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255B1 - 긴급통화장치 - Google Patents

긴급통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255B1
KR100591255B1 KR1020040052585A KR20040052585A KR100591255B1 KR 100591255 B1 KR100591255 B1 KR 100591255B1 KR 1020040052585 A KR1020040052585 A KR 1020040052585A KR 20040052585 A KR20040052585 A KR 20040052585A KR 100591255 B1 KR100591255 B1 KR 10059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ll
voice
powe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623A (ko
Inventor
윤준웅
Original Assignee
신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주 filed Critical 신동주
Priority to KR102004005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2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0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나 리프트, 또는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 터널구간)과 같은 장소에 운행 중 유고사항이 발생한 경우, 운행 장비의 고장여부와 관계없이 탑승 및 이용자가 외부와 신속하게 연락(신고)을 취하도록 하되, 원터치로 반드시 외부 인에게 현재의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하며 인명의 안전을 도모함과 아울러 장애발생을 예측하여 유지관리센터 및 통제기관에 신고함으로써 사전점검보수를 극대화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긴급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리프트, 통신, 전화, 긴급, 호출, 장애, 신고

Description

긴급통화장치{A EMERGENCY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 예에 따라 긴급통화장치에 적용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따른 긴급통화장치의 회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수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긴급통화장치 111: 서지보호부
112: 타이머부 113: 음성통화회로부
114: 스피커증폭부 115: 마이크증폭부
116: 전원공급부(충전) 117: 백업 밧데리
118: 제어부 119: 다이얼링부
120: 호출버튼부 121: 비상조명 및 표시등
122: 자가진단 131: 정전감지부
132: 블랙박스부 S1: 제1호출버튼
S2: 제2호출버튼 S3: 제3호출버튼
본 발명은 긴급통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나 리프트, 또는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 터널구간)과 같은 장비가 운행 중 유고사항이 발생한 경우, 상기 장비의 고장여부와 관계없이 탑승자가 외부와 신속하게 연락(신고)을 취할 수 있어 인명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긴급통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엘리베이터와 같은 운행 장비에는 장애발생시 외부와 연락할 수 있는 장치는 이미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엘리베이터 관리실과 인터폰기능을 통한 단순 연락용으로, 관리실에 관리자가 부재일 경우, 위험 사항을 알릴 수가 없는 환경과, 특히 엘리베이터 부스 내에서는 이동통신이 불가한 현실을 감안할 때 상기 장비의 운행 중 장애나 화재 발생시에 탑승자는 신변의 위협을 감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나 리프트, 또는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 터널구간)과 같은 장비가 운행 중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장비의 고장여부와 관계없이 탑승자가 외부와 신속하게 연락(신고)을 취할 수 있어 인명의 안전을 도모함과 아울러 장애발생을 예측하여 유지관리센터 및 통제기관에 신고함으로써 사전점검보수를 극대화하여 사고를 미연 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긴급통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나 리프트 또는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 터널구간)과 같은 운송장비에 설치되는 긴급호출장치에 있어서, 국선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를 차단하는 서지보호부와; 상기 서지보호부와 음성통화회로부 사이에 개재되어, 일정시간 동안 일방에서 음성신호가 포착되지 않으면 통화회로를 자동 복귀 시키는 타이머부와; 양방으로 음성을 전송 및 수신 제어하고, 국선이외의 송수신단자를 통해 스피커폰기능이 구현되어 음성을 송수신하는 음성통화회로부와; 상기 음성통화회로부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되는 미약한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스피커증폭부와; 마이크를 통해 상기 음성통화회로부로 입력되는 미약한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마이크증폭부와; 상기 서지보호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국선을 통해 흐르는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전원을 생성하는 라인파워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출력 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일정량 백업 충전하고 본 기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백업밧데리와; 기기의 전체동작을 중앙 제어하고, 상기 음성통화회로부로 음성 송수신에 따른 제어 및 스피커폰기능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다이얼링부로 이미 설정된 소정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소정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다이얼링부와; 관리실과의 스피커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제1호출버튼과, 외부통신망을 통해 이미 지정된 방제기관이나 관리 책임자의 개인 휴대폰에 연결(접속)하여 통화되도록 키입력을 수행하는 제2호출버튼과, 외부통신망을 통해 이미 지정된 정부의 방제 관리부서나 지방자치기관에서 방재시스템을 총괄하는 부서에 연결(접속)되도록 키입력을 수행하는 제3호출버튼을 구비하여 그에 따른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여 주는 호출버튼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점등 및 소등되는 비상조명 과 단말장비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자가판단기능이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 예에 따라 엘리베이터에 적용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부스(EV)와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터널구간)내에 긴급통화장치(100)를 부설하여 된 것이다.
