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859B1 - 기록매체제어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기록매체제어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859B1
KR100592859B1 KR1019980710293A KR19980710293A KR100592859B1 KR 100592859 B1 KR100592859 B1 KR 100592859B1 KR 1019980710293 A KR1019980710293 A KR 1019980710293A KR 19980710293 A KR19980710293 A KR 19980710293A KR 100592859 B1 KR100592859 B1 KR 10059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control
address
fil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691A (ko
Inventor
나오야 하네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98071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8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06F3/0613Improving I/O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rough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8Controller constru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정보 기록 재생 장치(1)는 전송 데이타의 입력 및 출력을 실행하기 위한 전송 제어 유닛(101)과, 기록 매체(103)로부터 판독을 실행하고, 기입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제어 유닛(100), 기록된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 관리 유닛(104), 및 구조상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CPU로 이루어져 있다. 기록 매체 제어 유닛(100)은 데이타를 전송할 때 페이지의 수를 카운트하는 페이지 카운터(112)와,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 레지스터(113)의 그룹, 하나의 확실한 레지스터를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111), 기록 매체상에서 실행되어질 제어의 종류를 규정하기 위한 제어 레지스터(115), 상기 전송 제어 유닛, CPU 및 기록 매체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제어 유닛(110), 기록 매체편을 선택하기 위한 기록 매체 선택 회로(114)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으로, 고속 데이타 전송이 기록 매체편의 병렬 제어를 통해 실행됨으로써, 오버헤드 처리를 억제하고, 범용성이 높은 데이타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기록 매체 제어 장치 및 방법{RECORDING MEDIUM CONTROL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여러가지 기록 매체편에 대해, 기입이나 판독 등의 제어를 보다 고속으로, 또 유연하게 행하는 데에 적합한 기록 매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평6-131371호, 평6-215010호, 및 평6-301601호에서, 정보 제공 장치(정보 전송 장치)로부터 반도체 메모리 등을 내장한 기록 장치 혹은 기록 재생 장치에 음성, 화상, 문자,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도 1은 상술된 공보에서 제안한 종래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외관도이다. 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200A)는, 도시하지 않은 정보 제공 장치와의 결합 단자(201)를 구비하고 있고, 결합 단자(201)를 통해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정보 기록 재생 장치(200A) 내에 설치된 기록 매체에 정보를 복사할 수 있다. 기록 매체의 종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고속으로 복사가 가능하고, 또한 랜덤·억세스가 용이하고 휴대성에도 우수한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200A)에는, 문자, 화상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202)와, 누름 버튼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능 선택부(20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200A)는,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정보의 내용을 표시기(202)에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기능 선택부(203)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의 내용은, 텍스트 정보, 음성 정보, 영상 정보 및 컴퓨터·프로그램 등을 포함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프로그램의 재생은,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 경우 실행시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정보를 입력해도 된다. 또한, 재생 신호가, 텍스트 정보나 영상 신호일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등으로 구성된 표시기(20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정보의 경우에는, 이어폰(204)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어폰(204)을 대신하여 또는 이어폰(204) 외에 스피커를 장비해도 되고, 재생 신호의 출력 단자를 설치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나 스피커 등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2는 상술된 공보에서 제안한 종래의 다른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정보 기록 재생 장치(200B)는, 도 1에 나타낸 정보 기록 재생 장치(200A)를, 정보 기록 장치(210)와 정보 재생 장치(220)로 분리한 것이다. 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200B)는, 정보 기록 장치(210)를, 정보 재생 장치(220)의 삽입 배출구(221)로 삽입함으로써, 정보 기록 장치(210)로부터의 정보를 정보 재생 장치(220)로 전달하여 재생할 수 있다.
재생을 위해서는 정보 기록 장치(210)와 정보 재생 장치(220) 사이에서 데이타 및 제어 신호의 송수신이 필요해지므로, 정보 기록 장치(210)측에 정보 재생 장치(220)와의 결합 단자(212)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결합 단자(212)에 대응하는 결합 단자를 정보 재생 장치(220)측에 설치하고, 정보 기록 장치(210)가 정보 재생 장치(2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양결합 단자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보 기록 장치(210)는, 정보 제공 장치와의 결합 단자(211)와, 정보 재생 장치와의 결합 단자(212)와의 2개의 결합 단자를 구비하고 있지만, 하나의 단자를 전환하여 사용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정보 기록 장치(210)는, 기록 매체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 매체만으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소형 또한 경량인 휴대형 정보 기록 장치가 된다. 이 경우, 기록 매체로부터의 판독, 또는 기록 매체로의 기록 등의 제어는, 정보 재생 장치(220) 또는 정보 제공 장치 측에서 행하게 된다.
