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731B1 - 자동 깻잎 수확기 - Google Patents

자동 깻잎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731B1
KR100592731B1 KR1020040081905A KR20040081905A KR100592731B1 KR 100592731 B1 KR100592731 B1 KR 100592731B1 KR 1020040081905 A KR1020040081905 A KR 1020040081905A KR 20040081905 A KR20040081905 A KR 20040081905A KR 100592731 B1 KR100592731 B1 KR 100592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ame leaf
cutting
sesame
main body
harv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902A (ko
Inventor
장동일
조한성
최효근
송영호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8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7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7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깻잎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깻잎 수확기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에 바퀴를 구비하며 방향전환이 가능한 주행수단과, 주행방향 또는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본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상하로 이송되는 이송수단이 구비된 커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커팅수단은, 깻잎 줄기를 수용하고 일측이 개방되며 U자형으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깻잎 자루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깻잎 자루를 커팅하는 커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광센서에 의해 깻잎 자루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깻잎 줄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커팅이 용이한 위치로 회동하여 커팅하게 되므로 수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수확작업을 자동화하여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고 인건비를 줄임으로써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고, 생산단가의 절감으로 수입농산물과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 깻잎, 수확기, 광센서, 감지, 주행수단, 커팅, 벨트 컨베이어

Description

자동 깻잎 수확기{Automated Edible Perilla Leaves Harvester}
도 1은 종래의 자동 수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깻잎 수확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송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팅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판이 회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와 도5c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판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는 커팅수단의 수용부에 깻잎 줄기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커팅수단이 이송수단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c는 커팅수단이 회동되어 커팅부에 의해 깻잎 자루가 커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깻잎 수확기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프레임
20: 주행수단 21: 모터
22: 바퀴 23: 감속부
30: 커팅수단 31: 수용부
32: 감지수단 33: 광센서
34: 커팅부 35: 이동편
35a: 경사면 36: 실린더
37: 고정편 38: 이송부
39: 커터 실린더 40: 커터
41: 물림부 42: 리턴스프링
43: 회동판 50: 이송수단
51: 래크 52: 이송봉
53: 기어 54: 구동축
55: 이송모터 56: 컨트롤박스
60: 회동수단 61: 제1회동원판
62: 제2회동원판 63: 링크
64: 모터 65: 공압실린더
70: 벨트 컨베이어 71: 벨트
72: 낙하방지턱 73: 각도조절판
74: 리미트센서 80: 수용박스
90: 깻잎 줄기 100: 깻잎 자루
110: 깻잎 150: 자동 깻잎 수확기
본 발명은 자동 깻잎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깻잎 줄기로의 이동과 깻잎 자루의 커팅 및 커팅 후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전 작업과정을 자동화하도록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수확기는 커팅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전 작업과정을 자동화하도록 하는 기기이다.
종래에 사용된 자동 수확기의 일예로 공개특허번호 제2002-97387호(발명의 명칭: 구기자 수확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기자 수확기(200)는 사각의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 상부 중앙에 구비된 이송안내봉(221)에 슬라이드 크랭크(222)가 부착된 모터(223)가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크랭크(222)와 연결된 진동가이드(224)의 일단에 손잡이(225)가 장착되는 탈과수단(220)과, 상기 프레임(210) 하부 양측에 집과상자(231)가 구비되고 중앙부에 경사진 집과안내판(232)이 형성되며 4절 링크 구조인 집과안내부(233) 상부에 장착되어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2쌍의 집과안내솔(234)이 양측에 개폐되는 집과수단(230)과, 상기 프레임(210)의 후단부 모서리 양측에 구비된 후륜(241)이 상부에 구비된 구동축(242)과 각각 벨트(243)로 연결되는 구동부(244)와, 상기 프레임(210) 전단부 모서리 양측에 구비된 전륜(245)이 서 로 링크되어 조향레버(246)로 조향작동되는 조향부(247)로 이루어진 주행수단(24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구기자 수확기는 열매가 열리는 작물에는 적용할 수는 있으나, 깻잎과 같이 잎자루를 커팅하여 수확하도록 하는 잎작물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깻잎과 같은 잎작물은 상기와 같은 자동 수확기를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밀제어를 필요로 하므로,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수확되고 있다.
