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806B1 -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 Google Patents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806B1
KR100586806B1 KR1020060022395A KR20060022395A KR100586806B1 KR 100586806 B1 KR100586806 B1 KR 100586806B1 KR 1020060022395 A KR1020060022395 A KR 1020060022395A KR 20060022395 A KR20060022395 A KR 20060022395A KR 100586806 B1 KR100586806 B1 KR 10058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fabric
suspenders
inner skin
out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완
Original Assignee
정종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완 filed Critical 정종완
Priority to KR102006002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7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가방에 부착되는 멜빵의 부자재인 패드를 스판덱스 원단, 스펀지 원단, 망사 원단으로 구성하고 열 프레스 가압하여, 신체와 접하는 패드의 일 면에 다수의 돌출된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멜빵패드와 신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원활히 흘러 통기성이 좋게 되고, 신축성과 쿠션감이 좋게 되며, 착용감이 좋아 장시간 무거운 배낭을 착용하여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렴한 가격에 튼튼하고 무게가 가벼운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는 등가방에 부착되어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사용되는 멜빵의 부자재인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에 있어서, 탄성력을 갖는 스판덱스 원단의 내피부, 상기 내피부의 일면에 열 가압되어 접착된 스펀지 원단의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일면에 열 가압되어 접착된 망사 원단의 외피부로 구성되고, 상기 내피부와 외피부는 상기 쿠션부에 용융접착된 형상으로 합지되며, 상기 내피부와 쿠션부는 열 가압 성형하여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멜빵, 패드, 쿠션, 스판덱스, 스펀지

Description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a shoulder strap pad formed swelling}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피부 20 : 쿠션부
30 : 외피부 40 : 돌기
41 : 공간부 60 : 봉착부
61 : 일반직물 70 : 하부프레스
70': 상부프레스 71 : 요홈
80 : 배낭 81 : 보조끈
90 : 사용자신체 100 : 패드
본 발명은 등가방에 부착되는 멜빵의 부자재인 패드를 스판덱스 원단, 스펀지 원단, 망사 원단으로 구성하고 열 프레스 가압하여, 신체와 접하는 패드의 일 면에 다수의 돌출된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멜빵패드와 신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원활히 흘러 통기성이 좋게 되고, 신축성과 쿠션감이 좋게 되며, 착용감이 좋아 장시간 무거운 배낭을 착용하여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렴한 가격에 튼튼하고 무게가 가벼운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에 관한 것이다.
멜빵은 휴대용 배낭이나 가방의 양측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양측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는 구성품으로서, 멜빵의 종류는 등산용 가방, 골프채 가방 등의 스포츠용 가방에서부터 학생용 가방, 야유회용 배낭 등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다양한 종류의 가방만큼 여러 가지이다. 그 형상도 X형, 일자형 등으로 다양하며 가방이나 배낭이 젊은이들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되기 때문에, 멜빵 역시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멜빵패드는 무거운 배낭의 무게로 인해 사용자의 어깨를 누르는 힘을 완화하기 위하여, 어깨와 가슴 부분에 접하는 부분에 스펀지나 고무 등의 쿠션재를 삽입하는 것이었다. 또한 멜빵패드의 형상은 일자의 형태로 직선형의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기존의 멜빵패드의 제조방법은 섬유로 직조된 직물 등에 스펀지 등의 쿠션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쿠션재의 외측을 직물로 피복하여 재봉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쿠션재를 외측에 재봉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멜빵패드에서 사용된 신체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쿠션재는 단순히 어깨나 가슴이 멜빵에 심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한 것으로, 실제 사용시에는 쿠션재만으로는 무거운 배낭의 하중을 버티기 힘들어 사용자가 장시간 배낭을 메고 이동시에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어깨에 통증이 발생되며, 쿠션재의 특성상 수분을 잘 흡수하여 사용자의 땀을 그대로 멜빵이 흡수하게 됨에 따라 배낭의 무게가 더욱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었고, 사용자의 신체에 멜빵 자국이 남을 뿐 아니라 심할 경우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멜빵패드의 형상이 일자의 직선형이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배낭을 착용하고 이동할 때, 멜빵이 흘러내리게 되어 손으로 멜빵을 감싸쥐고 이동하는 등의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또한 멜빵의 제조방법 역시, 쿠션재의 