도 3은 상술된 공보에서 제안한 종래의 정보 제공 장치의 외관도이다. 이 정보 제공 장치(230)는,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내용이나 가격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231)와,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출력 선택부(232)를 구비하고 있다. 이용자는, 도 2에 나타낸 정보 기록 장치(210)를, 정보 제공 장치(230)의 삽입 배출구(233)로 삽입하고, 표시기(231)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면서, 출력 선택부(232)를 조작하여 원하는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정보 기록 장치(210)로 원하는 정보를 복사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230)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 단자를, 도 1에 나타낸 정보 기록 재생 장치(200A)의 결합 단자(201)에 접속함으로써, 정보를 복사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230)는, 제공하는 정보를 저장한 기록 매체와, 이 기록 매체로부터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판독한 정보를 정보 기록 장치(210), 정보 기록 재생 장치(200A)로 기록하기 위한 정보 복사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정보 제공 장치(230)와 도시하지 않은 정보 제공 센터등 사이를,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통신부를 통해 접속하고, 이 통신부를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정보 제공 장치(230) 내에 기록 매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230) 내에 기록 매체를 설치하는 경우라도,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갱신함으로써, 통신 비용을 억제하면서 최신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상술된 공보에서 제안한 종래의 다른 정보 제공 장치의 외관도이다. 이 정보 제공 장치(240)는, 정보 기록 장치(210)를 위한 삽입구(241)와 배출구(242)를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 정보 제공 장치(240)는, 삽입구(241)로부터 삽입된 정보 기록 장치(210)를 반송하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부를 구비하고, 삽입된 정보 기록 장치(210)에 제공해야 할 정보를 복사한 후에, 배출구(242)로부터 배출한다. 정보 입수 희망자 H는, 도면 중 화살표 A 방향으로 걸으면서, 정보의 복사를 받을 수 있다. 이 정보 제공 장치(240)는, 많은 사람에게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휴대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로는, 전지에 의한 정보의 백업이 불필요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불휘발성 메모리에 따르면, 기록된 정보가 꺼져 버릴 경우가 없으므로 괜찮다. 이러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서는, 예를 들면 암전(岩田) 등에 의한 「32M비트 NAND형 플래시 메모리」(전자 재료 1995년 6월 pp. 32-37)에 기술되어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부터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통하지 않고 데이타를 직접전송하는 방법으로서 DMA(Direct Memory Access)가 있고, 이것을 실현하는 전용회로로서 DMA 컨트롤러(이하, DMAC)가 있다. 이것은, 대량의 데이타를 고속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 등의 보조 기억 장치와의 데이타 전송이나, 화상 데이타를 취급하는 화상 처리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5에 종래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는, 하드디스크 컨트롤러나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컨트롤러등의 I/O 디바이스와, 자기 디스크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메모리 사이에서 DMA 전송하는 경우에 볼 수 있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250)의 DMAC251에는, 메모리등 전송처의 어드레스를 도시하여 데이타 전송마다 인크리먼트되는(+1 됨) 어드레스 레지스터(Address Register) p와, 전송 데이타의 워드수를 계수하여 데이타 전송마다 디크리먼트되는 (-1 됨) 워드 카운터(Word Counter) c가 내장되어 있고, 이들 초기치는 DMA 전송에 앞서 CPU 252에 의해 설정된다.
DMA 전송은, I/O 디바이스(254)로부터의 데이타 전송 요구에 의해 개시된다. I/O 디바이스(254)는, 데이타 입출력 단자(255)를 통해 상술한 정보 제공 장치등과 데이타 전송하기 위해, DMAC 251에 대해 데이타 전송을 요구하는 신호 DREQ를 송신한다. 이것을 받은 DMAC 251은, 통상 CPU 252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 버스의 사용권을 획득하기 위해, CPU 252에 대해 버스 사용권을 요구하는 신호 BUSREQ를 송신한다. 이것을 받은 CPU 252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단하는 등 필요한 처리를 완료한 후, DMAC 251에 대해 버스의 해방을 나타내는 신호 BUSACK를 회신한다. 이로써, DMAC 251이 버스 사용권을 획득한 것을 인식하고, DMAC 251을 버스 마스터로 한 실질적인 데이타 전송이 개시된다.
여기서, 도면 중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타 버스는, CPU 252가 버스 마스터로서 버스 사용권을 행사할 경우에 사용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일단 버스 사용권을 해방하면 하이·임피던스가 되기 때문에, DMAC 251은 도면 중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타 버스를 사용하여 DMA 전송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점에서, DMAC 251은 I/O 디바이스(254)로부터의 DMA 전송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 DACK에 의해 I/O 디바이스(254)를 DMA 전송 인에이블 상태로 함과 동시에 칩 인에이블 신호 CE에 의해 메모리(253)를 인에이블 상태로 한다. 동시에 DMAC 251은, 상기 어드레스 레지스터 p로 나타내는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버스를 통해 메모리(253)로 입력한다.
1워드분의 DMA 전송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I/O 디바이스(254)로부터 메모리(253)에의 데이타 전송일 경우에는, I/O 디바이스용 판독 신호 IOR과 메모리용 기록 신호 MEMW의 양자를 액티브로 하고, 한편 메모리(253)로부터 I/O 디바이스(254)에의 전송인 경우에는, 메모리용 판독 신호 MEMR과 I/O 디바이스용 기록 신호 IOW의 양자를 액티브로 한다. 이 때 데이타 버스 상에 나타나는 신호가 전송되는 데이타가 된다.
그리고, 1워드분의 데이타가 전송될 때마다, 상기 어드레스 레지스터 p의 값이 인크리먼트되고, 동시에 상기 워드 카운터 c도 디크리먼트된다. DMA 전송은 워드카운터 c가 0이 되거나, I/O 디바이스(254)로부터의 DMA 전송 요구 DREQ가 철회될 때까지 계속해서 실행된다. 어느 경우라도 DMA 전송의 종료와 동시에, DMAC 251은 CPU 252에 대해 출력하고 있는 버스 사용권 요구 신호 BUSREQ를 철회하고, 이것을 인식한 CPU 252는 버스 사용권 해방 신호 BUSACK을 철회하여 중단하는 처리를 재개한다.
이상과 같이, DMA 전송은 버스 대역의 유효 이용을 꾀하는 것으로, CPU를 경유하면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는 버스트적인 데이타 전송의 실행이나, CPU 이외의 버스 마스터가 CPU의 처리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메모리나 I/O 디바이스 등을 효율적으로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정보 기록 재생 장치가 하드디스크 장치나 PC 카드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 최초에는 기록 매체의 물리적으로 연속한 기록 위치에 파일이 기록되지만, 파일의 재기록 조작을 반복하는 동안에, 파일이 분할되어 물리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기록되어 버린다.
