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378B1 - Sal-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항노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Sal-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항노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378B1
KR100594378B1 KR1020040074449A KR20040074449A KR100594378B1 KR 100594378 B1 KR100594378 B1 KR 100594378B1 KR 1020040074449 A KR1020040074449 A KR 1020040074449A KR 20040074449 A KR20040074449 A KR 20040074449A KR 100594378 B1 KR100594378 B1 KR 100594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
present
acid
compound
peroxynit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692A (ko
Inventor
정해영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74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37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45Amines having sulfur, e.g. thiurams (>N—C(S)—S—C(S)—N< and >N—C(S)—S—S—C(S)—N<), Sulfinylamines (—N=SO), Sulfonylamines (—N=SO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5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s heteroa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리실레이트 (Salicylate) 유도체 SAL-2(Salicylideneamino-2-thiophenol)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SAL-2 화합물은 페록시니트라이트 (Peroxynitrite, ONOO-)를 제거하여 이로부터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SAL-2 화합물은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고, 노화 또는 염증이 진행되는 동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NF-κB (Nuclear factor-κB)를 저해하여 IκB-α 분해 억제,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유도성 니트릭 옥사이드 (inducible nitric oxide, iNOS) 등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노화 또는 염증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므로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SAL-2, 페록시니트라이트, NF-κB, COX-2, iNOS, 항노화작용,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SAL-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SAL-2(Salicylideneamino-2-thiophenol) as an effective component using as a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or anti- aging agent}
도 1은 SAL-2의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O2 -)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는 SAL-2의 페록시니트라이트(Peroxynitrite, ONOO-)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은 SAL-2의 총 활성산소종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는 SAL-2의 노화 흰 쥐의 신장에서 발생하는 총 활성 산소종의 소거능(도 4a), 글루타치온 생성능(도 4b)을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SAL-2의 HNE(4-Hydroxynonenal)에 의해 유도된 NF-κB(도 5a), COX-2도 5c), iNOS(도 5d)의 발현 억제효과 및 IκB-α(도 5b)의 분해(degradation)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SAL-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페록시니트라이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란 인간이 태어나서 사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기능적, 구조적, 생화학적 과정으로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와 신체조직 전체에 일어나며, 대사속도의 저하, 질병증가, 적응력 저하 등을 나타내어 궁극적으로는 세포와 신체 전체의 사망에 이르게 되는 현상이다. 노화 과정 및 원인을 설명하는 학설은 크게 유전자설(Chung.H.Y. et al., Kor. J. Gerontol. 2 : pp1-11, 1992)과 소모설(Chung.H.Y. et al., Kor. J. Gerontol. 2 : pp 1-11, 1992)로 나뉜다. 유전자설은 생물체가 태어날 때부터 이미 수명을 결정하는 프로그램이 짜여진 유전자를 갖고 있으며, 노화와 관련된 유전자의 활동에 의해 예정된 순서대로 노화가 진행된다는 이론으로 노화시계이론(aging clock theory), 다면발현성 유전자설(pleiotropic gene theoty), 텔로미어 이론(telomere theory), 돌연변이축적설(mutation accumulation theory)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 소모설은 기계를 오래 사용하면 소모가 되는 것처럼 생물체의 구성세포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능이 저하된다고 설명하거나(wear & teat theory), 유해물질의 축적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며, 특히 그 중에서도 인체 대사과정, 방사능 노출, 바이러스, 중금속 및 대기오염 등을 통해 생성되는 자유라디칼들이 독성이 강한 물질을 형성함으로써 노화를 촉진할 뿐 아니라 노화와 관련된 각종 질병을 일으킨다는 자유 라디칼 이론(free radical theory)이 가장 유력한 학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유 라디칼은 최외곽 전자궤도에 짝짓지 않은 전자를 하나 가지는 물질을 총칭하는데, 그 구조가 매우 불안정하여 전자를 얻어 안정화하려는 성질로 인해 반응성이 매우 높다. 특히 산소에서 유래되는 자유 라디칼을 활성산소라 칭하며, 이들은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과 반응하여 지질과산화, DNA손상, 단배질의 산화등을 유발하여 세포내 구조물에 손상을 야기하며 결과적으로 세포의 사멸을 초래하게 되며 특히 혈관노화의 원인으로 염증과정에 관여함으로써 동맥경화, 알츠하이머, 혈중에 호모시스테인을 증가시킨다.