상기 긴급통화장치(100)는 3가지의 호출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호출기능은 제1호출버튼, 제2호출버튼 및 제3호출버튼의 동작으로 구현된다.
상기 제1호출버튼은 엘리베이터 부스(EV)와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터널구간)의 장애 시 탑승자가 지극히 제한적인 관계자(200), 즉 구내 관리실이나 수위실 근무자 등과 스피커폰기능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상기 제2호출버튼은 상기 제1호출버튼을 통한 연락 실패(관리자 부재)시 외부통신망(PBX, 전화국 국선)(500)을 통해 이미 지정된 방제기관이나 관리 책임자의 개인 휴대폰(300)에 연결(접속)하여 통화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상기 제3호출버튼은 외부통신망(500)을 통해 정부의 방제 관리부서나 지방자 치기관에서 방재시스템을 총괄하는 부서(400)에 연결(접속)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상기 제3호출기능은 현재가 아닌 향후 정부나 지방자치기관에서 실시하게 되는 방재감독체제의 제도의 도입 시 활용하기 위한 기능이다.
표시기호 LP는 비상조명등으로, 엘리베이터 부스(EV)의 장애 발생으로 정전이 되는 경우 자동으로 점등되는 조명이다.
상기 긴급통화장치(100)를 도 2의 블록도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알아본다.
본 발명 긴급통화장치(100)는 국선(L1,L2)이 서지보호부(111) 및 타이머부(112)를 통해 음성통화회로부(113)로 연결되고, 상기 음성통화회로부(113)에는 스피커증폭부(114) 및 마이크증폭부(115)를 통해 각각 스피커(SP) 및 마이크(MC)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서지보호부(111)의 출력단에는 국선(L1,L2)을 통해 흐르는 전원(24V/48V)을 이용하여 본 장치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라인파워 전원공급부(116)가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부(116)의 출력 단에는 백업 밧데리(117)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16)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일정량 충전하고 본 장치의 동작전원(DC 3V 내지 5V)을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 긴급통화장치(100)의 전체동작을 중앙 제어하고, 상기 음성통화회로부(113)로 음성 송수신에 따른 제어 및 스피커폰기능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다이얼링부(119)로 이미 설정된 소정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118)의 제어로 소정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다이얼링부(119)와, 제1호출버튼(S1), 제2호출버튼(S2) 및 제3호출버튼(S3)을 구비하여 그에 따른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118)로 입력하여 주는 호출버튼부(120)와, 상기 제어부(118)의 출력제어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비상조명 및 표시등(121)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지보호부(111)는 국선(L1,L2)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타이머부(112)는 음성통화회로부(113)와 서지보호부(111) 사이에 개재되어, 일정시간(약 10~15초) 동안 일방에서 음성신호가 포착되지 않으면 통화회로를 자동 복귀 시킨다.
상기 음성통화회로부(113)는 양방으로 음성을 전송 및 수신 제어하는 회로로, 특히 국선(L1,L2)이외의 송수신단자(T,R)를 통해 스피커폰기능을 구현되어 음성을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스피커증폭부(114)는 상기 음성통화회로부(113)를 통해 스피커(SP)로 출력되는 미약한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준다.
상기 마이크증폭부(115)는 마이크(MC)를 통해 음성통화회로부(113)로 입력되는 미약한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준다.
상기 호출버튼부(120)의 제1호출버튼(S1)은 스피커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18)는 음성통화회로부(113)로 스피커폰기능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마이크(MC)를 통해 탑승자가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신호는 음성통화회로부(113)의 송신단자(T)를 통해 미도시된 관리실과 스피커폰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관리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음성통화회 로부(113)의 수신단자(R)를 통해 입력되어 스피커(SP)로 출력되어 탑승자는 관리실과 통화를 하게 된다.
제2호출버튼(S2)은 외부통신망(PBX, 전화국 국선)(500)을 통해 이미 지정된 방재기관이나 관리 책임자의 개인 휴대폰에 연결(접속)하여 통화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18)는 내장된 메모리에 이미 저장된 전화번호, 즉 방재기관이나 관리 책임자의 개인 휴대폰의 전화번호를 호출하여 다이얼링부(119)를 통해 다이얼링하며, 다이얼링후 통화가 개시되면, 음성통화회로부(113), 타이머부(112), 서지보호부(111) 및 국선(L1,L2)을 통해 외부통신망(500)을 거쳐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제3호출버튼(S3)은 외부통신망(500)을 통해 정부의 방재 관리부서나 지방자치기관에서 방재시스템을 총괄하는 부서(400)에 연결(접속)되도록 하는 기능으로, 접속과정은 제2호출과정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긴급통화장치(100)에는 정전감지부(131)를 더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부스(EV)와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터널구간)의 장애시 정전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비상조명등을 점등시켜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8)에 블랙박스부(132)를 더 연결하여 엘리베이터 등의 장애 시 탑승자와 관계자가 통화한 내역이 저장되도록 하여준다.
