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926B1 -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 Google Patents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926B1
KR100593926B1 KR1020040080004A KR20040080004A KR100593926B1 KR 100593926 B1 KR100593926 B1 KR 100593926B1 KR 1020040080004 A KR1020040080004 A KR 1020040080004A KR 20040080004 A KR20040080004 A KR 20040080004A KR 100593926 B1 KR100593926 B1 KR 10059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
current
terminal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1108A (ko
Inventor
박태욱
김성철
장찬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926B1/ko
Priority to TW093136679A priority patent/TWI279069B/zh
Priority to US10/998,932 priority patent/US7012821B1/en
Priority to JP2004364137A priority patent/JP2006109685A/ja
Priority to CNA2004100615464A priority patent/CN1758517A/zh
Publication of KR2006003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9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having a 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or a synchronous freewheeling circui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 PC 등의 휴대용 컴퓨터 전원장치에 적용되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는, 노트북 PC 등의 휴대용 컴퓨터 전원장치에 적용되는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출력전압이 제로 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메인 스위치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하고,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동기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동기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되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회로설계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기 정류기, 플라이백 컨버터,

Description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WITH SYNCHRONOUS RECTIFIER}
도 1은 종래의 플라이백 컨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로의 주요 파형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플라이백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플라이백 컨버터의 각 동작모드별 전류 파형도이다.
도 5는 도 3의 플라이백 컨버터에서의 역회복 전류의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플라이백 컨버터의 주요 신호 파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파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동기 스위치 동작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10,710 :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 620,720 : 트랜스포머
630,730 : 피드백 제어부 640,740 : 전압 검출부
650,750 : 턴온 스위치 660,760 : 턴오프 스위치
670,770 : 전류 검출부 680,780 : 전류/전압 변환부
690,790 : 접지 스위치 MS : 메인 스위치
Vs : 전원 SS : 동기 스위치
본 발명은 노트북 PC 등의 휴대용 컴퓨터 전원장치에 적용되는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력전압이 제로 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메인 스위치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하고,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동기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동기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되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회로설계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및 전기 기기 등에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기능이 증가하고, 이러한 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더욱더 디지털화 되는 추세에 있으며, 또한,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알맞은 적절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각 제품에 소형이면서 고효율의 전원공급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원장치중 플라이백(Flyback)형 전원장치가 전원장치의 기본 회로 방 식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부품 구성 수가 적어 제조 가격이 저렴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최근의 전자기기 등에서 요구하는 전원의 전압이 낮아지고 전류가 커지면서 기존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사용하는 다이오드 정류방식은 더 이상 고객이 요구하는 소형, 박형 및 고효율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가 없다. 또한, 통상의 다이오드 정류방식은 출력전류에 비례하여 큰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전류에서는 과도한 전력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도통 손실이 적은 MOS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스위치 등을 사용하는 동기 정류기(Synchronous rectifier) 방식이 다이오드 정류기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제안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이백 컨버터의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로의 주요 파형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AC 입력전압(Vin)이 정류기(11)에서 정류되어 트랜스포머(TF)로 제공되고, 이때, 플라이백 스위칭 회로(12)는 메인 스위치(MS)를 스위칭시키고,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스위치(MS)는 온/오프 스위칭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메인 스위치(MS)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메인 스위치(MS)의 드레인-소오스간 전압(Vds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한다.
즉, 상기 메인 스위치(MS)가 온되면, 상기 메인 스위치(MS)를 통해 상기 트 랜스포머(TF)의 1차 코일(L1)에 1차 전류(I1)가 도 2와 같이 흐르고, 이와 동시에 동기 스위치(SS)는 동기 스위칭 회로(14)에 의해 오프된다. 또한, 상기 메인 스위치(MS)가 오프되면, 이와 동시에 동기 스위치(SS)는 동기 스위칭 회로(14)에 의해 온되어, 상기 트랜스포머(TF)의 1차 코일(L1)의 에너지가 2차 코일(L21)로 유기되어 2차 전류(I2)가 도 2와 같이 흐르게 된다.
여기서, Vds1은 메인 스위치(MS)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고, Vds2는 동기 스위치(SS)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다.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드레인-소오스간 전압(Vds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한다. 여기서, 상기 동기 스위칭 회로(14)는 상기 트랜스포머(TF)의 2차 주코일(L21)에 연결된 보조코일(L22)로부터 구동전압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동작 과정을 통해서, 상기 트랜스포머(TF)의 2차 주코일(L21)의 전압이 출력커패시터(Co)를 통해 출력전압(Vout)으로 공급된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동기 스위칭 회로(14)는 플라이백 스위칭 회로(12)와 동기되어 온/오프 동작되고, 이에 따라 MOS 트랜지스터인 동기 스위치(SS)는 정류기로 동작한다.
