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054B1 -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054B1
KR100594054B1 KR1019990037871A KR19990037871A KR100594054B1 KR 100594054 B1 KR100594054 B1 KR 100594054B1 KR 1019990037871 A KR1019990037871 A KR 1019990037871A KR 19990037871 A KR19990037871 A KR 19990037871A KR 100594054 B1 KR100594054 B1 KR 100594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master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518A (ko
Inventor
최승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0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에서 휴대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고 수리할 수 있는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원격에서 진단 및 수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된 마스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채용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휴대폰을 원격에서 진단 및 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와 슬레이브 휴대폰간 기저대역 컨넥션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와 슬레이브 휴대폰간 기저대역 컨넥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마스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으로 진단모드 설정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휴대폰의 진단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의 진단 데이터 패킷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마스터에 수신되면 상기 마스터에서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을 진단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의 진단 데이터의 오류정정이 있는 경우 상기 마스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으로 오류정정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의 진단 오류를 정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브루투스, 진단

Description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METHOD FOR REMOTELY DIAGNOSING AND REPAIRING POTABLE PHONE BY USING BLUTOOT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을 이용하여 마스터인 PC와 슬레이브인 휴대폰간의 통신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을 내장하는 PC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을 내장하는 휴대폰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PC)측에서 슬레이브인 휴대폰을 원격 고장진단 및 수리하기 위한 동작 제어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인 휴대폰에서 동작되는 원격 고장진단 및 수리 제어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킷 구조도
본 발명은 원격에서 휴대폰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고 수리할 수 있는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원격에서 진단 및 수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만약 휴대폰에 이상이 발생하였다면 지금까지의 방법은 고장난 휴대폰 사용자는 휴대폰 수리를 서비스 센터에 의뢰하였고, 휴대폰 수리를 의뢰 받은 서비스 센터 수리인은 휴대폰을 직접 조작하거나 휴대폰 수리용 장비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휴대폰의 고장부분을 진단한 후 수리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 고장 진단 및 수리방법은 고장난 휴대폰의 사용자가 특정 장소, 예를 들어 휴대폰 수리를 의뢰할 수 있는 휴대폰 판매점이나 서비스 센터로 직접 이동하여 서비스 의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렇게 수리 의뢰한 휴대폰을 돌려 받기 위하여 장시간을 기다려야 하였다.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는 노동력과 시간을 낭비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휴대폰을 수리하는 서비스 측에서는 휴대폰의 현 상태를 진단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였고, 상기 휴대폰 진단 장비에 휴대폰을 유선 케이블로 연결해야만 휴대폰을 진단하거나 수리할 수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근거리에서 유선 통신이나 적외선 통신을 대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개념으로 브루투스 표준안(BLUETOOTH PROTOCOL)이 에릭슨(ERICSSON)사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상기 브루투스 표준안은 근거리에서 통신의 주체를 마스터로 하여 이의 요구를 수용하여 브루투스 표준안에 따라 다른 브루투스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상기 브루투스 통신기법을 응용한 방법들이 컴퓨터나 프린터 사이의 브루투스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BLUETOOTH SPEC ver 0.8) 등에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브루투스 통신기법을 휴대폰에 적용한 방법은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인 브루투스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고장진단 및 수리를 원격에서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된 마스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채용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휴대폰을 원격에서 진단 및 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와 슬레이브 휴대폰간 기저대역 컨넥션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와 슬레이브 휴대폰간 기저대역 컨넥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마스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으로 진단모드 설정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휴대폰의 진단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의 진단 데이터 패킷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마스터에 수신되면 상기 마스터에서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을 진단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의 진단 데이터의 오류정정이 있는 경우 상기 마스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으로 오류정정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의 진단 오류를 정정하는 과정으로 이 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을 이용하여 마스터인 PC와 슬레이브인 휴대폰간의 통신망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PC(100)를 마스터(MASTER)로 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휴대폰(200)을 슬레이브(SLAVE)로 구성한다. 상기 PC(100) 및 각 휴대폰(200)에는 각각 브루투스 모듈(BT1, BT2, BT3)(110, 210)이 장착된다.
