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405B1 -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405B1
KR100593405B1 KR1020040026759A KR20040026759A KR100593405B1 KR 100593405 B1 KR100593405 B1 KR 100593405B1 KR 1020040026759 A KR1020040026759 A KR 1020040026759A KR 20040026759 A KR20040026759 A KR 20040026759A KR 100593405 B1 KR100593405 B1 KR 10059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cation device
type
sub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678A (ko
Inventor
정운익
Original Assignee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405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2Boxes, cartons,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0/00Signboards, advertising panels, road sig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산화 여재를 이용하여 하천의 상층부 뿐만 아니라 심층부의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반복 순환시킴으로써 녹조 발생을 억제하고 수질을 점진적으로 개선하도록 된 부도형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부도형 수질정화장치는 격벽이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의 둘레에 부력체가 설치됨과 아울러 다수개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고 수생식물이 식재되어 있어, 하천의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오염된 물을 유입시킨 후 정화하여 노즐을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는 부도형 정화장치;와, 부도형 정화장치를 로프와 연결되는 앵커 블럭으로 체결하여 하천의 저면에 지지시키는 계류장치; 부도형 정화장치의 하면에 부착되고,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 서식하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접촉메디아; 부도형 정화장치 및 접촉메디아에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화를 촉진시키는 에어콤프레셔; 및 에어콤프레셔의 구동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로 구성된다. 게다가, 부도형 정화장치의 하부에 심층수를 유입하기 위한 수중펌프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기도 한다.
부도형, 수질정화, 접촉산화, 접촉메디아, 수중펌프, 미생물, 타이머

Description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Floating island type purifier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도형 수질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를 도시한 설치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수질정화장치에서 부도형 정화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질정화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를 도시한 설치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질정화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도형 수질정화장치를 활용한 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수질정화장치 10;부도형 정화장치
11;프레임 12;필터부
14;접촉산화실 14a~14n;바이오매트
16;펌프실 16a;수중모터펌프
17;노즐관 17a~17n;노즐
18;수생식물 20;계류장치
30;접촉메디아 40;에어콤프레셔
42;에어라인 50;콘트롤박스
52;수중케이블 60;수중펌프
142;다공질 세라믹 여재
본 발명은 부도(浮島)형의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촉산화 여재를 이용하여 하천의 상층부 뿐만 아니라 심층부의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순환시킴으로써 녹조 발생을 억제하고 수질을 점진적으로 개선하도록 된 부도형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못이나 하천의 수질 정화용 인공부도는 부도(floating island)형으로 이루어지는 부유체에 로프와 연결된 앵커를 연결하고 이러한 로프를 저면에 지지되게 설치함으로써 수면에 계류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인공부도는 하천 및 호수의 경관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 또는 수질을 정화하여 생태계의 건전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면에 계류되는 부도형 정화장치 내에 접촉산화 여재를 충진함과 아울러 하부에 접촉메디아를 설치함으로써 녹조가 심한 표층수는 물론 수심이 깊은 하천의 오염물질까지도 정화하여 순환시킴으로써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고 오염원인을 해소하여 녹조 발생을 억제하도록 된 부도형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도형 수질정화장치는 격벽이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의 둘레에 부력체가 설치됨과 아울러 다수개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고 수생식물이 식재되어 있어, 하천의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오염된 물을 유입시킨 후 정화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는 부도형 정화장치;와, 상기 부도형 정화장치를 로프와 연결되는 앵커 블럭으로 체결하여 상기 하천의 저면에 지지시키는 계류장치; 상기 부도형 정화장치의 하면에 부착되고,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 서식하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접촉메디아; 상기 부도형 정화장치 및 접촉메디아에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화를 촉진시키는 에어콤프레셔; 및 상기 에어콤프레셔의 구동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도형 정화장치의 하부에 심층수를 유입하기 위한 수중펌프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기도 한다.