외부에 직물 등을 피복하고 재봉함에 따라, 무거운 배낭에 사용되는 멜빵은 하중을 많이 받아 장기간 사용시에 멜빵부재에 피로손상이 생기고, 그 수명이 길지 못하여 파손되거나, 재봉부분이 뜯어져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멜빵패드와 신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원활히 흘러 통기성이 좋게 되고, 신축성과 쿠션감이 좋게 되며, 착용감이 좋아 장시간 무거운 배낭을 착용하여도 피로감을 줄 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렴한 가격에 튼튼하고 무게가 가벼운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등가방에 부착되어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사용되는 멜빵의 부자재인 멜빵패드에 있어서, 탄성력을 갖는 스판덱스 원단의 내피부, 상기 내피부의 일면에 열 가압되어 접착된 스펀지 원단의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일면에 열 가압되어 접착된 망사 원단의 외피부로 구성되고, 상기 내피부와 외피부는 상기 쿠션부에 용융접착된 형상으로 합지되며, 상기 내피부와 쿠션부는 열 가압 성형하여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는 일 면에 규칙적으로 다수의 돌출된 돌기(40)를 구비하는 형상으로, 패드의 내부는 탄성력을 갖는 스판덱스 원단의 직물로 이루어진 내피부(10), 상기 내피부(10)의 일면에 열 가압되어 접착된 발포 성형된 스펀지 원단의 쿠션부(20), 그리고 상기 쿠션부(20)의 일면에 열 가압되어 접착된 망사 원단의 외피부(30)가 순차적으로 열 프레스 가압되어 상기 내피부(10)와 외피부(30)가 상기 쿠션부(20)에 용융접착된 형상으로 합지되어 일체를 이루는 구조이다.
멜빵패드는 가방이나 배낭 등에 부착되어 어깨에 멜 수 있는 멜빵의 부자재 로서, 멜빵패드의 상, 하부는 각각 또 다른 끈이 연결되어 배낭 등에 부착되는 것이다. 멜빵패드는 연결장치나 끈 등의 또 다른 부자재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멜빵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게 된다. 멜빵의 구성물로서 멜빵패드는 사용자의 어깨나 가슴과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배낭의 하중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여, 배낭을 메었을 때 착용감을 결정짓는 중요한 구성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가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패드(100)는 보조끈(81) 등과 연결되고 상기 보조끈(81)은 배낭(80)에 결합되어 사용자는 배낭(80)을 양 어깨에 메고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배낭(80)을 착용하였을 때, 패드(100)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된 돌기(40)가 사용자신체(90)와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드(100)는 유선형으로 허리부분에서 벌어지도록 완만하게 굴곡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패드(100)를 일직선의 형태가 아닌 곡선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멜빵을 착용하였을 때 어깨에서부터 허리까지 내려오는 인체의 라인에 멜빵이 밀착되게 되어 배낭(80)이 사용자로부터 흘러내리지 않게 되고, 신체의 구조에 적합하게 허리부분에서 외측으로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어 장시간 배낭(80)을 메어도 쉽게 피로해지지 않는다.
상기 돌기(40)는 패드(100)의 일 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다수개가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40)가 형성된 면이 사용자신체(90)에 접하도록 멜빵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패드(100)에 다수의 돌기(40)가 형 성됨에 따라, 돌기(40)와 사용자신체(90) 사이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간부(41)가 형성되게 되어, 멜빵의 통기성이 좋아지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배낭을 메고 이동시에 흐르는 땀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쾌감을 줄일 수 있고, 땀이 멜빵으로 흡수되어 배낭의 무게가 무거워지던 단점을 해소하며, 멜빵의 쿠션감을 더욱 좋게 하여 무거운 배낭도 큰 어려움 없이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피부(10)는 PE, PU, 나일론 등의 원단을 사용하고, 상기 쿠션부(20)의 일면에 열 프레스 가압하여 용융접착되며, 일반 직물이 아닌 탄성을 갖는 스판덱스의 직물을 사용하여 패드(100)가 신축성을 갖게 된다. 내피부(10)의 색상은 등가방과 매치시키기 위해 등가방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판덱스(spandex)란 폴리우레탄 섬유의 탄성사로 만든 합성섬유로서,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를 중합하여 용융방사한 것이다. 고무실의 약 3배의 강도가 있고, 원길이의 5∼8배나 늘어날 수 있으며, 고무줄보다 가볍고 내노화성이 강하다는 등 종래의 고무실 이상의 품질을 가진다. 따라서 고무실을 사용하던 내복류, 수영복, 운동복 등의 원사로서 널리 쓰인다. 그러나 강한 열을 가하면 섬유의 탄성이 변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와같이 쿠션부(20)에 내피부(10)를 용융접착함으로써, 스펀지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부(20)의 강도가 약한 단점을 보완하여 패드(100)가 더욱 강해지고, 질기게 되어 인장강도가 증가하며, 멜빵에 신축력을 증가시켜 사용자가 더욱더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20)는 탄성이 있는 해면상의 다공질물질인 스펀지로 이루어져 있다. 스펀지로는 발포스펀지, EVA(Ethylene Vinyl Acetate), 가공스펀지 등 다양한 스펀지를 이용 가능하다. 스펀지는 탄성이 좋고 값이 저렴한 등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스펀지는 쿠션성을 이용하여 침구나 여러 가지 바킹의 재료, 청소용구 등 여러 방면에 쓰이며, 해면의 대용으로 목욕용, 화장용, 의료용, 세척용 등 다양하게 쓰인다.
