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550B1 - 유도등부표 - Google Patents

유도등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550B1
KR100587550B1 KR1020040068965A KR20040068965A KR100587550B1 KR 100587550 B1 KR100587550 B1 KR 100587550B1 KR 1020040068965 A KR1020040068965 A KR 1020040068965A KR 20040068965 A KR20040068965 A KR 20040068965A KR 100587550 B1 KR100587550 B1 KR 100587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information
unit
buoy
lamp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187A (ko
Inventor
고영식
Original Assignee
뉴마린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마린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뉴마린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40068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5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등부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 관리 서버로의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의 전송 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여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등부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는 해수면에 부유되며 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및 중앙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축전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부상부와, 상기 부상부에 구비되어 선박의 항로를 안내하는 주등 및 보조등과 위치 이탈등으로 구성된 신호부와, 해저면에 설치되어 부동 상태를 유지하는 침추부와, 상기 부상부의 하부와 침추부를 연결하여 상기 부상부가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 컨트롤러는 메모리부와,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상태 정보 추출부와, 각종 데이터를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송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기지국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DMA 모뎀과,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설정 신호에 따라 장치 전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등 부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중앙 관리 서버의 호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신호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상태 정보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상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상태 정보 처리부와, 상기 상태 정보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분석하되, 상기 주등의 작동 상태는 주등에 설치된 회로 기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을 통해 분석하는 상태 정보 분석부와,상기 주등이 작동 불능인 경우 상기 보조 등이 작동되게 절환시키는 등 절환부와,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중앙 관리 서버의 호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의 검출 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호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 원격, 모니터링

Description

유도등부표{Leading light buo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의 중앙 컨트롤러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중앙 관리 서버의 호출에 따라 유도등부표에서의 상태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도등부표에서 중앙 관리 서버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도등부표
110 : 부상부 120 : 관형등부
130 : 신호부 140 : 침추부
150 : 연결부
200 : 중앙 컨트롤러
210 : 상태 정보 추출부 220 : 메모리부
230 : 데이터 변환부 240 : CDMA 모뎀
250 : 제어부
251 : 구동 제어부, 252 : 상태 정보 처리부,
253 : 상태 정보 분석부, 254 : 등 절환부, 255 : 호출 처리부,
256 : 위치 이탈 처리부, 257 : 단문메시지 처리부
300 : 기지국
400 : 중앙 관리 서버
500 :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유도등부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지에 위치한 중앙 관리 서버로의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의 전송 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여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등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등부표는 바다와 외항의 접경 지역에 설치되는 중요한 시설로 항구를 출입하는 선박들이 안전 운항을 하도록 항로를 유도해 주는 표시장치이다. 이에 따라 유도등부표는 운용상 신뢰성이 높게 요구된다.
그러나 유도등부표의 특성 상 운용 장소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해상으로 파도 등에 의해 고장의 우려가 크고, 고장 시 관리자가 바로 알기 어려우므로 고장처리가 늦어져 선박의 안전운항에 위협이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VHF(Very High Frequency) 영역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유도등부표와 중앙 관리 서버 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유도등부표를 원격 감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VHF 무선 통신은 각종 항로표지가 집중되어 있는 항만에서 해안국이나 선박국 동시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무선 통신으로써, 이들 통신과의 상호 간섭이나 혼선 등에 의한 통신의 신뢰성이 좋지 않으며, 해안국과 선박국 통신에 간섭을 야기할 수 있어 항만의 전파 환경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VHF 무선 통신은 무선 통신의 통달 거리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의 설치 위치에 제약이 있어 유도등부표를 감시 관리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의 유지 관리에 있어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격지에 설치된 유도등부표의 상태를 중앙 관리 서버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유도등부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유동등부표 상태 정보의 전송 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여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등부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관리자에게 유도등부표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관리 감시할 수 있는 유도등부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도등부표는 유도등부표는 해수면에 부유되며 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및 중앙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축전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부상부와, 상기 부상부에 구비되어 선박의 항로를 안내하는 주등 및 보조등과 위치 이탈등으로 구성된 신호부와, 해저면에 설치되어 부동 상태를 유지하는 침추부와, 상기 부상부의 하부와 침추부를 연결하여 상기 부상부가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 컨트롤러는 메모리부와,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상태 정보 추출부와, 각종 데이터를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송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기지국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DMA 