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295B1 - 기록매체상에복수의트릭재생신호를기록하는동안이신호의싱크블록번호를부여하는방법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상에복수의트릭재생신호를기록하는동안이신호의싱크블록번호를부여하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295B1
KR100593295B1 KR1019980707956A KR19980707956A KR100593295B1 KR 100593295 B1 KR100593295 B1 KR 100593295B1 KR 1019980707956 A KR1019980707956 A KR 1019980707956A KR 19980707956 A KR19980707956 A KR 19980707956A KR 100593295 B1 KR100593295 B1 KR 100593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k play
trick
sync
signal
sync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4860A (ko
Inventor
알베르트 마리아 아르놀드 르카에르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0006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11B15/467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 G11B15/467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11B15/4675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 G11B15/467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 G11B15/467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with provision for information tracking using signals recorded in track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canning direction using auxiliary signals, i.e. pilot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47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 G11B5/0086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using cyclically driven heads providing segmented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싱크블록에 대한 특정한 싱크블록 번호부여 방법에 대해 개시되는데, 이때 상기 트릭재생 신호는 공칭 기록속도 이외의 트릭재생 기록매체 속도로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록매체 상에 복수의 트릭재생 신호를 기록하는 동안 이 신호의 싱크블록 번호를 부여하는 방법{@@@@}
본 발명은, 자기 기록매체 상의 복수의 경사 트랙에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기록하며,
-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신호를 복수의 트랙에 기록하기에 적합한 제 1 및 제 2 트릭재생 신호로 각각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과,
- 기록매체의 기록속도로 상기 제 1 및 제 2 트릭재생 신호를 기록하여 상기 복수의 트랙의 특정한 위치에 놓인 제 1 및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얻으며, 회전가능한 헤드 드럼 상에 놓인 적어도 제 1 및 제 2 기록헤드를 구비하되, 제 1 헤드는 제 1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제 2 헤드는 상기 제 1 방위각과 다른 제 2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는 기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디지탈 정보신호는 재생장치 내부에서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트릭재생 재생속도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는 상기 재생장치 내부에서 n2에 기록속도를 곱한 트릭재생 재생속도로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n1 및 n2는 서로 다르며 0 및 1인 아닌 정수인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록장치는 관련문헌 목록의 문헌 D4인 WO 95/28,061호에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장치는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디지탈 비디오 레코더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디지탈 비디오 신호는 MPEG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디지탈 비디오 신호의 복수의 정보 패킷이 MPEG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의 직렬 데이터 스트림 내부에 포함된다. 이러한 MPEG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에 덧붙여, 트릭재생 신호가 기록매체 상의 복수의 트랙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트릭재생 신호는 동일한 비디오 신호가 될 수 있지만, 공칭 재생속도와 다른 기록매체 (트릭재생) 속도로 재생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트릭재생 속도로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개의 데이터 스트림이 기록매체 상에 트릭재생 신호로서 기록된다. 이 트릭재생 신호는, 예를 들어 MPEG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I-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MPEG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트릭재생 신호는 반드시 MPEG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트릭재생 신호일 필요는 없으며, 완전히 다른 신호일 수 있다. 그러나, MPEG 인코딩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트릭재생 신호의 직렬 데이터 스트림은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정보 패킷을 포함한다.
전술한 문헌에는, 기록매체 상의 복수의 트랙에 복수의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정보 세그먼트를 기록하는 과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특정한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세그먼트는, 그것의 대응하는 트릭재생 재생속도로 트릭재생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트랙 내부에 특정한 위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포맷에 따라 기록매체 상에 복수의 트릭재생 신호를 기록하는 개량된 기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트릭재생 신호가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정보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복수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기록하며 상기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복수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기록하며, 상기 복수의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복수의 싱크블록은 제 1 및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한 개의 싱크블록에 있는 제 1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한 개의 트랙에 있는 싱크블록의 위치와 관계를 가지며,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상기 트랙에 있는 싱크블록의 위치와 상기한 관계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복수의 싱크블록에 대한 특정한 싱크블록의 번호부여 과정이 필요하다는 착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중요한 특징은, 상기 트릭재생 신호가 트릭재생 신호의 정보가 그 안에 저장된 (소위 '원본' 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 헤드 드럼의 1 회전 동안 판독되는 ' 원본' 싱크블록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m1보다 작다. 이러한 싱크블록은, 바람직하게는 제로값인 특정한 개시 카운트 값 m0로부터 제 1 카운트 값까지 번호가 부여된다.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나머지 싱크블록은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싱크블록의 형태를 갖거나 ' 원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하는 복수의 싱크블록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복수의 싱크블록도,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한 1 회전 동안 판독된 복수의 싱크블록은 상기한 제 1 카운트 값으로부터 시작하여 m0+m1-1인 최종 카운트 값에 이르는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는 특징을 지니면서 마찬가지로 번호가 부여된다. 반복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 원본' 싱크블록과 그것의 반복은 동일한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패리티 싱크블록에 대한 번호부여는, 기록시에 문제가 되는 트릭재생 신호에 대해 수행된 오류정정 인코딩에 대해 나중에 (이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오류정정 인코딩 과정은,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싱크블록이 기록매체 상에 저장되도록 한다. 패리티 정보의 싱크블록이 제 1 카운트 값으로부터 그 이상의 값을 갖는 싱크블록 번호를 갖기 때문에, 패리티 싱크블록이 ' 원본' 싱크블록에 방해을 받지 않으므로, 원래 정의된 것 이외의 오류정정 디코딩을 갖는 재생장치에서 조차, 원본 싱크블록에 근거한 재생이 여전히 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대한 복수의 싱크블록 번호에는 기록매체 상의 한 개의 트랙에 있는 싱크블록의 위치를 식별하는 ' 정규' 싱크블록 번호가 추가된다. 현재 정의된 싱크블록 번호는 이와 같은 위치와 관계가 없으므로, 문제가 되는 트릭재생 재생과 방해되지 않으면서, 기록매체 내부의 다른 위치에 복수의 싱크블록을 저장하는데 대한 자유가 존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러한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p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 내부의 트랙 포맷과, 제 1 트릭재생 재생모드 중에 2개의 재생헤드가 따르게 되는 기록매체를 가로지르는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p는 48이고, 기록매체의 속도는 공칭값의 +4배인 트랙 포맷과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a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4배의 공칭값 재생모드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 만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기록매체 상의 한 개의 트랙에 대한 내용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제 2 트릭재생 재생모드 중에 2개의 재생헤드가 따르게 되는 기록매체를 가로지르는 경로를 갖되,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값의 -4배인, 도 1과 동일한 포맷을 나타낸 것이며,
도 3a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4배의 공칭값 재생모드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 만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제 3 트릭재생 재생모드 중에 2개의 재생헤드가 따르게 되는 기록매체를 가로지르는 경로를 갖되,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값의 +12배인, 도 1과 동일한 포맷을 나타낸 것이며,
도 4a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2배의 공칭값 재생모드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 만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제 4 트릭재생 재생모드 중에 2개의 재생헤드가 따르게 되는 기록매체를 가로지르는 경로를 갖되,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값의 -12배인, 도 1과 동일한 포맷을 나타낸 것이며,
도 5a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12배의 공칭값 재생모드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 만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제 5 트릭재생 재생모드 중에 2개의 재생헤드가 따르게 되는 기록매체를 가로지르는 경로를 갖되,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값의 +24배인, 도 1과 동일한 포맷을 나타낸 것이며,
도 6a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24배의 공칭값 재생모드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 만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제 6 트릭재생 재생모드 중에 2개의 재생헤드가 따르게 되는 기록매체를 가로지르는 경로를 갖되,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값의 -24배인, 도 1과 동일한 포맷을 나타낸 것이며,
도 7a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24배의 공칭값 재생모드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 만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한 개의 싱크블록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싱크블록에 있는 데이터 헤더부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MPEG 패킷이 그 내부에 저장되는 2개의 연속적인 싱크블록을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2개의 연속적인 싱크블록의 첫 번째 싱크블록 내부에 존재하며, 타임 스탬프(time stamp)를 포함하는 패킷 헤드의 내용을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2개의 연속적인 트릭재생 싱크블록 중에서 첫 번째 싱크블록 내부에 존재하며, 복수의 패킷 중에서 트릭재생 데이터 스트림 내부에 있는 패킷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는 패킷 헤더의 내용을 나타낸 것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장치 내부의 타임 스탬프 발생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는 재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복수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트랙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트랙은 기록매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갖고 기록된다. 그러나, 간략을 기하기 위해, 도 1에는 트랙이 기록매체(1)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각도로 도시되어 있다. 연속적인 p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그룹은 기록매체(1) 상에서 식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p개의 연속적인 트랙으로 이루어진 한 개의 그룹을 도 1에 도시하였는데, 이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 p는 48이다. 기록/재생 과정 중에, 도 1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그리고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트랙이 기록/판독된다.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그룹을 갖기 때문에, 트릭재생 속도로서 다음과 같은 피제수(dividend)가 가능하다: 2x, 3x, 4x, 6x, 8x, 12x 및 24x. 이중에서 가장 낮은 2개의 트릭재생 속도는 다량의 트릭재생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더구나, 서로 정수배를 갖는 복수의 트릭재생 속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트릭재생 속도 4x, 12x 및 24x 또는 6x, 12x 및 24x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일군의 트릭재생 속도 4x, 12x 및 24x와, 그것의 역방향 속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한 개의 트랙에 대한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트랙은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기록되고 판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트랙부의 길이는 메인 싱크블록의 개수로 표시되는데, 이때, 한 개의 메인 싱크블록은 그 각각이 8 비트인 112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다.
먼저, ' 마진(margin)' 으로 표시된 클록 도입부(run-in portion)(2)가 기록되는데, 이 부분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다. 다음에, 3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 프리앰블 부분(3)이 뒤따른다. 서브코드 신호 기록부(4)는 프리앰블부(3) 뒤에 위치하며 4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서브코드 신호 기록부(4)는 그 내부에 서브코드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서보코드 신호는 다른 무엇보다도 절대 및/또는 상대 시간 정보와 목차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는, 3개의 메인 싱크블록 길이를 갖는 포스트앰블 부분(5)과, 3개의 메인 싱크블록 길이를 갖는 ' IBG' 로 표시한 편집 갭(6)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1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 프리앰블 부분(7)이 뒤따른다. 다음에는, 23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 ' AUX' 로 표시된 보조신호 기록부(8)가 뒤따른다. 상기한 보조신호 기록부(8)는, 예를 들어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보조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신호 기록부(8) 뒤에는, 2개의 메인 싱크블록 길이를 갖는 포스트앰블부(9)와, 3개의 메인 싱크블록 길이를 갖는 ' IBG' 로 표시된 편집 갭(10)과, 1개의 메인 싱크블록 길이를 갖는 프리앰블부(11)가 뒤따른다. 다음에는, ' 메인 데이터 영역' 으로 표시한 307개의 메인 싱크블록 길이를 갖는 정보신호 기록부(12)가 뒤따른다. 상기한 정보신호 기록부(12)는 그 내부에 디지탈 정보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디지탈 정보신호로는 MPEG 정보신호로 인코딩될 수 있는 디지탈 비디오 신호 및/또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정보신호 기록부(12) 내부에는 트릭재생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정보신호 기록부(12)는, 277개의 메인 싱크블록 길이를 갖는 제 1 부분(12a)과, 30개의 메인 싱크블록 길이를 갖는 제 2 부분(12b)의 2개의 부분으로 가상적으로 분할된다. 이때, 제 2 부분(12b)은 외부 ECC 패리티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한 정보신호 기록부(7) 뒤에는 2개의 메인 싱크블록 길이를 갖는 포스트앰블 부분(13)과 또 다른 ' 마진' 부분(14)이 위치하는데, 이때, 이러한 마진 부분의 길이는 상관이 없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한 트랙은 356개의 메인 싱크블록을 포함한다.
이때, 다른 기록 모드에서는 어떠한 보조신호도 트랙 내부에 기록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상기한 보조신호 기록부(8)는 선택사항이라 할 수 있지만, 부분 9, 10 및 11을 포함하는 기록부(8)는 정보신호 기록부(12)에 부가되어, 트릭재생 데이터가 없이 메인 정보로 채워진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상기 정보신호 기록부(12)의 제 1 부분(12a)에 대한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적어도 제 1 및 제 2 기록헤드를 사용하여 기록된 복수의 트랙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제 1 헤드는 제 1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제 2 헤드는 제 1 방위각과 다른 제 2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는다. 상기 제 1 기록헤드에 의해 기록된 트랙은 도면의 하단 좌측 모서리로부터 도면의 상단 우측 모서리로 향하는 경사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제 2 기록헤드에 의해 기록된 트랙은 도면의 하단 우측 모서리로부터 도면의 상단 좌측 모서리로 향하는 경사선으로 표시하였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20으로 나타낸 도 1에 도시된 원을 참조하지 바란다.
MPEG 전송 스트림의 복수의 정보 패킷을 포함하는 제 1 정보신호는, 복수의 트랙 내부에, 특히 복수의 트랙의 정보신호 기록부(12)에 기록된다. 헬리컬 주사 형태를 갖는 디지탈 비디오레코더의 형태를 갖는 기록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정보신호는 기록과정 중의 기록매체 속도와 동일한 기록매체 속도로 재생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해 복수의 트랙에 기록된 ' 정규재생'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속도는 공칭 기록매체 속도로서 정의된다. 제 1 정보신호는 위에서 규정한 메인 싱크블록 내부에 포함된다.
