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550B1 -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생산된 청색계란 - Google Patents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생산된 청색계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550B1
KR100592550B1 KR1020050011247A KR20050011247A KR100592550B1 KR 100592550 B1 KR100592550 B1 KR 100592550B1 KR 1020050011247 A KR1020050011247 A KR 1020050011247A KR 20050011247 A KR20050011247 A KR 20050011247A KR 100592550 B1 KR100592550 B1 KR 100592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blue
eggs
produced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정승화
성범용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filed Critical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Priority to KR102005001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or modified breeds of vertebrates
    • A01K67/0275Genetically modified vertebrates, e.g. transgen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30Bir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2Animal zootechnically ameliora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라카나종(Arakana) 수컷과 백색레그혼종 암컷을 교배시켜 1세대 교잡종 산란계를 얻고, 상기 1세대 교잡종 암컷을 다시 아라카나종 수컷과 교배시켜 생성된 2세대 교잡종 산란계를 육종하여 청색계란을 수득하는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잡종 산란계로 부터 안정적으로 청색계란을 생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란은 비린내가 적으며, 일반계란과 달리 외관상 난각색의 시각적 차별화로 소비자의 기호성을 향상시켜 계란의 소비촉진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아라카나종, 백색레그혼종, 교배, 청색계란

Description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생산된 청색계란{THE PRODUCTION METHOD OF BLUE COLORED EGG AND THEREOF BLUE COLORED EG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색계란을 생산하기 위한 아라카나 종과 백색레그혼종의 교배에 관한 가계도를 설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청색계란을 생산하는 육종개량된 교잡종 닭에 관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청색계란과 일반계란의 난각색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청색계란과 일반계란의 난각색을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청색계란에 관한 것이다.
계란은 오래전부터 식단의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타민 C를 제외한 13종의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질이 골고루 들어있고, 지방도 소화 흡수되기 쉬운 형태 로 들어있어 성장기의 어린이에게는 양질의 영양소를 제공하는 완전식품이며, 간에 쌓이기 쉬운 지방을 제거해 주는 레시틴(lecitin)이 많이 들어 있어 성인에게는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식품이다. 계란의 겉은 단단한 껍데기(난각)에 싸여있고, 안에는 2층의 속껍질이 있다. 난각에는 작은 구멍이 많이 있어서 그 구멍을 통하여 호흡을 한다. 또 시간이 지나면 이 구멍을 통하여 이산화탄소와 수분이 증발하고, 미생물이 침투하여 내용물이 빨리 썩게 한다. 2층으로 된 속껍질 사이의 한쪽에는 공기집이 있는데, 이 공기집은 갓낳은 계란일 때는 작았다가 시간이 지나 수분과 이산화탄소가 증발하면 차차 커진다. 속껍질 안에는 난백이 있고, 난황은 얇은 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양쪽 끝이 알끈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 구성물질의 비율은 난각이 약 11%, 난백이 약 58%, 난황이 약 31%이다. 난각의 색깔은 보통 흰색 또는 연갈색을 띄는 것이 대부분이다.
