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113B1 -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끼 및 조류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끼 및 조류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113B1
KR100592113B1 KR1020040100785A KR20040100785A KR100592113B1 KR 100592113 B1 KR100592113 B1 KR 100592113B1 KR 1020040100785 A KR1020040100785 A KR 1020040100785A KR 20040100785 A KR20040100785 A KR 20040100785A KR 100592113 B1 KR100592113 B1 KR 10059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algae
composition
contro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2082A (ko
Inventor
태현숙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11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끼 및 조류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알칼리성의 조성물을 잔디밭에 500~2000배로 희석하여 살포함으로써 잔디밭의 상태를 좋게 유지하면서 골프장 그린과 한지형 티에 발생하는 이끼와 조류를 동시에 방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골프장의 제초제와 살균제 사용량을 크게 줄이고 관리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농약과 달리 잔디의 생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이끼 방제와 조류예방을 주기능으로 하는 농약대체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잔디, 이끼 방제, 조류 방제

Description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끼 및 조류 방제방법{Composition for controlling moss and birds and method of controlling moss and birds by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의 처리농도별 이끼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의 처리횟수별 이끼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벤트 그래스에 본 발명 조성물을 처리하기 전과 처리 25일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조성물 처리 25일 후 농도별 조류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 조성물 처리 25일 후 횟수별 조류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벤트 그래스에 본 발명 조성물을 처리한 뒤 25일이 경과한 다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이 때 본 발명 조성물의 처리는 무처리, 1회, 2회 및 4회 처리로 수행하였다.
본 발명은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알칼리성의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을 잔디밭에 500~2000배로 희석하여 살포함으로써 잔디밭의 상태를 좋게 유지하면서 골프장 그린과 한지형 티에 발생하는 이끼와 조류를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골프장은 매년 농약 사용으로 인한 토양 오염을 우려하여 연간 농약 사용량을 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골프장들이 골프장 관리 인력을 줄이면서 골프장 잔디 품질을 높이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앞으로도 불가피하게 농약의존도는 점점 높아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최근 골프장에서는 예전에 문제가 되지 않았던 제초제 내성 잡초, 다년생 잡초 또는 이끼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초제를 일체 살포하지 않았던 그린에 제초제를 살포하는 극약처방까지 택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그린의 이끼는 잔디 밀도가 조금만 떨어져도 급속하게 퍼지며, 출현기간이 거의 연중이므로 잔디보다 더 오랫동안 생육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잔디품질이 크게 떨어질 것이 명백하지만 이를 해결할만한 방법이 별달리 없기 때문이다.
그린에 이끼나 조류 발생이 매우 심할 경우 잔디를 걷어내고 새로운 잔디를 심어야 하므로 관리비용도 많이 든다. 따라서, 골프장 그린에 발생하는 이끼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로 분류되고 있다. 농약을 포함하여 이끼를 방제할 수 있는 제품이 거의 없으며 있더라도 약해가 매우 심하거나 그 효과가 미미하여 실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실정이다. 그린의 이끼 발생이 많은 골프장에서는 제초제를 살포하여 이끼를 방제하기도 하지만 그린의 잔디 역시 심한 약해를 입게 되므로 제초제 살포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여름철 그린의 이끼는 약제를 살포하더라도 바로 흡수되지 않고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아 약효가 떨어지고 약해는 더욱 커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끼방제 후 다시 다른 약제를 살포하여 조류방제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물질이 등록될 경우 향후 잔디밭에서의 활용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골프장 농약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잔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은 이끼 방제 물질을 선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알칼리성의 조성물을 잔디밭에 500~2000배로 희석하여 살포할 경우 이끼 방제가가 70% 이상이며 동시에 조류 방제효과도 80% 이상 나타내어 이끼 방제가인 60%미만이고 조류 방제효과는 전혀 없는 기존 잔디용 농약인 제초제보다 뛰어난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가질뿐만 아니라 기존 농약과 달리 벤트 그래스와 같은 잔디의 생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장 농약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잔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은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끼 및 조류를 방제하는 방 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끼 방제 조성물을 선발하고 상기 선발된 이끼 방제 조성물의 처리 농도 및 처리 방법을 결정한 뒤 조류 방제 조성물을 선발하고 상기 선발된 조류 방제 조성물의 처리 농도 및 처리 방법을 결정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이끼 방제 조성물을 선발하는 단계; 선발된 이끼 방제 조성물의 처리 농도를 조사하는 