더구나, 제 2 정보신호는 트랙 내부의 특정한 세그먼트에 기록된다. 이들 세그먼트를 도 1에는 도면부호 22.i(+4)로 나타내었는데, 이때, I는 1에서 12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제 2 정보는, 전방 방향으로의 공칭 재생속도의 4배에 해당하는 재생속도로 재생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 2 정보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정보신호와 전혀 관련이 없는 정보신호일 수 있다. 제 2 정보신호는, 재생된 제 1 (비디오) 신호의 복제본이지만 전방 방향으로 공칭 속도의 4배로 재생된 재생 (비디오) 신호를 얻기 위해, 정규 재생속도의 4배에 대한 트릭 재생신호라는 의미에서, 상기한 제 2 정보신호는 제 1 정보신호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동일한 그룹을 나타낸 것이지만, 도 1a에는 단지 12개의 세그먼트 22.i(+4) 만을 나타내었다.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첫 번째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번호 0라 하고 이 그룹 내부에 있는 최종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 번호 47이라 가정하면, 상기 세그먼트들은 트랙 번호 2+n·8과 5+n·8을 갖는 트랙에 기록되는데, 이때, n은 0에서 5의 값을 갖는 정수이다.
도 1에는 복수의 주사라인 24.1, 24.2, 26.1 및 26.2가 더 도시되어 있다. 2중 화살표로 나타낸 주사라인(24.1, 24.2)은, 헤드 드럼의 2회전 동안 제 1 방위각을 갖는 한 개의 헤드가 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한 개의 화살표로 나타낸 주사라인(26.1, 26,2)은, 헤드 드럼의 상기한 2회전 동안 제 2 방위각을 갖는 또 다른 헤드가 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 같이, 한 개의 헤드는 i가 홀수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22.i(+4)를 판독하며, 다른 헤드는 i가 짝수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22.i(+4)를 판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트릭재생 세그먼트 22.i(+4) 각각은 (m1/2=) 50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다. 한 개의 세그먼트에 있는 50개의 메인 싱크블록 중에서, 45개의 싱크블록은 이들 싱크블록에 저장된 트릭재생 정보에 대한 정보 내용을 갖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 더미' 싱크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개의 세그먼트에 있는 나머지 5개의 싱크블록은 트릭재생 정보에 대해 수행된 ECC 인코딩 단계에서 얻어진 패리티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4배의 공칭 재생모드 중에 헤드드럼의 매 회전 동안,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10개의 싱크블록을 구비한 제 2 정보신호의 100개의 싱크블록의 정보가 기록매체에서 판독된다.
트랙의 보조 기록영역(8)에 있는 첫 번째 싱크블록인 0에서 시작하여 트랙의 영역 12a에 있는 최종 싱크블록인 305까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메인 싱크블록의 번호를 부여하면, i가 짝수인 세그먼트 22.i(+4)에 있는 싱크블록은 트랙에 있는 87 내지 136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이며, 이때, 132 내지 136 번째 싱크블록은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블록이다. 더구나, i가 홀수인 세그먼트 22.i(+4)에 있는 싱크블록은 트랙에 있는 206 내지 255번째의 싱크블록으로, 이중에서 251 내지 255번째 싱크블록은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블록이다. 이때, 여기에서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대해 ' 싱크블록 번호' 로 불리는 것은, 이들 번호가 동일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대해 '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로 불리고 후술하는 것과는 다른 번호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도 1a에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일부에 대한 하단 모서리에 위치한 22.13(+4) 내지 22.18(+4)로 번호가 부여된 부분이 더 도시되어 있다. 이들 위치는, 본 경우에서는 2개의 헤드 중에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4배의 공칭 재생모드로 판독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 도시된 위치가 서브코드 신호 기록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서브코드 신호 기록부에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트랙 내부의 특정한 세그먼트에 기록된 제 3 정보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이들 세그먼트는 도면부호 28.i(-4)로 표시되는데, 이때, i는 1 내지 24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제 3 정보신호는, 후방 방향으로 공칭 재생속도의 4배인 재생속도로 재생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 3 정보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및/또는 제 2 정보신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정보신호일 수 있다. 제 3 정보신호가 재생된 제 1 (비디오) 신호의 복제본으로 공칭 속도의 마이너스 4배에서 (후방 방향으로) 재생된 재생 (비디오) 신호를 얻기 위해 마이너스 4배의 정규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라는 의미에서, 제 3 정보신호는 제 1 정보신호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동일한 그룹을 나타낸 것이지만, 도 3a에는 단지 24개의 세그먼트 28.i(-4) 만이 도시되어 있다.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첫 번째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번호 0라 하고, 이 그룹에 있는 최종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 번호 47이라 가정하면, 상기한 복수의 세그먼트는 트랙 번호 1+n·8, 3+n·8, 4+n·8 및 6+n·8을 갖는 트랙에 기록되는데, 이때, n은 0 내지 5의 값을 갖는 정수이다.
도 3에는 주사라인 30.1, 32.1, 30.2 및 32.2가 더 도시되어 있다.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 주사라인(30.1, 30.2)은, 제 1 방위각을 갖는 한 개의 헤드가 헤드 드럼의 2회전 동안 마이너스 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한 개의 화살표로 표시된 주사라인(33.1, 33.2)은, 제 2 방위각을 갖는 또 다른 헤드가 상기한 헤드 드럼의 2회전 동안 마이너스 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 같이, 한 개의 헤드는 i가 3, 4, 7, 8, 11, 12, 15, 16, 19, 20, 23 및 24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28.i(-4)를 판독하며, 다른 헤드는 j가 1, 2, 5, 6, 9, 10, 13, 14, 17, 18, 21 및 22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28.j(-4)를 판독한다.
트릭재생 세그먼트 28.i(-4) 각각은 (m1/4=) 25 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다. 마이너스 4배의 트릭재생 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이들 싱크블록에 저장된 트릭재생 정보에 대한 정보 내용을 갖는 22개의 싱크블록 및 패리티 정보의 3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거나, 이들 싱크블록에 저장된 트릭재생 정보에 대한 정보 내용을 갖는 23개의 싱크블록 및 패리티 정보의 2개 싱크블록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블록에 저장된 패리티 정보는 트릭재생 신호에 대해 수행된 ECC 인코딩 과정으로부터 얻어진다.
마이너스 4배의 공칭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다음 예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한 개의 트랙의 보조 기록영역(8)에 있는 첫 번째 싱크블록인 0에서 시작하여 트랙 내부의 영역 12a에 있는 최종 싱크블록인 305까지 메인 싱크블록에 번호를 부여하면, i가 2, 6, 10, 14, 18 및 22인 세그먼트 28.i(-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51 내지 75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74 및 75번째 싱크블록이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블록이다. 더구나, j가 4, 8, 12, 16, 20 및 24인 세그먼트 28.j(-4) 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 내부에 122 내지 146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45 및 146번째 싱크블록은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블록이다. 또한, k가 1, 5, 9, 13 및 17인 세그먼트 28.k(-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 내부에 194 내지 218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16, 217 및 218번째 싱크블록은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블록이다. 더구나, l 이 3, 7, 11, 15, 19 및 23인 세그먼트 28.1(-4)애 있는 싱크블록은 트랙 내부에 있는 265 내지 289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87, 288 및 289번째 싱크블록은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블록이다.
따라서, 마이너스 4배의 공칭 재생모드 중에 헤드 드럼의 각 회전 동안, 제 3 정보신호의 100개의 싱크블록(2x22 + 2x23 + 10개의 싱크블록)의 정보가 기록매체에서 판독된다. 이것은 4배의 재생모드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과 동일한 수에 해당한다.
도 3a에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트랙의 일부에 대한 하단 모서리에 놓인 28.25(-4) 내지 28.29(-4)로 번호가 부여된 부분이 더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이들 위치는 2개의 헤드 중에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판독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 도시된 위치가 서보코드 신호 기록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서브코드 기록부에 있는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트랙 내부의 특정한 세그먼트에 기록된 제 4 정보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세그먼트는 도 4에 도면부호 34.i(+12)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데, 이때 i는 1 내지 16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제 4 정보신호는 전방 방향으로 공칭 재생속도의 12배인 재생속도로 재생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 4 정보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및/또는 제 2 및/또는 제 3 정보신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정보신호일 수 있다. 상기한 제 4 정보신호는 재생된 제 1 (비디오) 신호의 복제본으로 (전방 방향으로) 공칭 속도의 12배로 재생되는 재생 (비디오) 신호를 얻기 위해 전방 방향으로 12배의 공칭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라는 의미에서, 제 4 정보신호는 제 1 정보신호와 관계를 갖는다.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48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동일한 그룹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에는 단지 16개의 세그먼트 34.i(+12) 만이 도시되어 있다.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첫 번째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번호 0라 하고, 이 그룹에 있는 최종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 번호 47이라 가정하면, 상기한 복수의 세그먼트는 트랙 번호 3+n·2, 14+n·2, 27+n·2 및 38+n·2를 갖는 트랙에 기록되는데, 이때, n은 0 내지 3의 값을 갖는 정수이다.
도 4에는 4개의 주사라인 36.1, 36.2, 37.1 및 37.2가 더 도시되어 있다.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 주사라인(37.1, 37.2)은, 제 1 방위각을 갖는 한 개의 헤드가 헤드 드럼의 2회전 동안 +12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한 개의 화살표로 표시된 주사라인(36.1, 36.2)은, 제 2 방위각을 갖는 또 다른 헤드가 상기한 헤드 드럼의 2회전 동안 +12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것 같이, 한 개의 헤드는 i가 1 내지 4와 9 내지 12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34.i(+12)를 판독하며, 다른 헤드는 j가 5 내지 8 및 13 내지 16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34.j(+12)를 판독한다.
((m2-4)/8=) 22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 트랙재생 세그먼트 34.i(+12)와 (m2+12)/8=) 24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 트릭재생 세그먼트가 존재한다. 22개의 싱크블록 길이를 갖는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이들 싱크블록에 저장된 트릭재생 정보에 대한 정보 내용을 갖는 11개의 싱크블록과, 상기한 11개의 싱크블록 각각의 반복에 해당하는 11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24개의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이들 싱크블록 내부에 저장된 트릭재생 정보에 대한 정보 내용를 갖는 12개의 싱크블록과, 상기한 12개의 싱크블록 각각의 반복에 해당하는 12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한다.
+12배의 공칭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다음 예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한 개의 트랙의 보조 기록영역(8)에 있는 첫 번째 싱크블록인 0에서 시작하여 트랙 내부의 영역 12a에 있는 최종 싱크블록인 305까지 메인 싱크블록에 번호를 부여하면, 세그먼트 34.1(+12) 및 34.9(+12)에 있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76 내지 99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88 내지 99번째 싱크블록은 76 내지 87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34.2(+12) 및 34.10(+12)에 있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41 내지 162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52 내지 162번째 싱크블록은 141 내지 151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또한, 세그먼트 34.3(+12) 및 34.11(+12)에 있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06 내지 227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17 내지 227번째 싱크블록은 206 내지 216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34.4(+12) 및 34.12(+12)에 있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71 내지 292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82 내지 292번째 싱크블록은 271 내지 281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34.5(+12) 및 34.13(+12)에 있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44 내지 67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56 내지 67번째 싱크블록은 44 내지 55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34.6(+12) 및 34.14(+12)에 있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09 내지 130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20 내지 130번째 싱크블록은 109 내지 119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34.7(+12) 및 34.15(+12)에 있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74 내지 195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85 내지 195번째 싱크블록은 174 내지 184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34.8(+12) 및 34.16(+12)에 있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39 내지 260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50 내지 260번째 싱크블록은 239 내지 249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따라서, +12배의 공칭 재생모드 중에 헤드 드럼의 각 회전 동안, 제 4 정보신호의 180개의 싱크블록(6x22 + 2x24 싱크블록)이 기록매체에서 판독된다.
도 4a에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트랙의 일부에 대한 하단 모서리에 놓인 34.17(+12) 및 34.18(+12)로 번호가 부여된 부분이 더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이들 위치는 2개의 헤드 중에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12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판독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 도시된 위치가 서브코드 신호 기록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12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서브코드 기록부에 있는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트랙 내부의 특정한 세그먼트에 기록된 제 5 정보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세그먼트는 도 5에 도면부호 40.i(-12)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데, 이때 i는 1 내지 18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제 5 정보신호는 공칭 재생속도의 마이너스 12배인 재생속도로 (즉, 후방 방향으로) 재생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 5 정보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및/또는 제 2 및/또는 제 3 및/또는 제 4 정보신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정보신호일 수 있다. 상기한 제 5 정보신호는 재생된 제 1 (비디오) 신호의 복제본으로 (후방 방향으로) 공칭 속도의 마이너스 12배로 재생되는 재생 (비디오) 신호를 얻기 위해 마이너스 12배의 공칭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라는 의미에서, 제 5 정보신호는 제 1 정보신호와 관계를 갖는다.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48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동일한 그룹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에는 단지 18개의 세그먼트 40.i(-12) 만이 도시되어 있다.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첫 번째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번호 0라 하고, 이 그룹에 있는 최종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 번호 47이라 가정하면, 상기한 복수의 세그먼트는 트랙 번호 3+n·2 및 27+n·2를 갖는 트랙(이때, n은 0 내지 3의 값을 갖는 정수이다)과, 트랙 번호 14+n·2 및 38+n·2를 갖는 트랙(이때, n은 0 내지 4의 값을 갖는 정수이다)에 기록된다.
