(6)의 양측에 형성된 구멍(62)으로 볼트(82)를 삽입하여 상기 영상보드(6)를 상기 바닥판(27)에 고정 지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5)를 수납하고 있는 하드랙 홀더(53)의 리브(54)와 상기 바닥판(27) 사이에는 일단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너트형 스페이서(80)가 스프링(81)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완성된 완충부재(8)가 삽입 위치되 고, 상기 스페이서(80)의 중앙 구멍과 상기 리브(54)의 구멍(55) 및 바닥판(27)의 구멍(28)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브(54)의 상측 및 상기 바닥판(27)의 하측에 형성된 구멍(28,55)으로 볼트(82)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5)를 고정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8')에 의하여 상기 바닥판(27)에 고정 지지된 영상보드(6)의 상측에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5)가 완충부재(8)에 의하여 상기 바닥판(27)에 고정 지지되는데, 결과적으로 상기 영상보드(6)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5)에 의하여 상부가 완전히 덮어지게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에 의하여 DVR 본체 내부에 데이터 저장부 및 영상보드가 고정 지지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바닥판(27)과 상기 영상보드(6)의 하부 사이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바닥판(27)과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하부 사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8,8')를 각각 삽입한 후 상술한 도 4a의 설명과 같은 방법으로 이를 볼트(82,82')로 결합하여 각 구성요소를 고정 지지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부재(8,8')가 DVR 본체(1) 내부에서 데이터 저장부(5) 및 영상보드(6)의 하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탄성 지지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켜 주도록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5)를 이루고 있는 하드랙(50)의 전후방 및 측방과 DVR 본체(1)의 케이스 내부면 사이에 상기 완충부재(8,8')를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5)를 고정 지지하므로써 보다 견고하게 상기 데이터 저장부(5)를 지지하면서 완충효과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8')를 사용하여 상기 측면판(12)에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5)를 수납하고 있는 하드랙 홀더(53)의 리브(54)를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측면판(12)에 인접하도록 연장한 후 상향 절곡하여 연장 절곡단(57)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 절곡단(57)의 외측면에는 보스(58)를 형성하며, 상기 보스(58)와 대응되도록 상기 측면판(12)에 구멍(14)을 형성한다. 상기 리브(54)의 연장 절곡단(57)과 상기 측면판(12) 사이에 완충부재(8')를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5)를 측방향으로 지지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링형 스페이서(80')가 상기 연장 절곡단(57)에 형성된 보스(58)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82')가 결합되어 일체화 되고, 상기 링형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스프링(81)의 하단부가 나선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81)의 상단부와 상기 너트형 스페이서(80)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나선 결합되면 이후 상기 너트형 스페이서(80)의 외측으로 상기 측면판(12)에 형성된 구멍(14)을 일치시킨 후 볼트(82)를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5)를 측방향으로 고정 지지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하부 및 측방을 고정 지지하는데 한정되지 않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상부와 상기 상판(11)의 내측면 사이를 완충부재(8')로 지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상기 데이터 저장부를 고정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부재(8')를 사용하여 상기 상판(11)에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상측을 지지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상판(11)과 보스가 형성된 상기 하드랙 홀더(53)의 상판 사이에 일단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너트형 스페이서(80)와 링형 스페이서(80')가 스프링(81)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완성된 완충부재(8')가 삽입 위치되는데, 이때 상기 링형 스페이서(80')는 상기 하드랙 홀더(53)의 상판에 형성된 보스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82')가 결합되어 일체화 되고, 상기 링형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기 스프링(81)의 하단부가 나선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81)의 상단부와 상기 너트형 스페이서(80)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나선 결합되면 이후 상기 너트형 스페이서(80)의 상측으로 상기 상판(11)이 덮어지며 상기 상판(11)에 형성된 구멍으로 볼트(82)를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5)를 상기 상판(11)에 고정 지지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에 의하여 카메라 본체 내부에 렌즈가 설치된 회로기판이 고정 지지되기 위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상기 회로기판(7)의 상하부에는 상부케이스(30) 및 하부케이스(40)가 각각 위치되어 있고, 상기 회로기판(7)과 상기 하부케이스(40) 사이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8)가 각각 위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30)는 상판(31)을 중심으로 전후 및 측방으로 하향 절곡된 측면판(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31)의 중앙에는 렌즈(7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멍(3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에는 회로기판(7) 상에 일렬로 정렬된 네 개의 LED(71)가 각각 노출되도록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 (70)가 삽입되는 구멍(33)의 전측에는 마이크(73)와 근접하게 구멍(36)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70)의 