모뎀과,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설정 신호에 따라 장치 전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등 부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중앙 관리 서버의 호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신호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상태 정보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상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상태 정보 처리부와, 상기 상태 정보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분석하되, 상기 주등의 작동 상태는 주등에 설치된 회로 기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을 통해 분석하는 상태 정보 분석부와,상기 주등이 작동 불능인 경우 상기 보조 등이 작동되게 절환시키는 등 절환부와,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중앙 관리 서버의 호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의 검출 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호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는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설치된 유도등부표의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해줌으로써, 중앙 관리 서버에서 원격지에 설치된 유도등부표의 상태 정보를 통해 유 도등부표를 보다 정확하게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유도등부표에서 현재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중앙 관리 서버에서는 상태 정보를 통해 유도등부표의 고장 발생시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CDMA 방식의 이동통신 망을 통해 중앙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항만에서 해안국이나 선박국 간에 이용되는 VHF 영역의 전파에 의한 상호 간섭이나 혼선 등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송수신되는 데이터 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각 유도등부표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100)는 중앙 관리 서버(400)로부터 원격지에 설치되어 항만을 출입하는 선박이 안전 운항하도록 항로를 표지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부표(100)는 기지국(300)을 통해 중앙 관리 서버(400)에 접속되어 유도등부표에서 발생된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중앙 관리 서버(400)는 기지국(300)을 통해 원격지에 설치된 유도등부표(100)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유도등부표(100)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유도등부표는 기지국(300)을 통해 관리자에게 단문메시지 형태로 유도등부표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도등부표와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단말기(500)는 휴대폰이나 개인 휴대 단말기와 같이 CDMA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포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관리자는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유도등부표에 접속하여 유도등부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는 해수면에 부유되는 부상부(110)와, 부상부(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선박에 항로를 안내하는 신호부(130)와, 유도등부표가 조류에 의해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저에 침수되어 부동상태로 있는 침추부(140)와, 부상부(110)의 하부와 침추부(140)를 연결하는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상부(110)의 상부에는 신호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와 장치 전반의 구동을 제어하는 중앙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내실(11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실(111)의 상부에는 관형등부(12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관형등부(120)의 상단부에는 주등(131)과 보조 등(132) 및 위치 이탈등(133)으로 이루어진 신호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호부(130)의 주위에는 중앙 관리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34) 및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GPS수신기(13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관형등부(120)의 일측에는 내실에 구비된 축전지에 전 원을 축적하는 태양전지판(121)이 설치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유도등부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유도등부표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다음, 연결부(150)의 체인으로 부상부(110)와 침추부(140)를 연결한 후에 침추부(140)를 해수에 침수시킨다. 이에 따라 침추부(140)는 하중에 의해 해저면에 위치하고 연결부(150)를 통해 부상부(110)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동하며 부유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신호부(130)는 주등(131)과 보조 등(132) 및 위치 이탈등(133)으로 구성된 것으로, 각 등마다 내부에는 각 등의 등질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실장된 기판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등질은 항로표지의 등광과 일반의 등광에 대한 식별을 쉽게 하는 동시에 부근에 있는 다른 항로표지의 등광과의 오인을 피하게 하기 위하여 정해진 등광을 발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등광의 주기 및 섬광, 명암광 등에 따라 구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에 있어서 주등과 보조 등의 등질은 동일하지만, 주등과 위치 이탈들의 등질은 구분된다. 왜냐하면 보조 등은 주등이 고장 등으로 인하여 사용이 불가한 경우를 주등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중앙 컨트롤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실에 구비되어 신호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안테나(134)를 통해 유도등부표에서 발생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중앙 컨트롤러(200)는 중앙 관리 서버에서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유도 등부표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의 중앙 컨트롤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 정보 추출부(210), 메모리부(220), 데이터 변환부(230), CDMA 모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 추출부(210)는 신호부를 구성하고 있는 주등, 보조 등 및 위치 이탈등의 발광 상태 정보와, 유도등부표의 위치 정보 및 태양전지판과 축전지의 전압 정보를 포함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
먼저 발광 상태 정보는 각 등에 탑재되어 있는 다수의 램프들 중에서 사용 가능한 램프의 잔여 개수 정보와 각 등의 제어부가 실장되어 있는 각 기판의 고장 유무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램프의 잔여 개수 정보는 각 등의 램프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동 수단을 통해 각 등에 구비된 램프를 교체해 가면서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의 사용 가능 여부를 측정한다. 즉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고 이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램프의 잔여 개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구동 수단을 통한 전체 1회전 시 걸리는 시간 대비 램프 검출수를 이용하여 램프의 잔여 개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각 기판의 고장 유무는 각 등의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각 등의 제어부의 출력단, 즉 각 등에 구비된 램프로 점멸 주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고장 유무를 측정한다.