단계; 상기 이끼 방제 조성물의 처리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조류 방제 조성물을 선발하는 단계; 상기 선발된 조류 방제 조성물의 처리 농도를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조류 방제 조성물의 처리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1-90중량%,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 5-90중량% 및 소듐 설페이트(sodium sulfate) 0.01-20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이끼 및 조류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주물질은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이므로 이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불안정하여 안정화제로서 소듐 설페이트를 추가하고 용매로는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조성범위로 구성되었을 때 이끼 및 조류 방제 효과가 나타난다. 이 때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는 1-90중량%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이끼 및 조류 방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상기 범위보다 많이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이 불안정하고 약해가 나타나게 된다.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은 5-90중량%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이 안정하게 혼합되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약효가 떨어진다. 소듐 설페이트는 0.01-20중량%보다 적게 포함하는 경우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를 안정화시키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안정화가 더 이상 좋아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은 pH 4-8의 약알칼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은 물과 알코올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용액으로 알코올의 종류나 혼합비율은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나 이소프로필렌알코올(isopropylenalchohol), 모노에틸렌글리콜(monoethylenglycol) 및 물이 1-1.5 : 1-1.5 : 1-1.5로 혼합된 용액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1-90중량%, 물 또는 혼합알코올 5-90중량% 및 소듐 설페이트(sodium sulfate) 0.01-20중량%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500-2000배의 물로 희석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1- 90중량%, 물 또는 혼합알코올 5-90중량% 및 소듐 설페이트(sodium sulfate) 0.01-20중량%로 구성되는 조성물을 500-2000배의 물로 희석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끼 방제 조성물 선발
그린에 이끼가 발생하는 시기는 빠르면 2월이며 늦어도 3월에는 발생이 시작된다. 그런데, 이 시기는 그린 잔디의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약제 방제가 어려우며 본격적인 방제는 4월부터 시작된다. 먼저 이끼 방제 물질을 선발하기 위하여 이끼 내 침투성이 높은 계면활성제 10여 종을 선정한 다음 약해와 약효에 관한 사전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예비 실험 결과 음이온의 계면활성제인 도스(상품명, 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64-66중량%, water or mixed alcohol 33.5-35.5중량%, sodium sulfate 0.5-1중량%, 출처: MSDS, 공급처: 수양켐텍(주))를 선발하게 되었다. 이 때 사전예비실험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및 2와 동일한 과정으로 예비적으로 수행한 것이며 10여가지의 계면활성제를 구입하여 500배 및 1000배 희석한 다음 이끼 방제 효과 그리고 벤트그래스에 대한 약해를 조사하였다. 이 중 약해가 없고 약효가 30% 이상인 도스를 선발하게 되었다.
상기 도스의 각 성분의 범위를 달리하여 조성물을 제조한후 상기와 같이 사전예비실험을 수행한 결과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는 1-90중량%, 물 또는 물과 알코올 혼합액(mixed alcohol)은 5-90중량%, 소듐 설페이트는 0.01-20중량%로 구성되는 경우 이끼 방제 효과를 나타내며 약해 또한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끼 방제용 조성물로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1-90중량%, 물 또는 물과 알코올 혼합액(mixed alcohol) 5-90중량% 및 소듐 설페이트 0.01-20중량%로 구성된 조성물을 선발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이끼 방제 물질의 처리 농도 결정
이끼가 많이 발생한(전체면적대비 30%를 넘는 장소) 장소를 선정한 다음 잔디밭(벤트 그래스 그린)에 발생된 이끼의 방제효과가 높은 처리 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발된 각 조성범위의 조성물 중에서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65중량%, 물 34.5중량% 및 소듐 설페이트 0.5중량%로 구성된 본 발명 조성물을 100배, 500배, 1000배, 2000배, 5000배로 희석하고 농업용 분무기를 이용하여 잔디용 살균제 처리물량(1ℓ/㎡)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처리 날짜는 5월 10일이며, 처리 후 잔디 약해를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잔디, 켄터키 블루그래스 그리고 벤트그래스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이끼 방제율은 25일후 전체면적 대비 이끼발생면적(%)으로 하였으며, 약해는 10일 간격으로 30일 간 약해를 조사하였다(제초제 약해시험방법의 기준 및 증상에 따름, 약해없음 0 ~ 약해 극심 9).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조성물을 각각의 농도(100배, 500배, 1000배, 2000배, 5000배 희석)로 희석하여 잔디밭(벤트 그래스 그린)에 발생되는 이끼의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본 발명 조성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방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 본 발명 조성물을 100배 희석하여 처리하였을 경우 가장 효과가 높았으며(68%) 2000배 이상은 방제율이 40% 미만(기존제품수준)으로 매우 낮았다. 약해 조사결과 100배에서는 모든 초종의 잔디 품질이 저하되었으나 500배 이상 희석할 경우 일시적으로 약해가 나타났다가 대부분 빠르게 회복되었다(표 1). 결과적으로 약해가 없고 방제가가 기존 제품(40%)보다 높은 처리는 500배~1000배 희석으로 조사되었다.