이때, 전술한 부도형 정화장치는 상기 그물망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물을 필터 처리하여 정화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정화된 물을 미생물에 의해 정화하기 위하여 내부에 접촉산화 여재인 다공질 세라믹 여재를 충진하고, 그 상면에는 상기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바이오매트로 이루어지는 접촉산화실; 및 상기 콘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접촉산화실로부터 정화된 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수중모터펌프로 가압하는 펌프실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도형 수질정화장치의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은 부도형 수질정화장치(100)는 둘레의 부력체(11a)에 의해 연못이나 하천 등의 수중에 부유되고, 상부에는 수생식물(18)이 식재됨으로써 하천의 녹화를 부여하고, 더욱이 내부에 부착 서식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담수호의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분수에 의해 정화된 물이 순환되도록 노즐(17a)을 통해 분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부도형 수질정화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접촉산화 여재가 충진됨과 아울러 그 하부에는 접촉메디아가 설치되어 있어, 생물막법에 의한 부착성장 미생물로 BOD,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제거한다. 게다가, 계절적인 변화에 대응되어 수질을 정화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친화적인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여름에는 호수나 연못의 물이 정체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강한 햇빛을 받아 수온이 높아지므로, 녹조가 생기기 위한 표층수(약 30㎝)를 우선적으로 정화하여 분수에 의한 순환 운동을 시킨다. 아울러, 깊은 호수나 연못의 물은 성층화에 의해 상하의 온도차가 크므로 연못 저부와 심층수를 순환 정수시킴으로써 표면수의 수온을 낮추어 녹조 발생을 한층 억제시킨다.
겨울에는 호수나 연못의 물의 표층 수온이 낮아져 물의 이환운동이 활발하게 되므로 상하 대류작용에 의해 호수나 연못수 전체를 정화시킨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를 도시한 설치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수질정화장치에서 부도형 정화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질정화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부도형 수질정화장치(100)는 다양한 수생식물이 식재되어 정화 기능을 담당하는 부도형 정화장치(10)와, 부도형 정화장치(10)를 수면에 계류시키기 위한 계류장치(20), 부도형 정화장치(10)의 하면에 다중 배열되어 설치되는 접촉메디아(30),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콤프레셔(40), 접촉메디아(30)와 에어콤프레셔(40)를 연결하기 위한 에어라인(42), 부도형 정화장치(10)에 탑재되는 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5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부도형 정화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상하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는 부력체(11a)와, 상하의 부력체(11a)에 격벽으로서 그물망(11b)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1)으로 구성됨으로써 담수호의 수면에 부유되어 그물망(11b)을 통해 오염된 물을 유입하고 정화된 물을 자유로이 유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필터부(12)와 접촉산화실(14) 및 펌프실(16)로 구분되고, 펌프실(16)에 수중모터펌프(16a)가 설치되며, 이러한 수중모터펌프(16a)와 연결되면서 부력체(11a)의 내측 둘레를 따라 노즐관(17)이 설치되어 정화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필터부(12)는 오염된 물이 흡입되는 구간으로서 쓰레기를 제거하여 1차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접촉산화실(14)은 접촉산화 여재로서 다공질 세라믹 여재(도4의 142)가 충진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바이오매트(14a~14n)를 설치하여 다양한 수생식물(18)이 식재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바이오매트(14a~14n)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의 망체로 다중 배열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식재되는 수생식물(18)은 그 지역의 특유의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환경학습의 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이오매트(14a~14n)에 충진되는 다공질 세라믹 여재(1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에서 발포 성형된 다공질의 세라믹 경량체를 파쇄하여 입자 크기를 조정한 인공 경량체로서, 입자크기는 바이오매트의 망 틈새 사이로 토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서 통상 2~30mm 범위내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100㎛이하의 입도를 갖는 유리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탄소분말 또는 탄산나트륨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발포체를 0.5~2중량부 혼합하고, 산화철, 산화니켈, 산화크롬 또는 산화코발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착색제 0.2~2중량부를 혼합하여 열처리로에 투입한 다음, 6~8℃/분 으로 승온하여 700~1,000℃의 온도에서 발포하고 냉각분쇄하여 제조된 입상의 다포유리와, 난분해성 또는 기숙성된 유기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공질 세라믹 여재(142)는 여재의 특성상 호기성 미생물이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된 구조로서 수질 정화를 촉진시켜 수중의 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소재 자체가 지니는 다공질을 통해 보온성과 흡수성이 뛰어나 므로 원생동물에서부터 물벼룩, 새우류나 작은 물고기 둥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하천의 생태계를 신속하게 복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펌프실(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도형 정화장치(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노즐관(17)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수중모터펌프(16a)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노즐관(17)은 부도형 정화장치(10)의 안쪽 둘레를 따라 설치되기는 하나 그 길이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도4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펌프실(16)은 접촉산화실(14)로부터 정화되는 물을 가압하여 노즐(17a)을 통해 분사시키는데, 이러한 분수 기능으로 파랑 효과를 제공하여 수중의 DO(용존산소)를 높이고 수질을 개선함으로써 치어나 물벼룩, 새우, 또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육이 증가하여 생태계의 안정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박리한 무기물의 입자나 혐기성균의 방출을 침하시킴으로써 수저부(水底部)에서 혐기를 분해할 수 있다.