종래 기술에 나타낸 DMAC에서는, 판독해야 되는 파일을 구성하는 데이타가 메모리 내에서 산재하는 경우나, 반대로 메모리 내에 산재한 빈 영역에 파일을 기록해야만 할 경우에는, 임의의 길이로 분열한 데이타마다 CPU가 개입하여 버스 사용권의 교환이나 DMAC의 재설정을 해야한다. 이러한 오버헤드 처리는, 파일의 분산의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데이타 전송의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데이타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건 출원인이 먼저 제안하고 있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7-200181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기록 매체편의 병렬 제어 방식을 도입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7-200181호의 명세서 및 도면으로써 제안한 기술은, 플래쉬 메모리등, 기입 단위마다 기록 속도가 같지 않은 기록 매체로 구성된 정보 기록 장치에서, 복수의 기록 매체편에 대해 규칙적인 순서로 병렬로 기록을 행함으로써, 간단한 제어로 효율이 높은 정보 전송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7-200181호의 명세서 및 도면으로써 제안한 기술에서도, 역시 종래 기술에 따른 DMAC에서는, 파일을 구성하는 임의 길이의 데이타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데이타 전송 중의 오버헤드 처리가 필요해진다. 음악이나 화상등의 리얼 타임 데이타로서는, 전송 개시 전의 지연은 어느 정도 허용되지만, 전송 개시 후의 지연은 시간적 정당성을 뺀 것으로, 잡음의 발생이나 화상의 흐트러짐 등으로 이어지는 중대한 문제이다.
또한, 데이타 전송 속도 이외에 DMAC에 요구되는 성능으로서, 기록 매체나 기록 포맷에 의존하지 않은 데이타 전송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기록 매체의 구성이나 종류가 다른 경우나, 기록 위치나 기록 순서가 다른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개시〉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록 매체편의 병렬 제어에 의한 고속 데이타 전송을 실행함과 동시에, 데이타 전송에서의 오버헤드 처리를 억제하고, 보다 범용성이 높은 데이타 전송을 가능하게 한 기록 매체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 제어 장치는,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어드레스값을 보유하는 순서를 붙인 복수의 어드레스 레지스터와,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 레지스터로부터 하나의 유효한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포인터와, 상기 기록 매체에서의 복수의 어드레스에 대해 병렬적인 제어를 행하도록, 상기 포인터에 따라 지시된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어드레스값와,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 제어 장치는,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복수의 기록 매체편으로 구성되는 기록 매체에 대한 어드레스값을 보유하는 어드레스 레지스터와, 상기 어드레스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록 매체편의 각각에 대응한 기록 매체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복수의 기록 매체편에 대해 제어를 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값, 기록 매체 선택 신호 및 상기 기록 매체편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 제어 장치는,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어드레스값을 보유하는 어드레스 레지스터와, 상기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어드레스값와,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값에 따라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를 변경시키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 제어 방법은,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어드레스값을 보유하는 순서를 붙인 복수의 어드레스 레지스터로부터, 하나의 유효한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서의 복수의 어드레스에 대해 병렬적인 제어를 행하도록, 상기 선택된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어드레스값와,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 제어 방법은,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복수의 기록 매체편으로 구성되는 기록 매체에 대한 어드레스값을 보유하고, 상기 어드레스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록 매체편의 각각 대응한 기록 매체 선택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기록 매체편에 대해 제어를 행하기 위해, 상기 어드레스값, 기록 매체 선택 신호 및 상기 기록 매체편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 제어 방법은,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어드레스값을 보유하고, 상기 어드레스값와,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어드레스값에 따라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를 변경시킨다.
도 1은, 종래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외관도.
도 3은, 종래의 정보 제공 장치의 외관도.
도 4는, 종래의 다른 정보 제공 장치의 외관도.
도 5는, 종래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파일의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메모리 맵).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파일의 기록 및 판독 제어의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파일의 소거 제어의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파일의 다른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메모리 맵).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파일의 기록 및 판독 제어의 다른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파일의 소거 제어의 다른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 구성도이다. 주요한 구성은 상술된 도 5의 그것과 거의 동일하지만, 여기서는 본 발명을 실현시킨 상세한 기록 매체 제어부(1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1)는, 상술된 바와 같은 정보 제공 장치나 정보 재생 장치 등과 접속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10)를 통해 전송 데이타의 입출력을 실행하는 전송 제어부(101)와, 상기 전송 데이타를 기록 매체(103)에 기록 혹은 판독을 실행하는 기록 매체 제어부(100)와, 기록 매체(103)에 기록된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 관리부(104)와, 이상의 구성 요소의 설정이나 실행 등의 제어를 행하는 CPU 102로 구성된다.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 단위를 페이지라고 하기로 한다면, 기록 매체 제어부(100)는, 데이타 전송에서 페이지수를 카운트하는 페이지 카운터(Page Counter : 112)와, 예를 들면 8개의 어드레스 레지스터 p[0], p[1], …, p[7]로 구성되어 기록 매체(103)에 대해 어드레스(Address) 지정을 행하기 위해 어드레스 지정값을 보유하는 어드레스 레지스터(Address Register)군(113)과, 이들 복수의 어드레스 레지스터 중 하나의 유효한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선택하는 포인터(Pointer ; 111)와 기록 매체(103)에 대한 제어의 종류를 지정하기 위한 값을 보유하는 컨트롤 레지스터(Control Register : 115)를 포함하고, 전송 제어부(101)나 CPU 102나 기록 매체(103)에 대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 회로(110)와, 기록 매체(103)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록 매체편를 선택하기 위한 기록 매체 선택 회로(114)로 구성된다.
도 6의 예에서는, 기록 매체(103)가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있는 4개의 기록 매체편(103a, 103b, 103c, 103d)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기록 매체(103)에 부여되고 있는 어드레스(Address) 및 제어 신호 MEMR, MEMW는 모든 기록 매체편에 입력되는 것으로 하고, 기록 매체 선택 회로(114)로부터 출력되는 4개의 기록 매체 선택 신호 CE0, CE1, CE2 및 CE3은, 상기 4개의 기록 매체편(103a, 103b, 103c 및 103d)의 각각에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어드레스 레지스터군(113)을 구성하는 각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갯수는 임의이고, 기록 매체의 구성등에 의해 여러가지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록 매체 제어부(100)가 제어 가능한 기록 매체편의 갯수, 즉 기록 매체 선택 신호의 갯수 이내이면, 기록 매체편의 갯수도 임의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중요한 특징은, 어드레스 레지스터군(113)의 어드레스값에 대응하는 기록 매체 선택 신호 CE0 ~ CE3을 생성하는 기록 매체 선택 회로(114)를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 내장함에 따라, 기록 매체(103)에 직결할 수 있는 기록 매체 제어부(100)를 실현하고, 어드레스 디코더등의 외부 회로가 불필요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값에 대응하여 기록 매체 선택 신호 CE0 ~ CE3을 발생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물론 기록 매체 선택 신호를 개개의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방식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기록 매체 제어부(100) 내의 제어 회로(110)의 처리 내용에서는, 컨트롤 레지스터(115)의 값에 따라, 전송 제어부(101)나 CPU102, 기록 매체(103)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이나, 어드레스 레지스터군(113)의 각 값 및 카운터(112) 치의 갱신등 외에,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대한 포인터(111)의 값의 갱신을 행한다.
