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455B1 -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및 신발 안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및 신발 안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455B1
KR100592455B1 KR1019980705170A KR19980705170A KR100592455B1 KR 100592455 B1 KR100592455 B1 KR 100592455B1 KR 1019980705170 A KR1019980705170 A KR 1019980705170A KR 19980705170 A KR19980705170 A KR 19980705170A KR 100592455 B1 KR100592455 B1 KR 10059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trands
shoe
strand
energy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037A (ko
Inventor
네일 스레피안
마이클 키크
조셉 하밀
켄톤 지르
Original Assignee
하이드 애슬레틱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드 애슬레틱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하이드 애슬레틱 인더스트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1999007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Abstract

본 발명은 중창(14)의 상부 상의 위치로부터 중창의 바닥에 고정된 위치로 연장된 다수의 스트랜드(50)를 포함하는 중창(14)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양호하게는, 스트랜드(50)는 중창의 상부에 위치된 에너지 복귀 시스템(20)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및 신발 안정화 시스템{COMBINATION OF AN ENERGY RETURN CASSETTE AND MIDSOLE STABILIZER, SHOE WITH ENHANCED CHARACTERISTICS, AND SHOE STABILIZER}
본 발명은 신발 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중창의 외측부 및 내측부를 둘러싸는 복합 중창 안정판 및 중창에 가해지는 힘을 이용하여 중창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생체공학은, 달릴 때의 걸음걸이 사이클(running gait cycle)이 뒤꿈치 충격과 함께, 즉, 발이 땅을 처음 가격할 때 시작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발은 우선 외전 위치(supinated position)에서 뒤꿈치의 외측부(lateral portion)를 따라 땅을 가격한다. 걸음걸이 사이클이 계속되면서, 중간 스탠스 위치를 통해 발의 내측부(medial portion)를 향해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또는 내향으로 발이 회전된다. 발이 내측부를 향해 이동될 때, 발은 내전 상태(pronated phase)에 있다. 걸음걸이의 최종 상태는 주자(runner)가 차오르면서 발이 중심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수년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주자 및 다른 육상 선수를 보조하기 위한 시도로서 중창의 외측부에 대한 여러 가지 발명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과도한 내전(overpronation) 경향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한 일련의 발명이 있다. 이들 발명 중 몇몇은 중창의 중심부 및 내측부의 재질에 비해 외측면의 재질 압축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과도한 내전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구조로는 발이 측방향으로 이동되기 시작할 때 발을 감속시키도록 최초 가격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웨지(wedge)의 사용을 들 수 있다.
또한, 수년 동안 중창의 중심부에 에너지 복귀 시스템 및 안정판을 형성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1991년 12월 10일자로 특허된 미국 특허 제5,070,629호에서는, 인장을 받는 그물(net)을 형성하는 다수의 섬유를 포함하는 스위트 포트 밑창 구조(sweet pot sole construction)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목적은 발의 뒤꿈치 부분을 지지하는 것을 도와서 주자가 사이클을 완료하여 차오르기 시작 할 때 에너지 복귀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오랜 사용 후, 특히, 장거리 경주 후, 신발의 중창 영역은 본래 형상 및 탄성을 잃기 시작하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덜 안정적이게 된다. 사실상, 반복된 가격 후, 중창은 착용자의 특정 걸음걸이를 반영하는 패턴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발에 의해 중창 상에 가해지는 힘은 하방뿐만이 아니라 수평방향 성분도 갖는다. 중창에 대해 중창 재질의 탄성 이외의 어떠한 제어도 없으면, 중창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본래 형상을 잃을 것이다.
통상적으로는, 변형된 중창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은 간단하게 운동화를 버리고 새것을 구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는 예를 들어 800 km(500 mile) 내지 1600 km(1000 mile)과 같은 사용거리한계(mileage limitation)를 가지며, 그 후에는 주자는 운동화를 버리고 새 운동화를 사용한다. 운동화가 사용거리한계에 도달되면, 운동화는 최상의 성능에 필요한 지지 또는 탄성을 더 이상 제공하지 않는다. 신발은 더 이상 편안하지 않으며 가격하는 동안 땅과의 충격이 점점 심해진다. 사용거리한계의 원인은 종종 중창의 기능적인 수명이다.