산소와 관련된 인체 내 독성물질을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ROS의 종류로는 수퍼옥사이드(superoxide), 히드록실(hydroxyl), 페록실(peroxyl), 알콕실(alkoxyl), 히드로페록실(hydroperoxyl)과 같은 프리라디칼(유리기, free radical)과 히드로젠페록사이드(hydrogenperoxide), 히포클로로스 산(hypochlorous acid), 오존(ozone),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 페록시니트라이트(peroxinitrite) 등과 같은 비(非)프리 라디칼(비유리기, non free radial)이 있다. 이 중에서 산소 독성 중 가장 많이 연구되어 왔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수퍼옥사이드로 프리 라디칼(superoxide free radical, 활성 산소 또는 유해산소)이라고 알려져 있다(Fridovich L., Science, 201: pp175-180,1978).
특히 생체내에서는 나이트릭옥사이드(NO: Nitric Oxide)와 수퍼옥사이드( O2 -: superoxide)가 동시에 발생하는 조건에서 라디칼-라디칼 반응으로 비프리라디칼 페록시니트라이트(Peroxynitrite, ONOO-)가 쉽게 생성된다. 페록시니트라이트는 그 반감기가 밀리초(milisecond)로 다른 라디칼에 비하여 오랜 시간 존재하며 그 반응성 또한 매우 높으므로 활성 질소종 유래 독작용의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페록시니트라이트의 독성 작용은 알츠하이머, 암, 관절염, 동맥경화, 피부 염증 등 여러 질환 및 노화 관련 질환과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ay G, Husain SA, Indian J. Exp. Biol., Oxidants, antioxidants and carcinogenesis., Nov;40(11): pp1213-1232, 2002; Oliveira GV et al., Shock. Skin nitric oxide and its metabolites are increased in nonburned skin after thermal injuries., Sep;22(3): pp278-282, 2004; Lancel S et al., J. Am. Coll. Cardiol., Peroxynitrite decomposition catalysts prevent myocardial dysfunction and inflammation in endotoxemic rats., 16;43(12): pp2348-2358, 2004).
이렇게 생성된 페록시니트라이트는 그 반감기가 밀리초 범위(millesecond range)로 세포를 통과하기에 충분한 시간이며, 세포내 표적물과 반응해서 산화, 니트로화를 일으키고 세포신호전달을 혼란시킨다. 페록시니트라이트는 니트릭옥사이드(NO)와 슈퍼옥사이드(O2 -)보다 독성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질, 단백질, 그리고 DNA의 산화와 니트로화 과정을 통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완, 혈소판 응집 저해 및 아미노산의 변형, 지질과산화의 유도에 의한 세포독성 등에 관여한다. 이러한 페록시니트라이트가 암, 관절염, 동맥경화 뿐만 아니라 노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ay G, Husain SA, Indian J. Exp. Biol., Oxidants, antioxidants and carcinogenesis., Nov;40(11): pp1213-1232, 2002; Oliveira GV et al., Shock. Skin nitric oxide and its metabolites are increased in nonburned skin after thermal injuries., Sep;22(3): pp278-282, 2004; Lancel S. et al., J. Am. Coll. Cardiol., Peroxynitrite decomposition catalysts prevent myocardial dysfunction and inflammation in endotoxemic rats., 16;43(12): pp2348-2358, 2004)
상기의 페록시니트라이트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며, 천연물에서 유래한 항산화제와 합성산화제가 다수 개발되어 의약품과 식품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생체에는 페록시니트라이트를 제거하는 효소가 없으므로, 천연물을 이용한 페록시니트라이트에 대한 독성을 방지하는 연구들이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비타민 E 등이 보고되었다. (Stevens JF et al., Chem. Res. Toxicol., Inhibition of peroxynitrite-mediated LDL oxidation by prenylated flavonoids: the alpha,beta-unsaturated keto functionality of 2'-hydroxychalcones as a novel antioxidant pharmacophore., 16(10): pp1277-1286, 2003; Beharka AA et al., Free Radic. Biol. Med., Mechanism of vitamin E inhibition of cyclooxygenase activity in macrophages from old mice: role of peroxynitrite., 15;32(6): pp503-511, 2002).