계류장치(20)는 부도형 정화장치(10)가 담수호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유되도록 로프(21) 및 앵커 블럭(22)으로 구성된다. 즉, 부력체(11a)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1)의 양측에 로프(21)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러한 로프(21)가 저면에 고정 설치된 2개의 앵커 블럭(22)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술은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등록된 기술이며, 또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정도의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그리고, 접촉메디아(30)는 원통형 몸체의 옆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는 단위체로서, 수면에 계류되는 부도형 정화장치(10)의 하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접촉메디아(30)는 통상 원생동물에서부터 물벼룩, 새우류나 어류 등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 내지는 대피처, 휴식처로서, 원통형 몸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생육하는 미생물 점막에 유기성의 오염 물질이 접촉 및 흡착됨으로써 미생물 점막으로부터 이산화탄소와 무기물질 등이 방출되는 원리로 수질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접촉메디아(30)는 가능한한 큰 비표면적을 가지면서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큰 공극이 형성되고 시설의 개조없이 용이하게 추가 설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에어콤프레셔(40)는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압축기로서, 부도형 정화장치(10)가 계류되는 인근 지상부에 설치되어 이와 연결되는 에어라인(42)을 통해 접촉메디아(30) 및 접촉산화실(14)에 산소를 공급한다. 이는 접촉산화실(14)의 호기성화를 촉진시키고 호기성 미생물의 생육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수질정화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에어콤프레셔(40)와 같이 지상부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50)는 수중케이블(52)을 통해 펌프실(16)의 수중모터펌프(16a)와 연결되어 수중모터펌프(16a) 의 동작과 에어콤프레셔(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콘트롤박스(50)내에 설치되는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부도형 수질정화장치(100)는 부도형 정화장치(10)의 그물망(11b)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물을 필터실(12)에서 필터 처리하여 1차적으로 정화한 후, 접촉산화실(14)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에 의해 2차 정화를 수행한다. 정화 후, 펌프실(16)의 수중모터펌프(16a)로 가압하여 노즐(17a)을 통해 외부로 분사시킴으로써 이러한 분수 동작에 의해 파랑 효과를 제공한다. 게다가, 하측의 접촉메디아(30)에 서식하고 있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심층수를 효과적으로 정화함으로써 녹조현상을 방지하여 수질을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접촉산화실(14)과 접촉메디아(30)에 접촉폭기법에 따라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부착 성장하는 미생물 및 수생식물의 생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나아가서는 원생동물에서부터 물벼룩, 새우류나 작은 물고기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자연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장치를 도시한 설치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질정화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참고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면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도형 수질정화장치(200)는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질정화장치(100)의 구성에 심층수를 유입하기 위한 수중펌프(6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므로 이는 주로 연못이나 하천 등의 수심이 깊을 때 사용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생식물이 식재되어 수면에 계류되는 부도형 정화장치(10)와, 부도형 정화장치(10)를 로프(21)에 의해 저면에 지지시키는 계류장치(20), 부도형 정화장치(10)의 하면에 다중 배열되어 설치되는 접촉메디아(30), 에어라인(42)을 통해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콤프레셔(40), 및 부도형 정화장치(10)에 탑재된 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50)로 구성됨과 아울러, 심층수를 유입하기 위한 수중펌프(60)로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부도형 정화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가 부력체(11a)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1)에 그물망(11b)의 격벽이 형성되어 수위 변화에 따라 대응되어 부유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1) 내에는 담수호의 오염 물질을 1차적으로 정화하는 필터부(12)와, 부착 성장하는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정화하는 접촉산화실(14), 및 필터부(12)와 접촉산화실(14)로부터 정화된 물을 수중모터펌프(16a)로 가압하여 노즐(17a)을 통해 분사하는 펌프실(16)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며, 필터부(12)의 하측에는 심층수를 유입하여 정화할 수 있도록 수중펌프(60)가 관통 설치된다.
이를 위한 필터부(12)는 상층부의 오염된 물을 그물망(11b)을 통해 흡입하여 1차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하측에 관통 설치되는 수중펌프(60)를 통해 심층 수를 흡입한다.