이러한 구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최상의 품질의 경주용 운동화(running sneakers)는 값이 싸지 않다. 매 서너달만의 운동화 교체는 비용이 많이 들며 주자가 새로운 만족스러운 운동화로 적응하려 시도할 때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주자 또는 선수는 종종 통상 뱀프(vamp) 및 상부의 다른 부분과 같은 신발의 다른 구성 부품을 “길들이는”(breaking in) 시간을 소요한 후 운동화에 대한 특별한 선호를 통상 발전시킨다. 마찬가지로 미적 관점에서, 제조자는 출시 일년 또는 이년 후 스타일을 변경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사람들은 한편 특정 운동화에 집착한다.
운동화가 경기용으로 사용될 때 운동화의 유효기능수명을 증가시키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장거리 경기의 주자에 대해, 적절한 기능의 중창뿐만 아니라 편안한 갑피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화 중창의 기능 수명(functional life)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화 상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가격력을 사용하여 중창의 기능 수명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랜 사용 후 탄성 특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중창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긴 수명 및 안정화 특성을 모두 갖는 중창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초의 가격 중 발을 지지하기 위해 신발의 외측면 및 내측면을 따라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걸음걸이 사이클에 걸쳐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합 안정화 중창 및 중창 개선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중창의 상부의 위치로부터 중창의 바닥에 고정된 위치로 연장된 다수의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스트랜드들은 바람직하게는 중창의 상부에 위치된 에너지 복귀 카세트에 고정된다. 중창의 외측면에 가해진 가격(strike)은 중창 및 스트랜드 모두를 압축한다. 최초의 가격 시 중창으로부터 분리되어 호형이 되는 스트랜드는 신발의 충격 흡수 성질을 향상시킨다. 발이 회전되면서, 뒤꿈치는 에너지 복귀 카세트 상에 압력을 가하며, 그 후, 스트랜드들은 내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중창의 외향 이동을 제한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및 장점이 보다 명백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을 포함하는 달리기용 신발의 중창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선 2-2를 따른 중창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선 3-3을 따른 중창 영역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선 4-4를 따른 본 발명의 저면도이다.
도5는 중창 영역에 장착하기 전의 에너지 복귀 카세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선 6-6을 따른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의 선 7-7을 따른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8은 도5의 선 8-8을 따른 본 발명의 단부도이다.
도9는 주자의 걸음걸이 사이클의 시작에서의 본 발명의 단부도이다.
도10은 도9의 후속 도면으로서, 뒤꿈치가 에너지 복귀 카세트와 정렬될 때의 발명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도10의 후속 도면으로서, 발이 약간 내전되기 시작할 때의 발명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도11의 후속 도면으로서, 걸음걸이 사이클이 종료되며 주자가 박찰 때의 발명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체 구조는 신발 구조물(10)에 사용된 본 발명을 도시하는 도1에서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달리기용 신발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임의의 종류의 신발에, 특히, 운동화(athletic footwear)에 적용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신발류에서와 같이, 도시된 신발(10)은 밑창(12), 중창(14) 및 중창(14) 위에 위치된 안창(도시되지 않음)의 표준 구성 부품을 포함한다. 통상, 착용자의 발은 안창 위에 놓인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일부로서 도시된 에너지 복귀 카세트(20)는 개선된 쿠션 및 에너지 복귀 특성을 제공하는 중창 영역의 구성 부품의 사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부품은 특정 종류의 신발을 위해 설계된 소정의 에너지 복귀 특성을 달성하도록 중창의 뒤꿈치, 발 중간부(midfoot) 및/또는 전방부(forepart)에서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부품은 많은 충격을 받는 농구화 또는 달리기용 신발과 같은 여러 가지 특정 경기용 신발 또는 보행용 신발에 사용되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중창(14)의 뒤꿈치 영역과 연결된 에너지 복귀 카세트(20)를 사용한다. 물론, 카세트(20)는 신발창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에너지 복귀 카세트(20)의 여러 가지 특징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 미국 특허 제5,070,629호 및 제5,402,588호와 같은 다른 특허의 대상이다.