염증 반응은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오히려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이끈다.
생체에 있어서 염증의 발생원인으로서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니트릭옥사이드(nitric Oxide; NO)를 발생시키는 효소인 니트릭옥사이드 신타제(nitric oxide synthase; NOS)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합성과 관련된 효소들은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NO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NOS나,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류를 합성하는데 관련된 효소인 COX (cyclooxygenase)는 염증을 차단하는데 있어서 주된 목표가 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NOS는 몇 가지 종류가 존재하는데 뇌에 존재하는 bNOS (brain NOS), 신경계에 존재하는 nNOS(neuronal NOS), 혈관계에 존재하는 eNOS(endothelial NOS) 등은 체내에 항상 일정수준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이들에 의해 소량 생성되는 NO는 신경전달이나 혈관확장을 유도하는 등 정상적인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반하여,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s)이나 외부 자극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iNOS(induced NOS)에 의해 급격히 과량 발생되는 NO는 세포독성이나 각종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만성 염증은 iNOS 활성의 증가와 관련 있다는 연구가 있다(Miller M. J. et al., Mediators of inflammation, 4, pp387-396, 1995 : Appleton L. et al., Adv. Pharmacol., 35 , pp27-28, 1996).
또한, 시클로옥시게나제도 2종류의 이소형태가 존재하는데, 시클로옥시게나제-1(cyclooxygenase-1, COX-1)은 세포내에 항상 존재하여 세포보호작용에 필요한 프로스타글란딘(PGs)을 합성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것에 반하여, COX-2는 염증반응시 세포내에서 급격히 증가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eisz A., Biochem. J., 316, pp209-215, 1996). NO와 PGs의 정도를 향상시키는 iNOS 및 COX-2를 포함하는 전사 염증 인자는 다양한 경화(sclerosi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쯔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및 결장암(colon cancer)을 포함하는 만성 질환의 병인에 관련한다.
NF-κB는 Rel 유전자계(Rel gene family)의 핵단백질로서, 세포질에서는 I-κB와 결합되어 불활성인 형태로 존재하나, 유해산소(reactive oxygen),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IL-1 (Interleukin-1)과 같은 케모카인(chemokines) 및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와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I-κB 키나제(kinase)가 활성화된 후 인산화 과정을 통해 I-κB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 p50과 p65의 헤테로다이머(heterodimer)로 구성된 NF-κB는 활성화된 후, 핵으로 이동하여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h, G. T. et al., Atherosclerosis, 159(1), pp17-26, 2001 : Epstein, F. H. et al.,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6(15), pp1066-1071, 1997 : Zhang W. J. et al., FASEB J, 15(130), pp2423-2432, 2001 : Denk, A. et al., J. Biol. Chem., 276(30), pp28451-28458, 2001 : Sahnoun Z. et al., Physiology, 53(4), pp315-339, 1998 : Lindner V., Pathobiology, 66(6), pp311-320, 1998 : Landry, D. B. et al., Am. J. Pathol., 151(4), pp1085-1095, 1997 : Gerritsen, M. E. et al., Am. J. Pathol., 147(2), pp278-292, 1995).