도 5에는 단지 2개의 주사라인 42 및 44가 더 도시되어 있다.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 주사라인(42)은, 제 1 방위각을 갖는 한 개의 헤드가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12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한 개의 화살표로 표시된 주사라인(44)은, 제 2 방위각을 갖는 또 다른 헤드가 상기한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12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것 같이, 한 개의 헤드는 i가 5 내지 9인 (또한 14 내지 18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40.i(-12)를 판독하며, 다른 헤드는 j가 1 내지 4 및 10 내지 13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40.j(-12)를 판독한다.
트릭재생 세그먼트 40.i(-12) 각각은 20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데, 각각의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이들 싱크블록에 저장된 트릭재생 정보에 대한 정보 내용을 갖는 10개의 싱크블록과, 상기한 10개의 싱크블록 각각의 반복에 해당하는 10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한다.
-12배의 공칭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다음 예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한 개의 트랙의 보조 기록영역(8)에 있는 첫 번째 싱크블록인 0에서 시작하여 트랙 내부의 영역 12a에 있는 최종 싱크블록인 305까지 메인 싱크블록에 번호를 부여하면, 세그먼트 40.5(-12) 및 40.14(-12)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30 내지 49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40 내지 49번째 싱크블록은 30 내지 39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40.1(-12) 및 40.10(-12)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57 내지 76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67 내지 76번째 싱크블록은 57 내지 66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또한, 세그먼트 40.6(-12) 및 40.11(-12)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12 내지 131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22 내지 131번째 싱크블록은 112 내지 121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0.7(-12) 및 40.16(-12)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39 내지 158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49 내지 158번째 싱크블록은 138 내지 148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40.3(-12) 및 40.12(-12)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67 내지 186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77 내지 186번째 싱크블록은 167 내지 176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0.8(-12) 및 40.17(-12)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94 내지 213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04 내지 213번째 싱크블록은 194 내지 203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40.4(-12) 및 40.13(-12)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22 내지 241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32 내지 241번째 싱크블록은 222 내지 231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세그먼트 40.9(-12) 및 40.18(-12)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49 내지 268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59 내지 268번째 싱크블록은 249 내지 258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따라서, -12배의 공칭 재생모드 중에 헤드 드럼의 각 회전 동안, 제 5 정보신호의 180개의 싱크블록(9x20 싱크블록)이 기록매체에서 판독되는데, 이것은 +12x의 재생모드에 대한 싱크블록의 수와 동일하다.
도 5a에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트랙의 일부에 대한 하단 모서리에 놓인 40.19(-12) 및 40.20(-12)으로 번호가 부여된 부분이 더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이들 위치는 2개의 헤드 중에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12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판독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 도시된 위치가 서브코드 신호 기록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12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서브코드 기록부에 있는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트랙 내부의 특정한 세그먼트에 기록된 제 6 정보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세그먼트는 도 6에 도면부호 48.i(+24)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데, 이때 i는 1 내지 18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제 6 정보신호는 공칭 재생속도의 +24배인 재생속도로 (즉, 전방 방향으로) 재생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 6 정보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및/또는 제 2 및/또는 제 3 및/또는 제 4 및/또는 제 5 정보신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정보신호일 수 있다. 상기한 제 6 정보신호는 재생된 제 1 (비디오) 신호의 복제본으로 공칭 속도의 +24배로 재생되는 재생 (비디오) 신호를 얻기 위해 +24배의 공칭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라는 의미에서, 제 6 정보신호는 제 1 정보신호와 관계를 갖는다.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48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동일한 그룹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에는 단지 18개의 세그먼트 48.i(+24) 만이 도시되어 있다.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첫 번째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번호 0라 하고, 이 그룹에 있는 최종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 번호 47이라 가정하면, 상기한 복수의 세그먼트는 트랙 번호 4+n·2 및 27+n·2를 갖는 트랙에 기록되는데, 이때, n은 0 내지 8의 값을 갖는 정수이다.
도 6에는 2개의 주사라인 50 및 51이 더 도시되어 있다.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 주사라인(50)은, 제 1 방위각을 갖는 한 개의 헤드가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2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한 개의 화살표로 표시된 주사라인(51)은, 제 2 방위각을 갖는 또 다른 헤드가 상기한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2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것 같이, 한 개의 헤드는 i가 1 내지 9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48.i(+24)를 판독하며, 다른 헤드는 j가 10 내지 18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48.j(+24)를 판독한다.
트릭재생 세그먼트 48.i(+24) 각각은 15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데, 각각의 세그먼트는 이들 싱크블록에 저장된 트릭재생 정보에 대한 정보 내용을 갖는 5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며, 이들 5개의 싱크블록 각각은 2회 반복된다.
+24배의 공칭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다음 예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다시, 한 개의 트랙의 보조 기록영역(8)에 있는 첫 번째 싱크블록인 0에서 시작하여 트랙 내부의 영역 12a에 있는 최종 싱크블록인 305까지 메인 싱크블록에 번호를 부여하면, 세그먼트 48.10(+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9 내지 43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34 내지 38 및 39 내지 43번째 싱크블록은 29 내지 33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48.1(+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43 내지 57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48 내지 52 및 53 내지 57번째 싱크블록은 43 내지 47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또한, 세그먼트 48.11(+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60 내지 74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65 내지 69 및 70 내지 74번째 싱크블록은 60 내지 64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2(+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74 내지 88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79 내지 83 및 84 내지 88번째 싱크블록은 74 내지 78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48.12(+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91 내지 105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96 내지 100 및 101 내지 105번째 싱크블록은 91 내지 95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3(+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05 내지 119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10 내지 114 및 115 내지 119번째 싱크블록은 105 내지 109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48.13(+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22 내지 136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27 내지 131 및 132 내지 136번째 싱크블록은 122 내지 126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4(+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36 내지 150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41 내지 145 및 146 내지 150번째 싱크블록은 136 내지 140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4(+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53 내지 167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58 내지 162 및 163 내지 167번째 싱크블록은 153 내지 157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5(+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67 내지 181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72 내지 176 및 177 내지 181번째 싱크블록은 167 내지 171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15(+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84 내지 198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89 내지 193 및 194 내지 198번째 싱크블록은 184 내지 188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6(+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98 내지 212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03 내지 207 및 208 내지 212번째 싱크블록은 198 내지 202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16(+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15 내지 229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20 내지 224 및 225 내지 229번째 싱크블록은 215 내지 219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7(+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29 내지 243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34 내지 238 및 239 내지 243번째 싱크블록은 229 내지 233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17(+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46 내지 260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51 내지 255 및 256 내지 260번째 싱크블록은 246 내지 250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8(+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60 내지 274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65 내지 269 및 270 내지 274번째 싱크블록은 260 내지 264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18(+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77 내지 291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82 내지 286 및 287 내지 291번째 싱크블록은 277 내지 281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48.9(+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91 내지 305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96 내지 300 및 301 내지 305번째 싱크블록은 291 내지 295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따라서, +24배의 공칭 재생모드 중에 헤드 드럼의 각 회전 동안, 제 6 정보신호의 270개의 싱크블록(18x15 싱크블록)이 기록매체에서 판독된다.
도 6a에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트랙의 일부에 대한 하단 모서리에 놓인 48.19(+24)로 번호가 부여된 부분이 더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이들 위치는 2개의 헤드 중에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2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판독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 도시된 위치가 서브코드 신호 기록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2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서브코드 기록부에 있는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트랙 내부의 특정한 세그먼트에 기록된 제 7 정보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세그먼트는 도 7에 도면부호 54.i(-24)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데, 이때 i는 1 내지 18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제 7 정보신호는 공칭 재생속도의 -24배인 재생속도로 (즉, 후방 방향으로) 재생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 7 정보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및/또는 제 2 및/또는 제 3 및/또는 제 4 및/또는 제 5 및/또는 제 6 정보신호와 전혀 관계가 없는 정보신호일 수 있다. 상기한 제 7 정보신호는 재생된 제 1 (비디오) 신호의 복제본으로 공칭 속도의 -24배로 (즉, 후방 방향으로) 재생되는 재생 (비디오) 신호를 얻기 위해 -24배의 공칭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라는 의미에서, 제 7 정보신호는 제 1 정보신호와 관계를 갖는다.
도 7a는 도 7에 도시된 48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동일한 그룹을 나타낸 것으로, 도 7a에는 단지 18개의 세그먼트 54.i(-24) 만이 도시되어 있다.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첫 번째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번호 0라 하고, 이 그룹에 있는 최종 트랙의 트랙 번호를 트랙 번호 47이라 가정하면, 상기한 복수의 세그먼트는 트랙 번호 1+n·2, 24+n· 및 34+n·2를 갖는 트랙(이때, n은 0 내지 4의 값을 갖는 정수이다)과 트랙 11, 12 및 17에 기록된다.
도 7에는 2개의 주사라인 58 및 56이 더 도시되어 있다.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 주사라인(56)은, 제 1 방위각을 갖는 한 개의 헤드가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2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한 개의 화살표로 표시된 주사라인(58)은, 제 2 방위각을 갖는 또 다른 헤드가 상기한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2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를 가로질러 따르게 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 같이, 한 개의 헤드는 i가 1 내지 8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54.i(-24)를 판독하며, 다른 헤드는 j가 9 내지 18인 트릭재생 세그먼트 54.j(-24)를 판독한다.
트릭재생 세그먼트 54.i(-24) 각각은 15개의 메인 싱크블록의 길이를 갖는데, 각각의 세그먼트는 이들 싱크블록에 저장된 트릭재생 정보에 대한 정보 내용을 갖는 5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며, 이들 5개의 싱크블록 각각은 2회 반복된다.
-24배의 공칭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다음 예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다시, 한 개의 트랙의 보조 기록영역(8)에 있는 첫 번째 싱크블록인 0에서 시작하여 트랙 내부의 영역 12a에 있는 최종 싱크블록인 305까지 메인 싱크블록에 번호를 부여하면, 세그먼트 54.9(-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9 내지 43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34 내지 38 및 39 내지 43번째 싱크블록은 29 내지 33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54.1(-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43 내지 57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48 내지 52 및 53 내지 57번째 싱크블록은 43 내지 47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또한, 세그먼트 54.10(-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57 내지 71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62 내지 66 및 67 내지 71번째 싱크블록은 57 내지 61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2(-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71 내지 85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76 내지 80 및 81 내지 85번째 싱크블록은 71 내지 75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54.11(-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86 내지 100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91 내지 95 및 96 내지 100번째 싱크블록은 86 내지 90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3(-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28 내지 142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33 내지 137 및 138 내지 142번째 싱크블록은 128 내지 132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더구나, 세그먼트 54.12(-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14 내지 128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19 내지 123 및 124 내지 128번째 싱크블록은 114 내지 118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4(-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57 내지 171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62 내지 166 및 167 내지 171번째 싱크블록은 157 내지 161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13(-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43 내지 157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48 내지 152 및 153 내지 157번째 싱크블록은 143 내지 147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5(-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85 내지 199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90 내지 194 및 195 내지 199번째 싱크블록은 185 내지 189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14(-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171 내지 185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176 내지 180 및 181 내지 185번째 싱크블록은 171 내지 175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6(-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14 내지 228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19 내지 223 및 224 내지 228번째 싱크블록은 214 내지 218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15(-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00 내지 214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05 내지 209 및 210 내지 214번째 싱크블록은 200 내지 204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7(-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42 내지 256으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47 내지 251 및 252 내지 256번째 싱크블록은 242 내지 246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16(-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28 내지 242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33 내지 237 및 238 내지 242번째 싱크블록은 228 내지 232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8(-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71 내지 285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76 내지 280 및 281 내지 285번째 싱크블록은 271 내지 275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4.17(-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57 내지 271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62 내지 266 및 267 내지 271번째 싱크블록은 257 내지 261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세그먼트 58.18(-24)에 있는 싱크블록은 한 개의 트랙에 있는 285 내지 299로 번호가 부여된 싱크블록으로, 이때, 290 내지 294 및 295 내지 299번째 싱크블록은 285 내지 289번째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따라서, -24배의 공칭 재생모드 중에 헤드 드럼의 각 회전 동안, 제 7 정보신호의 270개의 싱크블록(18x15 싱크블록)이 기록매체에서 판독되는데, 이것은 +24x 재생 모드에서와 동일한 싱크블록의 수에 해당한다.
도 7a에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트랙의 일부에 대한 하단 모서리에 놓인 54.19(-24)로 번호가 부여된 부분이 더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이들 위치는 2개의 헤드 중에서 제 2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2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판독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한다. 도시된 위치가 서브코드 신호 기록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24배의 공칭 재생모드에서 서브코드 기록부에 있는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다양한 트릭재생 모드 각각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그들 자신의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이러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는, 트랙 내부의 다양한 세그먼트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위에서 사용된 번호와 다르다.
일반적인 법칙으로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a) 트릭재생 속도 +4x 공칭속도와 -4x 공칭속도에 대해서는, 총 10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 즉 문제가 되는 트릭재생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90개의 싱크블록과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10개의 싱크블록이 헤드 드럼의 각 회전 동안 판독된다. 이러한 9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판독되는 순사로 0 내지 89로 번호가 부여되는데, 이때 트릭재생 싱크블록 0는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판독되는 첫 번째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해당한다. 또한, 10개의 패리티 싱크블록은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판독되는 순서로 90 내지 99로 번호가 부여되는데, 이때 트릭재생 싱크블록 90은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판독되는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첫 번째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해당한다.