제어 회로(110)는, 1페이지분의 데이타 전송이 행해질 때마다, 페이지 카운터(112)를 디크리먼트함("1" 감함)과 동시에 포인터(111)가 나타내는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어드레스값을 인크리먼트한다("1" 진행시킴). 상기 포인터(111)는, 데이타 전송 개시시는 초기치로서 선두 어드레스 레지스터 p[0]에 대한 포인터치를 갖고 있고, 1페이지분의 데이타 전송이 종료할 때마다, 다음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대한 포인터치로 갱신된다.
여기서, 다음 어드레스 레지스터는, 포인터(111)가 나타내고 있는 현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인접하는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의미하고, 어드레스 레지스터 p[0]의 다음 어드레스 레지스터는 p[1]이고, 어드레스 레지스터 p[1]의 다음 어드레스 레지스터는 p[2]가 된다. 단, 포인터(111)의 포인터치가 최종 어드레스 레지스터 p[7]를 가리키고 있는 경우, 다음 어드레스 레지스터는 p[0]가 된다. 즉, 포인터(111)는, p [0]→p[1]→p[2]→…→p[7]→p[0]→…라는 순서로 데이타 전송이 종료할 때까지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지정을 반복한다.
어드레스 레지스터군(113)에는, 기록 매체(103)에 대한 어드레스값 외에 제어 회로(110)가 인식 가능한 제어 커맨드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포인터(111)에 선두 어드레스 레지스터 p[0]를 지시시키는 제어 커맨드(제어 커맨드로서 예를 들면 -1의 값)를 다음 어드레스 레지스터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6의 예에서는 5번째의 어드레스 레지스터 p[4]에 제어 커맨드로서 -1의 값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포인터(111)는, …→p[3]→p[0]→p[1]→p[2]→…라는 순서로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지정을 반복한다.
또한, 제어 회로(110)는, 현재 어드레스 레지스터로 유지되어 있는 어드레스값에 따라 처리 내용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현재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오버 플로우한 어드레스값이 유지되어 있는 경우나 시스템 영역의 어드레스값이 유지되어 있을 경우, 포인터(111)는, 현재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스킵하여 다음 어드레스 레지스터 혹은 선두 어드레스 레지스터 p[0]를 가리키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데이타 전송 처리를 중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의 예에서, 예를 들면 데이타 전송 중에 3번째의 어드레스 레지스터 p[2]가 오버 플로우한 어드레스값으로 갱신되어 있다고 하면, p[1]→p[3]→p[0]→…이라는 순서로 포인터(111)에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지정을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중요한 특징은, 통상은 기록이나 판독 제어의 대상인 기록 매체의 어드레스값을 보유하는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값에 따라,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 이외의 동작이나 기록 매체에 대한 별도의 제어를 실행하는 회로를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기입 제어 중에,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어드레스값이 데이타의 소거 단위인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값으로 될 경우, 소거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회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기록 매체 선택 회로(114)는, 포인터(111)의 포인터값이 나타내는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유지되어 있는 어드레스값을 디코드하고, 상기 어드레스가 복수의 기록 매체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것인지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기록 매체 선택 신호를 기록 매체(103)로 출력한다. 즉, 도 6의 예에서는 2번째의 어드레스 레지스터 p[1]는 어드레스값으로서 CBP[1:1:0]를 보유하고 있고, 이것은 후술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편(103b)에 대한 어드레스이기 때문에, 기록 매체 선택 회로(114)는, 기록 매체편(103b)에 대해 기록 매체 선택 신호 CE1을 출력한다.
이어서, 정보 제공 장치등으로부터 상기 정보 기록 재생 장치(1)에 파일을 전송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CPU 102는 전송 제어부(101)에 대해 원하는 파일을 전송 입력하도록 지정함과 동시에,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 대한 초기 설정을 행한다.
기록 매체 제어부(100)의 초기 설정에서는, 우선 전송 파일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103) 내의 빈 영역을 파일 관리부(104)로부터 검색하고 이어서, 대응하는 어드레스값을 어드레스 레지스터군(113)에 설정함과 동시에, 전송 파일의 페이지수를 페이지 카운터(112)에 설정한다. 또한, 컨트롤 레지스터(115)에는 기입 제어를 지정한다. 여기서, 포인터(111)는 선두 어드레스 레지스터 p[0]를 가리키도록 설정된다.
전송 제어부(101)는, 입출력 단자(10)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파일을 검지하면,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 대해 신호 DREQ를 출력하고, 기록 매체(103)에의 데이타기록을 요구한다. 이것을 받은 기록 매체 제어부(100)는, 데이타 전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어드레스 버스나 데이타 버스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CPU 102에 대해 신호 BUSREQ를 출력하여 버스 사용권을 요구한다.