구멍(33) 후측 즉 상기 마이크(73) 구멍(36)의 반대편에는 회로기판(7) 상에 형성된 CDS 센서(72)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위의 광량을 감지하도록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양 측면판(32) 중앙에는 카메라 본체(3)가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브라켓(37)과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7)의 중앙에는 렌즈(70)가 직립 설치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네 개의 LED(71)가 각각 일렬로 정렬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70)의 전측에는 마이크(73)가 후측에는 CDS 센서(7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40)는 바닥판(41)을 중심으로 전후 및 측방으로 상향 절곡된 측면판(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판(42)은 외관상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전후방에 형성된 측면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41)의 둘레부 네 지점에는 상기 회로기판(7)의 네 모서리를 완충부재(8)로 지지하기 위하여 볼트(82) 삽입 구멍(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41)의 배면에는 DVR 본체(1) 및 외부 전원과 케이블(99)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단자(4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7)과 상기 바닥판(41) 사이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재(8)가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는데, 상기 완충부재(8)는 일단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스페이서(80)가 스프링(81)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완성되며, 상기 완충부재(8)의 하단은 상기 바닥판(41)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볼트(82)에 의하 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완충부재(8)의 상단은 상기 회로기판(7)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볼트(82)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7)과 상기 하부케이스(40)가 상기 완충부재(8)에 의하여 고정 지지되면 상기 상부케이스(30)가 상기 하부케이스(40)에 덮어지고 볼트(82)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에 의하여 카메라 본체 내부에 렌즈가 설치된 회로기판이 고정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상기 회로기판(7)에 설치된 렌즈(70), LED(71) 및 CDS 센서(72)가 상기 상부케이스(30)의 각 구멍(33,34,35)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카메라 본체(3)는 차량 또는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작동되므로 운행중 도로면의 요철 및 급제동에 의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고 이것이 상기 회로기판(7)으로 전달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8)에 의하여 고정 지지된 회로기판(7)이 진동하더라도 상기 회로기판(7)에 형성된 렌즈(70), LED(71) 및 CDS 센서(72)가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상판(31)에 형성된 구멍(33,34,35)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31)에는 구멍(33,34,35)이 진동범위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DVR 시스템은 차량 또는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것으로 운행중 도로면의 요철 및 급제동에 의하여 상기 DVR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DVR 본체 및 카메라 본체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진동 및 충격이 발생되어도 상기 DVR 본체의 데이터 저장부 및 영상보드와 상기 카메라 본체의 회로기판이 완충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줄 수 있었다.
특히 상기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의 네 지점 또는 다수의 지점이 본 발명의 완충부재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하여 상기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이 변형되지 않고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평탄하게 진동되면서 그 진동이 감쇄되기 때문에 상기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부품 및 소자들이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의 인쇄회로로부터 단락되는 문제점이 해결되었다.
또한 하부케이스의 전면판에 형성된 구멍이 상기 하드랙의 진동범위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드랙이 어느 방향으로 진동되어도 상기 하드랙의 전면이 상기 전면판의 구멍에 부딪치지 않게 되며, 상기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 역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어도 상기 상부케이스의 구멍 및 후면판의 구멍이 진동범위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영상보드의 입출력단자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후면판에 부딪치게 되어 영상보드가 파손 및 변형되거나 또는 상기 회로기판의 렌즈, 복수의 LED 및 CDS 센서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판에 부딪치게 되어 부품 및 소자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 완충부재는 두 개의 스페이서와 스프링을 나선 결합하여 간편하게 완성할 수 있었으며, DVR 본체 및 카메라 본체의 내부 어느 지점이라도 데이터 저장부, 영상보드 및 회로기판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고정하고자 하는 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에 구멍을 천공하면 상기 완충부재와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요소들을 용이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DVR 본체 및 카메라 본체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는 상기 완충부재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상기 구성요소의 하부를 고정 지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의 상측면 및 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향 및 측방향으로 작용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었다.