최근들어, 계란에 기능성을 갖도록 생산하는 기능성계란이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으며, 난황의 색상을 선명하게 하기 위해 홍게박을 이용하거나(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16503호), 아스탁산틴을 함유한 계란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1996-0013227호)이 연구되고 있으나, 난각색에 변화를 주는 계란의 생산방법에 대해서는 그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다만, 본 발명자들에 의해 아라카나종 수컷과 이사브라운 암컷을 교배시켜 생산된 자손 1세대 교잡종을 육종하여 청색계란을 생산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3-0026502호)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나, 안정적이면서 실용적으로 청색계란을 생산하기 위한 육종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라카나종(Arakana) 수컷과 백색레그혼종 암컷을 교배시켜 1세대 교잡종 산란계를 얻고, 상기 1세대 교잡종 암컷을 다시 아라카나종 수컷과 교배시켜 생성된 2세대 교잡종 산란계를 육종하여 청색계란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란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라카나종(Arakana) 수컷과 백색레그혼종 암컷을 교배시켜 1세대 교잡종 산란계를 얻고, 상기 1세대 교잡종 암컷을 다시 아라카나종 수컷과 교배시켜 생성된 2세대 교잡종 산란계를 육종하여 청색계란을 수득하는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1) 6 ~ 10월령의 아라카나종 수컷과 5 ~ 9월령의 백색레그혼종 암컷을 인공수정에 의해 교배시켜 1세대 교잡종 산란계를 얻는 단계;
(2) 7 ~ 9월령의 상기 1세대 교잡종 암컷을 6 ~ 10월령의 아라카나종 수컷과 인공수정에 의해 교배시켜 2세대 교잡종 종란(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종란을 13 ~ 17℃의 온도, 70 ~ 80%의 습도조건에서 1주일간 보관 하는 단계; 및
(4) 상기 보관된 종란을, 18일간의 발육기 동안은 37.5 ~ 38℃의 온도, 75%의 습도조건에서, 3일간의 발생기 동안은 37℃의 온도, 70%의 습도조건에서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생산된 산란계를 육종하여 청색계란을 수득하는 청색계란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아라카나종(Arakana)종은 칠레북부가 원산지로 야생계였으나 남아메리카와 벨기에등 유럽에서 육종개량한 품종으로서, 성질이 사나운 편이며 산육겸용으로 활용되나 훈련을 통하여 싸움닭으로도 이용하기도 한다. 모색은 은갈색 또는 황홍색을 띄지만 가슴털은 검은색이고, 머리는 작은 편이고, 볏은 주름져 있고, 귓불은 노란색이고, 정강이는 대부분 노란색이나 옆은 회갈색도 있다. 체중은 암탉이 1.5 ~ 1.8kg, 수탉은 2.5 ~ 2.7kg 정도이며, 초산일령(初産日齡)은 170 ~ 180일령이며, 연간 산란수는 160 ~ 180개 정도이다. 난중은 대략 45g 정도이다. 한편, 백색레그혼종은 원산지가 이탈리아인 전형적인 산란계로서, 성질이 예민하고 재빠르며 체질이 강건하고, 볏이 크며 귓불은 희고 정강이는 누렇다. 표준 체중은 암컷이 1.8kg, 수컷은 2.5kg이며, 초산일령은 150 ~ 160일이고, 연간 산란수는 220 ~ 250개이며, 난중은 대략 55 ~ 60g이다.
6 ~ 10월령의 아라카나종 수컷과 5 ~ 9월령의 백색레그혼종 암컷을 인공수정하여 1세대(F1) 교잡종 산란계를 생산한다. 1세대 교잡종 산란계 중에서 아라카나종과 백색레그혼종이 이형접합체로서 존재하는 종란(수정란)을 선별한 후, 인공부화기를 통하여 병아리를 생산하고 육성한다. 이렇게 병아리에서 7 ~ 9월령의 성 계된 1세대 교잡종 암컷을 6 ~ 10월령의 아라카나종 수컷과 다시 인공수정하여 2세대(F2) 교잡종 종란(수정란)을 생산한다. 상기 종란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13 ~ 17℃의 온도, 70 ~ 80%의 습도조건에서 1주일간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보관된 종란을, 18일간의 발육기 동안은 37.5 ~ 38℃의 온도, 75%의 습도조건에서, 3일간의 발생기 동안은 37℃의 온도, 70%의 습도조건에서 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란 이후에는 온도 및 습도가 부화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부화된 병아리를 육종하여 생산된 닭을 실용계로서 "청색계"라 부른다(도 1 참조). 상기와 같은 3원교배(Three-way crosses)를 통해 생산된 청색계의 생산율은 약 75 ~ 80 %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는 외관상 모색은 대부분 백색이며, 머리는 작은편이며, 볏은 주름져있고, 정강이는 노란색이며, 체중은 암탉이 1.5kg, 수탉은 2.5kg이며, 연간산란수는 200개 정도이고, 초산일령은 165일령 정도이며, 난중은 평균 50 ~ 55g 정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를 육종한 후, 여기서 생산된 계란을 "청색계란"이라고 칭한다. 