이것을 받은 CPU 102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단하는 등 필요한 처리를 완료한 후,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 대해 버스의 해방을 나타내는 신호 BUSACK를 회신한다. 기록 매체 제어부(100)는, 상기 신호 BUSACK에 의해 버스의 사용권을 획득한 것을 인식하면, 계속해서 전송 제어부(101)에 대해 데이타 전송을 양해하는 신호 DACK를 회신함에 따라, 입출력 단자(10)로부터 전송 제어부(101)에 입력되는 전송 파일의 기록 매체(103)에의 기록을 개시한다. 파일 기입 제어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모든 데이타의 전송 입력이 종료하면, 전송 제어부(101)는 신호 DREQ를 철회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 제어부(100)도 기록 결과의 검증등 필요한 처리를 완료한 후에 신호 BUSREQ를 철회한다. 그리고, 버스 사용권을 회복한 CPU 102는, 기록한 파일에 관한 관리 정보를 파일 관리부(104)에 기록함에 따라, 파일의 전송 입력을 완료시킨다.
이어서, 상기 정보 기록 재생 장치(1)로부터 별도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등에 파일을 전송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전송 입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CPU 102는, 전송 제어부(101)에 대해 원하는 파일을 전송 출력하도록 지정함과 동시에,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 대한 초기 설정을 행한다.
기록 매체 제어부(100)의 초기 설정에서는, 판독해야되는 전송 파일의 관리 정보를 파일 관리부(104)로부터 검색하고, 대응하는 어드레스값을 어드레스 레지스터군(113)에 설정함과 동시에, 전송 파일의 페이지수를 페이지 카운터(112)에 설정한다. 또한, 컨트롤 레지스터(115)에는 판독 제어를 지정한다. 여기서, 포인터(111)는 선두 어드레스 레지스터 p[0]를 가리키도록 설정된다.
이어서, 전송 제어부(101)는 파일을 전송 출력하기 위해,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 대해 신호 DREQ를 출력하여 데이타 전송을 요구한다. 이것을 받은 기록 매체 제어부(100)는, 데이타 전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어드레스 버스나 데이타 버스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CPU 102에 대해 신호 BUSREQ를 출력하여 버스 사용권을 요구한다.
이것을 받은 CPU 102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단하는 등 필요한 처리를 완료시킨 후,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 대해 버스의 해방을 나타내는 신호 BUSACK를 회신한다. 기록 매체 제어부(100)는, 상기 신호 BUSACK에 의해 버스의 사용권을 획득한 것을 인식하면, 전송 제어부(101)를 통해 입출력 단자(10)로부터 파일을 출력하기 위해, 기록 매체(103)로부터의 판독을 개시한다. 파일 판독 제어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모든 데이타의 전송 출력이 종료하면, 전송 제어부(101)는 신호 DREQ를 철회하기 위해, 기록 매체 제어부(100)도 필요한 처리를 완료한 후에 신호 BUSREQ 신호를 철회함에 따라, 파일의 전송 출력이 완료한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1)의 기록 매체(103)로서는, 랜덤·억세스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매체나 디스크 매체를 이용하면, 고속의 정보 전송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함에 따라 정보 유지를 위한 전원이 불필요해지고, 상기 장치(1)의 한층 더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 의해 기록된 기록 매체(103) 내의 파일의 기록 상태와 파일 관리부(104)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기록 매체(103)는 4개의 기록 매체편(103a, 103b, 103c 및 103d)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 매체편으로서는, 1칩당 4블럭으로 구성되고, 1블럭당 4페이지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블럭이란 데이타의 소거 단위이고, 페이지란 데이타의 기입 단위를 뜻한다.
기록 매체(103)의 물리 어드레스의 표시 방법으로서, 여기서는 C(Chip), B(Block), P(Page)의 3개의 단위를 사용한다. C는 메모리 칩의 번호 c, B는 소거의 최소 단위인 블럭의 번호 b, P는 기록의 최소 단위인 페이지의 번호 p에 각각 대응시키고, CBP[c:b:p]로서 표현한다. 1페이지의 용량은, 예를 들면 FAT(File Allocation Table) 파일 시스템 등에서의 응용을 쉽게 하기 위해 1섹터의 용량과 동일한 512바이트로 한다. 또한, 기록되는 데이타의 식별 방법으로서, F(File), S(Sector)의 2개의 단위를 사용한다. F는 파일의 번호 f, S는 파일을 구성하는 섹터의 번호 s에 각각 대응하고, FS[f:s]로서 표현한다.
이 예에서는, 각 기록 매체편 C[0], C[1], C[2] 및 C[3]는, 블럭 B[0]로부터 B[3]의 4블럭으로 구성되고, 각 블럭은 페이지 P[0]로부터 P[3]의 4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파일 관리부(104)는, 기록 매체(103)에 기록되어 있는 각 파일의 이름(File) 혹은 번호, 사이즈(Size), 선두 어드레스(Loc) 등을 M[0]으로부터 M[m-1]의 기록 영역에 기록하여 관리함과 동시에, 각 파일의 논리 순서를 관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m은 파일 관리부(104)에서 관리할 수 있는 최대 파일수이다. 또, 도면 중의 파일 관리부(104) 내에 기술되어 있는 값(-1)은, 무효의 파일 관리 데이타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는, 각 파일의 섹터·데이타는, 기록 매체편(103a)를 선두로서 103b, 103c, 103d의 순서로, 4개의 기록 매체편에 걸쳐 기록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 방식은, 상술된 바와 같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7-200181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서 본건 출원인이 이미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즉,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07-200181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플래쉬 메모리등, 기입 단위마다 기록 속도가 같지 않은 기록 매체로 구성된 정보 기록 장치에서, 복수의 기록 매체편에 대해 규칙적인 순서로 병렬로 기록을 행함으로써, 간단한 제어로 효율이 높은 정보 전송을 실현하고, 또한 다양한 기록 매체로 구성된 정보 기록 장치에 대해 용이하게 대응하고, 또한 제어 대상밖의 기록 매체편으로 공급하는 전압을 저하시킴으로써 저소비 전력화를 꾀하고, 정보 전송 후에 복수의 기록 매체편 내의 정보가 종단적인 순서로 연속이 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정보 기록 장치에서 정보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섹터·데이타는 블럭 내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기록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 방식은, 본건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69420호의 명세서 및 도면으로써 이미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69420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기록 방법은, 정보의 기입 단위보다도 정보의 소거 단위가 큰 기록 매체에 대해 파일의 데이타를 기록할 때에, 상기 소거 단위의 선두 위치로부터 파일의 데이타를 기록한다. 또한, 기록해야 할 파일의 용량이 상기 소거 단위로 기록할 수 있는 용량보다도 큰 경우에는, 기록해야 할 파일을 분할하고, 분할된 파일의 각각을 상기 소거 단위의 선두 위치로부터 기록한다. 또한, 정보의 기입 단위보다도 정보의 소거 단위가 큰 기록 매체편를 여러개 이용함과 동시에 복수의 기록 매체편를 순서를 붙여 기록 매체편군을 형성하고, 기록해야 할 파일의 데이타를 상기 기입 단위마다 분할하고, 분할한 순서와 상기 기록 매체편의 순서를 대응하여 각 분할 데이타를 상기 복수의 기록 매체편에 병렬적으로 순차 기록한다.