그리고, 자가진단(122)의 기능이 내장되어 유고시 긴급사용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전 정기점검으로 단말장비의 이상유무가 확인되어야 하나 관리통제소와의 원거리 또는 지하철 및 열차의 운행 등으로 현장점검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자가진단 기능(선로단선, 송수화기 ON/OFF, 문열림, 제어보드 양호상태, 램프동작여부, 밧데리 양호상태)을 통제실 메인모드(Main mode) 감시시스템에 전송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긴급통화장치의 전체 동작을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엘리베이터 부스(EV)와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터널구간)에서 운행 중 장애가 발생하거나 아니면 외부요인으로 정전이 된 경우, 이때 정전감지부(131)는 정전임을 감지하여 제어부(118)로 정전감지신호를 입력하여 준다.
상기 정전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18)는 비상조명등(121)을 점등시킨다. (S11,S12 단계)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부스(EV)와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터널구간)에서 장애가 발생되면 탑승자는 제1단계 조치로서, 제1호출버튼(S1)을 누른다.
상기 제1호출버튼(S1)이 키입력되면, 이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18)는 음성통화회로부(113)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폰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동시에 통화표시등(121)을 점등시킨다.
따라서 탑승자와 상기 음성통화회로부(113)의 송수신단자(R,T)에 연결된 구내 관리실이나 수위실 근무자 등과 스피커폰기능으로 연결되고, 탑승자의 음성은 마이크(SP), 마이크증폭부(115), 음성통화회로부(113) 및 송신단자(T)를 통해 관리실로 전송되고, 관리실 관계자의 음성은 수신단자(R), 음성통화회로부(113), 스피커증폭부(114) 및 스피커(SP)를 통해 탑승자에게 전달된다.(S13~S15 단계)
한편, 상기 제1호출기능에 의한 관리실과의 스피커폰 연결이 관계자 부재 등으로 실패하는 경우, 탑승자는 제2단계로 제2호출버튼(S2)을 누른다.
상기 제2호출버튼(S2)이 키입력 되면, 이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18)는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지정된 방재기관이나 관리 책임자의 개인 휴대폰(300))를 독출하여, 다이얼링부(119)를 통해 전화를 건다. 동시에 통화표시등(121)을 점등시키다.
상기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면 탑승자와 지정된 방재기관이나 관리 책임자간에 긴급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며, 이때 탑승자의 음성은 마이크(SP), 마이크증폭부(115), 음성통화회로부(113), 타이머부(112), 서지보호부(111) 및 국선(L1,L2)을 통해 외부통신망(전화국 등)을 거쳐 관리자로 전송되고, 상기 관리자의 음성은 국선(L1,L2), 서지보호부(111), 타이머부(112), 음성통화회로부(113), 스피커증폭부(114) 및 스피커(SP)를 통해 탑승자에게 전달된다.(S16~S20 단계)
또한, 본 발명에는 제3호출기능으로, 외부통신망(500)을 통해 정부의 방재 관리부서나 지방자치기관에서 방재시스템을 총괄하는 부서(400)에 연결(접속)되도록 하는 기능이 있는데, 그 방식은 전화번호만 다를 뿐 상기 제2호출방식과 동일하게 된다.
이의 동작은 상기 제3호출버튼(S3)이 키입력 되면, 이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18)는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정부의 방재 관리부서나 지방자치기관에서 방재시스템을 총괄하는 부서(400))를 독출하여, 다이얼링부(119)를 통해 전화를 건다. 동시에 통화표시등(121)을 점등시키다.