(b) 트릭재생 속도 +12x 및 -12x 공칭속도에 대해서는, 총 18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 즉 각각의 트릭재생 세그먼트가 9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과 이들 9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 각각의 1회 반복을 포함하기 때문에 9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2배에 해당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헤드 드럼의 각 회전동안 판독된다. 마찬가지로, 이들 9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 헤드의 상기한 1회전 동안 판독되는 순서로 0 내지 89의 번호가 부여되는데, 이때 번호 0를 갖는 싱크블록은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판독되는 첫 번째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해당한다.
(c) 트릭재생 속도 +24x 및 -24x 공칭속도에 대해서는, 총 27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 즉 각각의 트릭재생 세그먼트가 9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과 이들 9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 각각의 2회 반복을 포함하기 때문에 9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3배에 해당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헤드 드럼의 각 회전동안 판독된다. 마찬가지로, 이들 9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 헤드의 상기한 1회전 동안 판독되는 순서로 0 내지 89의 번호가 부여되는데, 이때 번호 0를 갖는 싱크블록은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판독되는 첫 번째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해당한다.
먼저, 첫 번째 트릭재생 신호(+4x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에 대해 설명한다. +4배의 재생속도에서 재생하는 동안 헤드 드럼의 1회전에 대한 시간 간격에 있어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첫 번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22.5(+4)를 주사하고, 다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22.6(+4)를 주사한다. 이때, 세그먼트 22.4(+4)에 있는 첫 번째 45개의 싱크블록은 0에서 4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22.6(+4)에 있는 첫 번째 45개의 싱크블록은 45에서 8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패리티 정보와 그 후에 있는 0 내지 44로 번호가 부여된 45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22.5(+4)에 있는 5개의 싱크블록은 90 내지 94로 번호가 부여된 트릭재생 싱크블록을 갖고, 패리티 정보와 그후에 있는 45 내지 89로 번호가 부여된 45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22.6(+4)에 있는 5개의 싱크블록은 95 내지 99호 번호가 부여된 트릭재생 싱크블록을 갖는다.
전술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는 모든 쌍의 세그먼트 22.i(+4) 및 22.i+1(+4)에 대해 유효한데, 이때, i는 홀수이다. 이에 따라, +4배의 재생모드에서 헤드 드럼의 각 회전에 대해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부여는 반복적이 된다.
따라서, 한 개의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는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블록과 세그먼트 내부의 나머지 싱크블록 사이의 경계선에 걸쳐 불연속적이 된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다음에, 두 번째 트릭재생 신호(-4x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에 대해 설명한다. -4배의 재생속도에서 재생하는 동안 헤드 드럼의 1회전에 대한 시간 간격에 있어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첫 번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28.12(-4) 및 28.11(-4)를 주사하고, 다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29.10(-4) 및 28.9(-4)를 주사한다. 이때, 세그먼트 28.12(-4)에 있는 첫 번째 23개의 싱크블록은 0에서 22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28.11(-4)에 있는 첫 번째 22개의 싱크블록은 23에서 4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28.10(-4)에 있는 첫 번째 23개의 싱크블록은 45에서 67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28.9(-4)에 있는 첫 번째 22개의 싱크블록은 68에서 8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패리티 정보와 그 후에 있는 0 내지 22로 번호가 부여된 23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28.12(-4)에 있는 2개의 싱크블록은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90 및 91을 갖는다. 패리티 정보와 그후에 있는 23 내지 44로 번호가 부여된 22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28.11(-4)에 있는 3개의 싱크블록은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92 내지 94를 갖는다. 또한, 패리티 정보와 그후에 있는 45 내지 67로 번호가 부여된 23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28.10(-4)에 있는 2개의 싱크블록은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95 및 96을 갖는다. 패리티 정보와 그후에 있는 68 내지 89로 번호가 부여된 22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세그먼트 28.9(-4)에 있는 3개의 싱크블록은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97 내지 99를 갖는다.
전술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는 4개의 세그먼트 28.1(-4), 28.1-i(-4). 28.i-2(-4) 및 28.i-3(-4)로 이루어진 모든 그룹에 대해 유효한데, 이때, i는 4, 8, 12, 16, 20 및 24이다. 이에 따라, -4배의 재생모드에서 헤드 드럼의 각 회전에 대해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부여는 반복적이 된다.
따라서, 한 개의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는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싱크블록과 세그먼트 내부의 나머지 싱크블록 사이의 경계선에 걸쳐 불연속적이 된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4x 및 +4x 트릭재생 재생모드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발생 순서와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부여를 전술한 것 같이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선택은, 트릭재생 데이터에 대한 ECC 인코딩의 수행을 선택적인 기록 특징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데, 즉 ECC 인코딩을 기록시에 트릭재생 데이터에 대해 실제로 행하는 경우에, ECC 보정이 선택적인 재생 특징이 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포맷은, 예를 들어 패리티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더 많거나 적은 트릭재생 싱크블록을 필요로 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ECC 인코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패리티 싱크블록은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의 말단에 위치하고, 패리티 싱크블록의 번호체계(90 및 그 이상)가 ' 실제'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89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0 내지 89)를 따르기 때문에, '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가 변하지 않은채 남아 있게 되므로, 패리티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존재하거나 아니거나에 무관하게, 또는 패리티 데이터를 포함하는 얼마나 많은 수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수가 존재하는지에 무관하게,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가 재생장치 내부에서 처리될 수 있다.
다음에, 세 번째 트릭재생 신호(+12x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에 대해 설명한다. +12배의 재생속도에서 재생하는 동안 헤드 드럼의 1회전에 대한 시간 간격에 있어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첫 번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34.i(+12)(이때, i는 5 내지 8의 값을 갖는다)를 주사하고, 다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34.j(+12)를 주사한다(이때, j는 9 내지 12의 값을 갖는다). 이때, 세그먼트 34.5(+12)에 있는 첫 번째 12개의 싱크블록은 0에서 11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34.6(+12)에 있는 첫 번째 11개의 싱크블록은 12에서 22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34.7(+12)에 있는 첫 번째 11개의 싱크블록은 23서 33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34.8(+12)에 있는 첫 번째 11개의 싱크블록은 34에서 4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34.9(+12)에 있는 첫 번째 12개의 싱크블록은 45에서 56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34.10(+12)에 있는 첫 번째 11개의 싱크블록은 57에서 67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34.11(+12)에 있는 첫 번째 11개의 싱크블록은 68에서 78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34.12(+12)에 있는 첫 번째 11개의 싱크블록은 79에서 8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한 개의 세그먼트에 있어서 첫 번째 11개 또는 12개의 싱크블록 각각의 반복에 해당하는 두 번째 11개 또는 12개의 싱크블록은, 그것들이 반복되는 싱크블록과 동일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전술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는 8개의 세그먼트 34.i(+12)로 이루어진 모든 그룹에 대해 유효한데, 이때, i는 5 내지 12의 값을 갖거나, i는 13, … 16, 1, … 4의 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12배의 재생모드에서 헤드 드럼의 각 회전에 대해 0에서부터 89까지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부여는 반복적이 된다.
다음에, 네 번째 트릭재생 신호(-12x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에 대해 설명한다. -12배의 재생속도에서 재생하는 동안 헤드 드럼의 1회전에 대한 시간 간격에 있어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첫 번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40.i(-12)(이때, i는 5 내지 9의 값을 갖는다)를 주사하고, 다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40.j(-12)를 주사한다(이때, j는 1 내지 4의 값을 갖는다). 이때, 세그먼트 40.5(-12)에 있는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0에서 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0.6(-12)에 있는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10에서 1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0.7(-12)에 있는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20에서 2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0.8(-12)에 있는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30에서 3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0.9(-12)에 있는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40에서 4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0.1(-12)에 있는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50에서 5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0.1(-12)에 있는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50에서 5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0.2(-12)에 있는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60에서 6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0.3(-12)에 있는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70에서 7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0.4(-12)에 있는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80에서 8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한 개의 세그먼트에 있어서 첫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하는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두 번째 10개의 싱크블록은, 그것들이 반복되는 싱크블록과 동일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전술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는 9개의 세그먼트 40.i(-12) 내지 40.i+8(-12)로 이루어진 모든 그룹에 대해 유효한데, 이때, i는 1 및 10의 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12배의 재생모드에서 헤드 드럼의 각 회전에 대해 0에서부터 89까지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부여는 반복적이 된다.
다음에, 다섯번째 트릭재생 신호(+24x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에 대해 설명한다. +24배의 재생속도에서 재생하는 동안 헤드 드럼의 1회전에 대한 시간 간격에 있어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첫 번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48.i(+24)(이때, i는 1 내지 9의 값을 갖는다)를 주사하고, 다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48.j(+24)를 주사한다(이때, j는 10 내지 18의 값을 갖는다). 이때, 세그먼트 48.1(+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0에서 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8.2(+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5에서 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8.3(+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10에서 1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8.4(+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15에서 1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8.5(+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20에서 2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8.6(+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25에서 2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8.7(+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30에서 3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8.8(+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35에서 3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8.9(+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40에서 4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8.10(+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45에서 4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8.11(+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50에서 5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8.12(+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55에서 5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8.13(+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60에서 6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8.14(+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65에서 6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8.15(+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70에서 7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8.16(+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75에서 7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48.17(+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80에서 8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48.18(+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85에서 8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복수의 세그먼트에 있어서 두 번째 그룹의 5개의 싱크블록과 3번째 그룹의 5개의 싱크블록은 한 세그먼트에 있어서 첫 번째 그룹의 5개의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이들 싱크블록은, 그것들이 반복되는 첫 번째 그룹에 있는 싱크블록과 동일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전술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18개의 세그먼트 48.i(+24)로 이루어진 모든 그룹에 대해 유효한데, 이때, i는 1 및 18의 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24배의 재생모드에서 헤드 드럼의 각 회전에 대해 0에서부터 89까지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부여는 반복적이 된다.
다음에, 여섯번째 트릭재생 신호(-24x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에 대해 설명한다. -24배의 재생속도에서 재생하는 동안 헤드 드럼의 1회전에 대한 시간 간격에 있어서, 제 1 방위각을 갖는 첫 번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54.i(-24)(이때, i는 9 내지 18의 값을 갖는다)를 주사하고, 다른 헤드는 트릭재생 세그먼트 54.j(-24)를 주사한다(이때, j는 1 내지 8의 값을 갖는다). 이때, 세그먼트 54.9(-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0에서 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54.10(-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5에서 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54.11(-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10에서 1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54.12(-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15에서 1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54.13(-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20에서 2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54.14(-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25에서 2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54.15(-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30에서 3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54.16(-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35에서 3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54.17(-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40에서 4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54.18(-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45에서 4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54.1(-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50에서 5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54.2(-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55에서 5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54.3(-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60에서 6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54.4(-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65에서 6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54.5(-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70에서 7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54.6(-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75에서 7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세그먼트 54.7(-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80에서 84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또한, 세그먼트 54.8(-24)에 있는 첫 번째 5개의 싱크블록은 85에서 89까지의 값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복수의 세그먼트에 있어서 두 번째 및 세 번째 그룹의 5개의 싱크블록은 한 세그먼트에 있어서 첫 번째 그룹의 5개의 싱크블록의 반복에 해당한다. 이들 두번째 및 세 번째 그룹에 있는 싱크블록은, 그것들이 반복되는 첫 번째 그룹에 있는 싱크블록과 동일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전술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체계는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18개의 세그먼트 54.i(-24)로 이루어진 모든 그룹에 대해 유효한데, 이때, i는 1 및 18의 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24배의 재생모드에서 헤드 드럼의 각 회전에 대해 0에서부터 89까지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번호부여는 반복적이 된다.
상기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0 내지 99는, TPSB#로 표시된 7비트의 카운트 워드를 필요로 한다.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 판독헤드 중 한 개에 의해 기록매체를 주사하는 동안, 최대 55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판독된다. 따라서, 기골매체와 재생 접속하고 있는 헤드를 고려하면,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싱크블록 번호로서 6비트의 카운트 워드 RSB#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록매체 상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저장 중에 1 비트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한 7비트의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TPSB#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6비트 번호의 RSB#으로 변환될 수 있다:
1.1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가 50보다 작고 이에 대응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제 1 방위각을 갖는 제 1 헤드에 의해 기록되는 경우에, RSB#는 TPSB#의 6개의 최하위 비트와 동일하다.
1.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RSB#는 (TPSB#-40)의 6개의 최하위 비트와 동일하다.
트릭재생 모드에서 재생시에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로의 역변환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2.1 RSB#가 50보다 작고 이에 대응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제 1 방위각을 갖는 제 1 헤드에 의해 판독되는 경우에, 상기한 TPSB#의 6개의 최하위 비트는 RSB#와 동일하다. 이때, TPSB#의 7번째 비트는 '0'으로 취해진다.
2.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TPSB#=RSB#+40이 된다.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가 1회 주사과정 동안 0 내지 48 및 90 내지 94번째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을 판독하고, 제 2 방위각을 갖는 헤드가 45 내지 89번째 및 95 내지 99번째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을 판독할 때, +4x의 트릭재생 재생모드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TPSB#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변환을 하면, RSB#는 다음과 같이 된다.