상기 브루투스 모듈을 장착한 상기 PC(100) 및 휴대폰(200)의 세부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을 내장하는 PC의 블록구성도를 상기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상기 브루투스 모듈(110)은 RF 송신부(111), RF 수신부(112), 기저대역(BASEBAND) 처리부(113) 및 링크 제어부(114)로 구성되며, 상기 브루투스 모듈(110)의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 및 상기 링크 제어부(114)는 HCI(HOST CONTROL INTERFACE)에 의해 호스트인 컴퓨터 제어부(121)에 연결되어 HCI 패킷(Packet)을 송/수신하므로써 제어명령과 그 결과, 사용자의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 간다. 상기 HCI로는 RS232C를 비롯하여 USB, 표준 PC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HCI 패킷은 Command, Event, Data 패킷으로 구분되며, 이중 상기 Command 패킷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원격 진단 및 수리를 위한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한다.
상기 RF 송신부(111)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한다.
상기 RF 수신부(112)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로 인가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는 호스트인 상기 컴퓨터 제어부(120)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억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 송신부(111)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RF 수신부(1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호스트인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로 인가한다.
링크 제어부(114)는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로부터 인가되는 Command 패킷의 명령에 의거 상기 브루투스 모듈(110)을 제어하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로부터 들어오는 슬레이브측의 요구 및 결과정보를 상기 호스트인 컴퓨터 제어부(121)에 HCI 패킷으로 전달한다.
호스트(120)는 주 제어부인 컴퓨터 제어부(121)와 주변장치인 모니터(122), 키보드(123), 마우스(12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CPU 보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사용자 입력장치(키보드 및 마우스)로부터 입력되는 Command(명령) 및 데이터를 받아 이를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브루투스 모듈(110)로 전달하고, 상기 브루투스 모듈(110)로부터 인가되는 HCI 패킷을 받아 이에 대한 처리를 담당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측인 무선 통신 모듈(BLUETOOTH)을 내장하는 휴대폰의 구성도를 상기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상기 브루투스 모듈(210)은 RF 송신부(211), RF 수신부(212), 기저대역(BASEBAND) 처리부(213) 및 링크 제어부(214)로 구성되며, 상기 브루투스 모듈(210)의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 및 상기 링크 제어부(214)는 HCI(HOST CONTROL INTERFACE)에 의해 휴대폰 제어부(221)에 연결되어 HCI 패킷(Packet)을 송/수신하므로써 제어명령과 그 결과, 사용자의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 간다. 상기 HCI로는 RS232C를 비롯하여 USB, 표준 PC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HCI 패킷은 Command, Event, Data 패킷으로 구분되며, 이중 상기 Command 패킷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의 원격 진단 및 수리를 위한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한다.
상기 RF 송신부(211)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한다.
상기 RF 수신부(212)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로 인가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는 호스트인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억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 송신부(211)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RF 수신부(212)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호스트인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로 인가한다.
링크 제어부(214)는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로부터 인가되는 Command 패킷의 명령에 의거 상기 브루투스 모듈(210)을 제어하며,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213)로부터 들어오는 마스터(PC)측의 요구 및 결과정보를 상기 호스트인 휴대폰 제어부(221)에 HCI 패킷으로 전달한다.
또한, 휴대폰부(220)는 휴대폰 제어부(221), 메모리(222), 키 입력부(223), 표시부(224), BBA(225), RF 송신부(226), RF 수신부(227) 및 듀플렉서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에 따른 브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 동작을 마스터측인 상기 PC(100)과 브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에 의해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222)는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의 제어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롬(ROM)과, 각종 전화번호 및 이름 등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 Flash 메모리 또는 EEPROM)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처리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223)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224)는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한다.
상기 BBA(BaseBand Analog)(225)는 수신부에 대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를 베이스 밴드로 하향 변환하고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를 디지털 형태로 전환시키며, 송신부에 대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로 변환시키고 상기 베이스 밴드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상기 RF 송신부(226)는 통화모드시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의 제어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음성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BBA(225)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228)로 출력한다.
상기 RF 수신부(227)는 데이터 수신시 이를 상기 BBA(225)로 출력한다.