SAL-2(Salicylideneamino-2-thiophenol)는 살리실레이트의 유도체로서, 여기서 살리실레이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살리실레이트(Salicylate, Salicylic acid)은 O - 옥시벤조산에 해당한다. 화학식 C7H6O3 , 분자량 138.12, 녹는점 159℃, 비중 1.443, 승화성이 있고, 에테르, 에탄올 등 유기용매에 녹는다. 산성이고, 또 페놀이기도 하므로 염화철(Ⅲ)수용액을 가하면 보라색을 띤다. 천연으로는 에스테르의 형태로 대부분의 정유속에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석남과 가울테리아속의 잎의 향유는 살리실산메틸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옛날부터 이것에서 살리실레이트를 얻었다. 건조한 나트륨페녹시드와 이산화탄소를 가열, 가압하여 반응시키면 생긴다. 이 반응은 1861년 A.W. 콜베가 처음 합성에 성공한 것을 R.슈미트가 개량하였으므로 콜베-슈미트의 반응(Kolbe-Schmitt reaction) 이라 한다. 살리실레이트는 해열, 진통의 작용을 지니고 있으므로, 나트륨염이나 칼슘염으로 내복하며, 또 각종 약물에 살리실레이트를 결합시켜 용해성, 안정성, 약리성 등을 개량하는데 쓰인다. 또 각질의 병적인 증식(사마귀, 티눈)을 제거하기 위한 고약으로 사용되고 메틸에스테르는 외용 도포약으로 진통, 소염 등에, 페닐에스테르는 장, 요도 등의 방부제로 사용된다. 또한 식품 방부제로 사용되었으나, 독성이 문제가 되어,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SAL-2가 인체에 유해한 페록시니트라이트를 제거하고, 노화 또는 염증의 지표로 알려진 NF-κB의 작용기전을 조절하여 IκB-α 분해 억제,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유도성 니트릭 옥사이드(inducible nitric oxide, iNOS) 등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이 교시되거나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살리실레이트의 유도체인 SAL-2(Salicylideneamino-2-thiophenol)이 페록시니트라이트를 제거하여 이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고, 노화 또는 염증이 진행되는 동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NF-κB (Nuclear factor κB)를 억제하여 IκB-α 분해 억제,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유도성 니트릭 옥사이드(inducible nitric oxide, iNOS)등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노화 또는 염증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상기 물질이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약학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SAL-2 화합물을 포함하여 페록시니트라이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또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학구조를 갖는 SAL-2(Salicylideneamino-2-thiophenol)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페록시니트라이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4042210704-pat00001
상기 페록시니트라이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에는 알츠하이머, 암, 관절염, 동맥경화, 피부염증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AL-2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총활성산소종의 발생을 특이적으로 억제하고,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NF-κB 조절기전을 통한 IκB-α 분해 억제, COX-2, 또는 iNOS 의 발현을 억제함에 기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SAL-2 화합물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합성방법에 의하여 수득하거나 시중구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SAL-2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페록시니트라이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SAL-2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SAL-2 화합물의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SAL-2의 수퍼옥사이드와 페록시니트라이트의 제거능을 측정한 결과, SAL-2의 농도 의존적으로 수퍼옥사이드, 페록시니트라이트, 총활성산소종의 생성이 억제되었고, YPEN-1세포에서 HNE에 의해 유도된 NF-κB, COX-2, iNOS의 발현이 SAL-2의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IκB-α의 분해가 SAL-2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여 SAL-2 화합물의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 (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의 화학식 1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5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 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1 내지 5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SAL-2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SAL-2 화합물은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1 내지 3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3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하며, 하기에 예시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 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의 준비
1-1. 시약
SAL-2는 TCI(Tokyo kasei), 페니실라민(penicillamine)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 Chemical Co. - St. Louis, MO, USA)에서, HNE(4-hydroxynonenal) 와 페록시니트라이트(peroxynitrite, ONOO-)는 케이만사(Cayman Chemical Co. - Ann Arbor, MI,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디하이드로로다민(dihydrorhodamine)123, DCFDA(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는 몰레큘라 프로브사(Molecular probes - Eugene, OR,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디아미노플루오리세인(diaminofluorescein)은 다이이치화학회사(Daiichi Chemicals., Japan)로부터 구입하였다. YPEN-1 세포(rat prostate endothelial cells)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USA)에서, NF-κB, IκB-α, COX-2, iNOS 항체들과 이들의 2차 항체인 염소 폴리(goat poly), 토끼 폴리(rabit poly)는 산타쿠르즈 바이오 테크놀로지 사(Santa Cruz Biotechnology - Santa Cruz CA. USA)에서 구입하였다. 그 밖에 세포배양에 사용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Media)배지,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트립신(trypsin),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은 GIBSCO에서 구입하였고, 암포테리신 B(amphotericin B)는 시그마에서, 단백질 분석 시약(protein assay reagents)은 파이오엘스(Pioerce)사에서 구입하였다. 디벨로프 (develope)는 아머샴(Amersham life science)에서 구입한 ECL (enhanced chemiluminescence)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1-2. 실험기기
미세판 형광 판독기(microplate fluorescence Genious, Tecan, Austria), 웨스턴 블랏 시스템-3 키트(Western blot system-3 kit, Mini-protean 3 cell, Bio Rad)를 사용하였다.