이러한 설명에 대한 참조로, 에너지 복귀 카세트(20)는 일반적으로 격자 패턴의 형상일 수도 있는 그물 영역(26) 및 프레임 또는 외주(28)를 포함한다. 그물 영역(26)은, 프레임(28)에 부착되고 프레임(28)의 내부 공간 내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스트랜드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세트(20)는 그물 영역(26) 및 프레임(28)을 일체로 포함하도록 성형된 편평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프레임(28)은 폐쇄형 루프(loop) 외주 또는 말굽형과 같은 개방향 루프(loop)를 가질 수도 있다. 도6 내지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20)는 두껍지 않다.
카세트(20)는 중창(14) 상에 직접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중창(14)은 사용자가 그물 영역(26)에 힘을 가할 때 그물 영역(26)이 편향되는 챔버, 예를 들면 공동(30)을 포함한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30)은 중창(14)의 전방 벽, 후방 벽 및 측벽들(32, 34, 36, 38)에 의해 한정된다. 중창(14)은 또한 상부 면, 하부 면, 제1 외향 측면, 예컨대 외측면 및 제2 외향 측면, 예컨대 내측면을 포함한다. 중창(14)은 EVA, 폴리우레탄, 및 이들 재질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통상의 재질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이 그물 영역(26)과 수직 정렬된 공동(30)의 측벽을 도시하지만, 벽은 경사질 수도 있다. 또한, 공동 위치 내에 다양한 압축 가능 재질을 갖는 중창(14)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주로 심미감을 위해, 본 실시예는 또한 그물 영역(26) 및 공동(30)과 수직 정렬된 돔 또는 창(40)을 포함한다. 돔(40)은 에너지 복귀 카세트(20), 주로 그물 영역(26)을 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돔(40)은 양호하게는 밑창(12)과 같은 평면상의 기부 외주를 갖는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 부품은 에너지 복귀 카세트(20)의 프레임(28)으로부터 중창의 하부면까지 외측으로 연장된 일련의 레그 또는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예컨대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된 스트랜드(50)를 포함한다. 스트랜드(50)는 카세트(20) 자체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더욱 좋다. 따라서, 스트랜드(50)는 카세트(20)와 동일한 재질로 통상 제조된다. 또한, 도7 및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랜드(50)는 에너지 복귀 카세트(20)의 다른 구성 부품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다.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랜드(50)는 프레임(28)으로부터 쌍으로 된 구조(54)로 연장된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 상의 다수의 제2 스트랜드의 수는 내측면 상의 다수의 제2 스트랜드의 수와 동일하다. 각 쌍(54)의 각 스트랜드(50)는 서로 대체로 같은 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정렬된다. 스트랜드(50)는 각 스트랜드(50)에 대략 직각으로 위치된 캡 부분(56)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스트랜드(50)는 3개의 부분, 즉 제1 이격된 부분, 제2 이격된 부분 및 연결부를 갖는다. 스트랜드의 제1 이격된 부분은 중창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스트랜드의 제2 이격된 부분은 중창의 하부면에 위치되고, 스트랜드의 연결부는 상기 이격된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한다. 외측면 상의 스트랜드의 연결부는 스트랜드의 연결부의 제1 그룹을 형성하고 내측면 상의 스트랜드의 연결부는 스트랜드의 연결부의 제2 그룹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구조에서, 카세트(20)는 본 기술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임의의 접착제에 의해 중창(14)의 상부 면(6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카세트(20)는 중창(14)의 상부 면(60) 내에 카세트(20)의 체결(lock-in) 구조를 성형함으로써 제 위치에 마찰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2 내지 도4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트랜드(50)를 수납하도록 중창(14)의 하부 면(61) 및 측면(63)을 따라 홈 또는 채널(62)이 성형된다. 다수의 제2 스트랜드의 단부, 예를 들면 캡 부분(56)은 또한 중창(14)의 바닥면(하부면)(61) 상의 다수의 스트랜드 보유부 중 하나, 예를 들면 홈(64)에 수납된다. 캡 부분(56) 및 홈(64)의 구조는 중창(14)의 바닥면(61)을 따라 스트랜드(50)에 대한 체결 수단으로 제공된다. 물론, 중창(14)의 바닥에 접착 또는 접합(glued or cemented)되는 신발의 밑창(12)은 이러한 체결 수단 역할을 한다. 또한, 홈(64)의 위치에 캡 부분(56)을 더욱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9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상술된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9에서, 처음 가격할 때, 발은 중창(14)의 외측면(63), 즉 제1 외향 측면에 충격을 가한다. 동시에, 중창(14) 및 스트랜드(50)는 압축되기 시작한다. 또한, 정지 시 중창(14)의 외측면(63)에 인접하는 스트랜드의 연결부의 제1 그룹, 예를 들면 스트랜드부(70)가 중창(14)의 외측면(63)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될 때는 호 형상이 되기 때문에, 스트랜드(50)가 중창의 외측면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구조는 중창(14)의 외측부 상에서 신발에 대한 추가의 충격 흡수 특성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은 에너지 복귀 카세트(20) 위의 중창(14)의 뒤꿈치 부분의 중심부에 대해 구른다. 