두 번째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한 1.2에 기재된 식에 주어진 '40'은 더 큰 값을 가질 수 없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트릭재생 패리티 싱크블록에 대한 RSB#가 50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제 1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판독된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동일한 싱크블록 번호를 가지게 되어 허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TPSB#로부터 감산될 수 있는 값은 36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없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제 2 방위각을 갖는 헤드에 의해 판독된 트릭재생 패리티 싱크블록에 대한 RSB#가 59 내지 63의 값을 갖기 때문이다. 63은 6비트 RSB 워드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가장 큰 번호이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포맷을 설명한다.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제 1 디지탈 정보신호가 저장되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데이터 영역(12)에 있는 다른 싱크블록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112 바이트의 길이를 갖고, 2 바이트 길이의 싱크워드와, ID로 표시한 식별부(60)와, '메인 헤더'로 표시한 헤더 부분(61)과, '데이터-보조(data-aux)'로 나타낸 보조 바이트(62)와, 104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 데이터 영역(64)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64)은 트릭재생 신호(두번째 내지 7번째 정보신호 중 한 개)의 96 바이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과 8 패리티 바이트를 갖는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메인 헤더 영역(61)의 2개의 바이트(70, 71)를 나타낸 것이다. TPSB#는 7비트의 수로 표시되지만, 단지 6 비트, 즉, 메인 헤더 영역(61)의 바이트 72의 비트 b0 내지 b5 만이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TPSB#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바이트 72의 6개의 비트 b0 내지 b5에 저장될 수 있는 이러한 6 비트의 수는 RSB#로 표시된다.
더구나, 트릭재생 속도 식별자는 상기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저장된다. 트릭재생 속도 식별자는 트릭재생 속도 ±4x, ±12x 및 ±24x를 식별한다. 이와 같은 식별을 위해서는 2비트의 워드로 충분하다. 이러한 2 비트의 트릭재생 속도 식별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이트 72의 2개의 나머지 비트 b6 및 b7에 저장된다. 더구나, 2 비트의 트릭재생 속도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트릭재생 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블록을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의 상기 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으로서 식별하기 위해 방향 식별기가 상기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내부에 저장될 필요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메인 헤더 영역(61)에 있는 도 9에 도시된 바이트 70이 방향 식별자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2 비트 워드 '10'은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전방 방향으로의 트릭재생 속도를 위한 것임을 의미하는 한편, 2 비트 워드 '11'은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역 방향으로의 트릭재생 속도를 위한 것임을 의미하도록, 2 비트 워드 b3, b2가 방향 식별자를 포함한다. 더구나, 바이트 70에 있어서 비트 b3, b2='00'는 이 싱크블록이 '정규재생' 데이터를 포함한 싱크블록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뿐만 아니라 정규재생 블록은 더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이와 같은 싱크블록의 데이터 영역(64)이 트릭재생 싱크블록과 관련된 트릭재생 속도에 대한 쓸모없는 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트 70의 2 비트 워드 b3, b2가 '01'인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싱크블록이 더미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더미 데이터 싱크블록에 대해, 상기한 방향 식별자를 바이트 70 내부의 동일한 위치에 저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바이트 70의 2개의 비트 b0 및 b1이 사용된다. 특히, b3, b2가 '01'(더미 데이터)일 때, 비트 b0, b1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b1, b0 = '00'는 '정규재생'에 대한 더미 데이터를 의미한다.
b1, b0 = '01'은 전방 방향의 트릭재생에 대한 더미 데이터를 의미한다.
b1, b0 = '10'은 역 방향의 트릭재생에 대한 더미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것에 대한 대안으로 이와 다른 2 비트 워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b1, b0 = '10'이 전방 방향의 트릭재생에 대한 더미 데이터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01'이 역 방향의 트릭재생에 대한 더미 데이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또 다른 특징부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타임 스탬핑(time stamping)이다. 타임 스탬핑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관련문헌 목록의 문헌 D1인 US 5,579,183호 및 관련문헌 목록의 문헌 D2인 국제출원 WO 96/30,905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 문헌에는, 기록매체 상에 복수의 MPEG 패킷을 기록하는 과정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도착하였을 때 타임 스탬프를 MPEG 패킷에 부가한 다음, 패킷이 기록된다. 재생시에는, 기록매체로부터 패킷을 판독하고, 타임 스탬프를 패킷으로부터 검색하여 패킷을 정확한 순간에 출력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한다.
도 10에는, 188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 MPEG 전송 패킷이 2개의 연속된 싱크블록, 특히 2개의 연속된 싱크블록의 데이터 영역(64a)에 저장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4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 패킷 헤더(75)가 SBn으로 표시한 2개의 싱크블록의 첫 번째 싱크블록의 데이터 영역(64a) 에 저장된다. 다음에, 92 바이트의 MPEG 패킷이 싱크블록 SBn의 데이터 영역(64a)의 나머지 부분에 저장된다. 상기한 MPEG 패킷의 나머지 96 바이트는 두 번째 싱크블록 SBn+1의 데이터 영역(64a)에 저장된다. 이때, 전송 패킷에 대응하는 타임 스탬프가 패킷 헤더(75)에 저장된다. 이것을 도 11에 도시하였다. 정확히 말하면, '정규재생' 데이터에 대한 타임 스탬프는 22 비트의 길이를 가지며 패킷 헤더(75)의 최종 22 비트에 저장된다.
상기한 '정규재생' 데이터에 대한 22 비트의 타임 스탬프는 TSL(time stamp low) 부분과 TSH(time stamp high) 부분으로 나뉜다. 상기한 TSL 부분은 18 비트의 길이를 갖고, 헤드 드럼이 1800 rpm으로 회전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225,000의 모듈로 값(modulo value)을 갖고 주기적으로 실행되거나, 헤드 드럼이 1800/1.001 rpm으로 회전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225,225의 모듈로 값을 갖고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TSH 부분은 4 비트의 길이를 지니며 12의 모듈로 값을 갖고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TSL에 대해 0으로 복귀할 때마다, TSH 값은 1 만큼 증가한다.
후술하는 기록장치에서는 타임 스탬프 카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정규재생' 정보신호를 위한 MPEG 패킷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발생하기 위해, 타임 스탬프 카운터는 헤드 드럼의 6회전과 동일한 주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임 스탬프 카운터는 27 MHz의 클록 주파수를 갖는 카운트 워드의 형태로 22 비트의 타임 스탬프를 발생한다.
특정한 트릭재생 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정보는, MPEG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공지된 I-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킷을 검색하고 이들 패킷을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저장함으로써, MPEG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트릭재생 정보신호를 위한 MPEG 패킷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한 카운터와 동일한 카운터인 타임 스탬프 카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임 스탬프 카운터는 헤드 드럼의 1 회전과 동일한 주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타임 스탬프 카운터는 27 MHz의 클록 주파수를 갖는 20 비트 카운트 워드를 발생한다. 트릭재생 데이터에 대한 타임 스탬프는, 정규재생 타임 스탬프에 대해 전술한 TSL 부분과 동일한 18 비트의 TSL(time stamp low) 부분과, TSH'(time stamp high)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TSL 부분은, 헤드 드럼이 1800 rpm으로 회전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225,000의 모듈로 값을 갖고 주기적으로 실행되거나, 헤드 드럼이 1800/1.001 rpm으로 회전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225,225의 모듈로 값을 갖고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TSH' 부분은 2 비트의 길이를 지니며, 4의 모듈로 값을 갖고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TSL에 대해 0으로 복귀할 때마다, TSH 값은 1 만큼 증가한다. 그 결과, TSL의 주기는 헤드 드럼의 1 회전의 4분의 1과 동일하며, 트릭재생 타임 스탬프 카운터는 헤드 드럼의 1회전과 주기적이 된다. 상기한 타임 스탬프 카운터는 장치 내부에 통상적으로 존재하는 헤드 스위치 펄스와 동기된다.
상기한 20 비트의 타임 스탬프는, 이 타임 스탬프에 대응한 MPEG 패킷이 저장되는 2개의 연속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첫 번째 싱크블록의 패킷 헤더(75)에 저장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에 따라, 2개의 연속적인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저장하기 위한 전송 패킷은 한 개의 타임 스탬프를 갖게 되며, 전송 패킷이 저장되는 2개의 연속적인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이들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기록되는 트랙에 있는 위치와 관련된 이에 대응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다.
전송 패킷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로부터, 전송 패킷이 저장되는 2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대한 공칭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다음 식을 사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NTPSB# = int [(k + n/N)·90/4],
이때, NTPSB#는 공칭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나타내고, N은 회전 헤드드럼이 1800 rpm으로 회전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225,000이며 회전 헤드드럼이 1800/1.001 rpm으로 회전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는 225,225 이고, n은 TSL의 십진수 값이며, k는 TSH'의 십진수 값이다.
다음에, 2개의 연속적인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기록매체의 한 개 또는 2개의 트랙에 있는 특정한 위치에 기록된다. 이들 위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내부에 저장된 ATPSB#로 표시한 실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에 해당한다.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실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ATPSB#와, 이 블록에 대해 도출된 공칭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NTPSB#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NTPSB# - 45 < ATPSB# < NTPSB# + 45.
이러한 방식으로 하여, 트릭재생 패킷의 일부를 포함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기록매체 상의 트랙에 기록되는 위치가 그것이 최적으로 기록되어야 하는 위치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재생시에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가 클 필요가 없도록 보장한다. 상기한 수식은, 트릭재생 패킷의 일부를 포함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공칭 위치와 동일한 트랙, 또는 이전 또는 이후 트랙에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명확히 한다. 그러나, 이전 트랙 또는 이후의 트랙에 기록되더라도, 재생시에는 시간상으로 보았을 때 트릭재생 블록이 그것의 정확한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위에서 주어진 수식은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모든 트릭재생 정보신호에 대해 유효한데, 이때, ATPSB#가 0보다 작게 선택되는 경우에, 이것은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ATPSB#+90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헤드 드럼의 이전 회전동안 기록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에, ATPSB#가 89보다 크게 선택되는 경우에, 이것은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ATPSB#-90을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헤드 드럼의 후속된 회전 동안 기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다음에, 길이방향의 기록매체 상에 트릭재생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헬리컬 주사 형태를 갖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비디오 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111)를 구비한 기록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비디오 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MPEG 시리얼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된 복수의 전송 패킷으로 인코딩된다. 이때, 입력단자(111)는 '정규재생' 처리부(114)의 입력(112)에 접속된다. 더구나, 입력단자(111)에 마찬가지로 접속된 입력(117)을 갖는 '트릭 재생(trick play)' 처리부(116)가 설치된다. 상기한 '정규 재생' 처리부(114)와 '트릭 재생' 처리부(116)의 출력(119, 120)은 멀티플렉서(122)의 대응하는 입력에 접속된다. 상기한 '정규 재생' 정보 뿐만 아니라 '트릭 재생'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트랙의 메인 영역 기록부(12)에 기록된다.
상기한 '정규 재생' 처리부(114)와 '트릭 재생' 처리부(116)에 대한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관련문헌 목록의 문헌 D1인 EP-A 702,877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한 서브코드 신호 기록부(4)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서브코드 신호 정보를 공급하고 보조신호 기록부(8)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보조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서브코드 및 보조 신호 발생기(124)가 존재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라. 상기한 멀티플렉서(122)와 발생기(124)의 출력은 해당하는 오류정정 인코더부(126)의 입력에 접속된다. 상기한 오류정정 인코더부(126)는 '정규재생'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와 트릭재생 정보에 대해 오류정정 인코딩 과정을 수행하여, 도 2에 도시된 메인 신호 기록부(12)의 부분 12b와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싱크블록의 부분 64b에 도시된 패리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기록장치는, 도 8에 도시된 것 같은 싱크블록에 대한 싱크와 ID 정보를 추가하기 위한 발생기(130)를 더 구비한다. 합성부(132)에서 신호를 합성한 후에, 합성된 신호는 채널 인코딩부(134)에 인가되어, 이 인코딩부 내부에서 합성신호에 대해 채널 인코딩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한 인코딩부(134)에서 수행되는 채널 인코딩 과정에 대해서는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채널 인코딩의 일례에 대해서는, 관련문헌 목록의 문헌 D3인 US-A 5,142,421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한 채널 인코딩부(134)의 출력은 기록부(136)의 입력에 접속되며, 기록부에서는 회전하는 헤드 드럼(146) 상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헤드(142, 144)를 사용하여, 인코딩부(134)를 사용하여 얻어진 데이터 스트림이 기록매체(140) 상의 경사 트랙에 기록된다. 상기 기록헤드(142, 144)는 서도 다른 방위각을 갖는 헤드 갭을 지니므로, (예를 들어) 헤드 142는 도 1의 하단 좌측으로부터 상단 우측으로 방위각을 갖는 트랙을 기록하고 헤드, 144는 도 1의 상단 좌측으로부터 하단 우측으로 방위각을 갖는 트랙을 기록한다. 더구나, 정규재생 처리부(114)와 트릭재생 처리부(116)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발생하기 위해 타임 스탬프 발생기(147)가 사용된다.
다음과 같이 다양한 블록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부(148)가 존재한다:
- 제어 배선(150)을 통한 정규재생 신호처리 블록(114)의 제어,
- 제어 배선(152)을 통한 트릭재생 신호처리 블록(116)의 제어,
- 제어 배선(154)을 통한 서브코드 신호 및 보조 신호 발생 블록(124)의 제어,
- 제어 배선(156)을 통한 오류정정 인코딩 블록(126)의 제어,
- 제어 배선(158)을 통한 싱크 신호 및 ID 신호 발생 블록(130)의 제어,
- 제어 배선(160)을 통한 채널 인코딩 블록(134)의 제어,
- 제어 배선(162)을 통한 기록매체의 이송 속도와 헤드 드럼(146)의 회전 제어,
- 제어 배선(164)을 통한 타임 스탬프 발생기(147)의 제어.