유도등부표의 위치 정보는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되는 위성신호로부터 해당 유도등부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본 건 출원일 이전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압 정보는 태양전지판 및 축전지인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태양전지판에서 축전지로 출력되는 전압을 통해 태양전지판의 효율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축전지의 잔여 전압을 측정하여 축전지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부(220)는 각 등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유도등부표 고유의 식별 정보와 상태 정보 추출부(210)로부터 획득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220)는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 및 이들 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로직과 최초 설치 시 저장되어 있는 유도등부표의 작동 명령, 예를 들면 각 등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의 점멸 주기, 날씨나 시간에 따른 발광 램프의 작동 시간정보 등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230)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송 포맷으로 데이터를 변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는 기지국과 CDMA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므로, 데이터 변환부(230)를 통해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상태 정보의 전송 포맷을 CDMA방식에 적합한 형태의 전송 포맷으로 변환한다.
CDMA 모뎀(240)은 데이터 변환부(2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50)는 CDMA 모뎀(240)을 통해 수신되는 상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출력하며 설정 신호에 따라 장치 전반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주등이 작동 불능 이 되는 경우 보조 등이 작동되게 신호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컨트롤러의 제어부(250)는 구동 제어부(251) 및 상태 정보 처리부(252)와 상태 정보 분석부(253) 그리고 등 절환부(254)를 포함한다.
구동 제어부(251)는 설정 신호에 따라 각 등에 구비된 램프가 발광되도록 신호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251)는 전술한 CDMA 모뎀(240)을 통해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신호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그 처리 결과를 출력한다.
상태 정보 처리부(252)는 상태 정보 추출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한다. 또한 CDMA 모뎀(240)을 통해 수신되는 중앙 관리 서버의 상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유도등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태 정보 분석부(253)는 상태 정보 추출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분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정보 분석부(253)는 상태 정보 추출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정보 중에서 발광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주등의 고장 유무를 분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정보 분석부(253)는 주등에 설치된 다수의 램프 중에서 사용 가능한 램프의 잔여 개수 정보를 이용하여 작동 상태를 분석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태 정보 분석부(253)는 주등에 설치된 회로기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을 통해 주등의 작동 상태를 분석한다.
즉 상태 정보 분석부(253)는 주등의 잔여 램프 수량 정보 혹은 주등의 회로기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을 통해 주등의 고장 유무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의 중앙 컨트롤러는 상태 정보 분석부를 통해 주등의 작동 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에 따라 보조 등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등 절환부(254)는 상태 정보 분석부(253)로부터 입력되는 분석 결과가 주등의 작동 불능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보조 등으로 자동 절환시킨다. 이 때 보조 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가 주등의 등질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주등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등 절환부를 통해 주등이 작동 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 이를 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동안 보조 등을 통해 주등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작동 불능 상태의 주등을 작업자가 수리한 다음 원 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경우, 등 절환부는 작업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보조 등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주등이 작동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의 상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앙 컨트롤러에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50)는 CDMA 모뎀(240)을 통해 중앙 관리 서버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S110).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 신호에 포함된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수신된 신호가 상태 정보 요청 신호인 경우(S111) 제어부(250)는 메모리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S112). 그리고 추출된 상태 정보가 CDMA 방식에 적합한 형태의 포맷으로 변환되도록 추출된 상태 정보를 데이터 변환부(230)로 출력한다.
그러나 수신 신호가 제어 명령인 경우 그 명령을 처리한다(S113). 그리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S114)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송 포맷으로 변환되도록 데이터 변환부(23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변환부(230)로 입력된 상태 정보 혹은 처리 결과 정보는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송 포맷으로 변환된다(S115). 그리고 변환된 데이터들은 CDMA 모뎀(240)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S116).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에 있어서,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는 중앙 관리 서버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50)에 더 포함되어 있는 호출 처리부(255) 및 위치 이탈 처리부(256)를 통해서 유도등부표에서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하여 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메모리부(220)는 중앙 관리 서버의 호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호출 정보는 중앙 관리 서버 고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전술한 중앙 관리 서버가 CDMA 모뎀을 통해 기지국과 접속되는 경우 전화번호일 수도 있다.