실제로, 가장 후방의 스트랜드(50)가 중창(14)의 외측면에 인접하는 위치로 복귀하는 중이기 때문에 도1은 도10에서 도시된 위치 직전의 발을 도시한다. 여기서, 발이 하향으로 그물 영역(26)에 힘을 가하기 때문에, 스트랜드(50)는 채널(62)을 따라 내향으로 당겨진다. 캡 부분(56)이 중창(14)의 바닥 상의 홈(64)의 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발이 보다 하향으로 그물 영역(26)에 힘을 가함에 따라서 스트랜드(50)의 인장력이 증가된다. 스트랜드는 카세트(20) 상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비례하여 발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중창(14)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탄성(non-elastic)인 스트랜드(50)의 재질은 중창이 수평으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중창(14)이 제한되고, 따라서, 중창의 전체 형상이 실질적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발에 대한 실질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첫째, 뒤꿈치가 카세트에 대해 중심 위치에 있을 때, 스트랜드(50)는 중창(14)의 외향 이동을 제한한다. 중창(14)의 외향 이동의 제한은 실질적으로 원래 제조된 형태로 중창을 유지시킴으로써 추가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스트랜드는 발의 횡방향 이동을 대체로 감속시켜 걸음걸이 사이클 중 내전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측부에 걸쳐 스트랜드(50)를 도시하지만, 이러한 스트랜드(50)는 내측부에 대한 발에 에너지 복귀 특징을 제공하기보다는 중창(14)의 구조적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이 내전되기 시작하면, 신발의 내측면, 즉 제2 외향 측면 상의 스트랜드(50)와 카세트(20) 사이의 인장력은 발이 실질적으로 내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대신, 발은 도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차도록 에너지 복귀 카세트(20) 위의 중심 위치로 다시 안내된다. 그 지점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에너지 복귀 특징이 실현된다.
도면에서 도시되고 상술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변형 및 균등물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설명에 포함되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내용은 예로서 제공된 것이며,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2)

  1. 챔버를 형성하는 내향 벽과, 상부면과, 하부면과, 제1 및 제2 외향 측면을 갖는 중창을 포함하는 신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이며,
    중창의 상부면 상에 놓이도록 된 내부 공간을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부착되고 그물을 형성하도록 프레임의 내부 공간 내로 연장된 다수의 제1 스트랜드와,
    프레임에 부착되고 프레임 바깥으로 중창의 외향 측면들을 따라 하부면까지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중창의 하부면에 고정 장착되는 다수의 제2 스트랜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는 걸음걸이 사이클 중 착용자에게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는 프레임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들은 다수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하나가 상기 다수의 홈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중창의 하부면은 다수의 스트랜드 보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하나의 스트랜드는 각각 다수의 스트랜드 보유부 중 하나에 의해 보유되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인접한 하나의 스트랜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스트랜드는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제1 외향 측면은 신발의 외측면이며 중창의 제2 외향 측면은 내측면이며,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일부는 내측면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일부는 외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외측면 상의 스트랜드의 수는 내측면 상의 스트랜드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8. 챔버를 형성하는 내향 벽과, 상부면과, 하부면과, 제1 및 제2 외향 측면을 갖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하부 면에 고정된 밑창과,
    중창의 상부 면에 장착된 에너지 복귀 카세트와,