상기 듀플렉서(228)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수신부(113)로 출력하며, 상기 무선 송신부(115)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신호를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브루투스)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를 위해서는 마스터인 PC(100)와 슬레이브인 하나 이상의 휴대폰(200) 각각에 브루투스 모듈을 장착하여 상기 마스터와 슬레이브 상호간 브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PC, 100)측에서 슬레이브인 휴대폰(200)을 원격 고장진단 및 수리하기 위한 동작 제어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인 휴대폰에서 동작되는 원격 고장진단 및 수리 제어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킷 구조(PACKET FORMAT)도로서, 패킷 포맷은 어드레스 코드 72bits, 헤더 54bits, 데이터 160bits로 구성되며, 상기 패킷 포맷은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브루투스 모듈간 교신하는 패킷의 포맷이다. 또한, 상기 브루투스 모듈과 호스트간 정보는 HCI 패킷 형태로 교신된다. 상기 브루투스 모듈의 기저대역 처리부는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HCI 패킷에 어드레스 코드와 헤더를 더한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여 이를 무선 송신하게 되며, 수신되는 패킷 포맷으로부터 어드레스 코드와 헤더를 제거한 데이터 비트만 HCI 패킷 형태로 변경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달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상기 마스터측(PC)과 슬레이브측(휴대폰)은 Inquiry 프로세스를 브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고 전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을 상기 마스터측(PC, 100)에서 수행하는 방법을 상기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먼저, 401단계에서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상기 브루투스 모듈(110)을 제어하여 원격 진단할 특정 브루투스 주소에 해당하는 슬레이브 휴대폰(200)과 기저대역 컨넥션(BASEBAND Connection)을 설정한다. 상기 PC(100)와 휴대폰(200)의 기저대역 컨넥션 설정은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에서 기저대역 컨넥션 설정을 위한 페이징(Paging) 동작을 수행하는데, 상기 페이징 동작은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에서 HCI Command 패킷을 상기 브루투스 모듈(110)의 링크 제어부(114)로 전달하고, 이 명령을 수신한 상기 링크 제어부(114)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에게 브루투스 주소에 해당하는 슬레이브 휴대폰과의 기저대역 컨넥션 설정을 요구하여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13)의 레지스터 값을 세팅하여 상기 페이징 동작을 액티브시킨다. 상기 페이징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200)에 컨넥션 제의 패킷을 보내어 컨넥션을 제의하고 이것이 받아들여지면 상기 마스터 PC(100)와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200)의 기저대역 컨넥션이 설정된다.
상기에서 기저대역 컨넥션을 설정하고자 하는 슬레이브 휴대폰이 복수인 경우에는 각 슬레이브 휴대폰에 대하여 위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고, 컨넥션이 설정된 슬레이브 휴대폰은 다른 슬레이브 휴대폰의 컨넥션 설정이 완료될 때까지 홀드(HOLD) 시킨다.
이후 403단계에서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원격 진단을 원하는 특정 슬레 이브 휴대폰(200)과의 기저대역 컨넥션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40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5단계에서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슬레이브 휴대폰(200)의 진단모드를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409단계로 진행하고, 다른 명령이 입력되면 40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409단계에서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상기 브루투스 컨넥션이 설정된 슬레이브 휴대폰(200)으로 진단모드 설정 데이터 패킷을 무선 전송한다. 이후 411단계에서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상기 브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200)으로부터 상기 휴대폰 진단모드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4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3단계에서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200)으로부터 수신된 진단모드 데이터 패킷을 내부에서 사용하는 인식 데이터로 변경한다. 그런 후 415단계에서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상기 휴대폰 진단모드 데이터를 모니터 화면에 출력한다. 상기 진단모드 데이터의 화면 출력후 417단계에서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키보드(123) 또는 마우스(12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오류정정에 대한 입력사항이 있으면 419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오류정정 입력사항이 없다면 4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9단계에서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오류정정 데이터를 상기 브루투스 모듈(110)의 기저대역 처리부(113)에서 무선 전송할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200)으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200)으로부터 오류정정 완료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해당 슬레이브 휴대폰(200)과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진단 및 수리 관련 교신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423단계에서 상기 컴퓨터 제어부(121)는 사용자로부터 진단모드 종료 선택 입력이 있으면 4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200)으로 진단모드 종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 후, 427단계에서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200)으로부터 응답 패킷이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진단 및 수리 관련 교신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을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200)에서 수행하는 방법을 상기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501단계에서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는 상기 브루투스 모듈(110)을 제어하여 마스터 PC(100)와 기저대역 컨넥션(BASEBAND Connection) 설정이 완료되면 50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3단계에서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는 상기 마스터 PC(100)로부터 진단모드 설정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507단계로 진행하고, 다른 명령 데이터 패킷이면 50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507단계에서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는 휴대폰 모드를 진단모드로 변경하여 진단모드에 진입한다. 이후 509단계에서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는 메모리(222)에 저장되어 있는 진단모드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이를 상기 브루투스 모듈(210)의 기저대역 처리부(213)에서 무선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다. 그런 후, 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는 상기 무선 송신부(211)를 통해 상기 무선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진단모드 관련 데이터 패킷을 상기 마스터 PC(200)로 전송한다.