구체적으로, 계란의 난각색은 백색과 진한녹색의 중간색인 연한청색 또는 옥색을 띄고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일반적으로 난각의 외곽에 주로 저장되어 있는 오포르피린(ooporphyrin) 색소에 좌우되는데, 이 색소는 난각에 함유된 프로토포르피린으로 혈액의 헤모글로빈과 관계가 있으며, 산란초기가 말기보다 더 진한색을 나타낸다. 또한 난각색의 유전력은 0.30 ~ 0.90으로 매우 높은 유전력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 도면 및 표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 도면 및 표에 의하여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험동물의 준비
30주령의 아라카나종 수컷(2.5㎏)(일본기후현축산연구소 양계연구부)과 35주령의 백색레그혼종 암컷(1.7㎏)(안성소재 양지부화장에서 백색레그혼 하이라인 97종계 입수)을 시험동물로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무창계사내 온도는 20 ~ 25℃, 습도는 70 ~ 85%정도였고, 점등시간은 백열전구(60W)를 설치하였고, 1일 평균 8시간이 자동으로 소등이 되도록 자동점등 개폐장치로 점등유지·관리되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사료는 양계용 사료(농협안동사료공장에서 생산한 종계용사료)를 구입하여 자유급이 하였으며, 음수는 자외선 유수멸균기(Dynamics, M600, USA)를 통과시킨 물을 자유급수하였다.
실시예 2. 시험동물의 교배 및 종란(수정란)의 선별
30주령의 아라카나종 수컷(AA)과 35주령의 백색레그혼 하이라인 암컷(aa)을 인공수정하여 1세대(F1) 교잡종 산란계(암컷) 500수를 생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컷의 정액채취는 생리식염수로 수컷의 항문을 깨끗이 닦고 왼손으로 손바닥으로 닭의 꼬리를 뒤로 들고 손가락으로 총배설강을 가볍게 잡은후, 오른손으로 치골의 하부를 따라서 치골과 용골사이에 부드러운 곳을 가볍게 전후로 맛사지하여 멸균된 스포이드로 정액을 채취하였다(복부맛사지). 채취정액량은 채취정액은 30분이내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량으로 멸균 50ml병에 담아 사용하였다.
백색 레그혼 하이라인 암컷과의 인공수정은 오후 2 ~ 3시경에 1수당 멸균스포이드를 통하여 원정액 0.03ml정도를 주입하며, 정액 주입간격은 5일간격으로 인공수정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과정을 계속하여 생산된 종란(수정란)은 1일 2회 집란을 하였고, 이때의 종란(수정란) 선별은 난중이 50g 이상으로서, 난각이 매끄럽고, 오염 및 파란이 아닌 종란을 선별사용하였다. 그리고 종란보관실의 종란의 오염을 막기위하여 훈증소독기를 설치하여 과망산카리 20g과, 포르말린 40ml를 5일에 1회씩 20분간에 걸처 내부전체를 훈증소독하였다. 종란보관 온도는 평균 15℃, 습도는 75%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저장실에서 종란기실이 위쪽으로 향하도록하여 최장 1주일 보관하였다가 부화기에 입란하였다(부화기조건 : 발육기(18일간) - 37.5~38℃, 습도 75%, 발생기(3일간) - 37℃, 상대습도 70%을 유지). 입란 이후에는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은 온습도가 가장 중요하고, 이외에 계란의 기실을 향하도록 계란축을 45˚로 두어야 하며, 전란은 1일 8회이상 해야하며 하란은 병아리가 15% 정도 발생되었을 때 발생실로 옮겼으며, 발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1일 1회정도 외부의 산소를 주입하기 위하여 3분 정도 환기시켜주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선별된 1세대 교잡종 산란계(암컷)(Aa)를 다시 상기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아라카나종 수컷(AA)과 다시 교배육종하여 이형접합체로서 존재하는 종란(수정란)을 선별한 후, 종란을 인공부화기(배아발육 성장에 따라 37.5 ~ 38℃, 상대습도 55~60%, 21일간)를 통하여 실용계인 청색계(CC) 500수 (암컷)(F2)를 생산하여 시험용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청색계란의 생산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2세대(F2) 교잡종에서 생산된 병아리를 암수감별후에 암컷을 산란하는 닭을 실용계인 청색계로 이용하였다. 실용청색계는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사육조건 및 급여사료로 사육하였다. 이런 실용청색계의 초산은 22주령이며, 체중은 1.6㎏로서 연간산란수는 190~200개 정도의 청색계란을 낳았다.