본 발명 조성물의 처리농도에 따른 잔디초종별 약해
벤트(Bent)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 조이시애그래스(Joysiagrass)
10일후 20일후 30일후 10일후 20일후 30일후 10일후 20일후 30일후
무처리 0 0 0 0 0 0 0 0 0
100배 4 4 3 3 3 2 4 3 3
500배 2 1 0 1 1 0 1 1 0
1000배 1 1 0 1 0 0 1 0 0
2000배 1 0 0 0 0 0 0 0 0
5000배 0 0 0 0 0 0 0 0 0
실험예 2: 이끼 방제 조성물의 처리방법 결정
본 발명 조성물 처리 후 이끼의 방제율이 기존 제품의 효과수준(30~40%)를 넘으면서 잔디밭(벤트 그래스 그린)에 해가 없는 농도를 알아내기 위하여 전체 처리물량과 처리횟수는 각각 하기과 같이 하였다.
약제처리방법을 알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발된 각 조성범위의 조성물 중에서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65중량%, 물 34.5중량% 및 소듐 설페이트 0.5중량%로 구성된 본 발명 조성물을 500배로 희석(물량 1ℓ/㎡)하여 1회, 2회(10일 간격), 4회(5일 간격) 처리하였다. 이끼 방제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제초제(pyrazosulfuron ethyl 5%, 제조사: 한국삼공)를 0.2g/㎡ 처리하였고 FeSO4를 2g/㎡처리하였다. 벤트 그래스 그린에서 조류 발생 상습지를 선정한 다음, 조류 발생 면적이 아직 10%를 넘지 않는 장소를 골라 약제를 처리하였다. 처리 날짜는 6월 10일이며, 처리 후 잔디 약해를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잔디, 켄터키 블루그래스 그리고 벤트그래스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처리하였다. 약효(방제율 %)는 25일후 전체면적 대비 이끼발생면적(%)으로 하였으며, 약해는 10일 간격으로 30일 간 약해를 조사하였다(제초제 약해시험방법의 기준 및 증상에 따름,약해없음 0 ~ 약해 극심9).
이끼 방제를 위해, 본 발명 조성물의 처리횟수별 시험에서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4회 처리(80%)였으나 2회(72%)와 4회 처리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1회 처리할 경우 평균 방제율은 57% 수준으로 제초제 처리(65%)보다 낮았다(도 2). 하지만, 본 발명 조성물 4회 처리와 제초제(pyrazosulfuron ethyl 5%)를 처리할 경우 벤트 그래스의 잎이 황화되는 증상이 나타나 약해가 우려되었다(표 2). 결과적으로, 잔디 약해가 없으면서 동시에 이끼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던 처리는 본 발명 조성물 2회 처리이며 이는 제초제 처리보다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도 3).