    상기 에너지 복귀 카세트에 부착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는 중창과 밑창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외향 측면 위로 연장되며 걸음걸이 사이클 중 착용자의 발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는 프레임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측면들은 다수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하나가 상기 다수의 홈 중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하부면은 다수의 스트랜드 보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하나의 스트랜드는 각각 다수의 스트랜드 보유부 중 하나에 의해 보유되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인접한 하나의 스트랜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스트랜드는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제1 외향 측면은 신발의 외측면이고 중창의 제2 외향 측면은 내측면이며,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일부는 내측면 상에 배치되며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일부는 외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스트랜드 중 외측면 상의 스트랜드의 수는 내측면 상의 스트랜드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15. 상부면과, 하부면과, 외주 측면을 갖는 압축가능 중창과, 상기 중창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탄성인 다수의 가요성 스트랜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창은 본래의 형상과 일련의 압축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압축된 형상은 상기 중창 상부면의 영역들 상에 하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스트랜드는 상기 중창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대해 각각 배치된 제1 이격된 부분 및 제2 이격된 부분과, 상기 중창의 상기 외주 측면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이격된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기 스트랜드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된 부분들은 상기 중창이 상기 압축된 형상 중 하나로 될 때 서로를 향해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안정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외측면과, 중심부와, 내측면을 갖고, 상기 외측면 상에 하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상기 중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스트랜드의 연결부의 제1 그룹을 압박하고, 상기 중심부 상에 하향으로 가해지는 힘은 상기 중창을 향해 상기 제1 그룹을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안정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부분들 중 제1 이격된 부분은 중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안정화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의 연결부의 제1 그룹은 신발의 외측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안정화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다수의 홈을 갖고, 상기 스트랜드의 부분들은 상기 홈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안정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트랜드는 상기 스트랜드의 인접 스트랜드와 견고하게 연결되어 상기 중창의 상기 하부면 아래에 배치되는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안정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스트랜드의 연결부의 제2 그룹은 신발의 내측부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안정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내측부의 압축은 상기 중창을 향해 상기 스트랜드의 연결부의 제2 그룹을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안정화 시스템.
KR1019980705170A 1996-01-04 1996-12-20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및 신발 안정화 시스템 KR100592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82,681 1996-01-04
US08/582,681 US5729917A (en) 1996-01-04 1996-01-04 Combination midsole stabilizer and enhancer
US08/582,681 1996-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037A KR19990077037A (ko) 1999-10-25
KR100592455B1 true KR100592455B1 (ko) 2006-08-30

Family

ID=2433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170A KR100592455B1 (ko) 1996-01-04 1996-12-20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및 신발 안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5729917A (ko)
EP (1) EP0873061B1 (ko)
JP (1) JP4082730B2 (ko)
KR (1) KR100592455B1 (ko)
CN (1) CN1202766C (ko)
AU (1) AU711560B2 (ko)
BR (1) BR9612433A (ko)
CA (1) CA2241892C (ko)
DE (1) DE69623496T2 (ko)
HK (1) HK1017239A1 (ko)
WO (1) WO1997024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9917A (en) * 1996-01-04 1998-03-24 Hyde Athletic Industries, Inc. Combination midsole stabilizer and enhancer
CN1065471C (zh) * 1996-02-04 2001-05-09 池洪 蓄热式模具压塑成型干燥工艺及其模具
US5937545A (en) * 1997-03-26 1999-08-17 Brown Group, Inc. Footwear heel stabilizer construction
BR9800597A (pt) * 1998-02-11 1999-11-30 Calcados Azaleia S A Calçado esportivo, com chassi estrutural.