상기한 트릭재생 처리부(116)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제 1 정보신호로부터 I-프레임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4x 및 -4x의 트릭재생 속도에 대한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1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한 처리부(116) 내부에서 트릭재생 정보에 대해 추가적인 오류정정 인코딩 단계가 수행된다. 더구나, +12x, -12x, +24x 및 -24x 트릭재생 정보신호에 대해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반복이 발생된다.
더구나, 트릭재생 싱크블록 각각에 대해 트릭재생 속도 식별자와 방향 식별자가 발생되어 상기한 위치에 있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에 저장된다는 의미에서, 트릭재생 정보신호 각각에 대해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STPSB#가 발생되어 트릭재생 싱크블록 내부에 저장되며 다양한 트릭재생 정보신호에 있는 각각의 패킷에 대해 타임 스탬프가 부가된다.
다음에, 트릭재생 싱크블록과 정규재생 신호처리부(114)에 의해 발생된 '정규재생' 싱크블록이 멀티플렉서부(122)에서 합성되어, 복수의 헤드 중 한 개의 헤드에 의해 한 개의 완전한 트랙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48개의 트랙 중 한 개의 메인 데이터 영역(12)이 생성될 수 있도록 정규재생 정보 및 트릭재생 정보의 복수의 싱크블록으로 이루어진 시퀀스가 발생된다.
서브코드 데이터 및 보조 데이터가 추가되고 합성된 정규재생 데이터 및 트릭재생 데이터에 대해 오류정정 인코딩이 수행되어, 트랙 부분 12b에 대한 패리티 정보가 얻어진다. 더구나, 싱크 워드와 식별 정보가 부가된다. 다음에, 트랙에 정보를 기록하기 이전에 이 정보에 대해 채널 인코딩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48개의 연속적인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기록할 때, 도 1에 도시된 첫 번째 트랙과 마지막 트랙에 해당하는 각 그룹에 있는 2개의 트랙에는 어떠한 트릭재생 세그먼트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편집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데, 이때 편집 지점은 어떠한 트릭재생 세그먼트도 그 내부에 기록되지 않은 2개의 트랙의 위치로 정확히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타임 스탬부 발생부(147)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타임 스탬부 발생부(147)에 MPEG 패킷에 포함된 프로그램 클록 기준값(program clock reference: PCR)에 로크된 오실레이터를 설치하고, 이 오실레이터가 27 MHz 주파수를 갖는 카운트 펄스를 카운터에 공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문헌 D2인 WO 96/30,905-A2에 공지되어 있다.
도 14는 카운터(174)에 27 MHz의 클록펄스를 공급하는 27 MHz 오실레이터(172)가 설치된 타임 스탬프 발생기(147)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에 응답하여, 상기한 카운터(174)는 정규재생 처리부(114)에 공급하기 위해 출력(170)으로 27 MHz의 속도로 '정규재생'(NP) 타임 스탬프를 발생한다. 상기한 27 MHz의 클록펄스는 주파수 분주기(176)에도 공급되어, 주파수 분주기는 클록 주파수를 4로 분주한다. 이 값 4는 공칭속도(1x)에 대한 제 1 트릭재생 속도(x4)의 비율과 관련된다. 주파수가 4로 분주된 클록펄스는 카운터(178)와 역 카운터(reverse counter)(180)와 또 다른 주파수 분주기(182)로 공급된다. 상기한 카운터(178)는 공칭속도의 +4배인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에 해당하는 제 1 트릭재생 정보신호에 대한 트릭재생 (TP1) 타임 스탬프를 발생하여, 이 TP1 타임 스탬프를 출력(172a)을 통해 트릭재생 처리부(116)로 공급한다. 또한, 역 카운터(180)는, 공칭속도의 -4배인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에 해당하는 제 2 트릭재생 정보신호에 대한 트릭재생 (TP2) 타임 스탬프를 공급하여, 이 TP2 타임 스탬프를 출력(172b)을 통해 트릭재생 처리부(116)에 공급한다.
주파수 분주기(176)에서 4의 인자로 주파수를 분주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카운터(174)에서 발생된 NT 타임 스탬프를 제 1 트릭재생 신호에 대한 패킷을 타임 스탬핑하는데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공칭속도의 4배의 속도로 재생시에, 이들 패킷을 4배 높은 속도를 갖고 들어올 것이다. 주파수 분주기(176)에서와 같이 타임 스탬프의 발생 주파수를 4로 나누고 이들 타임 스탬프를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패킷을 타임 스탬핑하는데 사용함으로써, 트릭재생 모드에서 재생시에 트릭재생 신호의 패킷에 대한 정확한 타이밍이 복구될 수 있다. 더구나, -4배의 트릭재생 신호의 재생시에 정확한 타이밍 신호를 얻기 위해, 타임 스탬프의 발생 순서를 시간의 함수로써 반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역 카운터(180)에서 카운트 값을 반전시킴으로써 실현된다.
주파수 분주기 176에 의해 주파수 분주기 182로 주어진 클록펄스의 주파수는 주파수 분주기 182에 의해 3으로 분주된다. 이 값 3은 제 1 트릭재생 속도(4x)에 대한 제 2 트릭재생 속도(12x)의 비율과 관련된다. 주파수가 3으로 분주된 클록펄스는 카운터(184), 역 카운터(186)와 또 다른 주파수 분주기(188)로 공급된다. 상기한 카운터(184)는 공칭속도의 +12배인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에 해당하는 제 3 트릭재생 정보신호에 대한 트릭재생 (TP3) 타임 스탬프를 공급하여, 이 TP3 타임 스탬프를 출력(172c)을 통해 트릭재생 처리부(116)로 공급한다. 또한, 역 카운터(186)는, 공칭속도의 -12배인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에 해당하는 제 4 트릭재생 정보신호에 대한 트릭재생 (TP4) 타임 스탬프를 공급하여, 이 TP4 타임 스탬프를 출력(172d)을 통해 트릭재생 처리부(116)에 공급한다.
주파수 분주기 182에 의해 주파수 분주기 188로 주어진 클록펄스의 주파수는 주파수 분주기 188에 의해 2로 분주된다. 이 값 2는 제 2 트릭재생 속도(12x)에 대한 제 3 트릭재생 속도(24x)의 비율과 관련된다. 주파수가 2로 분주된 클록펄스는 카운터(190)와 역 카운터(192)로 공급된다. 상기한 카운터(190)는 공칭속도의 +24배인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에 해당하는 제 5 트릭재생 정보신호에 대한 트릭재생 (TP5) 타임 스탬프를 공급하여, 이 TP5 타임 스탬프를 출력(172e)을 통해 트릭재생 처리부(116)로 공급한다. 또한, 역 카운터(192)는, 공칭속도의 -24배인 재생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신호에 해당하는 제 6 트릭재생 정보신호에 대한 트릭재생 (TP6) 타임 스탬프를 공급하여, 이 TP6 타임 스탬프를 출력(172f)을 통해 트릭재생 처리부(116)에 공급한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기록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기록매체(140)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재생장치는, 기록매체(140) 상의 경사 트랙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적어도 2개의 판독헤드(252, 254)를 갖는 판독부(250)를 구비한다. 한 개의 판독헤드는 기록헤드 142의 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다른 판독헤드는 기록헤드 144의 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는다. 상기한 판독부(250)의 출력은 채널 인코딩부(254)의 입력에 접속된다. 채널 인코딩부는 판독된 신호에 대해 25-to-24 디코딩 과정을 수행하여, 문헌 D3에 개시된 것 같이,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 내부에 있는 25 비트의 워드를 24 비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 오류정정부(258)에서 오류정정이 수행된다.
상기한 오류정정부(258)는, 도 2에 도시된 트랙의 부분 12b에서 판독된 패리티 정보와, 도 8에 도시된 싱크블록의 부분 64b에 저장된 패리티 정보에 근거하여, '정규재생' 재생모드에서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대해 오류정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는, 단지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부분 64b 내부에 저장된 패리티 정보에 근거한 오류정정 만이 수행된다(수행될 수 있다).
오류정정부(258)의 출력은 '정규재생' 처리부(260)의 입력(259)에 접속된다. 더구나, 오류정정부(258)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을 갖는 '트릭재생' 처리부(262)가 설치된다. '정규재생' 처리부(260)와 '트릭재생' 처리부(262)의 출력 264 및 265 각각은, 그것의 c 단자가 출력단자(268)에 접속된 스위치(266)의 대응하는 단자 a 및 b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한 재생장치가 '정규재생' 재생모드로 스위칭되면, 이것은, 기록매체(140)가 공칭 속도로 이송되고 '정규재생' 처리부(260)가 인에이블 상태가 되며 스위치(266)가 위치 a-c로 스위칭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재생장치가 '피처모드(feature mode)'로도 불리는 '트릭재생' 재생모드로 스위칭되면, 이것은, 기록매체(140)가 공칭속도 이외의 속도로 이송되고 '트릭재생' 처리부(262)가 인에이블 상태가 되며 스위치(266)가 위치 b-c로 스위칭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트릭재생' 재생모드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해, 상기 재생장치에는, 기록매체(140)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테이프 서보 제어수단(270)이 더 설치된다. 특히, 제어수단(270)은,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 재생속도의 +4배인 제 1 트릭재생 모드에서, 도 1에 따라, 헤드 252가 라인 24.2 및 24.2를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고 헤드 254가 도 1에 있어서 라인 26.1 및 26.2를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도록, 기록매체(140)를 이송하기 위해 '트릭재생' 재생모드 동안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 재생속도의 -4배인 제 2 트릭재생 모드에서는, 제어수단(270)은, 도 3에 따라, 헤드 252가 라인 30.1 및 30.2를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고 헤드 254가 도 3에 있어서 라인 32.1 및 32.2를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 재생속도의 +12배인 제 3 트릭재생 모드에서는, 제어수단(270)은, 도 4에 따라, 헤드 252가 라인 37.1 및 37.2를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고 헤드 254가 도 4에 있어서 라인 36.1 및 36.2를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 재생속도의 -12배인 제 4 트릭재생 모드에서는, 제어수단(270)은, 도 5에 따라, 헤드 252가 라인 42를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고 헤드 254가 도 5에 있어서 라인 44를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 재생속도의 +24배인 제 5 트릭재생 모드에서는, 제어수단(270)은, 도 6에 따라, 헤드 252가 라인 50을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고 헤드 254가 도 6에 있어서 라인 51을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기록매체의 속도가 공칭 재생속도의 -24배인 제 6 트릭재생 모드에서는, 제어수단(270)은, 도 7에 따라, 헤드 252가 라인 56을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고 헤드 254가 도 7에 있어서 라인 58을 따라 트랙을 정확히 교차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전술한 방법으로 실현되는 기록매체 이송제어는, 기록매체를 가로지르는 특정한 경로가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 재생하기 위해 선택되고 상기한 경로가 기록매체 상의 특정한 트랙에서 시작된다는 의미에서, 트랙 선택 이송제어로 이름을 붙일 수 있다. 더구나, 이들 경로는, 2개의 판독헤드 중 적어도 한 개가 복수의 트랙의 기록부(4)에 기록된 서브코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1에 있어서, 이것은 경로 24.1 및 24.2를 따르는 헤드에 해당한다. 경로 26.1 및 26.2를 따르는 헤드는, 잘못된 방위각을 갖는 트랙의 서브코드 기록부를 주사하기 때문에, 서브코드 기록부(4)를 판독할 수 없다. 도 3에 있어서, 이것은 경로 30.1 및 30.2를 따르는 헤드에 해당한다. 경로 32.1 및 32.2를 따르는 헤드는, 잘못된 방위각을 갖는 트랙의 서브코드 기록부를 주사하기 때문에, 서브코드 기록부(4)를 판독할 수 없다. 도 4에 있어서, 이것은 경로 37.1 및 37.2를 따르는 헤드에 해당한다. 경로 36.1 및 36.2를 따르는 헤드는, 잘못된 방위각을 갖는 트랙의 서브코드 기록부를 주사하기 때문에, 서브코드 기록부(4)를 판독할 수 없다. 도 5에 있어서, 이것은 경로 42를 따르는 헤드에 해당한다. 경로 44를 따르는 헤드는, 잘못된 방위각을 갖는 트랙의 서브코드 기록부를 주사하기 때문에, 서브코드 기록부(4)를 판독할 수 없다. 도 6에 있어서, 이것은 경로 50을 따르는 헤드에 해당한다. 경로 51을 따르는 헤드는, 잘못된 방위각을 갖는 트랙의 서브코드 기록부를 주사하기 때문에, 서브코드 기록부(4)를 판독할 수 없다. 도 7에 있어서, 이것은 경로 58을 따르는 헤드에 해당한다. 경로 56을 따르는 헤드는, 잘못된 방위각을 갖는 트랙의 서브코드 기록부를 주사하기 때문에, 서브코드 기록부(4)를 판독할 수 없다.
이하,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의 재생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트릭재생 재생 중에, '정규재생' 데이터의 정보 버스트와 '트릭재생' 데이터의 정보 버스트가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2개의 헤드에 의해 판독된다. '정규재생' 데이터가 완전히 무시되지는 않으며, 완전한 '정규재생' 싱크블록이 판독되는 한, 이들 싱크블록은 그들의 식별자에 의해 '정규재생' 데이터로서 식별되므로(바이트 70에 있는 비트 b3, b2는 '00'이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라), 무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이트 72의 나머지 2개의 비트 b7, b6에 저장되며 문제가 되는 트릭재생 재생속도에 해당하는 트릭재생 속도 식별자를 갖는 싱크블록이 판독되고, 방향 식별자가 전방 방향으로의 트릭재생 속도를 식별하자마자(도 9에 도시된 바이트 72의 비트 b3, b2는 '10'이 된다), 판독된 싱크블록은 +12배의 공칭 재생모드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으로서 검출되어 후속 처리를 위해 트릭재생 처리부(262)에 저장된다.