1-3. 실험 동물의 준비
실험동물로 400 g 내외, 6개월령 및 24개월령의 피셔 344(Fischer 344) 수컷 흰주를 샘타코(경기도 오산, 한국)에서 구입하여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일간 실험환경에 적응시킨 다음 실험에 착수하였다.
실험예 1. SAL-2의 수퍼옥사이드, 페록시니트라이트, 총활성산소종 제거능 측정
1-1. 수퍼옥사이드(superoxide)에 대한 제거효과 측정
DCFDA(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어세이를 위해 99.9 %의 에탄올에 용해한 12.5 mM DCFDA와 3차 증류수에 용해한 600 U/㎖ 에스테라아제(esterase)를 -20℃에 스탁 솔루션(stock solution)으로 저장하였으며, 실험시 10 μM DCFDA와 6 U/에스테라아제 또는 산화적 가수분해를 받아 비형광성인 DCFH(2,7-dichlorodihydrofluorescein)로 탈아세틸화되며, DCFH는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강한 형광을 나타내는 DCF(2,7-dichlorofluorescein)가 되므로 이를 여기파장 485nm과 방출파장 530nm에서 측정한다. 이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SAL-2를 0.2, 1, 10uM 처리한 후 30분간 5분 간격으로 미세판 형광 판독기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의 수행 결과, 도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퍼옥사이드의 생성이 각각 16, 55, 41 % 억제되었으므로, SAL-2의 첨가 농도가 1uM 이하일때 SAL-2의 농도 의존적으로 수퍼옥사이드 생성 억제 작용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페록시니트라이트(peroxynitrite)에 대한 제거 효과 측정
본 발명의 SAL-2가 페록시니트라이트에 대하여 제거 작용을 갖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쿠이(Kooy)등의 방법(Kooy, N et al., Free Radic. Biol. Med., Peroxynitrite-mediated oxidation of dihydrorhodamine 123. 16: pp149-156, 1994)을 변형하여 디하이드로로다민(dihydrorhodamine) 123의 산화를 측정함으로써 수행하였다. 90 mM 염화나트륨, 50 mM 인산나트륨, 5 mM 염화칼슘 (pH 7.4) 및 100 mM, 디에틸렌 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diethylene triamine penta-acetic acid) 으로 구성된 완충액에 시료와 페록시니트라이트 용액을 넣어 산화된 디하이드로로다민(dihydrorhodamine) 123의 형광강도를 여기파장 480 nm, 방출파장 530 nm인 미세판 형광 판독기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의 수행 결과, 도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SAL-2의 농도를 10, 50, 100 uM 첨가한 경우에 디하이드로로다민의 활성을 각각 79, 94, 97 % 억제하였 으므로, SAL-2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페록시니트라이트(ONOO- )의 활성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총활성산소종에 대한 제거효과 측정