JP3215664B2 (ja) * 1998-05-22 2001-10-09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
JP3238129B2 (ja) 1998-06-08 2001-12-10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
JP3238132B2 (ja) * 1998-10-02 2001-12-10 美津濃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
EP1022750A1 (fr) * 1999-01-22 2000-07-26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Composant électronique discret de type inductif, et procédé de réalisation de tels composants
US6574886B1 (en) * 1999-03-31 2003-06-10 H.H. Brown Shoe Company, Inc. Footwear and its method of construction
WO2001008523A1 (en) * 1999-07-30 2001-02-08 Vindriis Soeren An insole
DE19950121C1 (de) * 1999-10-18 2000-11-30 Adidas Int Bv Sohle
US7752775B2 (en) 2000-03-10 2010-07-13 Lyden Robert M Footwear with removable lasting board and cleats
US6601321B1 (en) * 2000-05-04 2003-08-05 Michael Kendall Devices for suspending a foot within a shoe, and shoes incorporating such devices
US7000334B2 (en) 2001-02-16 2006-02-21 Srl, Inc. Shoe outsole
DE10112821B9 (de) * 2001-03-16 2004-10-28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sohle und Schuh
US6665958B2 (en) * 2001-09-17 2003-12-23 Nike, Inc. Protective cage for footwear bladder
US7401419B2 (en) 2002-07-31 2008-07-22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tructural element for a shoe sole
DE102005006267B3 (de) 2005-02-11 2006-03-16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sohle und Schuh
US7254906B2 (en) * 2003-02-24 2007-08-14 Kwame Morris Foot cushioning construct and system for use in an article of footwear
US7013581B2 (en) * 2003-06-11 2006-03-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spended footbed
US7207125B2 (en) * 2003-11-26 2007-04-24 Saucony, Inc. Grid midsole insert
US20060001206A1 (en) * 2004-07-01 2006-01-05 Jen Yang T Elastic deformable cushion
US8082684B2 (en) 2004-08-18 2011-12-27 Fox Head, Inc. Footwear with bridged decoupling
US7441346B2 (en) * 2004-12-28 2008-10-28 Saucony, Inc. Athletic shoe with independent supports
US7571556B2 (en) * 2004-12-28 2009-08-11 Saucony, Inc. Heel grid system
DE202005017306U1 (de) 2005-11-05 2007-03-15 Puma Aktienges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US20070101617A1 (en) * 2005-11-10 2007-05-10 Fila Luxembourg S.A.R.L. Footwear sole assembly having spring mechanism
DE102006015649B4 (de) 2006-04-04 2008-02-28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
FR2899774B1 (fr) * 2006-04-14 2008-08-29 Salomon Sa Systeme d'amortissement pour une chaussure
EP1864779B1 (en) * 2006-06-09 2010-12-08 Johnson and Johnson GmbH A cushioning pad for a human foot, an insole and a shoe comprising said pad,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aid insole
US8056261B2 (en) * 2007-07-20 2011-11-15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sole construction
US8099880B2 (en) * 2009-01-05 2012-01-24 Under Armour, Inc. Athletic shoe with cushion structures
US8220183B2 (en) 2009-01-23 2012-07-17 Nike, Inc. Removable heel pad for foot-receiving device
AT508654B1 (de) * 2009-10-19 2011-03-15 Enaergy En Fuer Den Alltag Gmbh Schuhsohle mit einem fussbett
US9420848B2 (en) * 2013-02-21 2016-08-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chamber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chamber system
US20110179669A1 (en) * 2010-01-28 2011-07-28 Brown Shoe Company, Inc. Cushioning and shock absorbing midsole
US8584377B2 (en) * 2010-09-14 2013-11-1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elongated shock absorbing heel system
US9144268B2 (en) 2010-11-02 2015-09-29 Nike, Inc. Strand-wound bladder
US9474325B2 (en) * 2011-05-06 2016-10-25 E. James Bodmer Heel jack
DE102012206094B4 (de) 2012-04-13 2019-12-05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Schu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KR102267752B1 (ko) * 2012-10-30 2021-06-24 그래미 스캇 애티 탄성 웹 또는 메쉬 지지부가 달린 신발 밑창 구조