도 7의 예의 파일 관리부(104)의 기록 영역에 기록된 내용은 다음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기록 매체(103) 내에는 3개의 파일이 기록되어 있고, 이들의 논리적인 순서는 F[1], F[2], F[0]이다. 파일 F[1]는 블럭 B[1]의 선두 어드레스 CBP[0:1:0]로부터 23섹터분, 파일 F[2]는 블럭 B[3]의 선두 어드레스 CBP[0:3:0]로부터 13섹터분, 파일 F[0]는 블럭 B[0]의 선두 어드레스 CBP[0:0:0]로부터 12섹터분의 용량을 구비하고, 규칙적으로 4개의 기록 매체편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파일 F[1]는, CPU 102에 의해 도 6의 기록 매체 제어부(100)로써 진술된 바와 같은 초기 설정을 행함에 따라, 기록 매체(103)에 기록되는 것을, 아래에 설명한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1)로 전송 입력되는 23섹터분의 데이타를 파일 F[1]로서 기록 매체(103)에 기록을 개시하는데 있어서, CPU 102는 23섹터분의 빈 영역을 파일 관리부(104)에서 검색한다. 단, 파일 관리부(104)의 제한에 따라, 빈 영역은 4개 블럭의 정수배로 검색하게 된다.
그 결과, 기록 매체편(103a)로부터 B[1] 및 B[2]의 연속 2블럭, 기록 매체편(103b)로부터 B[1] 및 B[2]의 연속 2블럭, 기록 매체편(103c)로부터 B[1] 및 B [2]의 연속 2블럭, 기록 매체편(103d)로부터 B[1] 및 B[2]의 연속 2블럭의 합계 8 블럭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연속 블럭의 선두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레지스터군(113)으로 설정한다.
즉, 어드레스 레지스터 p[0], p[1], p[2] 및 p[3]의 각각에 CBP[0:1:0], CBP [1:1:0], CBP[2:1:0] 및 CBP[3:1:0]를 설정함과 동시에, 어드레스 레지스터 p[4], p[5], p[6] 및 p[7]에는 상술된 제어 커맨드로서 값(-1)을 지정한다. 그리고, 페이지 카운터(112)에는 파일 용량인 값(23)을 설정하고, 포인터(111)에 선두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가리키는 p[0]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컨트롤 레지스터(115)에, 기입 제어(write)를 지정함으로써, 상기 기록 매체 제어부(100)는 액티브 상태가 된다.
도 8은, 도 6의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 나타낸 초기 설정의 예에서, 전송 입력되는 파일 F[1]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103)에 기록되는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중에서 *표시가 있는 값이 포인터(111), 페이지 카운터(112) 및 어드레스 레지스터군(113)의 초기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각 행은, 1 페이지분의 데이타 전송마다의 페이지 카운터(Page Counter : 112)의 값과, 그 때의 포인터(Pointer ; 111)가 가리키고 있는 어드레스 레지스터(Address Register)가 보유하고 있는 어드레스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의 가장 좌의 열은 섹터·데이타(Sector Data)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기록 매체 제어부(100) 내의 8개의 어드레스 레지스터 중, 4개의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4개의 기록 매체편에 각각 대응시킴으로써 병렬 제어가 실행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최초의 데이타 FS[1:0]는, 최초의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0]가 보유하는 어드레스 CBP[0:1:0]에 기록된다. 그 후, 어드레스 레지스터 p[0]의 어드레스값은 CBP[0:1:1]로, 카운터치는 22로 갱신된다. 다음 데이타 FS[1:1]는, 갱신된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1]가 보유하는 어드레스 CBP[1:1:0]에 기록된다. 그 후, 어드레스 레지스터 p[1]의 어드레스값은 CBP [1:1:1]로, 카운터치는 21로 갱신된다. 마찬가지로, 데이타 FS[1:2]가 어드레스 레지스터 p[2]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CBP[2:1:0]에 기록되고, 데이타 FS[1:3]가 어드레스 레지스터 p[3]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CBP[3:1:0]에 기록된다.
이어서 갱신된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4]에는 상기 제어 커맨드 (-1)가 유지되기 때문에, 포인터는 제어 회로(110)에 의해 재갱신되어 어드레스 레지스터 p[0]를 가리킨다. 따라서, 다음 데이타 FS[1:4]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0]가 보유하는 CBP[0:1:1]에 기록된다.
이하, 동일한 처리가 반복되고, 마지막 데이타 FS[1:22]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2]가 보유하는 CBP[2:2:1]에 기록된다. 이 때, 어드레스값은 CBP [2:2:2]로 갱신되지만, 카운터치는 0로 갱신되기 때문에, 제어 회로(110)는, 기록 조작을 완료한 것을 인식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서의 기록 조작이 완료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CPU102가 파일 F[1]에 관한 관리 정보를 파일 관리부(104)에 기록한다. 여기서는, 전송 입력되는 파일의 용량은, 전송 개시 전에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설명하고 있지만, 물론 페이지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하고, 전송 제어부(101)가 신호 DREQ를 철회할 때까지 전송 입력되는 페이지수를 인크리먼트(+1)하여 계수함으로써 구한 파일의 용량을 파일 관리부(104)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과 동일한 시퀀스에 의해 파일의 병렬적인 판독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즉, CPU102는, 파일 관리부(104)로부터 파일 F[1]는 블럭 B[1]를 개시 위치로 하고나서 23페이지의 용량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컨트롤 레지스터(115)에 판독 제어를 지정하는 것 외에는, 도 6의 기록 매체 제어부(100)와 동일한 초기 설정을 행함에 따라, 파일 F[1]를 구성하는 섹터·데이타 FS[1:0] ~ FS [1:22]가 도 8에 나타낸 시퀀스로 판독된다.