이러한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메인 스위치와 동기 스위치의 구동방법, 동기 스위치의 구동회로 설계 등의 구체적인 기술적인 내용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종래 플라이백 컨버터중의 하나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플라이백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3에서, 전원과, 전원을 수신받아 스위치(S1)로 높은 주파수 펄스를 출력하는 플라이백 스위치 회로(20)와, 높은 주파수 펄스를 수신받기 위해 플라이백 스위치 회로에 연결된 1차 코일을 갖고, 마스트전원 및 부전원용 2개의 2차 코일을 갖는 트랜스포머(T1)와, 전류센서와 서브전원에 연결되어 구동 펄스를 출력하는 동기 정류기(30)와, 출력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어 구동 펄스를 수신하는 동기 스위치(M1)와, 마스트전원에 연결된 일측과, 출력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된 부하에 연결된 타측을 갖는 출력 다이오드(D2)와, 부하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부하에 직렬 접속으로 연결되고, 부하 전류를 동기 정류기에 전송하는 전류 센서(40)를 포함한다. 여기서, V1은 전원이고, 21은 피드백회로이고, 25는 게이트 제어회로이며, 50은 부하이다.
이와 같은 도 3의 플라이백 컨버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미국특허 제6,353,54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플라이백 컨버터의 각 동작모드별 전류 파형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플라이백 컨버터에서는, 상기 스위치(S1)가 고정된 주파수로 동작하는데, 이에 따라 도 4a의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및 도 4b의 CCM(continuous Conduction Mode)에 적합하다.
도 5는 도 3의 플라이백 컨버터에서의 역회복 전류의 파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종래의 플라이백 컨버터에서는, CCM이 주동작모드인데, 이 CCM에서는 많은 양의 2차 전류(I2)가 흐르는 동안에, 스위치(S1)가 온되는 시점에서 동기 스위치(M1)가 오프되는데, 이 경우에 동기 스위치(M1)의 PN 접합 특성상 순간적인 역회복전류(Reverse Recovery Current;RRC)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역회복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동기 스위치(M1)에 병렬로 쇼트키 다이오드인 출력 다이오드(D2)가 연결되어, 역회복시간이 거의 없는 쇼트키 다이오드에 의해서 역회복 전류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플라이백 컨버터에서는, 동기 스위치의 구동전압의 공급을 위해서 2차 보조코일이 반드시 필요하고, 또한 종래의 플라이백 컨버터는 DCM 모드, CCM 모드가 공존하는 동작을 수행하므로 동기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역회복 전류의 발생을 차단하기 위해서, 동기 스위치에 병렬로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할 수 있는 PCB의 면적을 줄이게 되고, 그 만큼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출력전압이 제로 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메인 스위치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하고,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동기 스위치의 듀티 사 이클을 제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동기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되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회로설계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는,
피드백전압에 기초해서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메인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전원을 높은 주파수 펄스로 변환하는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
상기 높은 주파수 펄스를 받는 1차 코일과, 주코일 및 부코일로 이루어진 2차 코일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주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제2 출력라인중 어느 하나의 출력라인상에 소오스 및 드레인이 연결된 MOSFET로 이루어진 동기 스위치;
상기 제1,제2 출력라인간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에 피드백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 제어부;
상기 부코일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에 공통저항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와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온 스위치;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에 공통저항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오프 스위치;
상기 제1,제2 출력라인중 어느 하나의 출력라인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의 권선비율에 따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의한 검출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 및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의 전압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접지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는,
피드백전압에 기초해서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메인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전원을 높은 주파수 펄스로 변환하는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
상기 높은 주파수 펄스를 받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2차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제2 출력라인중 어느 하나의 출력라인상에 소오스 및 드레인이 연결된 MOSFET로 이루어진 동기 스위치;
상기 제1,제2 출력라인간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에 피드백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 제어부;
상기 2차 코일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에 공통저항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와의 연결을 스위칭 하는 턴온 스위치;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에 공통저항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오프 스위치;
상기 제1,제2 출력라인중 어느 하나의 출력라인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의 권선비율에 따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의한 검출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 및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의 전압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접지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는 피드백전압에 기초해서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메인 스위치(MS)를 스위칭시켜 전원(Vs)을 높은 주파수 펄스로 변환하는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610)와, 상기 높은 주파수 펄스를 받는 1차 코일(L1)과, 주코일(L21) 및 부코일(L22)로 이루어진 2차 코일을 갖는 트랜스포머(620)와, 상기 주코일(L2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 출력라인 (OL1)상에 소오스 및 드레인이 연결된 MOSFET로 이루어진 동기 스위치(SS)와, 상기 제1,제2 출력라인(OL1,OL2)간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610)에 피드백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 제어부(630)와, 상기 부코일(L22)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640)와,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출력단에 공통저항(R1)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CCT)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출력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와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온 스위치(650)와,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출력단에 공통저항(R1)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CCT)의 전압에 따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오프 스위치(660)와, 상기 제1 출력라인(OL1)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에 따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670)와, 상기 전류 검출부(670)에 의한 검출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680)와,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80)의 전압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접지 스위치(690)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검출부(640)는 상기 부코일(L22)의 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단을 갖는 다이오드(D1)와, 상기 부코일(L22)의 음(-)전압단 및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C1)을 통해 출력전압(VC1)을 출력한다.