본 발명 조성물의 처리 횟수에 따른 벤트그래스 약해
처리 무처리 도스 제초제 FeSO4
1회 2회 4회
약해 0 0 0 3 2 0
실시예 2: 조류 예방 및 초기 방제 조성물 선발
그린에 발생되는 조류는 연못 조류와는 다른 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방제를 위한 상품은 많지만 정작 예방을 위한 제품은 거의 없다. 많은 코스관리자들은 그린 조류를 예방 또는 초기방제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여 많은 물질을 찾아왔으나, 효과가 적거나 대부분 잔디에 약해를 유발하였다. 관수를 자주하는 그린에서는 조류가 일찍 발생하며 크게 문제가 되는 시기는 5월~장마 후 9월이다. 조류 방제 물질을 선발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10여 종을 선정한 다음 약해와 약효에 관한 사전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예비 실험 결과 음이온의 계면활성제인 도스(상품명, 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64-66중량%, water or mixed alcohol 33.5-35.5중량%, sodium sulfate 0.5-1중량%, 출처: MSDS, 공급처: 수양켐텍(주))를 선발하게 되었다. 이 때 사전예비실험은 본 발명의 실험예 3 및 4와 동일한 과정으로 예비적으로 수행한 것이며 10여가지의 계면활성제를 구입하여 500배 및 1000배 희석한 다음 조류 방제 효과 그리고 벤트그래스에 대한 약해를 조사하였다. 이 중 약해가 없고 약효가 30% 이상인 도스를 선발하게 되었다.
상기 도스의 각 성분의 범위를 달리하여 조성물을 제조한후 상기와 같이 사전예비실험을 수행한 결과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는 1-90중량%, 물 또는 물과 알코올 혼합액(mixed alcohol)은 5-90중량%, 소듐 설페이트는 0.01-20중량%로 구성되는 경우 조류 방제 효과를 나타내며 약해 또한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류 방제용 조성물로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1-90중량%, 물 또는 물과 알코올 혼합액(mixed alcohol) 5-90중량% 및 소듐 설페이트 0.01-20중량%로 구성된 조성물을 선발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조류 방제 조성물의 농도 결정
조류의 초기방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선발된 각 조성범위의 조성물 중에서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65중량%, 물 34.5중량% 및 소듐 설페이트 0.5중량%로 구성된 본 발명 조성물을 500배, 1000배, 2000배, 5000배로 희석하고 농업용 분무기를 이용하여 잔디용 살균제 처리물량(1ℓ/㎡)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벤트 그래스 그린에서 조류 발생 상습지를 선정한 다음, 조류 발생 면적이 전체면적대비 20%를 넘지 않는 장소를 골라 약제를 처리하였다. 처리 날짜는 6월 30일이며, 방제율(%)은 25일후 전체면적 대비 조류발생면적(%)으로 하였다.
상기 본 발명 조성물을 각각의 농도(500배, 1000배, 2000배, 5000배 희석)로 희석하여 잔디밭(벤트 그래스 그린)에 발생되는 조류의 예방 및 초기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조성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방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 조성물을 500배 희석하여 처리하였을 경우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2000배 이상은 방제율이 50% 미만(48%)으로 낮았다(도 4). 따라서, 잔디밭에서 조류의 방제를 위한 본 발명 조성물의 적정 처리 농도는 500~1000배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예 4: 조류 방제 조성물의 처리방법 결정
조류 방제율이 높은 약제처리 횟수를 알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발된 각 조성범위의 조성물 중에서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 65중량%, 물 34.5중량% 및 소듐 설페이트 0.5중량%로 구성된 본 발명 조성물을 1000배로 희석(물량 1ℓ/㎡)하여 10일 간격으로 1회, 2회(10일 간격), 4회(5일 간격) 처리하였다. 이와 함께, 기존에 사용하던 살균제(농용신 쿠퍼수황제 streptomycin 10% + copper hydroxide 50%, 제조사: 경농) 1g/㎡을 처리하여 25일후 조류 예방 및 초기방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조류 방제를 위해, 상기 본 발명 조성물을 1000배로 희석하여 처리 횟수별로 시험한 결과, 효과가 높았던 처리는 2회(74%)와 4회(90%)였는데 이는 기존의 살균제(농용신 쿠퍼수화제 streptomycin 10% + copper hydroxide 50%, 제조사 경농) 1g/㎡ 처리(78%)와 비슷하거나 높은 수준이었다(도 5). 하지만, 본 발명 조성물을 4회 처리할 경우 벤트 그래스의 잎이 황화되는 증상이 발생되어 여름철 고온기에 살포할 경우 치명적인 약해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조류 방제효과 비교실험에서는 본 발명 조성물을 1000배로 희석하여 2회 처리하는 것이 가장 우수하였다(도 6).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은 잔디밭의 상태를 좋게 유지하면서 골프장 그린과 한지형 티에 발생하는 이끼와 조류를 동시 에 방제하는 효과가 있어 골프장의 제초제와 살균제 사용량을 크게 줄이고 관리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농약과 달리 잔디의 생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이끼 방제와 조류예방을 주기능으로 하는 농약대체 물질로 이용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잔디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소듐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sodium dioctyl sulfosuccinate) 1-90중량%,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 5-90중량% 및 소듐 설페이트(sodium sulfate) 0.01-20중량%로 구성된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알코올의 혼합액은 이소프로필렌알코올(isopropylenalchohol), 모노에틸렌글리콜(monoethylenglycol) 및 물이 1-1.5 : 1-1.5 : 1-1.5로 혼합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3. 제 1항 기재의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을 500-2000배의 물로 희석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및 조류 방제방법.