호출 처리부(255)는 설정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중앙 관리 서버의 호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한 다음, 개설된 통신로를 통해 응답 신호의 검출 시 메모리부에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250)는 호출 처리부(255)를 통해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CDMA 모뎀(240)을 통해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주기적인 전송이 아닌 비주기적으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는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하여 발생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할 데이터의 발생 유무는 상태 정보 추출부에서 입력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와 메모리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호출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는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갱신 저장한다. 그리고 전술한 호출 처리부(255)는 제어부(250)로부터 입력되는 호출 요청 신호에 따라 중앙 관리 서버의 호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한 다음, 개설된 통신로를 통해 응답 신호의 검출 시 메모리부(220)에 갱신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유도등부표는 유도등부표가 일정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즉 부상부와 침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끊어져 유도등부표가 조류에 의해 떠내려가는 경우 중앙 관리 서버로 이탈 정보를 전송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메모리부(220)가 유도등부표에 대한 유동 범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250)가 위치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위치 이탈 처리부(256)를 더 포함한다. 위치 이탈 처리부(256)는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유동 범위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 추출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유도등부표의 위치 정보가 전술한 유동 범위 내에 있는가를 판단하여 위치 이탈 여부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위치 이탈 처리부(256)는 현재 유도등부표의 위치가 유동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는 유도등부표에서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관리 서버를 호출하여 수집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위치 이탈 처리부를 통해 유도등부표가 외부 요인에 의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긴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에서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하여 유도등부표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 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하여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등부표의 제어부(250)는 타이머(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시각 정보와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시각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이에 따라 일치하는 경우에는 호출 처리부(255)를 통해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한다(S121). 즉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관리 서버의 호출 정보를 독출하여 CDMA 모뎀(240)을 통해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한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중앙 관리 서버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122). 즉 유도등부표의 제어부(250)는 호출 처리부(255)를 통해 수신된 응답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S123). 그리고 추출된 상태 정보를 데이터 변환부(230)를 통해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송 포맷으로 변환한다(S124). 그 다음 변환된 데이터를 CDMA 모뎀(240)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5). 이 때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전술한 상태 정보 및 유도등부표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CDMA 모뎀(240)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S126), 접속을 종료한다(S127). 그러나 수신 완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S127로 진입하여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는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되는 경우 혹은 일정 시간 마다 유도등부표로부터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유도등부표는 유도등부표에서 획득한 상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유도등부표의 메모리부(220)는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더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설정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메시지 처리부(257)를 더 포함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각이 되면 유도등부표의 제어부(250)는 단문메 시지 처리부(257)를 통해 메모리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정보를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을 수행한 후, 그 처리 결과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수신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수신 신호를 전송한 대상이 누구인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수신 신호에 포함된 제어 명령의 처리 결과를 분석된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장치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등부표는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해 줌으로써, 중앙 관리 서버가 설치되어 있는 육지에서 원격지에 설치된 유도등부표의 작동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특히 CDMA 방식의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중앙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기존 항만에서 해안국이나 선박국에 통신에 이용되는 VHF 영역의 전파에 의한 상호 간섭이나 혼선 등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므로 보다 정확하게 유도등부표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CDMA망에 접속 가능한 지역 어디에서든지 유도등부표로부터 전송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기존 VHF 방식의 무선 통신에 발생되었던 통달 거리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의 설치 위치가 제한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음 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중앙 관리 서버를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도등부표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되는 경우, 예를 들면 위치 이탈을 알리는 경고 신호 혹은 일정 시간 마다 유도등부표로부터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이상 발생 시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유도등부표가 CDMA 모뎀을 통해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유도등부표를 관리하는 관리자들이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도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어,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유도등부표의 상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DMA망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 어디에서나 유도등부표를 관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8)

  1. 삭제
  2. 해수면에 부유되며 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및 중앙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상기 축전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부상부와, 상기 부상부에 구비되어 선박의 항로를 안내하는 주등 및 보조등과 위치 이탈등으로 구성된 신호부와, 해저면에 설치되어 부동 상태를 유지하는 침추부와, 상기 부상부의 하부와 침추부를 연결하여 상기 부상부가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 컨트롤러는 메모리부와,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상태 정보 추출부와, 각종 데이터를 기지국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송 포맷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기지국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DMA 모뎀과,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설정 신호에 따라 장치 전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등 부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중앙 관리 서버의 호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신호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와,
    상기 상태 정보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상태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기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상태 정보 처리부와,
    상기 상태 정보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분석하되, 상기 주등의 작동 상태는 주등에 설치된 회로 기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을 통해 분석하는 상태 정보 분석부와,
    상기 주등이 작동 불능인 경우 상기 보조 등이 작동되게 절환시키는 등 절환부와,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중앙 관리 서버의 호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 서버를 호출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의 검출 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호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부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분석부는 주등에 설치된 다수의 램프 중에서 사용 가능한 램프의 잔여 개수 정보를 이용하여 작동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부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분석부는 주등에 설치된 회로기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값을 통해 주등의 작동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부표.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CDMA 모뎀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신호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그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부표.