상기 턴온 스위치(650)는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출력단에 연결된 에미터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에 연결된 컬렉터단을 갖는 PNP타입의 제1 트 랜지스터(Q1)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연결된 캐소드단과 상기 공통 제어단(CCT)에 애노드단을 갖는 제1 제너 다이오드(ZD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ZD1)는 상기 전압 검출부(640)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보다 낮은 항복전압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는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에 연결된 컬렉터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의 소오스단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2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에 연결된 컬렉터단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된 애노드단과 상기 공통 제어단(CCT)에 연결된 캐소드단을 갖는 제2 제너다이오드(ZD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너 다이오드(ZD2)는 상기 전압 검출부(640)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보다 낮은 항복전압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압 검출부(640)는 상기 제1,제2 제너 다이오드(ZD1,ZD2)의 각 항복전압을 합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전류 검출부(670)는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에 따라,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가 온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류 검출부(670)는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온되기 소정시간 전에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가 온되도록, 상기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을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80)는 상기 전류검출부(670)에 의한 검출 전류에 해 당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용 저항(R5)과, 상기 전압검출용 저항(R5)에 의해 검출된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2)와, 상기 전류검출부(670)의 타측과 상기 다이오드(D2)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D2)를 통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저항(R4)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 스위치(690)는 상기 공통 제어단(CCT)에 연결된 컬렉터와,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80)의 출력에 저항(R3)을 통해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4 트랜지스터(Q4)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는 피드백전압에 기초해서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메인 스위치(MS)를 스위칭시켜 전원(Vs)을 높은 주파수 펄스로 변환하는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710)와, 상기 높은 주파수 펄스를 받는 1차 코일(L1)과, 2차 코일(L2)을 갖는 트랜스포머(720)와, 상기 2차 코일(L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2 출력라인(OL2)상에 소오스 및 드레인이 연결된 MOSFET로 이루어진 동기 스위치(SS)와, 상기 제1, 제2 출력라인(OL1,OL2)간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710)에 피드백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 제어부(730)와, 상기 2차 코일(L22)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740)와,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출력단에 공통저항(R1)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CCT)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출력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와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온 스위치(750)와,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출력단에 공통저항(R1)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CCT)의 전압에 따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오프 스위치(760)와, 상기 제2 출력라인(OL2)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에 따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770)와, 상기 전류 검출부(770)에 의한 검출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780)와,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780)의 전압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접지 스위치(790)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검출부(740)는 상기 2차 코일(L2)의 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단을 갖는 다이오드(D1)와, 상기 2차 코일(L2)의 음(-)전압단 및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C1)를 통해 출력전압(VC1)을 출력한다.
상기 턴온 스위치(750)는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출력단에 연결된 에미터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에 연결된 컬렉터단을 갖는 PNP타입의 제1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연결된 캐소드단과 상기 공통 제어단(CCT)에 애노드단을 갖는 제1 제너 다이오드(ZD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ZD1)는 상기 전압 검출부(740)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보다 낮은 항복전압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는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에 연결된 컬렉터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의 소오스단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2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에 연결된 컬렉터단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된 애노드단과 상기 공통 제어단(CCT)에 연결된 캐소드단을 갖는 제2 제너다이오드(ZD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너 다이오드(ZD2)는 상기 전압 검출부(740)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보다 낮은 항복전압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압 검출부(740)는 상기 제1,제2 제너 다이오드(ZD1,ZD2)의 각 항복전압을 합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류 검출부(770)는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에 따라,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가 온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류 검출부(770)는 상기 메인 스위치(MS)가 온되기 소정시간(TD) 전에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가 온되도록, 상기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을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780)는 상기 전류검출부(770)에 의한 검출 전류에 해당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용 저항(R5)과, 상기 전압검출용 저항(R5)에 의해 검출된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2)와, 상기 전류검출부(770)의 타측과 상기 다이오드(D2)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D2)를 통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저항(R4)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 스위치(790)는 상기 공통 제어단(CCT)에 연결된 컬렉터와,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780)의 출력에 저항(R3)을 통해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4 트랜지스터(Q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Co는 출력 커패시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플라이백 컨버터의 주요 신호 파형도이다.