+4배의 재생속도 뿐만 아니라, -4배의 재생속도에 대해,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패리티 데이터는, 헤드 드럼의 동일한 회전동안 기록매체로부터 검색된 트릭재생 데이터에 대해 ECC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나머지 트릭재생 재생속도에 대해서는, 재생된 데이터에 대해 오류정정을 수행하는데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반복이 사용된다.
트릭재생 싱크블록 각각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는, 어떤 헤드가 기록매체와 재생 접촉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바이트 72의 6개의 비트 b0 내지 b5에 저장된 RSB#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도출하게 되면, 이들 번호는 처리부(262)에 포함된 프로세스 메모리 내부에 있는 특정한 메모리 위치에 트릭재생 싱크블록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프로세스 메모리에 트릭재생 싱크블록을 저장하기 위해 싱크블록 번호를 사용하는 것보다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저장되는 상기한 프로세스 메모리 내부의 메모리 위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그 대신에 싱크블록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을 프로세스 메모리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저장하기 위해 싱크블록 번호를 이에 대응하는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로 변환하는 변환 테이블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변환 테이블을 재생장치 내부에 저장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환 테이블은, 기록/재생 시스템의 새로운 버전에서 싱크블록 번호와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 사이에 또 다른 대응관계가 선택되는 경우에, 이것은 시스템을 구식 시스템으로 만들고 구식 시스템을 사용하여 얻어진 테이프가 새로운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의미에서, 상기한 기록/재생 시스템을 '장래의 호환성'이 없도록 만들 수 있다.
더구나, 특정한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갖는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기록매체 상의 트랙 내부의 가변 위치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기록매체에 대한 트릭재생 싱크블록의 기록이 더욱 유연성을 갖게 된다. 이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싱크블록 번호가 변화한다. 트릭재생 싱크블록 번호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재생시에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트랙 내부의 어느 곳에 저장되는지에 무관하게,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프로세스 메모리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저장된다. 더구나,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고 변환과정을 수행하는데 어떠한 메모리 공간도 필요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2개의 연속된 트릭재생 싱크블록 각각으로부터 트릭재생 패킷을 검색할 수 있다. 트릭재생 정보신호의 각각의 패킷에 대한 타임 스탬프는 패킷 헤더(75)로부터 도출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기 바란다.
처리부(262) 내부에서, 각각의 패킷으로부터 도출된 타임 스탬프는 27 MHz 주파수를 갖는 처리부(262) 내부에 포함된 기준 타임 스탬프 카운터에 의해 발생된 기준 타임 스탬프와 비교된다. 패킷의 타임 스탬프 값과 기준 타임 스탬프 카운터에 의해 발생된 타입 스탬프의 값이 일치하면, 이 패킷이 출력(265)에서 출력되어, 출력단자(268)에서 유효한 MPEG 전송 스트림이 얻어진다. 상기 단자(286)와 접속되거나 장치와 별개로 MPEG 디코더가 상기한 장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을 그것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것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제 1 정보신호로는, 데이터 신호와 같이, 디지탈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 이외의 다른 형태의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기록된 트릭재생 신호는 제 1 디지탈 정보신호와 전혀 관련이 없는 정보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그 위에 독립적인 정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송채널이 설치된 기록매체이다.
더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들 모든 신규한 특징부 또는 이들 신규한 특징부의 조합을 포괄한다.
전술한 기록/재생장치가 갖는 이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 헤드 드럼의 1회전 동안 기록매체로부터 일정한 n의 트릭재생 싱크블록,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90개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이 판독된다.
2. 얻어진 포맷은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 서브코드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3. 가능한한 많은 데이터 버스트가 존재하여 헤드 드럼의 1회전에 있어서 두 개의 헤드의 2번의 주사에 걸쳐 분할된다.
4.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가능한한 짧게 하여 로버스트한 트릭재생 재생을 달성할 수 있다.
5. (p=)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포맷이 반복되고, 48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복수의 트랙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트랙이 트릭재생 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맷이 선택된다.
6. 재생 헤드의 이상적인 주사라인에 대한 최적의 세그먼트 위치를 얻을 수 있다.
7. 트랙킹 에러가 없고 트릭재생 싱크블록을 잃어버리지 않은 최적의 로버스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특정한 트릭재생 재생속도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p=) 72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기록된 트릭재생 정보와 조합하여, 전방 및 후방 방향으로 6x, 18x 및 36x의 트릭재생 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이 비디오 데이터의 기록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나선형 주사 원리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오디오 신호가 다양한 트릭재생 속도에 대한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기록되는 오디오 기록 시스템에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관련문헌 목록
D1 EP 702,877-A2의 대응출원인 US 5,579,183(PHN 14.818)
D2 WO 96/30,905 A2(PHN 15.260)
D3 US-A 5,142,421(PHN 13.537)
D4 WO 95/28061(PHN 14.832)

Claims (48)

  1. 자기 기록매체 상의 복수의 경사 트랙에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기록하며,
    -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 상기 제 1 및 제 2 디지탈 신호를 복수의 트랙에 기록하기에 적합한 제 1 및 제 2 트릭재생 신호로 각각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과,
    - 기록매체의 기록속도로 상기 제 1 및 제 2 트릭재생 신호를 기록하여 상기 복수의 트랙의 특정한 위치에 놓인 제 1 및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얻으며, 회전가능한 헤드 드럼 상에 놓인 적어도 제 1 및 제 2 기록헤드를 구비하되, 제 1 헤드는 제 1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제 2 헤드는 상기 제 1 방위각과 다른 제 2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는 기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디지탈 정보신호는 재생장치 내부에서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트릭재생 재생속도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디지탈 정보신호는 상기 재생장치 내부에서 n2에 기록속도를 곱한 트릭재생 재생속도로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n1 및 n2는 서로 다르며 0 및 1인 아닌 정수인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트릭재생 신호는 제 1 및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정보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복수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기록하며 상기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복수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기록하며, 상기 복수의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복수의 싱크블록은 제 1 및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한 개의 싱크블록에 있는 제 1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한 개의 트랙에 있는 싱크블록의 위치와 관계를 가지며,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상기 트랙에 있는 싱크블록의 위치와 상기한 관계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p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그룹 각각에 복수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기록하여, 상기 재생장치에 포함된 헤드 드럼의 1 회전 중에 상기 트릭재생 속도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m1개의 싱크블록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헤드 드럼 상에 놓인 적어도 제 1 및 제 2 판독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독헤드는 상기 제 1 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상기 제 2 판독헤드는 상기 제 2 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상기 기록수단은 p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상기 그룹에 복수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기록하여, 헤드 드럼의 상기 1 회전 중에 상기 트릭재생 속도 n2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m1개의 싱크블록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때, p는 1 보다 큰 짝수의 정수이며 m1은 1보다 큰 정수이고,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m1개의 싱크블록에 있는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바람직하게는 제로값인 개시 카운트 번호 m0에서부터 최종 카운트 번호 m0+m1-1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하고, 상기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m1개의 싱크블록에 있는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바람직하게는 제로값인 상기 개시 카운트 번호 m0에서부터 상기 최종 카운트 번호 m0+m1-1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상기 시퀀스와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4x 및 v=-4x)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2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m1개의 싱크블록을 기록하도록 구성되고, m1은 짝수의 정수이며, 상기 2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은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m1/2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에 있는 m1/2개의 싱크블록 중에서 m4개의 싱크블록은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4개의 싱크블록은 제 1 디지탈 정보신호의 어떤 부분도 갖고 있지 않으며, 상기 2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 중 한 개에 있는 m1/2-m4개의 나머지 싱크블록은 m0에서 m0+m1/2-m4-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고, 상기 2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 중 다른 것에 있는 m1/2-m4개의 나머지 싱크블록은 m0+m1/2-m4에서 m0+m1-2·m4-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4x)
  5. 제 4 항에 있어서,
    (a)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한 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포함된 m4개의 싱크블록의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m0+m1-2·m4에서 m0+m1-m4-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하고,
    (b)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며 또 다른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포함된 m4개의 싱크블록의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m0+m1-m4에서 m0+m1+m4-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4x)
  6.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에서 상기 트릭재생 속도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재생 중에, 카운트 번호 m0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는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한 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헤드 드럼의 상기 1 회전 중에 2개의 판독헤드 중 한 개에 의해 2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 중 첫 번째 세그먼트로서 판독되기 위한 것이고, 다른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헤드 드럼의 상기 회전 중에 상기 2개의 판독헤드 중 나머지에 의해 그후에 판독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4x)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4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m1개의 싱크블록을 기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4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은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m1)/4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며, m1은 4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4x)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에 있는 m1/4개의 싱크블록 중에서 (m4-1)/2개의 싱크블록은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4-1)/2개의 싱크블록은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어떤 부분도 갖고 있지 않으며, 나머지 2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m1/4개의 싱크블록 중 (m4+1)/2개의 싱크블록은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m4+1)/2개의 싱크블록은 제 2 디지탈 정보신호의 어떤 부분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 중 한 개에 포함된 복수의 나머지 싱크블록은 m0에서 m0+m1/4-(m4-1)/2-1 또는 m0+m1/4-(m1+1)/2-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고, 상기 4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의 두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된 나머지 싱크블록은 m0+m1/4-(m4-1)/2 또는 m0+m1/4-(m4+1)/2에서 m0+m1/2-m4-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고, 4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 중에서 세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된 나머지 싱크블록은 m0+m1/2-m4에서 m0+3·m1/4-(3·m4-1)/2-1 또는 m0+3·m1/4-(3·m4+1)/2-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고, 상기 4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의 네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된 나머지 싱크블록은 m0+3·m1/4-(3·m4-1)/2 또는 m0+3·m1/4-(3·m4+1)/2에서 m0+m1-2·m4-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4x)
  10. 제 9 항에 있어서,
    (a) 상기 4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의 첫 번째 세그먼트에 있는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싱크블록은 m0+m1-2·m4에서 m0+m1-(3·m4-1)/2-1 또는 m0+m1-(3·m4+1)/2-1까지의 값을 갖는 카운터 번호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고,
    (b) 상기 4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의 두번째 세그먼트에 있는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싱크블록은 m0+m1-(3·m4-1)/2 또는 m0+m1-(3·m4+1)/2에서 m0+m1-m4-1까지의 값을 갖는 카운터 번호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가지며,
    (c) 상기 4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의 세번째 세그먼트에 있는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싱크블록은 m0+m1-m4에서 m0+m1-(m4-1)/2-1 또는 m0+m1-(m4+1)/2-1까지의 값을 갖는 카운터 번호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고,
    (d) 상기 4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의 네번째 세그먼트에 있는 패리티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싱크블록은 m0+m1-(m4-1)/2 또는 m0+m1-(m4+1)/2에서 m0+m1-1까지의 값을 갖는 카운터 번호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4x)
  11.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7항, 제 8항, 제 9항 또는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1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2.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7항, 제 8항, 제 9항 또는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1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3.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7항, 제 8항, 제 9항 또는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2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p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그룹 각각에 복수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기록하여, 상기 재생장치에 포함된 헤드 드럼의 1 회전 중에, 상기 재생장치에서 상기 트릭재생 속도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m1개의 싱크블록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헤드 드럼 상에 놓인 적어도 제 1 및 제 2 판독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독헤드는 상기 제 1 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상기 제 2 판독헤드는 상기 제 2 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상기 기록수단은 p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상기 그룹에 복수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기록하여, 헤드 드럼의 상기 1 회전 중에 상기 트릭재생 속도 n2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m1개의 싱크블록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때, p는 1 보다 큰 짝수의 정수이며 m1은 1보다 큰 정수이고,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m1개의 싱크블록은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m1/q1개의 원본 싱크블록과 상기 m1/q1개의 원본 싱크블록 각각의 q1-1개의 반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m1개의 싱크블록은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m1/q2개의 원본 싱크블록과 상기 m1/q2개의 원본 싱크블록 각각의 q2-1개의 반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m1/q1개의 원본 싱크블록에 있는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바람직하게는 제로값인 개시 카운트 번호 m0에서 최종 카운트 번호 m0+m1/q1-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하고, 상기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m1/q2개의 원본 싱크블록에 있는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바람직하게는 제로값인 상기 개시 카운트 번호 m0에서 최종 카운트 번호 m0+m1/q2-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하며, q1 및 q2는 1보다 큰 정수이고, m1은 q1 및 q2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12x 및 v=-12x 또는 +24x 및 -24x)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m1/q1개의 원본 싱크블록 각각의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그것의 반복에 대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와 동일하고, 상기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m1/q2개의 원본 싱크블록 각각의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 또한 그것의 반복에 대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p개의 연속적인 트랙으로 이루어진 상기 그룹에 있는 복수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세그먼트를 기록하여, 회전가능한 헤드 드럼의 상기 1 회전 중에, 상기 트릭재생 속도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8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8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 중 6개의 세그먼트 각각은 제 1 트릭재생 비디오 신호의 (m1-4)/8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의 나머지 2개의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제 1 트릭재생 비디오 신호의 (m1+12)/8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12x)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트릭재생 속도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재생시에, 헤드 드럼의 상기 1 회전 중에, 먼저 상기 제 1 판독헤드에 의해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 m0 내지 m0+m1/2q1-1을 갖는 원본 싱크블록을 판독하고, 다음에 상기 제 2 판독헤드에 의해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 m0+m1/2q1 내지 m0+m1/q1-1을 갖는 원본 싱크블록을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8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 내부의 위치에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m1/q1개의 원본 싱크블록을 기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12x)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은,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복수의 원본 싱크블록과 상기 복수의 원본 싱크블록 각각의 q1-1개의 반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12x)
