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453B1 -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 - Google Patents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453B1
KR100593453B1 KR1020040014406A KR20040014406A KR100593453B1 KR 100593453 B1 KR100593453 B1 KR 100593453B1 KR 1020040014406 A KR1020040014406 A KR 1020040014406A KR 20040014406 A KR20040014406 A KR 20040014406A KR 100593453 B1 KR100593453 B1 KR 10059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llegal parking
image
photographing
photograph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857A (ko
Inventor
강현인
정재옥
Original Assignee
(주) 인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펙 filed Critical (주) 인펙
Priority to KR1020040014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453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5Motion detection by distinguishing pan or tilt from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불법주정차 지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불법주정차 지역에 설치된 촬영장치로부터 1차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1차 영상을 촬영한 시점의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단계;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기억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를 조정하여 2차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2차 영상과 상기 1차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차이가 없으면, 상기 차량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시간 경과에 대응하는 상기 1차 및 2차 영상 그리고 상기 번호판 영상을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면서 상기 불법주정차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차적조회 서버로부터 상기 불법주정차 차량의 소유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소유주 정보에 근거하여 고지서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이 개시된다.
주정차 위반, 불법주차, 번호인식, 내용기반 오브젝트 인식, 서버부하

Description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Unmanned control method for illegal park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법주정차 무인 단속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불법 주정차 무인 단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불법 주정차 지역에 설치되는 촬영장치에 팬(Pan)과 틸트(Tilt), 줌 인(Zoon In)과 줌 아웃(Zoom out) 기능과 차량식별기능을 갖는 컨트롤러를 내장함으로써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불법 주정차 무인 단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번호 인식시스템을 구비하여 전송되어온 불법주정차 차량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이에 근거하여 차적조회를 실시하고 차적정보로부터 고지서를 자동적으로 발급하도록 하는 불법 주정차 무인 단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 불법 주정차로 인한 도로의 기능 마비와 이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로 국민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도로상에서 민원인과 단속 요원의 불법 주정차의 시비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고, 단속의 주관적인 판단이 따르는 문제로 인한 마찰과 단속 요원확보에 따르는 인건비 지출도 국가적인 손실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종래에는 불법 주정차 차량이 많은 정체구간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인 도로상황 관리기능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면서 모니터링에 의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면서 불법 주정차 지역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5분에 걸쳐서 전체 지역에 걸친 영상과 개별 영상을 차례로 촬영을 하고 5분이 경과한 차량에 한해서 불법 주정차 위반 차량으로 판단한 후 불법주차 차량의 영상을 줌 인(Zoom In)하여 차량 번호를 육안으로 알아내어 몇 장의 차량영상과 함께 차적 조회된 내용대로 자동차 소유주에게 고지서를 발부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단지 단속요원이 현장에 가지 않고 통제소에 않아서 영상을 보면서 불법 주정차 차량을 단속해야 하는 편리함은 있지만, 통제소에 관찰하는 요원이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 있고, 다중채널 다중 분할 동시 감시 시스템으로 영상을 관찰함으로써 인력의 숫자도 절대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또한, 영상이 실시간으로 전송되므로 통제소에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인 DVR(Digital Video Recorder)이 많은 부하를 받게 되어 저장능력에도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법 주정차 지역에 주정차 위반 차량이 진입하면 움직임 감지에 의하여 진입한 차량을 알아내는 차량식별기능과 팬(Pan)과 틸트(Tilt), 줌 인(Zoon In)과 줌 아웃(Zoom out) 기능을 갖는 컨트롤러를 내장한 촬영장치를 불법 주정차 지역에 설치하여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에 불법주정차 차량의 영상만을 전송함으로써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불법 주정차 무인단속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번호 인식시스템을 구비하여 전송되어온 불법주정차 차량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이에 근거하여 차적조회를 실시하고 차적정보로부터 고지서를 자동적으로 발급하도록 하는 불법 주정차 무인 단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이하에 서술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Pan)과 틸트(Tilt), 줌 인(Zoon In)과 줌 아웃(Zoom out) 기능과 차량식별기능을 갖는 컨트롤러를 내장하고, 불법 주정차 지역에 진입하는 주정차 위반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촬영하며, 각각에 유동 IP가 부여된 촬영장치들; 촬영장치들 각각에 유동 IP를 부여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촬영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용 DVR과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용 DVR을 구비하는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촬영장치의 컨트롤러는 불법주정차 차량을 체크하고 체크된 불법주정차 차량의 시간정보에 따른 영상만을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는 재생용 DVR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에 근거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차적조회 서버로부터 불법주정차 차량의 소유주 정보를 얻는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에 연결되고 차량번호 인식모듈이 내장된 복수의 컴퓨터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컴퓨터 시스템은 재생용 DVR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 인식모듈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차적조회 서버로부터 불법주정차 차량의 소유주 정보를 얻는다.