시험예 1. 청색계란의 난황 및 난백의 성분조사
상기 실시예 3에서 생산된 청색계란의 난황 및 난백의 수분, 단백질, 지질, 무기물, 기타 당류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에서 생산된 부화 40주령의 청색계란과 일반계란의 난백을 분리한 다음 난황만을 얻고, 난황 100g에 증류수 400㎖를 넣고 잘 저은다음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로 10,000 rpm에서 5분간 교반하였으며, 상기 시료를 8,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상등액 100㎖를 취하여 진공농축기에서 10㎖로 농축액을 시료로 하여 각 성분을 측정하였다. 즉, 상기 난황 농축액을 AOAC(1998)의 방법에 준하여 수분은 시료 5g을 사용하여 105~110℃의 건조법으로, 조단백질은 시료1g을 채취하여 키엘달(Kjeldahl) 방법을, 조지방은 시료 30g으로 속스헬트(Soxhlet) 추출법으로, 조회분은 시료 7g을 칭량하여 550℃에서 전기로에서 회화시키는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의 표 1과 같은 함량의 성분상을 나타내었다.
청색계란의 난황의 조성분 (단위 : %)
성 분 수분 단백질 지 방 탄수화물 회분
일반계란 48.90 15.80 33.30 0.60 1.40 100
청색계란 48.90 16.60 31.80 0.90 1.80 100
한편, 상기에서 분리한 난백 100g에 증류수 200㎖를 넣고 잘 저은 다음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로 10,000 rpm에서 5분간 교반하였으며, 상기 시료를 8,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상등액 80㎖를 취하여 진공농축기에서 8㎖로 농축액을 시료로 하여 상기 난황의 성분측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 성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와 같은 함량의 성분상을 나타내었다.
청색계란의 난백의 조성분 (단위 : %)
성 분 명 수분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일반계란 88.75 9.70 0.05 0.90 0.60 100
청색계란 88.12 10.15 0.03 0.90 0.80 100
상기 시험결과, 일반계란에 비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란의 경우, 난황 및 난백에서 모두 지방의 함량은 적으면서도, 단백질, 탄수화물 및 회분의 함량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청색계란의 난각의 색상, 두께 및 강도 조사
상기 실시예 3에서 생산된 청색계란의 난각의 색상, 두께 및 강도를 일반계란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반계란 및 청색계란의 난각색상은 컬러팬색도(Roche, Sweden)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난각두께와 난각강도(ozaki-MFG. Co. Ltd., Japan)를 측정하였다.
난 중 (단위 :g)
주 령 일반계란 청색계란
부화 25주령 55.18 50.83
부화 30주령 59.92 52.67
부화 35주령 62.46 56.56
부화 40주령 63.15 64.36
평 균 60.18 56.10
난각의 두께 (단위: mm)
주 령 일반계란 청색계란
부화 25주령 0.394 0.413
부화 30주령 0.375 0.397
부화 35주령 0.377 0.376
부화 40주령 0.358 0.356
평 균 0.380 0.390
난각의 강도 (단위:kg/cm2 )
주 령 일반계란 청색계란
부화 25주령 4.59 4.68
부화 30주령 4.55 4.56
부화 35주령 4.49 4.55
부화 40주령 4.48 4.41
평 균 4.53 4.55
시험예 3. 청색계란의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3에서 생산한 청색계란 및 일반계란의 비린내 및 기호도를 비교하였는 바, 실험은 20명의 관능 검사원에 대해 상기 40주령의 청색계란 및 일반계란 각 5개를 준비한 다음, 삶은계란, 계란말이, 계란찜으로 요리하여 종합적인 기 호도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A : 비린내 대단히 양호, B : 비린내 양호, C : 보통, D : 비린내 조금 발생, E : 비린내 매우 불량으로 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비린내측정)
구 분 일반계란 청색계란
A 14 18
B 3 1
C 2 1
D 1 0
E 0 0
그 결과, 일반계란에 비해 비린내의 발생 정도가 저조하며, 기호도가 우수한 바 우수한 관능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시험예, 도면 또는 표에 기재된 내용에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라카나종(Arakana) 수컷과 백색레그혼종 암컷을 교배시켜 생성된 교잡종 산란계를 육종하여 청색계란을 수득하는 청 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교잡종 산란계로부터 안정적으로 청색계란을 생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란은 일반계란과 달리 외관상 난각색의 시각적 차별화로 소비자의 기호성을 향상시켜 계란의 소비촉진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2)

  1. (1) 6 ~ 10월령의 아라카나종 수컷과 5 ~ 9월령의 백색레그혼종 암컷을 인공수정에 의해 교배시켜 1세대 교잡종 산란계를 얻는 단계;