도 8에서, TMS는 메인 스위치의 온/오프 타임밍이고, I1은 트랜스포머의 1차 전류이고, I2는 트랜스포머의 2차 전류이고, VR5는 전압검출용 저항(R5)에서 검출된 전압이고, TQ4는 접지스위치의 제4 트랜지스터(Q4)의 온/오프 타이밍이며, VGS는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소오스간 전압이다. 그리고, TSS는 동기 스위치의 온/오프 타이밍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플라이백 컨버터의 전류 파형도이다.
도 9에서, I1은 트랜스포머의 1차 전류이고, I2는 트랜스포머의 2차 전류로서, 본 발명의 동기 정류기 구동회로는 영점에서 1차 전류가 흐르기 시작되고, 영점에서 2차 전류의 흐름이 끝나는 크리티칼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동기 스위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에서, I2는 트랜스포머의 2차 전류이고, VR5는 전압검출용 저항(R5)에서 검출된 전압이고, TQ4는 접지스위치의 제4 트랜지스터(Q4)의 온/오프 타이밍이 며, VGS는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소오스간 전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610)는 피드백전압에 기초해서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메인 스위치(MS)를 스위칭시켜 전원(Vs)을 높은 주파수 펄스로 변환한다. 상기 높은 주파수 펄스는 트랜스포머(620)의 1차 코일(L1)에서 2차 코일에 포함된 주코일(L21) 및 부코일(L22)로 각각 유기된다.
이때, 본 발명의 피드백 제어부(630)는 상기 주코일(L21)의 양단에 연결된 제1,제2 출력라인(OL1,OL2)간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610)에 피드백전압을 출력한다.
이에 따르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스위치(MS)가 스위칭신호(SW)에 따라 턴온시에 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에 1차 전류가 흐르고, 메인스위치(MS)가 스위칭신호(SW)에 따라 턴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트랜스포머(TF)의 2차 코 일에 포함된 주코일(L21) 및 부코일(L22)에는 2차 전류(I2)가 흐르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은,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플라이백 컨버터에 적용된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610) 및 피드백 제어부(630)에 의해서, 영점에서 1차 전류가 흐르기 시작되고, 영점에서 2차 전류의 흐름이 끝난다.
한편, 상기 트랜스포머(620)의 제1 출력라인(OL1) 또는 제2 출력라인(OL2)중 어느 하나의 출력라인에 동기 스위치(SS)가 연결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에서의 동기 스위치(SS)는, 상기 제1 출력라인(OL1)에 연결된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되어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2차 전류(I2)가 흐르면, 본 발명의 전압 검출부(640)는 상기 부코일(L22)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데,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다이오드(D1)는 상기 부코일(L22)의 양단 전압을 정류하고, 상기 다이오드(D1)를 통해 정류된 전압은 커패시터(C1)에 의해 검출된다.
이때, 2차 전류(I2)가 흐르는 동안에, 상기 전압 검출부(640)는 상기 턴온 스위치(650)의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의 항복전압과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의 제2 제너 다이오드(ZD2)의 항복전압을 합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하고, 또한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의 항복전압보다 높고, 또한 상기 제2 제너 다이오드(ZD2)의 항복전압 보다 높은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류 검출부(670)는 상기 제1 출력라인(OL1)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에 따라 검출하여 전류/전압 변환부(68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류 검출부(670)는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에 따라,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가 온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전류 검출부(670)는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의 설정을 통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온되기 소정시간(TD) 전에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가 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역회복 전류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80)는 상기 전류 검출부(670)에 의한 검출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접지 스위치(69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80)의 전압검출용 저항(R5)에 의해 검출된 전압(VR5)은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된 후, 출력 저항(R4)을 통해 접지 스위치(690)에 출력된다.
즉, 상기 전류 검출부(670)에 의해서 2차 전류의 검출이 이루어지면,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80)는 사전에 설정된 전압, 예를 들면 상기 접지 스위치(690)의 턴온전압 이상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반해, 상기 전류 검출부(670)에 의해서 2차 전류의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80)는 사전에 설정된 전압, 예를 들면 상기 접지 스위치(690)의 턴온전압 보다 낮은 전압인 거의 영전압 을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접지 스위치(690)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80)의 전압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예를 들어, 2차 전류(I2)가 전류 검출부(670)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80)에 의해 검출된 전압이, 상기 접지 스위치(690)의 NPN타입의 제4 트랜지스터(Q4)의 턴온전압보다 높게 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고, 이 제4 트랜지스터(Q4)를 통해 상기 공통 제어단(CCT)이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에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접지전위가 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지 스위치(690)에 포함된 제4 트랜지스터(Q4)가 온됨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가 연결되어 상기 턴온 스위치(650)가 턴온되고,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는 턴오프된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가 연결되면, 상기 공통 제어단(CCT)의 전위는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의 전위와 동일하므로,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출력전압은 상기 턴온 스위치(650)의 제1 트랜지스터(Q1)의 턴온전압과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의 항복전압의 전체 전압보다 높으므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1 제너 다이오드 (ZD1)가 동시에 턴온된다.