US9930928B2 (en) 2013-02-13 2018-04-03 Adidas Ag Sole for a shoe
US9610746B2 (en) 2013-02-13 2017-04-04 Adidas Ag Methods for manufacturing cushioning elements for sports apparel
DE102013002519B4 (de) 2013-02-13 2016-08-18 Adidas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Dämpfungselemente für Sportbekleidung
DE102013202306B4 (de) 2013-02-13 2014-12-18 Adidas Ag Sohle für einen Schuh
DE102013202291B4 (de) 2013-02-13 2020-06-18 Adidas Ag Dämpfungselement für Sportbekleidung und Schuh mit einem solchen Dämpfungselement
USD739039S1 (en) * 2013-02-18 2015-09-15 Harold F Gomes Corner piece for reducing structural cracks in stucco at corners of door and windows
USD740003S1 (en) 2013-04-12 2015-10-06 Adidas Ag Shoe
USD776410S1 (en) 2013-04-12 2017-01-17 Adidas Ag Shoe
US9474326B2 (en) * 2014-07-11 2016-10-25 Nike, Inc. Footwear having auxetic structures with controlled properties
DE102014215897B4 (de) 2014-08-11 2016-12-22 Adidas Ag adistar boost
DE102014216115B4 (de) 2014-08-13 2022-03-31 Adidas Ag Gemeinsam gegossene 3D Elemente
US9375046B2 (en) 2014-09-30 2016-06-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inlaid tensile elements and method of assembly
US9192204B1 (en) * 2014-09-30 2015-11-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upper incorporating a textile component with tensile elements
US10822728B2 (en) 2014-09-30 2020-11-03 Nike, Inc. Knitted components exhibiting color shifting effects
US9078488B1 (en) 2014-09-30 2015-07-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lenticular knit structure
USD836308S1 (en) * 2014-11-13 2018-12-25 Dansko, Llc Shoe frame
FR3030200B1 (fr) * 2014-12-17 2017-05-05 Babolat Vs Chaussure de sport
DE102015206486B4 (de) 2015-04-10 2023-06-01 Adidas Ag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102015206900B4 (de) 2015-04-16 2023-07-27 Adidas Ag Sportschuh
DE102015209795B4 (de) 2015-05-28 2024-03-21 Adidas Ag Bal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D783264S1 (en) 2015-09-15 2017-04-11 Adidas Ag Shoe
US10092064B2 (en) 2016-02-25 2018-10-09 Plae, Inc. Insole with suspended mesh surface
USD840136S1 (en) 2016-08-03 2019-02-12 Adidas Ag Shoe midsole
USD840137S1 (en) 2016-08-03 2019-02-12 Adidas Ag Shoe midsole
USD852475S1 (en) 2016-08-17 2019-07-02 Adidas Ag Shoe
JP1582717S (ko) 2016-09-02 2017-07-31
RU187725U1 (ru) * 2017-08-04 2019-03-15 Марат Римович Галяутдинов Обувь на регулируемой пневмоамортизирующей подошве, с терморегуляцией и вентиляцией,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высотой супинатора и массажной функцией
USD899061S1 (en) 2017-10-05 2020-10-20 Adidas Ag Shoe
US11071347B2 (en) 2018-05-31 2021-07-27 S-Ride, LLC Suspension membranes, footwear including the same, footwear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US11547175B2 (en) * 2019-12-20 2023-01-10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hape memory sole
US11399591B2 (en) 2020-03-16 2022-08-02 Robert Lyden Article of footwear,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ducting retail and internet busines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821A (en) * 1933-11-23 1935-05-21 Joseph H Everston Shoe
US2677906A (en) * 1952-08-14 1954-05-11 Reed Arnold Cushioned inner sole for shoes and meth od of making the same
DE1136913B (de) * 1959-03-11 1962-09-20 Lupos Schuhfabrik Hubert Lenna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chuhwerk mit Polstersohle
US3724106A (en) * 1971-06-29 1973-04-03 H Magidson Insole structure
US3798801A (en) * 1973-01-05 1974-03-26 Louis A Gros Emergency snowshoes in particular for stranded snowmobilers
US4180924A (en) * 1978-05-22 1980-01-01 Brooks Shoe Manufacturing Co., Inc. Running shoe with wedged sole