쿠션부(20)는 탄성력이 커서 쿠션재로 많이 사용되는 스펀지로 구성함으로써, 패드(100)의 쿠션을 좋게 하여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 그리고 허리에 밀착되는 부분에 부담을 줄이고, 배낭의 하중을 분산시켜 배낭을 메고 뛰거나 빨리 보행하여도 쇄골이나 갈비뼈에 큰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 안정적이므로 인체공학적인 멜빵을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외피부(30)는 그물망 형상의 직물로서, 내피부(10)가 접착된 면의 반대방향으로 쿠션부(20)의 일 면에 용융접착된다. 외피부(30)는 강도가 있고 질기며 값이 싼 장점이 있다. 쿠션부(20)의 일 면에 외피부(30)가 용융접착됨으로써, 패드(100)의 강도를 한층 더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쿠션부(20)의 양면에 내피부(10)와 외피부(30)을 용융접착시켜, 쿠션부(20)를 이루고 있는 비교적 강도가 약한 스펀지의 단점을 양면에서 보완하여, 멜빵을 튼튼하게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피부(30)는 구성물에서 제외될 수 있어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가 제공된 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30)는 패드(100)의 내부 구성물에서 제외될 수 있어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외피부(30)는 합지된 쿠션부(20)와 내피부(10)의 강도를 보완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무거운 배낭에 사용되는 멜빵은 외피부(30)를 포함하여 패드(100)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덜 무거운 배낭에는 외피부(30)를 제외시켜 제품의 특성에 맞게 제작가능한 것이다. 외피부(30)의 사용 여부는 제조원가와 관련이 있으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최적의 제품을 생산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피부(30)의 일 면은 일반직물(61)을 덧대고, 가장자리는 해리 처리하여 봉착부(60)로 재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가 제공된다.
도 4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00)의 일 면에, 즉 다수의 돌기(40)가 형성된 패드(100)의 면과 대응되는 반대쪽 면에, 일반적으로 배낭의 원단으로 사용되는 일반직물(61)을 덧대고, 패드(100)의 가장자리를 상기 일반직물(61)과 같은 원단의 직물로 감싸고 해리 처리하여 봉착부(60)를 구성한다. 상기 일반직물(61)은 배낭에 사용되는 원단과 같은 재질로 선택하고, 색상도 역시 배낭의 색상과 같게 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해리(binding) 처리란 시접을 깔끔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안감소재를 바이어스로 재단해 시접부분을 덧대어 박아 처리하여 깔끔하게 봉제하는 봉제 뒤처리 기술이다.
사용자가 멜빵을 착용하였을 때 패드(100)의 돌기(40)가 형성된 면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고, 돌기(40)가 형성되지 않은 면은 외부에 노출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노출되는 패드(100)의 면에 일반직물(61)을 덧대어 외관상 멜빵이 배낭의 재질과 같도록 하고, 색상을 배낭의 색상과 같도록 하여 미적인 감을 좋게 하며, 패드(100)를 한번 더 감싸줌으로써 패드(100)의 구성물이 파손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패드(100)의 가장자리를 상기 일반직물(61)과 같은 원단으로 감싸고 해리 처리하여 봉착부(60)를 구성함으로써, 패드(100)와 일반직물(61)을 고정시키고, 멜빵의 강도를 한층 더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다수의 요홈(71)이 형성된 하부프레스(70)를 120℃ ~ 140℃의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하부프레스(70)의 상부에, 내피부(10), 쿠션부(20), 외피부(3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상기 외피부(3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프레스(70')로 50ton/cm2의 압력에서 10 ~ 15초 동안 가압하는 단계를 거쳐, 일면에 다수의 돌기(40)가 형성되는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내피부(10)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쿠션부(20)가 적층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쿠션부(20)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외피부(30)가 적층된다. 이후에, 상기 내피부(10)의 하면에 위치한 다수의 요홈(71)이 구비된 하부프레스(70)를 120℃ ~ 140℃의 온도까지 가열 시킨다. 이와 같이 가열된 하부프레스(70)의 상부에 위치한 내피부(10), 쿠션부(20), 외피부(30)를 상부에서 상부프레스(70')를 이용하여 50ton/cm2의 압력으로 10 ~ 15초 동안 가압하여, 쿠션부(20)에 내피부(10)와 외피부(30)가 용융접착된 형상으로 합지된다.