DCFDA어세이를 위해, 99.9%의 에탄올에 용해한 12.5 mM DCFDA와 LPS(Lipopolysacharide) 처리한 쥐 신장 균등액(rat kidney homogenate)을 -80℃에 스탁솔루션으로 저장하였으며, 실험시 10 μM DCFDA와 균등액은 산화적 가수분해를 받아 비형광성인 DCFH로 탈아세틸화되며, DCFH는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강한 형광을 나타내는 DCF가 되므로 이를 여기파장 485nm과 방출파장 530nm에서 측정한다. 본 실험에서는 SAL-2를 10, 50, 100uM 처리한 후 30분간 5분 간격으로 미세판형광 판독기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의 수행 결과, 도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SAL-2를 투여한 경우에 총활성산소종의 생성이 각각 40, 62, 67 % 억제되었으므로, SAL-2의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총활성산소종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 SAL-2의 생체내 항산화능 측정
본 발명의 SAL-2가 생체내에서도 항산화능을 갖는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실시예 1-3 에서 준비한 24개월령의 노화된 흰 쥐에 본 발명의 SAL-2를 쥐 무게의 0.03%, 0.06% 농도로 먹이와 섞어 경구 투여하여 10일 후 해부하여 신장을 절제하 고 파쇄하여 DCFDA를 이용하여 형광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여기 파장 484nm, 방출 파장 535nm에서 30분간 5분 간격으로 미세형광 판독기로 측정하였다. 6개월령의 어린 흰 쥐의 대조군(Young), 24개월령의 노화된 흰 쥐의 대조군(Old), 나머지는 24개월의 노화된 흰 쥐에 SAL-2를 각 쥐 무게의 0.03%, 0.06% 농도로 투여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화된 흰 쥐의 경우 어린 흰 쥐에 비해 생체내 활성 산소의 생성이 증가되었고, 노화된 흰 쥐에 본 발명의 SAL-2를 투여한 경우 SAL-2 농도 의존적으로 노화된 흰 쥐의 생체내 활성 산소의 생성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5. SAL-2의 생체내 항산화조절계인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 측정
본 발명의 SAL-2가 생체내에서 항산화조절계인 GSH를 보호하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예 1-3에서 준비한 24개월령의 노화된 흰 쥐에 본 발명의 SAL-2를 쥐무게의 0.03%, 0.06% 농도로 먹이와 섞어 경구 투여하여 10일 후 해부하여 신장을 절제하고 파쇄하여 형광의 변화를 여기 파장 360nm, 방출 파장 460nm에서 미세판 형광 판독기로 1회 측정하였다. 6개월령의 어린 흰 쥐의 대조군(Young), 24개월령의 노화된 흰 쥐의 대조군(Old), 나머지는 24개월의 노화된 흰 쥐에 SAL-2를 쥐무게의 0.03%, 0.06% 농도로 투여하였다.
상기 실험 수행의 결과,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화된 흰 쥐의 경우 어린 흰 쥐에 비해 글루타치온 생성능이 감소되었고, 노화된 흰 쥐에 본 발명의 SAL- 2를 투여한 경우 노화된 흰 쥐의 글루타치온의 생성이 SAL-2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YPEN-1 세포 에서 HNE에 의해 유도된 NF-κB, COX-2, iNOS 발현 억제능, IκB-α 의 분해 억제능 측정
2-1. SAL-2의 NF-κB( P 65)의 DNA 결합활성 억제효과
본 발명의 SAL-2가 생체내에서 페록시니트라이트(ONOO- )에 의해 발생되는 단백질 질화(nitration)에 대한 저해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세포에서 NF-κB(P65) 유전자 발현정도를 측정하는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YPEN-1 세포(rat prostate endothelial cells)에 활성종을 일으키는 HNE 15uM과 본 발명의 SAL-2를 농도별로 투여한 후 라디칼의 생성 억제 정도를 관찰하여 24시간 후 세포를 모아 사용하였으며, 단백질 양의 확인은 웨스턴 블러팅(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였다.