이때, 상기 턴온 스위치(650)의 제1 트랜지스터(Q1)를 통해서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출력전압(VC1)이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에 공급되어 상기 동기 스위치(SS)는 턴온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2차 전류는 거의 손실없는 동기 스위치(SS)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에 반해, 2차 전류(I2)가 없는 경우로 2차 전류(I2)가 전류검출부(670)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680)에 의해 검출된 전압이, 상기 접지 스위치(690)의 NPN타입의 제4 트랜지스터(Q4)의 턴온전압보다 낮게 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가 턴오프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공통 제어단(CCT)은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출력전압과 거의 동일한 전위가 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지 스위치(690)의 제4 트랜지스터(Q4)가 턴오프되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간의 연결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가 턴온되고, 상기 턴온 스위치(650)가 턴오프된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가 서로 분리되면, 상기 공통 제어단(CCT)의 전위는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출력전압과 거의 동일한 전위가 되므로,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출력전압은,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의 제2 제너다이오드(ZD2)의 항복전압과 제2 트 랜지스터(Q2) 및 제3 트랜지스터(Q3)의 턴온전압의 전체 전압보다 높으므로, 상기 제2 제너다이오드(ZD2)와 제2 트랜지스터(Q2) 및 제3 트랜지스터(Q3)가 동시에 턴온된다.
이때,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의 제3 트랜지스터(Q3)를 통해서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와 소오스가 동전위가 되므로, 상기 동기 스위치(SS)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턴오프 스위치(660)의 제3 트랜지스터(Q3)의 온되는 시점, 즉 동기 스위치(SS)가 오프되는 시점이 상기 전류 검출부(670)의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의 설정에 따라,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온되기 소정시간(TD) 전에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2차 전류는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가 다이오드(BD)를 통해 흐르게 된다.
즉, 2차 전류의 흐름이 끝나기 이전의 짧은 시간 동안에,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가 다이오드(BD)를 통해 2차 전류가 흐르면 손실은 다소 높지만 역회복 전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접지 스위치(69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의 전위가 접지전위가 되거나, 상기 전압 검출부(640)의 출력전압과 거의 동일한 전위가 되고, 이에 따라 턴온 스위치(650)와 턴오프 스위치(660)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턴온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온되기 소정시간(TD) 전에, 상기 동기 스위치(SS)가 오프되도록 하여, 역회복전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 다음, 도 7,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710)는 피드백전압에 기초해서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메인 스위치(MS)를 스위칭시켜 전원(Vs)을 높은 주파수 펄스로 변환한다. 상기 높은 주파수 펄스는 트랜스포머(720)의 1차 코일(L1)에서 2차 코일(L2)로 각각 유기된다.
이때, 본 발명의 피드백 제어부(730)는 상기 제1,제2 출력라인(OL1,OL2)간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710)에 피드백전압을 출력한다.
이에 따르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스위치(MS)가 스위칭신호(SW)에 따라 턴온시에 트랜스포머의 1차 코일에 1차 전류가 흐르고, 메인스위치(MS)가 스위칭신호(SW)에 따라 턴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트랜스포머(TF)의 2차 코일(L2)에는 2차 전류(I2)가 흐르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은,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플라이백 컨버터에 적용된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점에서 1차 전류가 흐르기 시작되고, 영점에서 2차 전류의 흐름이 끝난다.
한편, 상기 트랜스포머(720)의 제1 출력라인(OL1) 또는 제2 출력라인(OL2)중 어느 하나의 출력라인에 동기 스위치(SS)가 연결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에서의 동기 스위치(SS)는, 상기 제2 출력라인(OL2)에 연결된 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되어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2차 전류(I2)가 흐르면, 본 발명의 전압 검출부(740)는 상기 부코일(L22)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데,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다이오드(D1)는 상기 부코일(L22)의 양단 전압을 정류하고, 상기 다이오드(D1)를 통해 정류된 전압은 커패시터(C1)에 의해 검출된다.
이때, 2차 전류(I2)가 흐르는 동안에, 상기 전압 검출부(740)는 상기 턴온 스위치(750)의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의 항복전압과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의 제2 제너 다이오드(ZD2)의 항복전압을 합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하고, 또한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의 항복전압보다 높고, 또한 상기 제2 제너 다이오드(ZD2)의 항복전압 보다 높은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류 검출부(770)는 상기 제2 출력라인(OL2)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에 따라 검출하여 전류/전압 변환부(78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류 검출부(770)는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에 따라,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가 온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전류 검출부(770)는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의 설정을 통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온되기 소정시간(TD) 전에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가 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역회복전류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류/전압 변환부(780)는 상기 전류 검출부(770)에 의한 검출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접지 스위치(79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780)의 전압검출용 저항(R5)에 의해 검출된 전압(VR5)은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된 후, 출력 저항(R4)을 통해 접지 스위치(790)에 출력된다.