  6. 삭제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가 해당 유도등부표에 대한 유동 범위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상태 정보 분석부로부터 입력되는 유도등부표의 위치 정보가 상기 유동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상기 호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관리 서버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위치 이탈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부표.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가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가 설정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상기 유도등부표 상태 정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메시지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부표.
KR1020040068965A 2004-08-31 2004-08-31 유도등부표 KR10058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965A KR100587550B1 (ko) 2004-08-31 2004-08-31 유도등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965A KR100587550B1 (ko) 2004-08-31 2004-08-31 유도등부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891U Division KR200368805Y1 (ko) 2004-08-31 2004-08-31 유도등부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187A KR20060020187A (ko) 2006-03-06
KR100587550B1 true KR100587550B1 (ko) 2006-06-14

Family

ID=3712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965A KR100587550B1 (ko) 2004-08-31 2004-08-31 유도등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68B1 (ko) * 2007-06-20 2007-11-23 주식회사 한라엠에스 발광부를 가지는 모서리 보호구
KR102146636B1 (ko) 2019-11-08 2020-08-20 여수광양항만공사 스마트 접현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89B1 (ko) * 2007-06-11 2009-06-15 아람테크 주식회사 위치 고정형 부표장치 및 그에 대한 원격제어 시스템
KR101225055B1 (ko) * 2010-12-01 2013-01-2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항공장애등 점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공장애등 점검 시스템
KR102151026B1 (ko) * 2018-04-12 2020-09-0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어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어망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
KR102094166B1 (ko) * 2018-04-18 2020-05-27 (유) 레오텍해운 모바일을 이용한 항로표지상태 원격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KR102329772B1 (ko) * 2021-05-14 2021-11-22 (주)에스티씨 무선통신을 통한 해양기후 관측 시스템
CN115009438B (zh) * 2022-05-25 2023-09-15 江苏科技大学 一种海上浮标智能指引方法及其指引系统和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68B1 (ko) * 2007-06-20 2007-11-23 주식회사 한라엠에스 발광부를 가지는 모서리 보호구
KR102146636B1 (ko) 2019-11-08 2020-08-20 여수광양항만공사 스마트 접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187A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550B1 (ko) 유도등부표
KR101496725B1 (ko) 예비기능을 갖춘 항로표시 엘이디(led) 등명기의 제어모듈과, 이의 작동방법.
JP6751601B2 (ja) 浸水検出システムおよび浸水検出方法
RU2015105983A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программа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KR20110060580A (ko)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발광장치 구동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7425903B (zh) 水体传感器网络及其组网方法和水下声传感器回收方法
CA2455284C (en) Underwater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KR20180023662A (ko) 등부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1080178B1 (ko) 부이의 조난신호 발생 장치 및 조난신호 발생 방법
KR101099390B1 (ko) 엘이디형 교량표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992618B1 (ko) 원격감시모듈의 통신방식 자동선택 장치
KR200368805Y1 (ko) 유도등부표
CN111606207A (zh) 港口吊具照明联动系统的控制方法
CN111260900A (zh) 一种基于浮标的多体制异构数据处理系统
KR102163106B1 (ko) 맨홀 및 물놀이 장소의 누전 경보 시스템
KR101786211B1 (ko) 항로표지용 자동식별장치
CN103754326A (zh) 一种用于海面多目标搜寻的信标系统及搜寻方法
CN113329339B (zh) 一种船舶定位终端的防拆卸报警系统及方法
CN214795214U (zh) 一种海上应急救援系统
KR101648722B1 (ko) 전원 관리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되는 전원일체형등명기
CN213182038U (zh) 一种海上个人呼救终端
RU162713U1 (ru) Навиг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68878B1 (ko) 항로표지 등명기의 전원 복구방법
KR101979281B1 (ko) 항로표지 등명기의 전원 복구장치
KR102057437B1 (ko) 스마트 항공장애 표시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