먼저, 동물세포는 브롬페놀 블루(bromophenol blue)염색액과 동량 섞은 후 10 % SDS-폴리아크릴아미드겔 전기영동(SDS-PAGE)에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 후 폴리비닐리딘 플로라이드 막(밀리포아사)에 단백질을 전이시키고, 0.5% 탈지유가 포함된 TBS(Tris buffered saline)-tween 용액 (10 mM Tris. HCl, 100 mM NaCl, 0.1% Tween 20, pH 7.5)에 담궈 비특이적인 반응을 차단하였다. 이후 NF-κB(P65)에 대한 토끼의 항체(Upstate)를 1/600으로 희석한 용액과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 시킨 다음, 2차 항체로서 항 토끼 IgG 항체를 이용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막을 TBS( Tris buffered saline)-tween 용액으로 4회 세척하고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검출시약과 1분간 반응시킨 후 상온에서 X-선 필름에 감광시켰다.
상기 실험의 수행결과, 도 5a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활성종을 일으키는 HNE에 비해 본 발명의 SAL-2 를 처리한 동물세포에서 NF-κB(P65)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SAL-2의 IκB-α 분해(degradation) 억제효과
본 발명의 SAL-2가 생체내에서 페록시니트라이트(ONOO-)에 의해 발생되는 단백질 질화에 대한 저해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IκB-α 분해 억제능을 측정하는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동물세포에 활성종을 일으키는 HNE 15μM과 본 발명의 SAL-2를 투여하여 24시간 후 세포를 모아 사용하였으며 단백질 양의 확인은 웨스턴 블러팅을 실시하였다.
먼저, 동물세포를 브롬페놀 블루 염색액과 동량 섞은 후 12 % SDS-PAGE 에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 후 폴리비닐리딘 플로라이드 막에 단백질을 전이시키고, 0.5% 탈지유가 포함된 TBS-tween 용액(10 mM Tris. HCl, 100 mM NaCl, 0.1% Tween 20, pH 7.5)에 담궈 비특이적인 반응을 차단하였다. 이후 IκB-α에 대한 토끼의 항체를 1/600으로 희석한 용액과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2차 항체로 서 항 토끼 IgG 항체를 이용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막을 TBS-tween 용액으로 4회 세척하고 ECL 검출시약과 1분간 반응시킨 후 상온에서 X-선 필름에 감광시켰다.
상기 실험의 수행 결과, 도 5b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활성종을 일으키는 HNE에 비해 본 발명의 SAL-2를 처리한 동물세포에서 IκB-α 분해가 억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3. SAL-2의 COX-2/iNOS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
본 발명의 SAL-2가 생체내에서 페록시니트라이트(ONOO-)에 의해 발생되는 단백질 질화에 대한 저해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OX-2 유전자 발현정도를 측정하는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동물세포에 활성종을 일으키는 HNE 10uM과 본 발명의 SAL-2를 투여하여 24시간 후 세포를 모아 사용하였으며 단백질 양의 확인은 웨스턴 블러팅을 실시하였다.
먼저, 동물세포를 브롬페놀 블루 염색액과 동량 섞은 후 10 % SDS-PAGE 에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 후 폴리비닐리딘 플로라이드 막에 단백질을 전이시키고, 0.5% 탈지유가 포함된 TBS-tween 용액(10 mM Tris. HCl, 100 mM NaCl, 0.1% Tween 20, pH 7.5)에 담궈 비특이적인 반응을 차단하였다. 이후 COX-2에 대한 토끼의 항체를 1/2000으로 희석한 용액과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2차 항체로서 항 토끼 IgG 항체를 이용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막을 TBS-tween 용액으로 4 회 세척하고 ECL 검출시약과 1분간 반응시킨 후 상온에서 X-선 필름에 감광시켰다.