상기 제조방법은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불량품이 발생할 불량률을 줄여 경제적이다.
또한 하부프레스(70)를 120℃ ~ 140℃의 온도로 가열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합지되는 과정에서 접착력을 높이고, 이로 인해 쿠션부(20)에 내피부(10)와 외피부(30)가 완전히 용융접착되도록 하여 떨어질 염려가 없고, 내피부(10), 쿠션부(20), 외피부(30)의 기계적 강도를 좋게 하여 멜빵의 인장 강도를 한층더 좋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에서 온도를 120℃ ~ 140℃로 하는 것은 많은 실험 결과의 데이터로서, 120℃이하의 온도에서 프레스 하게 되면 접착력이 떨어져 쿠션부(20)에 내피부(10)와 외피부(30)가 충분히 접착되지 못한다. 또한 140℃이상의 온도에서 프레스 가압하게 되면 접착력은 높아지지만, 내피부(10), 쿠션부(20), 외피부(30)가 녹아버려 제품을 생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열온도는 120℃ ~ 140℃로 하여 성형하여야 한다.
또한, 가열된 하부프레스(70)에 내피부(10), 쿠션부(20), 외피부(30)를 상부프레스(70')를 이용하여 50ton/cm2의 압력으로 10 ~ 15초 동안 가압함으로써, 내 피부(10)와, 쿠션부(20), 외피부(30)는 쿠션부(20)에 내피부(10)와 외피부(30)가 용융접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체로 패드(100)를 형성하게 되고, 하부프레스(70)에 구비된 다수의 요홈(71)을 통해 패드(100)의 일면에 다수의 돌기(40)의 형상이 만들어진다. 또한 압축과정을 통해 내피부(10), 쿠션부(20), 외피부(30)는 더욱더 신축성을 갖게 되고 기계적인 강도가 좋아지게 된다.
상기에서 프레스의 압력을 50ton/cm2의 압력으로 하여, 쿠션부(20)에 내피부(10)와 외피부(30)가 온전히 합지되어 패드(100)를 이루고 충분히 압축되어 패드(100)가 적정한 두께를 갖게 한다. 50ton/cm2이하의 압력에서는 누르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쿠션부(20)에 내피부(10)와 외피부(30)가 온전히 합지되지 못하고 패드(10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고, 50ton/cm2이상의 압력에서는 누르는 힘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쿠션부(20)가 탄성을 잃어 그 역할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가압하는 시간을 10 ~ 15초 동안 결정하는 것은 고압의 프레스를 통해 가압하여, 쿠션부(20)에 직물을 잘 접착하게 하는 최적의 시간이다. 10초 미만으로 가압하는 경우, 공정의 시간은 단축되나 내피부(10), 쿠션부(20), 외피부(30)가 충분히 접착되지 못해 이격될 수 있고, 돌기(40)의 형상이 불안정하게 제작되게 된다. 또한 15초 이상으로 가압하는 경우, 접착력은 강해지지만, 쿠션부(20)의 모양이 일그러져 쿠션을 상실하게 되어 멜빵의 쿠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는 사용자가 가방이나 배낭을 착용하였을 때, 다수의 돌기를 통해 멜빵과 신체 사이에 공간으로 공기가 원활히 흘러 통기성이 좋게 되고, 신축성과 쿠션감이 좋으며, 착용감이 좋아 장시간 무거운 배낭을 착용하여도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렴한 가격에 튼튼하고 무게가 가벼운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등가방에 부착되어 어깨에 멜 수 있도록 사용되는 멜빵의 부자재인 멜빵패드에 있어서,
    탄성력을 갖는 스판덱스 원단의 내피부(10);
    상기 내피부(10)의 일면에 열 가압되어 접착된 스펀지 원단의 쿠션부(20);
    상기 쿠션부(20)의 일면에 열 가압되어 접착된 망사 원단의 외피부(30);로 구성되고 상기 내피부(10), 외피부(30)는 상기 쿠션부(20)에 용융접착된 형상으로 합지되며, 상기 내피부(10)와 쿠션부(20)는 열 가압 성형되어 다수의 돌기(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40)가 형성된 이면에는 일반직물(61)을 덧대고, 가장자리는 해리 처리하여 봉착부(60)로 재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4. 다수의 요홈(71)이 형성된 하부프레스(70)를 120℃ ~ 140℃의 온도로 가열하 고 상기 하부프레스(70)의 상부에, 내피부(10), 쿠션부(20), 외피부(3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상기 외피부(3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프레스(70')로 50ton/cm2의 압력에서 10 ~ 15초 동안 가압하는 단계를 거쳐, 일면에 다수의 돌기(40)가 형성되는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KR1020060022395A 2006-03-09 2006-03-09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KR10058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395A KR100586806B1 (ko) 2006-03-09 2006-03-09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395A KR100586806B1 (ko) 2006-03-09 2006-03-09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6806B1 true KR100586806B1 (ko) 2006-06-08