현재 들깻잎 파종작업은 점파종기의 개발로 기계화가 가능하게 되었으나 수확작업에 있어서는 모두 인력에 의존하고 있으며, 기계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어서, 재배농가의 조수입의 약 40%가 수확에 관련된 인건비로 지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들깻잎 수확작업을 기계화하여 인건비를 줄임으로써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생산단가를 절감함으로써 가격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확작업을 자동화하여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고 인건비를 줄임으로써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하며, 생산단가의 절감으로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센서에 의해 깻잎 자루를 정확하게 감지하 고 깻잎 줄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커팅이 용이한 위치로 회동하여 커팅하게 되므로 수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에 바퀴를 구비하며 방향전환이 가능한 주행수단과, 주행방향 또는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본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상하로 이송되는 이송수단이 구비된 커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커팅수단은, 깻잎 줄기를 수용하고 일측이 개방되며 U자형으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깻잎 자루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깻잎 자루를 커팅하는 커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송수단은, 래크가 형성된 이송봉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래크와 결합되는 기어를 구비한 구동축을 구비한 모터와,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박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감지수단은,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한 커팅부는, 단부에 경사면이 구비된 이동편을 구비한 실린더와, 상기 이동편의 경사면과 접하며 상기 실린더의 습동에 의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고정편을 하부에 구비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커터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터와 맞물려 깻잎 자루를 커팅하는 물림부로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커팅수단의 하부에 상기 커팅수단을 고정하는 회동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회동판과 이웃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회동원판과, 상기 제1회동원판과 이웃하고 상기 회동판과 상기 제1회동원판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회동원판과,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판의 일측과 힌지결합하며, 중간이 상기 제1회동원판과 힌지결합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회동원판에 힌지결합되며 일체로 된 2개의 링크를 구비된 회동수단을 구비하여 제1회동원판 또는 제2회동원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판이 좌우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로부터 본체 상부로 설치되며 하부에 깻잎줄기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깻잎을 수용하는 수용박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깻잎 수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깻잎 수확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송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팅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깻잎 수확기(150)는,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 하부에 바퀴(22)를 구비하며 방향전환이 가능한 주행수단(20)과,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이송수단(50)이 구비된 커팅수단(30)과, 수확된 깻잎(110)을 이송하는 벨트 컨베이어(70)와, 이송된 깻잎(110)을 수용하는 수용박스(8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원형태나 사각형태의 파이프를 용접이나 다른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이음한 육면체형태의 프레임(11)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주행수단이 구비되며, 상부에는 이송수단(50)이 구비된 커팅수단(3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설치되는 벨트 컨베이어(70)가 구비되며, 본체 상부에 위치한 벨트 컨베이어(70)의 일측에는 수용박스(80)가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모터(21)와, 상기 모터(21)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22)와, 상기 모터(21)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며 회전방향을 90ㅀ 변경하는 감속부(23)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21)는 상기 바퀴(22)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좌우에 설치된 상기 모터(21)의 회전수는 원격조정장치(미도시됨) 또는 프로그래밍에 의해 미리 설정된 주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각각 조정이 가능하다. 즉, 원격조정장치 또는 프로그래밍에 의해 상기 본체(10) 이동시에, 우측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좌측에 위치한 모터의 회전수를 크게 하고, 좌측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우측에 위치한 모터의 회전수를 크게 하여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퀴(22)는 상기 본체(10)의 최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를 지지하게 되며 모터(21)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퀴(22)는 밭에서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무한궤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속부(23)는 상기 모터(21)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며 베벨기어(미도시됨)를 이용하여 회전방향을 90ㅀ 변경함으로써 모터(21)의 회전을 바퀴(22)에 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팅수단(30)은 주행방향 또는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상하로 이송되는 이송수단(50)이 구비되며,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상하로 이송되어 깻잎 자루(100)를 커팅하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크(51)가 형성된 이송봉(52)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래크(51)와 결합되는 기어(53)가 형성된 구동축(54)을 구비한 이송모터(55)와, 상기 감지수단(32)의 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모터(55)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박스(56)로 구성된다.