Claims (12)

  1. 카메라 본체(3) 및 이와 케이블(99)로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저장 및 처리하도록 데이터 저장부(5)와 영상보드(6)가 내장된 DVR 본체(1)로 구성된 DVR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VR 본체(1)는,
    바닥판(27), 전면판(21) 및 후면판(25)이 형성된 하부케이스(20);
    상판(11) 및 측면판(12)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0);
    상기 바닥판(27)에 고정되는 데이터 저장부(5); 및
    상기 바닥판(27)에 고정되되 상기 데이터 저장부(5)의 하측에 고정되어 데이터 저장부(5), 카메라 본체(3) 및 외부장치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영상보드(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판(21)의 상부에는 하드랙(50)이 인출되기 위한 구멍(22)이, 하부에는 조작버튼(63) 및 작동표시 LED(64)가 형성된 조작판넬(60)이 설치되도록 구멍(2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판(25)에는 상기 영상보드(6)의 입출력단자(61)가 노출되도록 구멍(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27)과 상기 데이터 저장부(5) 및 상기 영상보드(6) 사이에는 일단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스페이서(80,80')가 스프링(81)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진 완충부재(8,8',8")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이를 볼트(82,82')로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3)는,
    렌즈(70)가 설치된 회로기판(7);
    상기 회로기판(7)을 고정시키도록 바닥판(4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40); 및
    상판(31) 및 측면판(32)이 형성된 상부케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판(31)에는 렌즈(70), CDS 센서(72) 및 LED(71)가 노출되기 위한 구멍(33,34,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7)과 상기 바닥판(41) 사이에는 일단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스페이서(80)가 스프링(81)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진 완충부재(8)가 삽입 설치되어 이를 볼트(82)로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VR 본체(1)의 전면에는 전면판(21)을 덮어 주기 위한 도어(9)가 힌지(92)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9)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도어(9)와 상기 전면판(21)이 잠궈지도록 잠금장치(9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9)의 소정 위치에는 조작판넬(60)에 설치된 복수의 작동표시 LED(64)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9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21)에 형성된 구멍(22)은 상기 완충부재(8)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하드랙(50)의 전면부가 수직 및 수평방향 진동시 전면판(21)의 구멍(22)에 부딪치지 않도록 진동범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25)에 형성된 구멍(26)은 상기 완충부재(8')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영상보드(6)의 입출력단자(61)가 수직 및 수평방향 진동시 후면판(25)의 구멍(26)에 부딪치지 않도록 진동범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1)에 형성된 구멍(33,34,35)은 상기 완충부재(8)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렌즈(70), LED(71) 및 CDS 센서(72)가 수직 및 수평방향 진동시 상판(31)의 구멍(33,34,35)에 부딪치지 않도록 진동범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DVR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80,80',80")는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크게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스프링(81)의 단면 직경에 해당되는 피치(pitch)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8)는 스페이서(80)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두개의 스페이서(80)가 스프링(81)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8')는 스페이서(80)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페이서(80)와, 스페이서(80')의 중앙에 보스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 스페이서(80')가 끼워져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페이서(80')가 스프링(81)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8")는 스페이서(80')의 중앙에 보스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 스페이서(80')가 끼워져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80')의 상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두개의 스페이서(80')가 스프링(81)의 양단으로 나선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VR 시스템.
KR1020040091818A 2004-11-11 2004-11-11 Dvr 시스템 KR100594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818A KR100594640B1 (ko) 2004-11-11 2004-11-11 Dvr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818A KR100594640B1 (ko) 2004-11-11 2004-11-11 Dvr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884U Division KR200374349Y1 (ko) 2004-11-11 2004-11-11 Dvr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818A KR20060046818A (ko) 2006-05-18
KR100594640B1 true KR100594640B1 (ko) 2006-07-03

Family

ID=3714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818A KR100594640B1 (ko) 2004-11-11 2004-11-11 Dvr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011B1 (ko) * 2014-12-12 2015-06-29 주식회사 브이에스컴텍 휴대용 cctv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8785A (ja) * 1993-01-09 1994-07-26 Sony Corp ダンパ及びフローティング機構
KR0126549B1 (en) * 1989-04-29 1998-04-01 Thomson Brandt Gmbh Device with vibration-sensitive parts
JPH10188526A (ja) 1996-12-26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01351371A (ja) 2000-06-07 2001-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ディスク装置
KR200360854Y1 (ko) 2004-06-02 2004-09-07 주식회사 에스다임 완충장치를 갖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549B1 (en) * 1989-04-29 1998-04-01 Thomson Brandt Gmbh Device with vibration-sensitive parts
JPH06208785A (ja) * 1993-01-09 1994-07-26 Sony Corp ダンパ及びフローティング機構
JPH10188526A (ja) 1996-12-26 1998-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01351371A (ja) 2000-06-07 2001-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ディスク装置
KR200360854Y1 (ko) 2004-06-02 2004-09-07 주식회사 에스다임 완충장치를 갖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818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8869B (zh) 支架、安装系统、模板纸、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机
JP5542353B2 (ja) ディスプレーアセンブリー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CN101448376B (zh) 组件总成和电子装置
KR20210091108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JP2007122053A (ja) 表示装置
JP2006189856A (ja) 表示装置
JP2006251241A (ja) 表示素子の取付け構造及び表示素子を有するデジタルカメラ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0594640B1 (ko) Dvr 시스템
KR200374349Y1 (ko) Dvr 시스템
KR20050099621A (ko) 평판형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55548A (ko) 카메라 모듈
US9270923B2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JP2006202817A (ja) 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電子機器
JP202352972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356902B1 (ko) 공업용 소형 전자 촬상 카메라
JP2005267675A (ja) 横置き・壁掛け兼用可能な電子機器
JP6707901B2 (ja) 表示装置
JP2007298576A (ja) 弾性リブを有するインジケータ回路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543120B1 (ja) 電子機器
JP6733865B2 (ja) カメラ装置
TWI843552B (zh) 具有可增加向下視角之傾斜電纜附件之安全攝影機系統
CN212083877U (zh) 一种抗振的投影仪外壳
KR100950507B1 (ko) 전자기기의 케이싱
JP5163790B2 (ja) 回路基板の固定構造及び記録媒体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