즉, 상기 전류 검출부(770)에 의해서 2차 전류의 검출이 이루어지면,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780)는 사전에 설정된 전압, 예를 들면 상기 접지 스위치(790)의 턴온전압 이상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반해, 상기 전류 검출부(770)에 의해서 2차 전류의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780)는 사전에 설정된 전압, 예를 들면 상기 접지 스위치(790)의 턴온전압 보다 낮은 전압인 거의 영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접지 스위치(790)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780)의 전압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한 다.
예를 들어, 2차 전류(I2)가 전류 검출부(770)에 의해 검출되면,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780)에 의해 검출된 전압이, 상기 접지 스위치(790)의 NPN타입의 제4 트랜지스터(Q4)의 턴온전압보다 높게 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고, 이 제4 트랜지스터(Q4)를 통해 상기 공통 제어단(CCT)이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에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접지전위가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지 스위치(790)에 포함된 제4 트랜지스터(Q4)가 온됨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가 연결되어 상기 턴온 스위치(750)가 턴온되고,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는 턴오프된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가 연결되면, 상기 공통 제어단(CCT)의 전위는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의 전위와 동일하므로,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출력전압은 상기 턴온 스위치(750)의 제1 트랜지스터(Q1)의 턴온전압과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ZD1)의 항복전압의 전체 전압보다 높으므로,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와 제1 제너 다이오드(ZD1)가 동시에 턴온된다.
이때, 상기 턴온 스위치(750)의 제1 트랜지스터(Q1)를 통해서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출력전압(VC1)이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에 공급되어 상기 동기 스위치(SS)는 턴온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2차 전류는 거의 손실없는 동기 스위치(SS)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에 반해, 2차 전류(I2)가 없는 경우로 2차 전류(I2)가 전류검출부(770)에 의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780)에 의해 검출된 전압이, 상기 접지 스위치(790)의 NPN타입의 제4 트랜지스터(Q4)의 턴온전압보다 낮게 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트랜지스터(Q4)가 턴오프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공통 제어단(CCT)은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출력전압과 거의 동일한 전위가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지 스위치(790)의 제4 트랜지스터(Q4)가 턴오프되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간의 연결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가 턴온되고, 상기 턴온 스위치(750)는 턴오프된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공통 제어단(CCT)과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가 서로 분리되면, 상기 공통 제어단(CCT)의 전위는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출력전압과 거의 동일한 전위가 되므로,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출력전압은,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의 제2 제너다이오드(ZD2)의 항복전압과 제2 트랜지스터(Q2) 및 제3 트랜지스터(Q3)의 턴온전압의 전체 전압보다 높으므로, 상기 제2 제너다이오드(ZD2)와 제2 트랜지스터(Q2) 및 제3 트랜지스터(Q3)가 동시에 턴온된다.
이때,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의 제3 트랜지스터(Q3)를 통해서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게이트와 소오스가 동전위가 되므로, 상기 동기 스위치(SS)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턴오프 스위치(760)의 제3 트랜지스터(Q3)의 온되는 시점, 즉 동기 스위치(SS)가 오프되는 시점이 상기 전류 검출부(770)의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L31,L32)의 권선비율의 설정에 따라,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온되기 소정시간(TD) 전에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2차 전류는 동기 스위치(SS)의 소오스가 다이오드를 통해 흐르게 된다.