상기 커팅수단(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깻잎 줄기(90)를 수용하는 수용부(31)와, 깻잎 자루(100)를 감지하는 감지수단(32)과, 깻잎 자루(100)를 커팅하는 커팅부(34)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31)와 상기 감지수단(32) 및 상기 커팅부(34)는 회동판(43)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1)는 깻잎 줄기(90)를 수용하고 일측이 개방되며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1)의 둘레에는 상기 감지수단(32)이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31)의 후부에는 상기 커팅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수단(32)은 상기 수용부(31)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광센서(33)와, 상기 광센서(33)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됨)로 이루어져 깻잎 자루(100)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깻잎 줄기(90)가 감지되게 되면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상기 수용부(31)가 상하 이동되게 되며, 상기 수용부(31)가 상하 이동시에 상기 광센서(33)에 의해 깻잎 자루(100)가 감지되게 되면 상기 커팅부(34)에 의해 상기 깻잎 자루(100)를 커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박스(56)에 내장되거나 마이크로 컴퓨터(미도시됨)의 제어부로 되어 상기 광센서(33)에 의해 깻잎 자루(100)가 감지되는 것을 판단하여 상기 수용부(31)와 상기 이송수단(50)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커팅부(34)는 상기 수용부(31)의 후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수단(32)에 의해 감지된 깻잎 자루(100)를 커팅하게 된다. 상기 커팅부(34)는 단부에 경사면(35a)이 구비된 이동편(35)을 구비한 실린더(36)와, 상기 이동편(35)의 경사면(35a)과 접하며 상기 실린더(36)의 습동에 의해 상기 경사면(35a)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고정편(37)을 하부에 구비한 이송부(38)와, 상기 이송부(38)의 상부에 설치되며 커터 실린더(39)에 의해 이동되는 커터(40)와, 상기 이송부(38)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터(40)와 맞물려 깻잎 자루(100)를 커팅하는 물림부(4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커팅부(34)는 상기 감지수단(32)에 의해 깻잎 자루(100)가 감지되면, 상기 실린더(36)의 단부에 결합된 이동편(35)이 실린더(36)의 습동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이동편(35)의 이동에 의해 이송부(38)의 고정편(37)이 상기 이동편(35)의 경사면(35a)을 따라 상승하게 되어 이송부(38)가 상승되며, 상기 이송부(38)에 결합된 커터(40)와 물림부(41)도 상승하게 되고 커터 실린더(39)에 습동에 의해 상기 커터(40)가 이동하여 상기 물림부(41)와 함께 깻잎 자루(100) 를 커팅하게 된다. 깻잎 자루(100)를 커팅하게 되면 커터(40)가 커터 실린더(39)에 의해 후퇴되고, 이어서, 상기 실린더(36)에 의해 이동편(35)이 후퇴되면 상기 이송부(38)는 수용부(31)에 설치된 리턴스프링(42)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이송부(38)에 결합된 커터(40)와 물림부(41)도 원래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회동판(43)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31)와 상기 감지수단(32) 및 상기 커팅부(34)로 구성된 커팅수단(30)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판(43)의 하부에 결합된 회동수단(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판이 회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b와 도5c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판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a는 커팅수단의 수용부에 깻잎 줄기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b는 커팅수단이 이송수단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c는 커팅수단이 회동되어 커팅부에 의해 깻잎 자루가 커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60)은 제1회동원판(61)과, 상기 회동판(43)과 상기 제1회동원판(61)을 회동시키는 제2회동원판(62)과, 상기 회동판(43)과 상기 제1회동원판(61)과 상기 제2회동원판(62)과 결합되어 제2회동원판(62)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회동원판(61)과 상기 회동판(43)을 회동시키는 링크(63)와, 상기 제1회동원판(61) 또는 제2회동원판(62)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64)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동원판(61)은 상기 회동판(43)과 이웃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회동원판(62)은 상기 제1회동원판(61)과 이웃하고 상기 회동판(43)과 상기 제1회동원판(61)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링크(63)는 일측 단부가 상기 수용부(31) 일측과 힌지결합하며, 중간이 상기 제1회동원판(61)과 힌지결합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회동원판(62)에 힌지결합되며 일체로 되고, 2개로 되어 있다.