도 9는, 도 7의 파일 F[1]를 소거할 경우의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서의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9도 도 8과 마찬가지로 각 행은, 페이지 카운터(Page Counter : 112)의 값과, 그 때의 포인터(Pointer : 111)가 가리키고 있는 어드레스 레지스터(Address Register)가 보유하고 있는 어드레스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 도 9의 가장 좌의 열은 블럭 어드레스(Block Address)를 나타내고 있다.
CPU102는, 상술된 판독 조작시와 마찬가지로, 파일 관리부(104)로부터 파일의 개시 어드레스와 용량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CPU102는, 어드레스 레지스터에는 기입 제어나 판독 제어와 동일한 초기치를 설정한다. 단, 페이지 카운터(112)에는, 소거하는 블럭수를 초기치로서 설정하는 부분이 다르다. 소거하는 블럭수는, 파일 관리부(104)의 성질로부터 4의 배수가 되는 것과 (1블럭 = 4페이지), 파일 F[1]의 용량이 23페이지이기 때문에, 8블럭인 것을 산출할 수 있다.
기록 매체 제어부(100)는, 최초의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0]가 보유하는 어드레스 CBP[0:1:0]로부터 1블럭(연속하는 4페이지)을 소거한 후, 어드레스 레지스터 p[0]의 어드레스값을 CBP[0:2:0]로, 카운터치를 7로 갱신하는 것을 도 9의 최초의 행에서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갱신된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1]가 보유하는 어드레스 CBP[1:1:0]로부터 1블럭을 소거한 후, 어드레스 레지스터 p[1]의 어드레스값을 CBP[1:2:0]로, 카운터치를 6으로 갱신하는 것을 2행째에서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어드레스 레지스터 p[2]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CBP [2:1:0]를 소거하고, 어드레스 레지스터 p[3]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CBP[3:1:0]를 소거한다.
이어서, 갱신된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4]에는 상기 제어 커맨드(-1)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포인터는 제어 회로(110)에 의해 재갱신되어 어드레스 레지스터 p[0]를 가리킨다. 따라서,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0]가 보유하는 CBP[0:2:0]를 소거한다.
이하, 동일한 처리가 반복되고, 마지막에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3]가 보유하는 CBP[3:2:0]를 소거한다. 이 때, 어드레스값은 CBP[3:3:0]로 갱신되지만, 카운터는 0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제어 회로(110)는, 소거 조작을 완료한 것을 인식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서의 소거 조작이 완료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CPU 102가 파일 F[1]에 관한 관리 정보를 파일 관리부(104)로 갱신시킨다. 여기서, 제어 회로(110)의 제어에서, 어드레스값을 페이지 단위가 아니고 블럭 단위로 갱신하는 점이 기록 조작이나 판독 조작과 다르다.
본 발명에서의 중요한 특징은,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로서 종래의 기입 제어나 판독 제어 외에 소거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복수의 기록 매체편에 대해 소거 조작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회로를 실현하는 것이다.
도 10은, 기록 매체(103)에서의 파일의 다른 기록 상태의 예이다. 이 예에서의 파일 F[1]는, 기록 매체 제어부(100)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설정함에 따라 기록된 것이다. 즉, 어드레스 레지스터 p[0] ~ p[5]의 각각 어드레스 CBP [2:1:0], CBP[3:1:0], CBP[0:2:0], CBP[1:2:0], CBP[2:2:0], CBP[3:2:0]를 지정하고, 어드레스 레지스터 p[6] 및 p[7]에는 제어 커맨드 (-1)를 설정한다. 그리고, 페이지 카운터(112)에는 파일 용량인 값(23)을 설정하고, 포인터(111)에 선두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나타내는 p[0]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컨트롤 레지스터(115)에, 기입 제어를 지정함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 제어부(100)는 액티브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6블럭에 대한 병렬 제어가 도 11에 나타낸 시퀀스로 실행되기 때문에, 파일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기록되게 된다.
파일 F[0]도 마찬가지로, 페이지 카운터(112)에 카운터치로서 12를 설정하고, 어드레스 레지스터 p[0], p[1] 및 p[2]의 각각에 어드레스 CBP[1:0:0], CBP[2:0:0], CBP[3:0:0]를, 그 밖의 어드레스 레지스터에는 제어 커맨드(-1)를 설정함으로써 기록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된 파일의 관리 방식으로는, 본건 출원인에 의한 일본 특허 출원 평9-40905호의 명세서 및 도면으로써 이미 제안되고 있는 정보 기록 방법에 기재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일본 특허 출원 평9-40905호의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방법은, 정보를 재기록 가능한 복수의 기록 매체편으로 구성된 기록 매체의 기억 영역을, 상기 복수의 기록 매체편에 규칙적 또는 고리 형상으로 종단하는 블럭 단위의 일원적인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블럭열로서 관리하는 파일 관리 공정과, 상기 파일 관리 공정에서의 파일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를 제어하는 기록 매체 제어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록 매체 제어 공정에서는 파일을 임의 길이의 블럭열로 이루어지는 파일 블럭열로 구성하고 또한 임의의 선두 어드레스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파일의 기록에 대응한 파일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 관리 공정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기록 매체 제어부(100)는 특정한 파일 관리 방식에 의존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 아니고, 정보 기록 재생 장치(1)에 채용된다고 생각되어지는 여러가지 파일 관리 방식 중 어디에나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기록 매체 내로 분산하는 복수의 어드레스에 대해, 기록이나 판독등의 조작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회로를 실현하는 것이고, 분산하는 어드레스는 특별한 규칙성을 갖을 필요는 없고, 파일 관리 방식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기록 매체편의 임의의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파일 관리 방식으로 대응한 기록 매체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도 12는 도 10의 파일 F[1]를 소거하는 경우의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서의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CPU 102는 파일 관리부(104)로부터 파일 F[1]가 기록되어 있는 어드레스와 파일 F[1]를 구성하는 블럭수를 구하고, 각각 어드레스 레지스터 및 페이지 카운터에 초기치로서 설정한다.