상기 마스터 PC(100)로 상기 진단모드 관련 데이터 패킷의 전송이 완료된 후 513단계에서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는 상기 마스터 PC(100)로부터 오류정정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가를 검사하여 상기 오류정정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51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오류정정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5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5단계에서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는 상기 마스터 PC(100)로부터 수신된 오류정정 데이터 패킷을 원 데이터로 환원후 이를 검색하여 휴대폰 진단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한다. 517단계에서 오류정정이 완료되면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는 상기 마스터 PC(100)로 오류정정 완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 후 종료한다.
한편, 상기 513단계에서 상기 521단계로 진행한 상기 휴대폰 제어부(221)는 상기 마스터 PC(100)로부터 진단모드 종료 명령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5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마스터 PC(100)로 응답 패킷을 전송한 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상기 마스터인 PC(100)는 휴대폰 진단 및 수리를 원하는 슬레이브 휴대폰(200)과 컨넥션을 설정한 후 휴대폰의 진단 데이터를 브루투스의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진단 및 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PC(100)는 복수의 슬레이브 휴대폰들과 켄넥션을 설정한 후, 차례로 상기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인 브루투스가 장착된 PC와 상기 브루투스를 채용한 휴대폰의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폰의 고장진단 및 수리를 원격에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휴대폰의 고장 진단 및 수리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언제든지 휴대폰을 진단할 수 있고, 휴대폰 진단 및 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 통신 모듈이 장착된 마스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채용하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휴대폰을 원격에서 진단 및 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와 슬레이브 휴대폰간 기저대역 컨넥션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와 슬레이브 휴대폰간 기저대역 컨넥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마스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으로 진단모드 설정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휴대폰의 진단모드로 진입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의 진단 데이터 패킷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마스터에 수신되면 상기 마스터에서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을 진단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의 진단 데이터의 오류정정이 있는 경우 상기 마스터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으로 오류정정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상기 슬레이브 휴대폰의 진단 오류를 정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및 수리할 슬레이브 휴대폰이 복수인 경우 상기 마스터와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휴대폰간 기저대역 컨넥션을 각각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에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휴대폰 각각과 차례로 진단 및 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브루투스(BLUETOOTH)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KR1019990037871A 1999-09-07 1999-09-07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KR10059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871A KR100594054B1 (ko) 1999-09-07 1999-09-07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871A KR100594054B1 (ko) 1999-09-07 1999-09-07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518A KR20010026518A (ko) 2001-04-06
KR100594054B1 true KR100594054B1 (ko) 2006-06-28

Family

ID=1961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871A KR100594054B1 (ko) 1999-09-07 1999-09-07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00B1 (ko) 2010-09-15 2013-05-24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 테스트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88B1 (ko) * 1999-09-07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방법
KR100425502B1 (ko) * 2001-08-31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운용오류 자동통보 방법
KR100440443B1 (ko) * 2001-12-22 2004-07-15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 진단 장치 및 이의 자동 실행 및 사용환경 유지 방법
KR100699725B1 (ko) * 2006-12-15 2007-03-26 주식회사 스타칩 휴대폰 상태 검사방법
CN114040370B (zh) * 2021-11-01 2023-10-20 国芯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多蓝牙设备的调试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500B1 (ko) 2010-09-15 2013-05-24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 테스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518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2088B2 (en) Telephon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unauthorized transmission when sending messages
EP1933287B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terminals
EP1471691A2 (en) Device and method for hybri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US20070149244A1 (en) Power-save system and method
KR100594088B1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방법
GB2383722A (en) Mobile terminal interface control
KR100594054B1 (ko)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 진단 및 수리방법
KR201100049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연결 기기의 음량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030097207A1 (en) Process and device for activating a motor vehicle accessory
JP4648205B2 (ja) 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
KR20010028757A (ko) 수신 정보를 외부 표시기기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
JP5018246B2 (ja) 無線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31633A (ja) Rf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7061889B2 (en) System for monitoring CDMA-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AU20022480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packet
KR19990085912A (ko) 휴대 통신단말기간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US20030013437A1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and method of customizing the same
JP3048935B2 (ja) 無線基地局保守システム
KR1004429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직렬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01237759A (ja) 観測システム
CN101286885B (zh) 控制网关进行诊断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616128B1 (ko) 일대일 통신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14552B1 (ko) 리모콘 위치 확인 방법
JP2007184742A (ja) 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
KR100418709B1 (ko) 홈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휴대전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