즉, 2차 전류의 흐름이 끝나기 이전의 짧은 시간 동안에, 상기 동기 스위치(SS)의 바디 다이오드(도시생략)를 통해 2차 전류가 흐르면 손실은 다소 높지만 역회복 전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지 스위치(79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CCT)의 전위가 접지전위가 되거나, 상기 전압 검출부(740)의 출력전압과 거의 동일한 전위가 되며, 이에 따라 턴온 스위치(750)와 턴오프 스위치(760)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턴온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온되기 소정시간(TD) 전에, 상기 동기 스위치(SS)가 오프되도록 하여, 역회복전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노트북 PC 등의 휴대용 컴퓨터 전원장치에 적용되는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출력전압이 제로 크로싱되는 시점에서 메인 스위치를 온/오프 스위칭하는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하고,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동기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동기 스위치에 병렬로 접속되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회로설계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피드백전압에 기초해서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메인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전원을 높은 주파수 펄스로 변환하는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
    상기 높은 주파수 펄스를 받는 1차 코일과, 주코일 및 부코일로 이루어진 2차 코일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주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제2 출력라인중 어느 하나의 출력라인상에 소오스 및 드레인이 연결된 MOSFET로 이루어진 동기 스위치;
    상기 제1,제2 출력라인간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에 피드백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 제어부;
    상기 부코일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에 공통저항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와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온 스위치;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에 공통저항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오프 스위치;
    상기 제1,제2 출력라인중 어느 하나의 출력라인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의 권선비율에 따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의한 검출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 및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의 전압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접지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부코일의 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단을 갖는 다이오드; 및
    상기 부코일의 음(-)전압단 및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단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온 스위치는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에미터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에 연결된 컬렉터단을 갖는 PNP타입의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연결된 캐소드단과 상기 공통 제어단에 애노드단을 갖는 제1 제너 다이오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보다 낮은 항복전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프 스위치는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에 연결된 컬렉터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의 소오스단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연결된 컬렉터단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된 애노드단과 상기 공통 제어단에 연결된 캐소드단을 갖는 제2 제너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보다 낮은 항복전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1,제2 제너 다이오드의 각 항복전압을 합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온되기 소정시간 전에 상기 턴오프 스위치가 온되도록, 상기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의 권선비율을 설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는
    상기 전류검출부에 의한 검출 전류에 해당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용 저항;
    상기 전압검출용 저항에 의해 검출된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 및
    상기 전류검출부의 타측과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를 통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저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스위치는
    상기 공통 제어단에 연결된 컬렉터와,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의 출력에 저항을 통해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동기 스위치의 소오스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4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11. 피드백전압에 기초해서 크리티칼 컨덕션 모드로 메인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전원을 높은 주파수 펄스로 변환하는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
    상기 높은 주파수 펄스를 받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2차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제2 출력라인중 어느 하나의 출력라인상에 소오스 및 드레인이 연결된 MOSFET로 이루어진 동기 스위치;
    상기 제1,제2 출력라인간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플라이백 스위칭 제어부에 피드백전압을 출력하는 피드백 제어부;
    상기 2차 코일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에 공통저항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와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온 스위치;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에 공통저항을 통해 연결된 공통 제어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턴오프 스위치;
    상기 제1,제2 출력라인중 어느 하나의 출력라인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의 권선비율에 따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에 의한 검출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 및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의 전압에 따라, 상기 공통 제어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 소오스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접지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2차 코일의 양(+)전압단에 연결된 애노드단을 갖는 다이오드; 및
    상기 2차 코일의 음(-)전압단 및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단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턴온 스위치는
    상기 전압 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에미터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에 연결된 컬렉터단을 갖는 PNP타입의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연결된 캐소드단과 상기 공통 제어단에 애노드단을 갖는 제1 제너 다이오드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보다 낮은 항복전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프 스위치는
    상기 동기 스위치의 게이트에 연결된 컬렉터단과 상기 동기 스위치의의 소오스단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연결된 컬렉터단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된 애노드단과 상기 공통 제어단에 연결된 캐소드단을 갖는 제2 제너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보다 낮은 항복전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제1,제2 제너 다이오드의 각 항복전압을 합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부는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온되기 소정시간 전에 상기 턴오프 스위치가 온되도록, 상기 1차 및 2차 전류검출용 코일의 권선비율을 설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는
    상기 전류검출부에 의한 검출 전류에 해당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용 저항;
    상기 전압검출용 저항에 의해 검출된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 및