접촉산화실(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산화 여재로서의 다공질 세라믹 여재(142)가 충진되고 그 상부에 바이오매트(14a~14n)를 깔아 다양한 수생식물이 식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바이오매트(14a~14n)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수생식물(18)을 식재하기 위하여 망체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모양 및 크기로 형성되어 접촉산화실(14)의 크기에 따라 다중 배열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펌프실(16)은 부도형 정화장치(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노즐관(17)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수중모터펌프(16a)가 설치되어 있어, 접촉산화실(14)로부터 정화된 물을 가압하여 노즐(17a)을 통해 분사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수질정화장치(200)에서의 계류장치(20), 접촉메디아(30), 에어콤프레셔(40), 콘트롤박스(50)은 도 2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이에 대한 기술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르면 연못이나 하천 등에서의 상층수는 주로 필터부(12)로 유입되어 1차 정화된 후 접촉산화실(14)로 보내어지는 한편, 심층수는 부도형 정화장치(10)의 수중펌프(60)에 의해 유입되어 접촉산화실(14)에 부착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오염물질이 분해·제거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물은 펌프실(16)의 수중모터펌프(16a)에 의해 가압되어 노즐(17a)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접촉메디아(30)에 부착 서식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서도 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못이나 하천에서 상층수에서부터 심층수까지 고루 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도형 수질정화장치(200)는 접촉산화실(14)의 미생물에 의해 정화된 물이 노즐(17a)을 통해 분사되어 반복 순환되기 때문에 녹조 현상을 억제하고 파랑 효과가 증가되므로 수질을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부도형 정화장치(10) 위에 수생식물(18)을 녹화함으로써 아름다운 식물섬을 연출할 수 있다. 더욱이, 접촉산화실(14)과 접촉메디아(30)에 지속적으로 산소가 공급되어 부착 성장하는 미생물 및 수생식물의 생육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원생동물에서부터 물벼룩, 새우류나 작은 물고기 등이 서식하는 친환경적인 자연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도형 수질정화장치의 상부에 무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관객들에게 자연과 어울러진 공연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7를 참조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도형 수질정화장치를 활용한 예를 살펴보면, 부도형 정화장치(300)의 전체 모양이 통상 숟가락 모양으로 긴 직선형의 일단부가 원형으로 형성된 형상이다. 이때, 부도형 정화장치(300)의 상부의 모든 면적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을 중심으로 목재(400)가 바닥면 또는 난간에 부가되어 설치되고, 설치된 목재(4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식물(500)이 식재됨과 아울러 노즐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됨으로써 수변의 무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긴 직선형의 부도형 정화장치(300)는 무대의 연결통로(410)로서 역할을 하고, 원형의 부도형 정화장치(300)는 연주가들이 모여서 연주할 수 있는 무대공간(420)으로서 제공함으로써 분수와 함께 자연과 어울러진 공연을 가능케 한다.
여기서, 도시된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나타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의 연결통로(410) 및 무대공간(420)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도형 수질정화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못이나 호수에 서식하는 호기성균이 접촉산화실의 다공질 세라믹 여재의 표면에 생물막을 형성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증식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BOD,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을 분해·억제함으로써 수질을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물막에서 증식한 호기성균을 포함한 처리수와 그 처리수의 분수에 의한 파랑 효과로 녹조 발생을 억제시키고, 완만한 처리수의 순환 운동으로 저니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정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도형 정화장치 위에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아름다운 식물섬을 연출할 뿐만 아니라, 연못이나 호수에 친환경적인 생태계를 구축하고, 지역 특유의 수생식 물을 식재함으로써 환경학습의 장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정화가 진행되는 호수나 연못의 수면에는 청정감과 약동감이 있고, 수역의 쾌적성을 높여 사람들을 신체적, 정신적으로 활기차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격벽이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의 둘레에 부력체가 설치됨과 아울러 다수개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고 수생식물이 식재되어 있어, 하천의 수면에 부유된 상태로 오염된 물을 유입시킨 후 정화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는 부도형 정화장치(10);와,
    상기 부도형 정화장치(10)를 로프와 연결되는 앵커 블럭으로 체결하여 상기 하천의 저면에 지지시키는 계류장치(20);
    상기 부도형 정화장치(10)의 하면에 부착되고, 호기성 미생물이 부착 서식하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접촉메디아(30);
    상기 부도형 정화장치(10) 및 접촉메디아(30)에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화를 촉진시키는 에어콤프레셔(40);
    상기 에어콤프레셔(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박스(50); 및
    상기 부도형 정화장치(10)로 심층수를 유입하기 위한 수중펌프(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형 정화장치(10)는