KR1020040100785A 2004-12-03 2004-12-03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끼 및 조류방제방법 KR10059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785A KR100592113B1 (ko) 2004-12-03 2004-12-03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끼 및 조류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785A KR100592113B1 (ko) 2004-12-03 2004-12-03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끼 및 조류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082A KR20060062082A (ko) 2006-06-12
KR100592113B1 true KR100592113B1 (ko) 2006-06-21

Family

ID=3715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785A KR100592113B1 (ko) 2004-12-03 2004-12-03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끼 및 조류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1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649A (en) 1980-11-17 1982-08-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rbicide antidotes
JPS62252702A (ja) 1986-04-24 1987-11-04 Yuukou Yakuhin Kogyo Kk 発泡性防虫エアゾ−ル剤
JPH1135404A (ja) 1997-07-15 1999-02-09 Rikagaku Kenkyusho 植物病害防除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649A (en) 1980-11-17 1982-08-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rbicide antidotes
JPS62252702A (ja) 1986-04-24 1987-11-04 Yuukou Yakuhin Kogyo Kk 発泡性防虫エアゾ−ル剤
JPH1135404A (ja) 1997-07-15 1999-02-09 Rikagaku Kenkyusho 植物病害防除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082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9219B2 (en) Spray oil and method of use therof for controlling turfgrass pests
US8409620B2 (en) Solid moss control composition
US10772335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plant health
CA2507482C (en) Spray oil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controlling turfgrass pests
Miranda et al. Spray volumes and frequencies of insecticide applications for suppressing Diaphorina citri populations in orchards
KR101696200B1 (ko) 잔디 생육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잡초 방제방법
KR101877242B1 (ko) 천연 소금을 주원료로 하는 잔디 생육 환경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잡초 방제방법
KR100592113B1 (ko) 이끼 및 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끼 및 조류방제방법
US7396801B1 (en) Moss control composition
Zedan et al. ASSESSMENT OF MOLLUSCICIDAL ACTIVITY OF CERTAIN PESTICIDES AGAINST TWO LAND SNAILS UNDER LABORATORY AND FIELD CIRCUMSTANCES AT DAKAHLIA GOVERNORATE.
US8273364B2 (en) Plant remediation
KR101898038B1 (ko) 천연 재료인 소금이 함유된 잔디 생육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잡초 방제방법
US11766042B1 (en) Organic contact herbicid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839727B1 (ko) 골프장 그린에 사용가능한 친환경 제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잔디 생육환경 개선방법
JPH06157222A (ja) 藻苔類汚損生物防除剤と同防除剤による藻苔類汚損生物防除法
WO2011095735A2 (fr) Composition herbicide et utilisations
Elad et al. Disease symptoms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Ruscus hypoglossum plants and their control
CN105145606A (zh) 一种专用于白术的除草剂混合物及除草微乳剂
JPH07157406A (ja) 雑草防除方法及び防除剤
Khadduri Using essential oils to control moss and liverwort in containers
Branham et al. Login/Signup
Palumbo Evaluation of neonicotinoid insecticides for whitefly management in melons
EP1396190A1 (de) Pflanzen- und Bodenschutzmittel
Mondal et al. Effect of water management and soil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s, petroleum oils, and lime on inoculum production by Mycosphaerella citri, the cause of citrus greasy spot.
CN108477164A (zh) 一种化学增效封闭除草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