US4297797A (en) * 1978-12-18 1981-11-03 Meyers Stuart R Therapeutic shoe
US4445283A (en) * 1978-12-18 1984-05-01 Synapco Ltd. Footwear sole member
US4364188A (en) * 1980-10-06 1982-12-21 Wolverine World Wide, Inc. Running shoe with rear stabilization means
US4364189A (en) * 1980-12-05 1982-12-21 Bates Barry T Running shoe with differential cushioning
US4506462A (en) * 1982-06-11 1985-03-26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Running shoe sole with pronation limiting heel
US4598487A (en) * 1984-03-14 1986-07-08 Colgate-Palmolive Company Athletic shoes for sports-oriented activities
JPS6113902A (ja) * 1984-06-30 1986-01-22 株式会社アサヒコーポレーション 運動靴
US4627177A (en) * 1984-07-02 1986-12-09 Meyers Stuart R Insole structure
US4815221A (en) * 1987-02-06 1989-03-28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with energy control system
JPH0420246Y2 (ko) * 1987-06-25 1992-05-08
DE8807671U1 (ko) * 1988-06-13 1988-08-18 Killtec Sport Und Freizeit Gmbh, 2110 Buchholz, De
EP0352807B1 (en) * 1988-07-29 1995-02-15 Avia Group International, Inc. Athletic shoe having an insert member
US4910887A (en) * 1988-08-05 1990-03-27 The Timberland Company Boating shoe
US5070629A (en) * 1989-10-26 1991-12-10 Hyde Athletic Industries, Inc. Sweet spot sole construction
US5402588A (en) * 1989-10-26 1995-04-04 Hyde Athletic Industries, Inc. Sole construction
GB9020014D0 (en) * 1990-09-13 1990-10-24 Gola Lamb Ltd Footwear
GB9108548D0 (en) * 1991-04-22 1991-06-05 Rackham Anthony C Footwear
US5595002A (en) * 1994-12-05 1997-01-21 Hyde Athletic Industries, Inc. Stabilizing grid wedge system for providing motion control and cushioning
US5729917A (en) * 1996-01-04 1998-03-24 Hyde Athletic Industries, Inc. Combination midsole stabilizer and enhancer
US5680714A (en) * 1996-07-08 1997-10-28 Lopez; Randy Gerald Trampoline effect athletic shoe having elastic sole return stri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3496T2 (de) 2003-02-27
BR9612433A (pt) 1999-07-13
HK1017239A1 (en) 1999-11-19
AU1520397A (en) 1997-08-01
EP0873061A1 (en) 1998-10-28
KR19990077037A (ko) 1999-10-25
EP0873061B1 (en) 2002-09-04
CN1202766C (zh) 2005-05-25
JP2000502934A (ja) 2000-03-14
US5974695A (en) 1999-11-02
JP4082730B2 (ja) 2008-04-30
AU711560B2 (en) 1999-10-14
EP0873061A4 (en) 1999-04-28
CN1207021A (zh) 1999-02-03
WO1997024941A1 (en) 1997-07-17
US5852886A (en) 1998-12-29
CA2241892C (en) 2006-05-09
CA2241892A1 (en) 1997-07-17
DE69623496D1 (de) 2002-10-10
US5729917A (en) 1998-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455B1 (ko) 에너지 복귀 카세트 및 중창 안정판의 조합체, 우수한 안정화 특성을 갖는 신발 및 신발 안정화 시스템
US5933983A (en) Shock-absorbing system for shoe
AU653515B2 (en) Fluid forefoot footwear
CA1338231C (en) Athletic shoe with energy storing spring
US5678327A (en) Shoe with gait-adapting cushioning mechanism
US8387279B2 (en) Shoe sole for increasing instability
US6457261B1 (en) Shock absorbing midsole for an athletic shoe
KR101752984B1 (ko) 플레이트 완화형 유체 충전 블래더 및/또는 발포체 타입 충격력 완화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US7441346B2 (en) Athletic shoe with independent supports
JP2635538B2 (ja) 靴用外底
US5784808A (en) Independent impact suspension athletic shoe
US5297349A (en) Athletic shoe with rearfoot motion control device
EP1219193A4 (en) SPORT SHOE SOLE STRUCTURE
JPS649002B2 (ko)
CN113498910A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CN213756884U (zh) 一种高弹性气垫运动鞋
CN111227431A (zh) 一种新型马靴鞋底缓震结构
CN211407790U (zh) 具有缓震功能的鞋底及其运动鞋
CN215270890U (zh) 运动鞋及其中底系统
CN219781717U (zh) 一种鞋中底及鞋
KR101910549B1 (ko)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20230149453A (ko) 압력 분산 구조를 갖는 아웃솔
KR100654497B1 (ko) 충격흡수와 반발력 증진을 위한 두꺼운 깔창을 적용한신발 및 상기 신발을 제조하기 위한 신골
JPH0625123Y2 (ja) 運動靴底
CN116602479A (zh) 一种鞋中底及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