상기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면 탑승자와 정부의 방재 관리부서나 지방자치기관에서 방재시스템을 총괄하는 부서의 관리 책임자간에 긴급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며, 이때 탑승자의 음성은 마이크(SP), 마이크증폭부(115), 음성통화회로부(113), 타이머부(112), 서지보호부(111) 및 국선(L1,L2)을 통해 외부통신망(전화국 등)을 거쳐 관리자로 전송되고, 상기 관리자의 음성은 국선(L1,L2), 서지보호부(111), 타이머부(112), 음성통화회로부(113), 스피커증폭부(114) 및 스피커(SP)를 통해 탑승자에게 전달된다.(S21~S24, S20 단계)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나 리프트, 또는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 터널구간)과 같은 장비가 운행 중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장비의 고장여부와 관계없이 탑승자가 외부와 신속하게 연락(신고)을 취할 수 있어 인명의 안전을 도모함과 아울러 장애발생을 예측하여 유지관리센터 및 통제기관에 신고함으로써 사전점검보수를 극대화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삭제
  2. 국선(L1,L2)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를 차단하는 서지보호부(111)와, 상기 서지보호부(111)와 음성통화회로부(113) 사이에 개재되어, 일정시간 동안 일방에서 음성신호가 포착되지 않으면 통화회로를 자동 복귀 시키는 타이머부(112)와, 양방으로 음성을 전송 및 수신 제어하고, 국선(L1,L2)이외의 송수신단자(T,R)를 통해 스피커폰기능이 구현되어 음성을 송수신하는 음성통화회로부(113)와, 상기 음성통화회로부(113)를 통해 스피커(SP)로 출력되는 미약한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스피커증폭부(114)와, 마이크(MC)를 통해 상기 음성통화회로부(113)로 입력되는 미약한 음성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마이크증폭부(115)와, 상기 서지보호부(11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국선(L1,L2)을 통해 흐르는 전원(24V/48V)을 이용하여 동작전원을 생성하는 라인파워 전원공급부(116)와, 상기 전원공급부(116)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일정량 충전하고 본 기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백업 밧데리(117)와, 기기의 전체동작을 중앙 제어하고, 상기 음성통화회로부(113)로 음성 송수신에 따른 제어 및 스피커폰기능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다이얼링부(119)로 이미 설정된 소정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 제어하는 제어부(118)와, 상기 제어부(118)의 제어로 소정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다이얼링부(119)와, 관리실과의 스피커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입력을 수행하는 제1호출버튼(S1)과, 외부통신망을 통해 이미 지정된 방재기관이나 관리 책임자의 개인 휴대폰에 연결(접속)하여 통화되도록 키입력을 수행하는 제2호출버튼(S2)과, 외부통신망(500)을 통해 이미 지정된 정부의 방재 관리부서나 지방자치기관에서 방재시스템을 총괄하는 부서(400)에 연결(접속)되도록 키입력을 수행하는 제3호출버튼(S3)을 구비하여 그에 따른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118)로 입력하여 주는 호출버튼부(120)와, 상기 제어부(118)의 제어에 의하여 점등 및 소등되는 비상조명 및 표시등(121)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나 리프트 또는 지하철 및 열차변(지하 너털구간)과 같은 운송장비에 설치되는 긴급통화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화장치(100)에는 엘리베이터 부스(EV)의 장애시 정전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라인파워 전원공급부로부터 비상조명등을 점등시켜주는 정전감지부(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통화장치(100)의 제어부(118)에 블랙박스부(132)를 더 연결하여 탑승자와 관계자가 통화한 내역이 저장되도록 하여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통화장치.
KR1020040052585A 2004-07-07 2004-07-07 긴급통화장치 KR100591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585A KR100591255B1 (ko) 2004-07-07 2004-07-07 긴급통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585A KR100591255B1 (ko) 2004-07-07 2004-07-07 긴급통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623A KR20060003623A (ko) 2006-01-11
KR100591255B1 true KR100591255B1 (ko) 2006-06-19

Family

ID=3710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585A KR100591255B1 (ko) 2004-07-07 2004-07-07 긴급통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2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623A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8493A (en) Method and devices for reporting emergency calls and for initiating emergency assistance measures
KR930011620B1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장치
KR101855364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통화장치
JP4897230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時通話機能点検システム
US5963631A (en) Wayside communications safety system
CN106586758A (zh) 一种电梯报警系统
KR100591255B1 (ko) 긴급통화장치
JP2008024428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JPS5917017B2 (ja) エレベ−タ非常通報装置
KR100894340B1 (ko) 승강기 신호검출시스템
KR102083006B1 (ko) 비상시 전화발신장치
KR101339314B1 (ko) 엘리베이터 비상 통화 장치
WO2015023097A1 (ko) 음성안내 비상통화 통합장치
KR20150071688A (ko) 음성안내 비상통화 통합장치
KR20150060148A (ko) 유무선 하이브리드 방식의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087918A (ja) エレベータ連絡装置
JP2628612B2 (ja) エレベータ通話装置
JP3369787B2 (ja) 非常電話機システム
JPH061239A (ja) 列車接近警報装置
JPH02295869A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通報装置
JPH06164750A (ja) エレベータかご内通話装置
JP4368091B2 (ja) エレベーター遠隔監視装置
JP2013052975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H06164748A (ja) エレベータの通話装置
JPS613101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