  20.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p개의 연속적인 트랙으로 이루어진 상기 그룹에 있는 상기 복수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기록하여, 회전가능한 헤드 드럼의 상기 1 회전 중에, 상기 트릭재생 속도 n2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9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9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은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m1/9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i번째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m0+(i-1)m1/9q2에서 m0+i·m1/9q2-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원본 싱크블록을 포함하고, 이때, i는 1 내지 9의 값을 갖는 정수이며, m1은 9q2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12x)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9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한 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포함된 제 2 트릭재생 비디오 신호의 원본 싱크블록에 대한 한 개의 반복을 포함하고,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원본 싱크블록의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그것의 반복에 대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12x)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속도 n2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재생시에, 헤드 드럼의 상기 1 회전 중에, 먼저 상기 카운트 번호 m0 내지 m0+m1/9q2-1과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는 상기 최초로 언급한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판독하고, 다음에 2개의 판독헤드 중 한 개에 의해 상기 두 번째, 세 번째 및 네 번째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판독하고, 다음에 상기 한 개의 헤드 또는 나머지 헤드에 의해 다섯번째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판독하며, 다음에 2개의 판독헤드 중 상기 나머지 한 개에 의해 6번째, 7번째, 8번째 및 9번째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p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상기 그룹 내부의 위치에 상기 9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12x)
  24. 제 1 항, 제 14항 또는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1 =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5. 제 1 항, 제 14항 또는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1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6. 제 1 항, 제 14항 또는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2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7. 제 1 항, 제 14항 또는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q1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8. 제 1 항, 제 14항 또는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q2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29.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p개의 연속적인 트랙으로 이루어진 상기 그룹에 있는 상기 복수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기록하여, 회전가능한 헤드 드럼의 상기 1 회전 중에, 상기 트릭재생 속도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18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18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은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m1/18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i번째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m0+(i-1)m1/18q1에서 m0+i·m1/18q1-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는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원본 싱크블록을 포함하고, 이때, i는 1 내지 18의 값을 갖는 정수이며, m1은 18q1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24x)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18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한 개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포함된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원본 싱크블록에 대한 한 개의 반복을 포함하고,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원본 싱크블록의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그것의 반복에 대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24x)
  32.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p개의 연속적인 트랙으로 이루어진 상기 그룹에 있는 상기 복수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기록하여, 회전가능한 헤드 드럼의 상기 1 회전 중에, 상기 트릭재생 속도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18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18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은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m1/18개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i번째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는 m0+(i-1)m1/18q2에서 m0+i·m1/18q2-1까지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갖는 복수의 원본 싱크블록을 포함하고, 이때, i는 1 내지 18의 값을 갖는 정수이며, m1은 18q2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24x)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18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한 개의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포함된 제 2 트릭재생 신호의 원본 싱크블록에 대한 2번의 반복을 포함하고, 제 2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원본 싱크블록의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그것의 반복에 대한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24x)
  35. 제 1 항에 있어서,
    m1 = 2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6. 제 1 항에 있어서,
    n1 = 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7. 제 1 항에 있어서,
    n2 = -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8. 제 1 항에 있어서,
    q1 = q2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9.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제 7항, 제 8항, 제 9항, 제 10항, 제 14항 또는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트릭재생 싱크블록은, 동기워드 부분, 식별자 부분, 헤더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상기 헤더 부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부분은 최소한 2 바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상기 헤더 부분의 두 번째 바이트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상기 헤더 부분의 두 번째 바이트의 6개의 최하위 비트에 저장된 6 비트 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2. 제 41 항에 있어서,
    m1 = 90이고, 카운트 번호가 74보다 작은 제 1 정수 상수보다 작고, 싱크블록이 제 1 헤드에 의해 기록된 트릭재생 세그먼트 내부에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카운트 번호와 동일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상기 카운트 번호에 제 2 정수 상수를 뺀 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수 상수에 대해 다음 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36 ≤ 제 2 정수 상수 ≤ 90에서 제 1 정수 상수를 뺀 값.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수 상수는 50이고, 상기 제 2 정수 상수는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5. 자기 기록매체 상의 복수의 경사 트랙에 제 1 디지탈 정보신호를 기록하며,
    - 상기 제 1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 상기 제 1 디지탈 신호를 복수의 트랙에 기록하기에 적합한 제 1 트릭재생 신호로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과,
    - 기록매체의 기록속도로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를 기록하여 상기 복수의 트랙의 특정한 위치에 놓인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얻으며, 회전가능한 헤드 드럼 상에 놓인 적어도 제 1 및 제 2 기록헤드를 구비하되, 제 1 헤드는 제 1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제 2 헤드는 상기 제 1 방위각과 다른 제 2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는 기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디지탈 정보신호는 재생장치 내부에서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트릭재생 재생속도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n1은 0 및 1인 아닌 정수인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는 제 1 디지탈 정보신호의 정보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p개의 연속적인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복수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기록하며, 상기 복수의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복수의 싱크블록은 제 1 및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한 개의 싱크블록에 있는 제 1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한 개의 트랙에 있는 싱크블록의 위치와 관계를 가지며,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상기 트랙에 있는 싱크블록의 위치와 상기한 관계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p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그룹 각각에 복수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기록하여, 상기 재생장치에 포함된 헤드 드럼의 1 회전 중에 상기 재생장치에서 상기 트릭재생 속도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m1개의 싱크블록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헤드 드럼 상에 놓인 적어도 제 1 및 제 2 판독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독헤드는 상기 제 1 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상기 제 2 판독헤드는 상기 제 2 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이때, p는 1 보다 큰 짝수의 정수이며 m1은 1보다 큰 정수이고,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m1개의 싱크블록에 있는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바람직하게는 제로값인 개시 카운트 번호 m0에서부터 최종 카운트 번호 m0+m1-1의 값을 갖는 복수의 카운트 번호로 이루어진 시퀀스와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4x 및 v=-4x)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p개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그룹 각각에 복수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기록하여, 상기 재생장치에 포함된 헤드 드럼의 1 회전 중에, 상기 재생장치에서 상기 트릭재생 속도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속도로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m1개의 싱크블록을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헤드 드럼 상에 놓인 적어도 제 1 및 제 2 판독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독헤드는 상기 제 1 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상기 제 2 판독헤드는 상기 제 2 방위각과 동일한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이때, p는 1 보다 큰 짝수의 정수이며 m1은 1보다 큰 정수이고,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상기 m1개의 싱크블록은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m1/q1개의 원본 싱크블록과 상기 m1/q1개의 원본 싱크블록 각각의 q1-1개의 반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v=+12x 및 v=-12x)
  48. 자기 기록매체 상의 복수의 경사 트랙에 제 1 디지탈 정보신호를 기록하며,
    - 상기 제 1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 상기 제 1 디지탈 신호를 복수의 트랙에 기록하기에 적합한 제 1 트릭재생 신호로 신호처리하는 단계와,
    - 기록매체의 기록속도로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를 기록하여, 회전가능한 헤드 드럼 상에 놓인 적어도 제 1 및 제 2 기록헤드를 구비하되 제 1 헤드는 제 1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고 제 2 헤드는 상기 제 1 방위각과 다른 제 2 방위각을 지닌 갭을 갖는 기록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트랙의 특정한 위치에 놓인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를 얻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디지탈 정보신호는 재생장치 내부에서 n1에 기록속도를 곱한 트릭재생 재생속도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n1은 0 및 1인 아닌 정수인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단계는 상기 제 1 디지탈 정보신호의 정보의 복수의 싱크블록을 포함하는 제 1 트릭재생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릭재생 신호의 복수의 싱크블록은 p개의 연속적인 트랙으로 이루어진 그룹에 있는 복수의 제 1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기록되며, 상기 복수의 트릭재생 세그먼트에 있는 복수의 싱크블록은 제 1 및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고, 한 개의 싱크블록에 있는 제 1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한 개의 트랙에 있는 싱크블록의 위치와 관계를 가지며, 제 2 싱크블록 시퀀스 번호는 상기 트랙에 있는 싱크블록의 위치와 상기한 관계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방법.
KR1019980707956A 1997-02-03 1998-02-02 기록매체상에복수의트릭재생신호를기록하는동안이신호의싱크블록번호를부여하는방법 KR100593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200278.6 1997-02-03
EP97200278 1997-02-03
EP97200402 1997-02-13
EP97200402.2 1997-02-13
PCT/IB1998/000130 WO1998034225A2 (en) 1997-02-03 1998-02-02 Sync block numbering of trick play signals during recording of such signals on a record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860A KR20000064860A (ko) 2000-11-06
KR100593295B1 true KR100593295B1 (ko) 2007-11-02

Family

ID=2614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956A KR100593295B1 (ko) 1997-02-03 1998-02-02 기록매체상에복수의트릭재생신호를기록하는동안이신호의싱크블록번호를부여하는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317556B1 (ko)
EP (1) EP0896717B1 (ko)
JP (1) JP2000508817A (ko)
KR (1) KR100593295B1 (ko)
CN (1) CN1255802C (ko)
AT (1) ATE278239T1 (ko)
BR (1) BR9805908A (ko)
DE (1) DE69826590T2 (ko)
ES (1) ES2230667T3 (ko)
ID (1) ID20297A (ko)
TW (1) TW473708B (ko)
WO (1) WO199803422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17089B (en) * 1998-02-11 2001-01-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eproduction of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in a trick play reproduction mode
JP2002519806A (ja) 1998-06-30 2002-07-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受信データにおける追加情報の検出用検出手段を有する記録装置
KR20010023439A (ko) 1998-06-30 2001-03-26 요트.게.아. 롤페즈 배속 재생 속도용 기록 및 재생 장치
JP4328995B2 (ja) * 2000-03-30 2009-09-09 ソニ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3567A (en) * 1993-01-13 1999-08-03 Hitachi America,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heads of a digital video tape recorder during trick play operation and for recording digital data on a tape
US5579183A (en) * 1994-04-08 1996-11-26 U.S. Philips Corpor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n MPEG information signal on/from a record carrier
JP3322998B2 (ja) * 1994-04-12 2002-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vtr
WO1995028061A2 (en) * 1994-04-12 1995-10-19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a trick mode video signal
EP0767954B1 (en) * 1994-04-13 2002-09-18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Magnetic tape with non-standard video signal
JP3089160B2 (ja) * 1994-05-20 2000-09-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KR970010533B1 (en) * 1994-06-30 1997-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of dvcr for trick play
US6141485A (en) * 1994-11-11 2000-10-3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which utilizes predetermined areas on a magnetic tape for multiple purposes
JP3603364B2 (ja) * 1994-11-14 2004-12-2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US6118922A (en) * 1995-03-10 2000-09-12 U.S. Philips Corpor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a trick mode video signal
EP0820192B1 (en) * 1995-03-28 2003-02-1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recording digital signals
US5978542A (en) * 1995-06-07 1999-11-0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VTR tape format for compressed digital video using overlapped areas for forward and reverse high speed playback
JP3339044B2 (ja) * 1995-06-28 2002-10-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記録再生方法、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EP0899962A3 (en) * 1997-08-26 2000-11-0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pparatus for recording a digital pi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17556B1 (en) 2001-11-13
DE69826590D1 (de) 2004-11-04
JP2000508817A (ja) 2000-07-11
CN1255802C (zh) 2006-05-10
WO1998034225A3 (en) 1998-11-05
WO1998034225A2 (en) 1998-08-06
ATE278239T1 (de) 2004-10-15
ID20297A (id) 1998-11-26
ES2230667T3 (es) 2005-05-01
CN1223002A (zh) 1999-07-14
EP0896717A2 (en) 1999-02-17
TW473708B (en) 2002-01-21
BR9805908A (pt) 1999-08-24
KR20000064860A (ko) 2000-11-06
DE69826590T2 (de) 2006-02-16
EP0896717B1 (en) 200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2981B1 (en) Recording of trick play signals on a record carrier
KR100255096B1 (ko) 디지탈 신호 기록 및 재생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0593295B1 (ko) 기록매체상에복수의트릭재생신호를기록하는동안이신호의싱크블록번호를부여하는방법
JP3185647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KR100520808B1 (ko) 헬리컬주사형기록장치에서트릭재생신호를기록하는장치및방법
KR20000064857A (ko) 기록매체 상에 복수의 트릭재생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00064858A (ko) 기록매체 상의 트릭재생 신호 기록용 방향 식별자
KR20000064861A (ko) 기록매체 상에 트릭재생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및 방법
KR100465358B1 (ko) 저장매체에디지탈정보신호를저장하는기록/재생장치,방법,및기록캐리어
KR20010006168A (ko) 트릭재생 재생모드에서의 디지탈 정보신호의 재생
KR0185800B1 (ko) 디지틀데이터기록장치
WO2001015441A1 (en) Recording of a trick play signal on a record carrier
US7228058B1 (en) Multiple pause recording on a rewritable disk medium
KR20010023439A (ko) 배속 재생 속도용 기록 및 재생 장치
JP2001291336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EP1236348A1 (en) Multiple pause recording on a rewritable disk medium
JP2001069447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9198794A (ja) 提供情報の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情報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