기록 매체 제어부(100)는, 최초의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 [0]가 보유하는 어드레스 CBP[2:1:0]로부터 1블럭분을 소거한 후, 어드레스 레지스터 p[0]의 어드레스값을 CBP[2:2:0]로, 카운터를 5로 갱신하는 것을 도 12의 최초의 행에서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갱신된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1]가 보유하는 어드레스 CBP[3:1:0]로부터 1블럭분을 소거한 후, 어드레스 레지스터 p[1]의 어드레스값을 CBP[3:2:0]로, 카운터치를 4로 갱신되는 것을 2행재에서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어드레스 레지스터 p[2]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CBP[0:2:0]를 소거하고, 어드레스 레지스터 p[3]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CBP[1:2:0]를 소거하고, 어드레스 레지스터 p[4]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CBP[2:2:0]를 소거한다.
마지막에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p[5]가 보유하는 CBP [3:2:0]를 소거한다. 이 때, 어드레스값은 CBP[3:3:0]로 갱신되지만, 카운터치는 0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제어 회로(110)는, 소거 조작을 완료한 것을 인식하여 처리를 종료시킨다. 기록 매체 제어부(100)에서의 소거 조작이 완료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CPU102가 파일 F[1]에 관한 관리 정보를 파일 관리부(104)로 갱신시킨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등, 복수의 기록 매체편를 이용하여 구성된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서, 여러가지 파일 관리 방식으로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고속 파일의 판독 및 기입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3)

  1.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기록 매체의 임의의 수의 기록 영역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값을 보유하는 순서가 매겨진 복수의 어드레스 레지스터;
    상기 복수의 어드레스 레지스터에서 하나의 유효한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상기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포인터; 및
    상기 기록 매체에서의 임의의 수의 기록 영역에 대해 병렬적인 제어를 행하도록, 상기 포인터에 의해 지시된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어드레스값과,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를 지정하는 제어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어 레지스터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기입 제어, 판독 제어 및 소거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계수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카운터의 값이 기정값(旣定値)이 될 때까지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파일 관리 수단의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값을 설정함과 함께, 파일의 변경에 수반하여 상기 파일 관리 수단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는 상기 제어 레지스터에 기입 제어가 지정되었을 때 상기 기록 매체에 기입되는 데이터량을 계수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계수 결과에 기초한 값을 상기 파일 관리 수단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는 상기 제어 레지스터에 판독 제어, 기입 제어, 또는 소거 제어가 지정되었을 때, 각각 기입 단위, 판독 단위, 소거 단위로 데이터를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복수의 기록 매체편(記錄媒體片)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계수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카운터의 값이 기정값이 될 때까지 기록 매체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파일 관리 수단의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레스 레지스터의 값을 설정함과 함께, 파일의 변경에 수반하여 상기 파일 관리 수단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의 입/출력 단자; 및
    상기 입/출력 단자 및 상기 제어 회로에 동작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파일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되도록, 상기 입/출력 단자와 상기 제어 회로 간의 파일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 회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반도체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는 불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제어 장치.
KR1019980710293A 1997-04-16 1998-04-16 기록매체제어장치및방법 KR10059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293A KR100592859B1 (ko) 1997-04-16 1998-04-16 기록매체제어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9199 1997-04-16
KR1019980710293A KR100592859B1 (ko) 1997-04-16 1998-04-16 기록매체제어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691A KR20000016691A (ko) 2000-03-25
KR100592859B1 true KR100592859B1 (ko) 2006-11-30

Family

ID=4174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293A KR100592859B1 (ko) 1997-04-16 1998-04-16 기록매체제어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8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081A (ja) * 1994-09-02 1996-03-22 Hitachi Ltd ファイルメモリ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7081A (ja) * 1994-09-02 1996-03-22 Hitachi Ltd ファイルメモリ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691A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3417B2 (en) Memory controller for memory card manages file allocation table
US59537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rase operations transparent to a solid state storage system
JPH1069420A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再生方法
JP4287433B2 (ja) ファイル記録装置
KR100618298B1 (ko) 기록 시스템, 데이터 기록 장치,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기록 방법
KR100877448B1 (ko) 비휘발성 기억 시스템
JP5400875B2 (ja) メモリコントローラ、不揮発性記憶装置、アクセス装置、不揮発性記憶システム、データ書き込み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29156B2 (ja) アクセス装置、および、ライトワンス記録システム
KR100684061B1 (ko) 기록 시스템, 데이터 기록 장치, 메모리 장치 및 데이터기록 방법
US7647470B2 (en) Memo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ongating the life of nonvolatile memory
US6378033B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4722704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媒体に対するアクセス装置及びアクセス方法
WO2007034706A1 (ja) 情報記録媒体アクセス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
US6523105B1 (en) Recording medium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0592859B1 (ko) 기록매체제어장치및방법
US6438086B1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6127401A (ja) 媒体記憶装置、媒体記憶装置のキャッシュセグメント切り替え方法、及び媒体記憶システム
KR19980081712A (ko)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및 방법
EP1804166A2 (en) Memor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7310533A (ja) 不揮発性記憶システム、不揮発性記憶装置、及びファイルデータ書き込み方法
JP2001109582A (ja) 転送方法及び装置、記録方法及び装置、再生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
JP3531438B2 (ja)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外部記憶装置
EP0860828A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JPH117408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5149620A (ja) 記憶装置およびファイ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