상기 실험의 수행 결과, 도 5c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활성종을 일으키는 HNE에 비해 본 발명의 SAL-2를 처리한 동물세포에서 COX-2 유전자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COX-2 유전자 발현에 대한 SAL-2 의 효과를 실험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iNOS유전자 발현에 대한 SAL-2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 도 5d와 같이 활성종을 일으키는 HNE에 비해 본 발명의 SAL-2를 처리한 동물세포에서 iNOS유전자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SAL-2 화합물 100㎎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메틸파라벤 0.8㎎
프로필파라벤 0.1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2㎖로 한 후, 2㎖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SAL-2 화합물 200㎎
유당 100㎎
전분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SAL-2 화합물 100㎎
유당 50㎎
전분 50㎎
탈크 2㎎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SAL-2 화합물 1000㎎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SAL-2 화합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SAL-2 화합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SAL-2 화합물은 페록시니트라이트를 억제하여 이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고. 또한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고, 노화 또는 염증이 진행되는 동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NF-κB를 저해하여 IκB-α 분해 억제,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iNOS(inducible nitric oxide) 등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노화 또는 염증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여 효과적인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노화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SAL-2(Salicylideneamino-2-thiophenol)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38290563-pat00002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SAL-2 화합물을 0.5 내지 50 중량 %로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6. 제 1항의 SAL-2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관절염 또는 피부 염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건강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40074449A 2004-09-17 2004-09-17 Sal-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항노화용 조성물 KR100594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449A KR100594378B1 (ko) 2004-09-17 2004-09-17 Sal-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항노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449A KR100594378B1 (ko) 2004-09-17 2004-09-17 Sal-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항노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692A KR20060025692A (ko) 2006-03-22
KR100594378B1 true KR100594378B1 (ko) 2006-06-30

Family

ID=3713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449A KR100594378B1 (ko) 2004-09-17 2004-09-17 Sal-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항노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3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7036A1 (en) 2000-01-25 2001-11-01 Gohfu Suzukamo Chiral copper complex catalyst composition and asymmetric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7036A1 (en) 2000-01-25 2001-11-01 Gohfu Suzukamo Chiral copper complex catalyst composition and asymmetric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692A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olyhydroxyflavonoid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Rodriguez-Mateos et al. Bioavailability, bioactivity and impact on health of dietary flavonoids and related compounds: an update
Falsaperla et al. Support ellagic acid therapy in patients with hormone refractory prostate cancer (HRPC) on standard chemotherapy using vinorelbine and estramustine phosphate
Seeram Strawberry phytochemicals and human health: a review
US20080275111A1 (en) Novel Use of Lignan Compounds
Owolabi et al.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of the leaves of Vernonia amygdalina
KR20150069671A (ko)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중독으로 인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US20030055103A1 (en) Utilization of achyrocline satureoides (&#34;Marcela&#34;) extracts and liposomal preparations of natural and semi-synthetic flavonoi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consequences of stroke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ha et al. Pomegranate peel and its anticancer activity: A mechanism-based review
BR112021003870A2 (pt) modulador botânico de transtornos metabólicos
Sa et al.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 of magnetic and noble metal nanoparticles of Clitoria ternatea
KR20120045591A (ko) 대황을 포함한 생약조합 추출물을 함유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4009936A1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WO2004103988A1 (ja) 含硫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オリゴ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94378B1 (ko) Sal-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항노화용 조성물
KR20190090716A (ko) 와송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뇌 신경세포 보호 및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32494A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0736456B1 (ko) 후피향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항산화제
CN115645431B (zh) 一种组合物及其应用
KR101075055B1 (ko)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57448B1 (ko)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을 포함하는 메틸글리옥살에 대한 간 손상 방지 또는 보호용 조성물
US20240148816A1 (en) Herbal composition comprising solanum nigrum for the treatment of cancer
KR20060033071A (ko) 페룰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 또는항염증용 조성물
KR102117560B1 (ko) 켈락톤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Özduran et al. Potential Effects of Bilberry (Vaccinium myrtillus L.) on Cancer: A Narrative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