상기 모터(64)는 상기 제1회동원판(61) 또는 제2회동원판(6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회동원판(61) 또는 제2회동원판(62)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는 모터(64)가 제1회동원판(6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회동원판(61)을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동수단(60)의 하부에는 공압실린더(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압실린더(65)는 상기 회동수단(60)을 전진 또는 후퇴되도록 하여 회동수단(60)의 상부에 설치된 커팅수단(30)을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공압실린더(65)는 커팅수단(30)을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함으로써, 깻잎 줄기(90)가 곧지 않고 좌우로 굽어 성장한 경우, 이송수단(50)에 의해 커팅수단(30)이 승하강시에 상기 광센서(33)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65)는 이송수단(50)의 최하부에 결합되게 되어 상기 회동수단(60)과 상기 커팅수단(30)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 5a의 상태에서 상기 제2회동원판(62)이 좌회전(도 5b참조) 또는 우회전(도 5c참조)되게 되면, 상기 제2회동원판(62)과 결합된 링크(63)에 의해 상기 제1회동원판(61)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동판(43) 또한 같은 방향으로 회동 되게 된다. 상기 제2회동원판(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판(43)이 회동되게 되며, 상기 회동판(43)에 결합된 상기 커팅수단(30)이 좌우로 회동되게 된다.
도 6a의 상태는 상기 커팅수단(30)의 수용부에 깻잎 줄기가 수용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상기 커팅수단(3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깻잎 자루(100)를 감지하게 되는데, 깻잎(110)이 보통 대칭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하나 또는 두개의 광센서(33)에 의해 깻잎 자루(100)가 감지되게 된다. 이렇게 깻잎 자루(100)가 감지되게 되면,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60)에 의해 깻잎 자루(100)가 커팅수단(30) 커팅부(34)의 커터(40)와 직각이 되도록 회동되어, 커팅부(34)에 의해 깻잎 자루가 커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팅수단(30)이 회동되게 되면 깻잎 줄기(90)에 달린 깻잎의 자루(100)를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50)의 하부, 즉, 커팅수단(30)의 하부로부터 본체(10) 상부로 설치되며 하부에 깻잎 줄기(90)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74)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70)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70)로부터 이송된 깻잎(110)을 수용하는 수용박스(8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70)의 벨트(71)에는 커팅되어 낙하된 깻잎(11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낙하방지턱(72)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70)는 각도조절판(73)이 힌지결합되어 벨트 컨베이어(70)의 경사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70)의 하부에는 리미트센서(74) 가 구비되며, 상기 리미트센서(74)는 깻잎 줄기(90)가 걸리게 되면 구부러짐에 의해 깻잎 줄기(90)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리미트센서(74)에 의해 깻잎 줄기(90)가 감지되게 되면 주행을 멈추고, 전술한 바와 같이 깻잎 자루(100)를 커팅하게 된다. 상기 리미트센서(74)는 깻잎 줄기(90)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깻잎 줄기(90)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봉(미도시됨)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표시봉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벨트 컨베이어(7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깻잎 수확기의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자동 깻잎 수확기(150)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깻잎을 수확하게 된다.
먼저, 수확할 깻잎의 높이를 측정하여 커팅수단(30)이 상승할 최대상승 높이를 계산한다.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커팅수단의 최대상승 높이를 입력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1과 같이 작업대기중인 상태로 커팅수단(30)이 하강된 상태이다. 이어서, 수확기(150)의 주행방향을 결정하고 원격 또는 수동 조작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도중에 깻잎 줄기(90)가 상기 컨베이어벨트(70)의 하부에 설치된 리미트센서(74)에 의해 감지되면, 주행수단(20)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커팅수단(30)이 전진하고 이송수단(50)이 작동하여 상기 커팅수단(3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어서 커팅수단(30)의 상승 도중에 하나 또는 둘의 광센서(33)에 의해 깻잎 자루(100)가 감지되게 되면 이송수단(5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팅수단(30)이 결합된 회동판(43)이, 커팅수단(30)과 깻잎 자루(100)의 위치가 같게 될 때, 즉, 커터(40)와 깻잎 자루(100)가 90ㅀ의 각도를 이루게 될 때까지 회동되게 된다. 회 동판(43)의 회동이 멈추게 되면, 실린더(36)에 의해 커팅부(34)가 상승하게 되고 커터(40)가 전진하게 되어 깻잎 자루(100)를 고정하여 커팅하게 된다. 이어서, 커팅부(34)가 하강하며, 상기 커팅수단(30)의 처음 상승위치까지 하강하고 깻잎을 낙하하며, 커팅수단(30)이 후진하게 된다. 이때, 커팅된 깻잎을 낙하되도록 회동판(43)이 원위치로 회동되게 되는데, 회동판(43)이 원위치로 복귀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지연시키도록 지연타이머가 작동되게 된다. 이어서, 낙하된 깻잎은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수용박스에 수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이 반복되어 하나의 깻잎 줄기에 성장된 깻잎을 수확한다. 이어서, 다음 깻잎 줄기에 성장된 깻잎을 수확하기 위하여 주행한 다음 반복하여 깻잎을 수확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센서에 의해 깻잎 자루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깻잎 줄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커팅이 용이한 위치로 회동하여 커팅하게 되므로 수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수확작업을 자동화하여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고 인건비를 줄임으로써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고, 생산단가의 절감으로 수입농산물과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하부에 바퀴를 구비하며 방향전환이 가능한 주행수단;과, 주행방향 또는 반대방향에 위치하며 본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상하로 이송되는 이송수단이 구비된 커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커팅수단은,