    (2) 7 ~ 9월령의 상기 1세대 교잡종 암컷을 6 ~ 10월령의 아라카나종 수컷과 인공수정에 의해 교배시켜 2세대 교잡종 종란(수정란)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종란을 13 ~ 17℃의 온도, 70 ~ 80%의 습도조건에서 1주일간 보관하는 단계; 및
    (4) 상기 보관된 종란을, 18일간의 발육기 동안은 37.5 ~ 38℃의 온도, 75%의 습도조건에서, 3일간의 발생기 동안은 37℃의 온도, 70%의 습도조건에서 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생산된 산란계를 육종하여 청색계란을 수득하는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2. 제 1항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청색계란.
KR1020050011247A 2005-02-07 2005-02-07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생산된 청색계란 KR10059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247A KR100592550B1 (ko) 2005-02-07 2005-02-07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생산된 청색계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247A KR100592550B1 (ko) 2005-02-07 2005-02-07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생산된 청색계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550B1 true KR100592550B1 (ko) 2006-06-26

Family

ID=3718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247A KR100592550B1 (ko) 2005-02-07 2005-02-07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생산된 청색계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6896A (zh) * 2018-04-09 2018-09-07 徐杰 一种高产绿壳羽色自别的蛋鸡培育方法及其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6896A (zh) * 2018-04-09 2018-09-07 徐杰 一种高产绿壳羽色自别的蛋鸡培育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kkar et al. State-of-the-art on use of insects as animal feed
Shanaway Quail production systems: a review
Buckland et al. Goose production
Elahi et al. Insect meal as a feed ingredient for poultry
CN102669052B (zh) 人工放牧养殖生产不迁徒的鸿雁的方法
CN107258663A (zh) 山羊的养殖方法
CN104996361B (zh) 非洲鸵鸟的人工饲养方法
CN113197154A (zh) 一种朱鹮人工孵化及其人工饲养方法
Moreki Guinea fowl production
Shanawany Recent developments in ostrich farming
Amir et al. Early weaning of pigeon squabs
KR100592550B1 (ko)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생산된 청색계란
KR100592551B1 (ko) 저 콜레스테롤 청색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생산된 청색계란
CN112617044A (zh) 一种红鹮幼仔的饲料配方及喂养方法
CN102144617A (zh) 一种蜈蚣快速繁殖养殖技术
Nsoso et al. Performance of progeny of wild and domesticated Guinea fowl (Numida meleagris) in Southern Botswana
RU2764739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кур-несушек
Cappone et al. The use of live insect larvae to improve sustainability and animal welfare in organic chicken production
Hasan et al. Egg Forma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An Overview
Samuel et al. IMPACTS OF IVERMECTIN (MECTIZAN (R)) ON SEMINAL ELECTROLYTE CHARACTERISTICS OF YANKASA RAMS
Brown et al. Ostrich-a diversification option for east coast farms?
Kalejaiye–Matti Poultry Production
CN108633841A (zh) 一种低死亡年幼鸵鸟的养殖方法
Giri et al. Performance of cross-bred (White Pekin× Khaki Campbell) ducks under intensive system of rearing
Letsoalo Effect of in ovo injection of glucose on egg hatchability, chick hatch-weight, productivit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Potchefstroom Koekoek chick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