    상기 전류검출부의 타측과 상기 다이오드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를 통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저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스위치는
    상기 공통 제어단에 연결된 컬렉터와,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의 출력에 저항을 통해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동기 스위치의 소오스에 연결된 에미터단을 갖는 NPN타입의 제4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KR1020040080004A 2004-10-07 2004-10-07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KR100593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004A KR100593926B1 (ko) 2004-10-07 2004-10-07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TW093136679A TWI279069B (en) 2004-10-07 2004-11-29 Flyback converter with synchronous rectifier
US10/998,932 US7012821B1 (en) 2004-10-07 2004-11-30 Flyback converter with synchronous rectifier
JP2004364137A JP2006109685A (ja) 2004-10-07 2004-12-16 同期整流器を有するフライバックコンバータ
CNA2004100615464A CN1758517A (zh) 2004-10-07 2004-12-24 具有同步整流器的逆向转换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004A KR100593926B1 (ko) 2004-10-07 2004-10-07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108A KR20060031108A (ko) 2006-04-12
KR100593926B1 true KR100593926B1 (ko) 2006-06-30

Family

ID=3637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004A KR100593926B1 (ko) 2004-10-07 2004-10-07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12821B1 (ko)
JP (1) JP2006109685A (ko)
KR (1) KR100593926B1 (ko)
CN (1) CN1758517A (ko)
TW (1) TWI2790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8054B2 (ja) * 2003-09-30 2008-10-0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558453B1 (ko) * 2004-06-14 2006-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동기 정류 기능을 갖는 가변 주파수 플라이백 컨버터
KR100568319B1 (ko) * 2004-10-22 2006-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DE102005059761B4 (de) * 2005-12-14 2007-12-06 Siemens Ag Antriebssystem für ein Wasserfahrzeug
US8233293B2 (en) * 2006-01-19 2012-07-31 Astec International Limited Reverse current protection for power converters having synchronous rectifiers
KR100829121B1 (ko) * 2006-07-06 2008-05-1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씨엠모드로 동작하는 단일전력단 역률개선 회로
US20090257250A1 (en) * 2008-04-15 2009-10-15 Green Mark Technology Inc. Synchronous rectifier dc/dc converters using a controlled-coupling sense winding
CN101572485B (zh) * 2008-04-30 2012-06-06 杭州茂力半导体技术有限公司 用于副边同步整流管的智能驱动控制方法及装置
WO2010151884A2 (en) * 2009-06-27 2010-12-29 Asic Advantage, Inc. Boundary mode coupled inductor boost power converter
KR101043402B1 (ko) * 2009-12-15 2011-06-22 주식회사 효성 개선된 양방향 플라이백 컨버터
CN102761267B (zh) * 2012-07-30 2015-05-20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一种反激式电源转换装置及应用该装置的液晶显示产品
TWI458233B (zh) * 2013-01-07 2014-10-21 Richtek Technology Corp Switch power conversion device
CN103441672B (zh) * 2013-07-25 2016-02-10 北京控制工程研究所 一种基于辅助绕组式采样电路的自激buck电路
JP6053235B2 (ja) * 2013-11-29 2017-01-11 新電元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
TWI599160B (zh) * 2015-05-06 2017-09-11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返馳式電源供應器及其控制器與驅動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3544B1 (en) 2000-07-27 2002-03-05 Hua-In Co., Ltd. Flyback converter with synchronous rectifier
KR20030064005A (ko) * 2002-01-25 2003-07-3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플라이백 컨버터
KR20050118423A (ko) * 2004-06-14 2005-12-19 삼성전기주식회사 동기 정류 기능을 갖는 가변 주파수 플라이백 컨버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9452B2 (ja) * 1999-03-05 2002-10-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絶縁型dcーdcコンバータ
CN1108011C (zh) * 1999-12-30 2003-05-07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Dc/dc变换器的自驱动电路
JP4395881B2 (ja) * 2000-09-06 2010-01-13 Tdkラムダ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同期整流回路
JP3475943B2 (ja) * 2001-06-29 2003-12-10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618274B2 (en) * 2001-10-09 2003-09-09 Innoveta Technologies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ler to eliminate reverse current flow in a DC/DC converter output
US6442048B1 (en) * 2001-12-18 2002-08-27 Lite-On Electronics, Inc. Flyback converter with synchronous rectifying function
JP4218862B2 (ja) * 2002-03-29 2009-02-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フライバックコンバータの同期整流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3544B1 (en) 2000-07-27 2002-03-05 Hua-In Co., Ltd. Flyback converter with synchronous rectifier
KR20030064005A (ko) * 2002-01-25 2003-07-3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플라이백 컨버터
KR20050118423A (ko) * 2004-06-14 2005-12-19 삼성전기주식회사 동기 정류 기능을 갖는 가변 주파수 플라이백 컨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8517A (zh) 2006-04-12
TWI279069B (en) 2007-04-11
US7012821B1 (en) 2006-03-14
JP2006109685A (ja) 2006-04-20
TW200612650A (en) 2006-04-16
KR20060031108A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A current-driving synchronous rectifier for an LLC resonant converter with voltage-doubler rectifier structure
JP2006121885A (ja) 同期整流器を有するフライバックコンバータ
KR100593926B1 (ko) 동기 정류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
US9595861B2 (en) Power switching converter
US7324355B2 (en) Dc-DC converter
CN107431438B (zh) 包括基于次级侧信号受控的初级侧箝位电路的开关模式电源
WO2011050084A2 (en) Systems and methods of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US99122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cascode switch
US5892665A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JP2013021831A (ja) 力率改善回路
US20040190311A1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Lee et al. A new control for synchronous rectifier of phase-shifted full-bridge converter to improve efficiency in light-load condition
US956481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US10164513B1 (en) Method of acquiring input and output voltage information
KR100963024B1 (ko) 플라이백 컨버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CN100474748C (zh) 开关模式电源及用于控制其输出电压的控制电路和方法
US7542309B2 (en) Voltage stabilizer circuit of forward converter
CN110572046A (zh) 一种dc/dc变换器
US9673716B2 (en) Resonant converter with three switches
KR100568317B1 (ko) 플라이백 컨버터의 동기 정류기 구동회로
Hou et al. On-chip accurate primary-side output current estimator for flyback LED driver control
EP3070828A1 (en) Power apparatus
CN117318500B (zh) 电源转换系统、电源转换器的控制方法、电源和电子设备
CN110535362B (zh) 电流检测方法
CN110476342B (zh) 绝缘型开关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