바람직하게, 촬영장치는 불법 주정차 지역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1차 영상을 촬영하고 위반 시간 경과를 체크하면서 제 1 시간 경과후 불법주정차 위반계도방송을 하고 제 2 시간 경과후 2차 영상을 촬영하며 목표시간 경과후에는 팬/틸트 및 줌인에 의해 차량번호판 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촬영장치의 컨트롤러는 촬영장치의 자세 제어에 의한 위치 정보를 기 억함으로써 복수의 차량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위반시간 경과를 체크하면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불법주정차 지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불법주정차 지역에 설치된 촬영장치로부터 1차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1차 영상을 촬영한 시점의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단계;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기억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를 조정하여 2차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2차 영상과 상기 1차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차이가 없으면, 상기 차량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시간 경과에 대응하는 상기 1차 및 2차 영상 그리고 상기 번호판 영상을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면서 상기 불법주정차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차적조회 서버로부터 상기 불법주정차 차량의 소유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소유주 정보에 근거하여 고지서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이 개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법주정차 무인 단속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300)는, 예를 들어, 구청 등의 관청에 설치되며, 저장용 DVR(310)과 재생용 DVR(320) 그리고 필요에 따라 차량번호 인식시스템을 구비한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330)과 연결된다. 컴퓨터 시스템(330)에는 출력장치(340)가 연결되어 불법주정차 차량의 소유주에게 발송되는 고지서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용 DVR(310)은 촬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불법주정차 차량의 영상을 저장하는데,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300)에 다중 분할 감시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동시에 관리하여 저장용 DVR(310)에 저장할 수 있다.
재생용 DVR(320)은 저장용 DVR(310)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여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300)에 제공하며, 제공된 영상은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300)에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330)에 내장된 차량번호 인식모듈에 의해 차량번호판이 인식된다.
차량번호의 인식은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300)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300)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하여 연결된 별도의 컴퓨터 시스템(3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촬영장치(100)는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300)에 의해 유동 IP가 부여되며, 팬(Pan)과 틸트(Tilt), 줌 인(Zoon In)과 줌 아웃(Zoom out) 기능과 차량식별기능을 갖는 컨트롤러(110)이 내장된다.
바람직하게, 촬영장치(100)에는 위반계도 방송을 위한 스피커(12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건설부 등에 설치되는 차적조회 서버(400)에는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는 차량의 소유주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주소 등의 소유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촬영장치(100)는 불법주정차 지역에 집중적으로 다수대 설치되는데, 불법주 정차 지역에 차량(10)이 진입하게 되면, 촬영장치(100)의 컨트롤러(110)는 진입하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1차 영상을 촬영하게 한다.
이때, 차량(10)을 촬영하기 위하여 차량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컨트롤러(110)는 촬영장치(100)의 팬/틸트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 제어된 팬/틸트 제어에 의한 촬영장치(100)의 위치정보를 기억한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다른 차량이 진입하더라도 다시 촬영장치(100)의 팬과 틸트를 제어하여 다른 차량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어 설정된 제 1 시간이 경과되면, 1차 영상을 촬영한 차량에 대해 움직임이 있었는지를 확인하여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는 스피커(120)를 통하여 위반계도 방송을 수행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10)에 의한 1차 영상의 촬영을 위한 촬영장치(100)의 위치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이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위치를 조정한 후 촬영되는 영상과 1차 영상을 비교하여 차이가 없으면 움직임이 없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어 설정된 목표시간 내에도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장치(100)를 팬, 틸트 그리고 줌 인 제어를 통하여 차량(10)의 번호판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목표시간 이전에 움직임이 감지되어 불법주정차가 아닌 차량에 대한 영상들은 컨트롤러(110)에 의해 메모리로부터 삭제된다.
이와 같이 촬영된 불법주정차 차량의 시간정보에 따른 영상들은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용 DVR(310)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즉, 종래와 달리 촬영장치(100)에 내장된 컨트롤러(110)를 통하여 불법주정차의 대상이 되는 차량만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차량의 시간정보에 따른 영상들만을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300)에 전송하기 때문에 영상 저장을 위한 서버측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저장용 DVR(310)에 저장된 불법주정차 차량의 번호판 영상은 재생용 DVR(320)을 통하여 재생되며, 재생된 영상은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300)로부터 컴퓨터 시스템(330)으로 전송된다.
