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766B1 -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766B1
KR101387766B1 KR1020130161727A KR20130161727A KR101387766B1 KR 101387766 B1 KR101387766 B1 KR 101387766B1 KR 1020130161727 A KR1020130161727 A KR 1020130161727A KR 20130161727 A KR20130161727 A KR 20130161727A KR 101387766 B1 KR101387766 B1 KR 10138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kin
air layer
shoulder strap
pad
susp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찬규
Original Assignee
강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찬규 filed Critical 강찬규
Priority to KR102013016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45F2003/122Back cushioning parts or details of backpacks, e.g. with ventilation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빵패드에 일정간격의 공기층쿠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쿠션력과 신축성의 증대는 물론 멜빵패드와 신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자유롭고 원활하게 흘러서 통기성을 좋게하므로 장시간 멜빵을 어깨에 착용하여도 피로감을 줄이면서 다양한 멜빵적용 대상에 호환적용으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는 공기층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포고무지(14)의 상면에 합성섬유원단(12)을 얹혀놓고 이를 내면에 요홈부(52)가 형성된 하부금형(50) 상부에 올려놓고 상기 하부금형(50) 상부에서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부(62)가 형성된 상부히터금형(60)으로 프레싱하여 접합과 동시에 다수개의 돌기(16)를 가지는 외피부(10)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금형(50)에 성형되어 배치된 외피부(10)의 상면에 발포고무지(22)와 합성섬유원단(24)을 얹혀놓고 이를 표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상부평면히터금형(60a)으로 프레싱하여 형성되는 내피부(20)가 상기 돌기(16) 내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외피부(10)와 접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shoulder strap pad formed swelling of a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어깨의 멜빵에 사용되는 멜빵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멜빵패드에 일정간격의 공기층쿠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쿠션력과 신축성의 증대는 물론 멜빵패드와 신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자유롭고 원활하게 흘러서 통기성을 좋게하므로 장시간 멜빵을 어깨에 착용하여도 피로감을 줄이면서 다양한 멜빵적용 대상에 호환적용으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는 공기층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수단인 배낭이나 가방 및 악기 등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하면서 양손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멜빵(어깨끈)이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멜빵은 바이올린, 키타, 섹스폰, 골프가방, 군용배낭 등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멜빵을 이용하여 배낭을 어깨에 멜 경우에 배낭 및 그 내부의 소지품의 중량에 의하여 가방은 신체 등받이 하부로 쳐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어깨에는 좁은 폭을 가진 멜빵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매우 커지게 되는 것이다.
장시간 반복적으로 이러한 배낭을 사용할 경우 착용자의 어깨 통증을 유발시키게 되며, 어깨끈 길이를 조절하여 신체에 배낭 몸체가 달라붙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배낭 착용감이 좋지 않게 되고, 배낭을 신체에 탈착하는 동작이 매우 불편해지게 된다.