    상기 그물망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물을 필터 처리하여 정화하는 필터부(12);와,
    상기 필터부로(12)부터 정화된 물을 미생물에 의해 정화하기 위하여 내부에 접촉산화 여재인 다공질 세라믹 여재를 충진하고, 그 상면에는 상기 수생식물가 식재되는 바이오매트로 이루어지는 접촉산화실(14); 및
    상기 콘트롤박스(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접촉산화실(14)로부터 정화된 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수중모터펌프로 가압하는 펌프실(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KR1020040026759A 2004-04-19 2004-04-19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KR10059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759A KR100593405B1 (ko) 2004-04-19 2004-04-19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759A KR100593405B1 (ko) 2004-04-19 2004-04-19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153U Division KR200362639Y1 (ko) 2004-05-21 2004-05-21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678A KR20050101678A (ko) 2005-10-25
KR100593405B1 true KR100593405B1 (ko) 2006-06-30

Family

ID=3728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759A KR100593405B1 (ko) 2004-04-19 2004-04-19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4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394B1 (ko) 2013-10-23 2016-04-25 김준배 미생물과 식물을 이용한 다용도 수질정화 장치
KR101638519B1 (ko) * 2015-03-26 2016-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101758847B1 (ko) * 2014-03-21 2017-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융복합 부유형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20200099286A (ko) 2019-02-14 2020-08-24 매인에너지아(주) 신재생에너지 발전기능을 구비한 수질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73B1 (ko) * 2006-05-04 2006-11-15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내에 설치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우수저장장치
KR100784400B1 (ko) * 2006-09-29 2007-12-12 주식회사 드림니어 담수호 및 하천 정화장치
KR101292198B1 (ko) * 2011-03-31 2013-08-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물 흡수층을 갖는 바이오 메스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 블록과 인공습지
KR101357657B1 (ko) * 2011-06-24 2014-02-05 이병걸 물의 흐름을 이용하는 정수시스템
CN103936165B (zh) * 2014-04-28 2016-04-20 宁波原水集团有限公司 一种防止浮水生态修复植物疯长蔓延的植物扶墙装置
CN104261566A (zh) * 2014-10-17 2015-01-07 西南交通大学 一种微曝气强化生态浮床污水处理装置
CN105366886B (zh) * 2015-11-23 2017-12-22 安徽国祯环保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复合生态污水处理沉淀设备
CN105461071B (zh) * 2015-12-29 2018-04-10 岭南新科生态科技研究院(北京)有限公司 绿色生态浮岛装置
CN107324499A (zh) * 2017-08-30 2017-11-07 上海海洋大学 一种用于景观水体净化的多功能生态浮岛
CN110844973A (zh) * 2019-12-12 2020-02-28 重庆中清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水体净化模块和水体生态净化屋
CN111392873B (zh) * 2020-04-27 2020-12-04 新昌县澄聚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生态环境保护用的生态浮床及构建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394B1 (ko) 2013-10-23 2016-04-25 김준배 미생물과 식물을 이용한 다용도 수질정화 장치
KR101758847B1 (ko) * 2014-03-21 2017-07-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융복합 부유형 수질정화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101638519B1 (ko) * 2015-03-26 2016-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융복합 부유형 수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20200099286A (ko) 2019-02-14 2020-08-24 매인에너지아(주) 신재생에너지 발전기능을 구비한 수질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678A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405B1 (ko)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CN100340501C (zh) 立体型生态浮床及其净水方法
KR20120026214A (ko)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WO2012008424A1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養殖装置
KR101226561B1 (ko) 유비쿼터스 기반 호소 관리용 다기능 이동형 부도
EP2028160A2 (en) Modular floating helophyt filter
JP5954629B2 (ja) 二枚貝類の養殖兼富栄養化水域の水質及び底質浄化システム
KR200362639Y1 (ko) 부도형 수질정화장치
KR100423364B1 (ko) 인공식물섬을 이용한 수질정화 장치
KR20140046578A (ko) 부유형 수질정화장치
JP2009273440A (ja) 水質浄化兼水産資源飼育システム及び浮遊体
JP2003340489A (ja) 閉鎖性水域の浄水装置
JPH10113685A (ja) 浮漂構造体および当該浮漂構造体による水の浄化方法
KR100453199B1 (ko) 기능성세라믹에 의한 호수 수질정화장치 및 방법
JPS62204898A (ja) 曝気装置
CN102092889B (zh) 一种湖泊净化及水生态环境复原的方法
JP2003112191A (ja) 水質浄化システム
JPH08331998A (ja) 自然水系の浄水構造
CN107129116A (zh) 漂浮式综合水处理设备及应用该设备的水处理方法
JP2738823B2 (ja) 炭ユニット並びに水質浄化装置及び水質浄化方法
JPH1136275A (ja) 浮体式人工島
JP2883771B2 (ja) 湖沼等の浄化装置
CN206720979U (zh) 喷泉式水体净化装置及水处理系统
JP2000126789A (ja) 湖沼、河川等の水質浄化機構。
CN216106231U (zh) 微生物定向转化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