    깻잎 줄기를 수용하고 일측이 개방되며 U자형으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깻잎 자루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깻잎 자루를 커팅하는 커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래크가 형성된 이송봉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래크와 결합되는 기어를 구비한 구동축을 구비한 모터와,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박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단부에 경사면이 구비된 이동편을 구비한 실린더와,
    상기 이동편의 경사면과 접하며 상기 실린더의 습동에 의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고정편을 하부에 구비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커터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터와 맞물려 깻잎 자루를 커팅하는 물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의 하부에 상기 커팅수단을 고정하는 회동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회동판과 이웃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1회동원판과,
    상기 제1회동원판과 이웃하고 상기 회동판과 상기 제1회동원판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2회동원판과,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판의 일측과 힌지결합하며, 중간이 상기 제1회동원판과 힌지결합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회동원판에 힌지결합되며 일체로 된 2개의 링크를 구비된 회동수단을 구비하여 제1회동원판 또는 제2회동원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판이 좌우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하나 또는 두개의 광센서에 의해 깻잎 자루가 감지될 경우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깻잎 자루가 커팅부와 직각이 되도록 회동되어, 커팅부에 의해 깻잎 자루가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의 하부로부터 본체 상부로 설치되며 하부에 깻잎줄기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깻잎을 수용하는 수용박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깻잎 수확기.
KR1020040081905A 2004-10-13 2004-10-13 자동 깻잎 수확기 KR100592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905A KR100592731B1 (ko) 2004-10-13 2004-10-13 자동 깻잎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905A KR100592731B1 (ko) 2004-10-13 2004-10-13 자동 깻잎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902A KR20060032902A (ko) 2006-04-18
KR100592731B1 true KR100592731B1 (ko) 2006-06-26

Family

ID=3714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905A KR100592731B1 (ko) 2004-10-13 2004-10-13 자동 깻잎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162B1 (ko) 2016-07-29 2017-10-27 정일화 마늘 수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734B1 (ko) * 2019-11-14 2022-04-01 박기범 고추 수확 보조 장비, 고추 수확 보조 장비를 이용한 포도 수확 보조 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162B1 (ko) 2016-07-29 2017-10-27 정일화 마늘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902A (ko) 200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5094B1 (en) Stalked crop harvesting header structure
US10238032B2 (en) Stalked crop harvesting header drive
US10225982B2 (en) Stalked crop harvesting header frame
US4064682A (en) Machine for harvesting asparagus stalks and the like
KR101790572B1 (ko) 자동주행기능을 탑재한 모종 이식장치
KR100592731B1 (ko) 자동 깻잎 수확기
US6945292B1 (en) Tree harvesting apparatus
US4367621A (en) Crop harvester including a quickly adjustable semi-floating, self-steering cutter head
JP3506188B2 (ja) 野菜移植機の欠株補正機構
EP07441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and bunching agricultural produce and/of market garden produce
JP4370671B2 (ja) 苗移植機
US3717986A (en) Asparagus harvester
JP3812181B2 (ja) コンバイン
US4470242A (en) Two row crop harvester
JP2918515B2 (ja) 収穫機
JP2559011Y2 (ja) 収穫機の回収装置
JP3351786B2 (ja) 収穫機
JP7270933B2 (ja) 作物収穫機
JPH06121610A (ja) 野菜収穫機
JP2918516B2 (ja) 収穫機
JP2022002501A (ja) 作物収穫機
AU774961B2 (en) Tree harvesting apparatus
JPH0144030Y2 (ko)
JP3747626B2 (ja) 野菜収穫機
JP3408513B2 (ja) 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