컴퓨터 시스템(330)에서는 차량번호 인식모듈에 의해 전송된 영상으로부터 불법주정차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한다. 인식된 차량번호와 이에 관련된 영상들은 상호 매칭되어 저장용 DVR(310)에 저장된다.
이어 컴퓨터 시스템(330)은 인식된 차량번호를 인덱스 키로 하여 차적조회 서버(400)에 액세스 하여 차량의 소유주 정보를 검색한다.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주소 등의 소유주 정보에 근거하여 컴퓨터 시스템(330)은 고지서를 출력장치(340)를 통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전송되어온 영상들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불법주정차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된 차량에 대해 소유주 정보를 조회하고 수동적으로 고지서를 발급하는 종래와 달리 인력의 낭비가 없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과 변경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장치에 내장된 컨트롤러를 통하여 불법주정차의 대상이 되는 차량만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차량의 시간정보에 따른 영상들만을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에 전송하기 때문에 영상 저장을 위한 서버측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송된 영상들로부터 자동적으로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번호를 통하여 차적조회 서버로부터 소유주 정보를 얻어 고지서를 출력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인력의 낭비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불법주정차 지역에 진입하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불법주정차 지역에 설치된 촬영장치로부터 1차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1차 영상을 촬영한 시점의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단계;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기억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를 조정하여 2차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2차 영상과 상기 1차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차이가 없으면, 상기 차량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시간 경과에 대응하는 상기 1차 및 2차 영상 그리고 상기 번호판 영상을 불법주정차 차량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면서 상기 불법주정차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차적조회 서버로부터 상기 불법주정차 차량의 소유주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소유주 정보에 근거하여 고지서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복수의 불법주정차 차량의 1차 영상 촬영에 관련된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 정보를 독립적으로 기억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불법주정차 차량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움직임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
KR1020040014406A 2004-03-03 2004-03-03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 KR10059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406A KR100593453B1 (ko) 2004-03-03 2004-03-03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406A KR100593453B1 (ko) 2004-03-03 2004-03-03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857A KR20050088857A (ko) 2005-09-07
KR100593453B1 true KR100593453B1 (ko) 2006-06-28

Family

ID=3727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406A KR100593453B1 (ko) 2004-03-03 2004-03-03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636B1 (ko) * 2016-11-30 2018-11-05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Cctv를 이용한 원룸의 주차관리 시스템
CN106600977B (zh) * 2017-02-13 2020-09-15 深圳英飞拓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多特征识别的违停检测方法及系统
CN111275984B (zh) * 2020-02-20 2022-04-15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车辆检测方法、装置及服务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413A (ko) * 1999-01-08 2000-08-05 이종수 주정차 위반 감시장치 및 방법
KR20010003322A (ko) * 1999-06-22 2001-01-15 조병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위반 자동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413A (ko) * 1999-01-08 2000-08-05 이종수 주정차 위반 감시장치 및 방법
KR20010003322A (ko) * 1999-06-22 2001-01-15 조병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위반 자동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857A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8535B2 (ja) 交通違反車両識別システム及びサーバ
KR100973930B1 (ko) 감시카메라, 전광판 및 방송장치를 포함하는 다기능 무인단속 시스템
KR101685900B1 (ko) 교차로 사고 감지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US8576284B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JP6815262B2 (ja) 交通違反検知装置、システム、交通違反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40105005A1 (en) Networked camera system and a monitoring method thereof
KR101735684B1 (ko) 차량용 영상 기록 및 제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지역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0677910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1621822B1 (ko) 하이브리드 이미지 전송 기반의 방범겸용 차량번호 인식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및 제공 방법
KR102162130B1 (ko)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KR101616994B1 (ko) 이중 카메라를 이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0593453B1 (ko)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방법
KR101570485B1 (ko) 카메라 사각지역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0877930B1 (ko) 과속감지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차량 검색 방법
JP5404453B2 (ja) 車両監視装置
KR101395095B1 (ko) 차량 번호 자동 판독 시스템
KR100553448B1 (ko) 무인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3981B1 (ko) 영상감시 서비스 방법
KR101069766B1 (ko) 방범용 폐쇄회로 텔레비전과 연동하는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정차 단속 방법
KR101615243B1 (ko) 지능형 방범 영상 감시장치 및 영상 감시방법
KR20200000297A (ko) 영상 감시시스템및 드론을 이용한 영상감시방법
KR102160677B1 (ko) 다중 차량 추적 기술을 이용한 불법주정차단속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62659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방법
KR101666812B1 (ko) 가상라인을 이용하여 방향별 발생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cctv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