Family

ID=3718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395A KR100586806B1 (ko) 2006-03-09 2006-03-09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8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91B1 (ko) 2007-08-17 2007-12-10 정종완 라텍스층이 형성된 가방용 멜빵패드
KR101042825B1 (ko) * 2010-11-18 2011-06-20 주식회사 오버클래스 케이블코스터용 익스트림형 하네스
KR101387766B1 (ko) * 2013-12-23 2014-04-21 강찬규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US20230011891A1 (en) * 2021-07-12 2023-01-12 Yingjuan WAN Elastic hollow breathable massaging burden-reducing backp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657U (ko) * 1986-08-18 1988-05-10 박판수 폴리스티렌수지제 단열벽지
KR100282818B1 (ko) 1998-03-13 2001-03-02 유우현 미끄럼 방지용 바닥시트 및 그 제조방법(The floor sheet for sliding prevention and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200229176Y1 (ko) 2001-01-10 2001-07-04 강두관 완충쿠션의 멜빵 및 등판을 갖는 가방
KR200298309Y1 (ko) 2002-08-29 2002-12-16 노재현 배낭용 멜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657U (ko) * 1986-08-18 1988-05-10 박판수 폴리스티렌수지제 단열벽지
KR100282818B1 (ko) 1998-03-13 2001-03-02 유우현 미끄럼 방지용 바닥시트 및 그 제조방법(The floor sheet for sliding prevention and a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200229176Y1 (ko) 2001-01-10 2001-07-04 강두관 완충쿠션의 멜빵 및 등판을 갖는 가방
KR200298309Y1 (ko) 2002-08-29 2002-12-16 노재현 배낭용 멜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091B1 (ko) 2007-08-17 2007-12-10 정종완 라텍스층이 형성된 가방용 멜빵패드
KR101042825B1 (ko) * 2010-11-18 2011-06-20 주식회사 오버클래스 케이블코스터용 익스트림형 하네스
KR101387766B1 (ko) * 2013-12-23 2014-04-21 강찬규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US20230011891A1 (en) * 2021-07-12 2023-01-12 Yingjuan WAN Elastic hollow breathable massaging burden-reducing back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6679B2 (en) Bottle and accessories carrier
US5507681A (en) Cushion strap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961019A (en) Backpack load distribution pad
CN104970626B (zh) 腰凳携带装置
KR200354595Y1 (ko) 배낭용 쿠션패드
US20050223478A1 (en) Body support for cyclists&#39; shorts or trousers
CA2395939A1 (en) Bottle carrier
US20160295931A1 (en) Hard protective pad for pants
KR100586806B1 (ko)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US20150074885A1 (en) Sports garments
KR101430115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신축성 다기능 땀받이
US8822011B2 (en) Multi-layer foam structure
US20010052533A1 (en) Support piece for a carrying bag and a carrying bag having such support piece
KR100779018B1 (ko) 라텍스층이 형성된 가방용 등받이패드
CN210353253U (zh) 一种新型男士运动裤
WO2020239101A1 (zh) 衣物及其制造方法
JP6391530B2 (ja) スポーツ用タイツ
KR100784091B1 (ko) 라텍스층이 형성된 가방용 멜빵패드
CN210809363U (zh) 一种超级空气减震骑行短裤
CN206699872U (zh) 一种腰凳腰带
JP7483284B1 (ja) 鞄用ベルト
CN215076146U (zh) 一种乳胶背带软垫
CN214547363U (zh) 一种柔软效果好的护踝
KR200497025Y1 (ko) 아기띠
CN202365399U (zh) 多功能婴儿背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