한편, 어깨끈을 넓이를 넓게 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법이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어깨끈의 형상이 인체에 맞도록 제조되지 않거나 혹은 어깨끈 폭 가장자리 부위와 신체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집중하중(concentrated force)이 걸리게 되어 착용감이 그다지 우수하지 못하고, 어깨 부위가 국소적으로 마찰되는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한편, 비교적 중량이 큰 색소폰을 연주할 때 신체 일부에 걸어 지지하기 위한 색스폰스트랩(Saxophone Strap)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색스폰스트랩은 목걸이형과 어깨걸이형이 사용되고 있으며, 어깨걸이형 스트랩은 폭이 좁은 걸이끈으로 색소폰의 하중을 지지하다보니 하중을 넓게 분사히지 못하여서 목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깨걸이형 스트랩의 경우에는 유연한 끈으로만 이루어진 관계로 연주동작시 안정적으로 변위되면서 쉽게 접히거나 취약한 목 쪽으로 옮겨가기 때문에 미약한 통증으로 인한 연주의 안정감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어깨의 무통증을 유도하면서 안전한 어깨끈을 사용할 수 있는 멜빵패드를 실린콘 등 매우 유연한 재질의 젤 패드를 어깨끈에 내장하고 있으나 배낭 또는 악기의 하중이 매우 육중하기 때문에 어깨끈에 전달되는 압박감이 매우 크게 느껴져 불편한 사용을 이루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충격으로부터 어깨를 보호하기 위해 멜빵을 부드러우면서도 두꺼운 재질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가방 또는 악기 등의 하중에 의해 한번 압축된 멜빵은 복원력이 없기 때문에 가방 또는 악기 등의 하중은 견딜수는 있어도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여전히 감소하지 못해 어깨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93538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2917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8680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963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기존벨빵 본체에 부가적으로 만들어진 공기층돌기를 갖는 멜빵패드를 부착하여 신축성과 쿠션감이 양호하며, 착용감이 좋아 가방 또는 악기의 하중에 대응하여 장시간 멜방을 어깨에 착용하여도 피로감이 적으면서 착용안정감으로 사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공기층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멜빵을 착용하였을 때 맬빵패드에 형성된 공기층돌기에 의해 신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흘러 통기성이 양호하여 착용안정감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튼튼하고 양질의 공기층 돌기가 형성되어 장기사용으로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기층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공기층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를 제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멜빵패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발포고무지의 상면에 합성섬유원단을 얹혀놓고 이를 내면에 요홈부가 형성된 하부금형 상부에 올려놓고 상기 하부금형 상부에서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된 상부히터금형으로 프레싱하여 접합과 동시에 다수개의 돌기를 가지는 외피부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금형에 성형되어 배치된 외피부의 상면에 발포고무지와 합성섬유원단을 얹혀놓고 이를 표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상부평면히터금형으로 프레싱하여 형성되는 내피부가 상기 돌기 내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외피부와 접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낭 또는 악기 등의 하중에 의하여 착용자 어깨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한층 편하게 멜빵착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체에 접하는 부위가 공기층돌기를 통하여 통풍을 갖으면서 착용안정감을 얻어 어깨부위에서 느끼는 불편함이 현저히 줄어드는 이점이 있으면서 가방 또는 악기의 하중에 대응하여 멜빵을 장시간 착용하여도 착용자의 어깨의 피로감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층돌기를 갖춘 멜빵패드를 다양하게 사용되는 멜빵에 재봉에 의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간편한 부착으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공기층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자체도 여러 개로 분할되어 인접한 공기층돌기가 있으므로 하중이 분산되는 효과는 물론 우레탄과 비닐재질를 사용하여 멜빵패드의 유연성을 한층 증가시켜 신축성과 쿠션감이 영호하며 착용감을 증대시키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멜빵패드의 외피부 제조공정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멜빵패드의 내피부 제조공정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멜빵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멜빵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멜빵패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멜빵패드를 멜빵에 부착한 상태의 멜빵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멜빵패드가 부착된 멜빵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멜빵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멜빵패드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공과정은 다수의 요홈부(52)가 형성된 하부금형(50)의 상부에 발포고무지(14)와 상면에 합성섬유원단(12)을 순차적으로 얹혀놓고 상기 하부금형(50)의 상부에서 표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부(6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히터금형(60)으로 프레싱하여 합성섬유원단(12)과 발포고무지(14)를 접합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돌기(16)를 가지는 외피부(10)를 성형하는 공정이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성형된 외피부(10)의 상면에 발포고무지(22)와 합성섬유원단(24)을 순차적으로 얹혀놓고 상부에서 평면으로 형성된 상부평면히터금형(60a)으로 프레싱하여 내피부(20)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16) 내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외피부(10)와 접합하는 공정으로 멜빵패드(100)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히터금형(60)은 110∼150℃의 온도로 가열하고 30~50ton/㎠의 압력으로 7∼16초 동안 외피부(10)를 가열하게 되고, 상기 상부평면히터금형(60a)은 90∼110℃의 온도로 가열하고 20~40ton/㎠에서 5∼10초 동안 내피부(20)를 가열하는 상부피(10) 성형과정 및 하부피(20)의 성형과 동시에 상기 상부피(10)와 하부피(20)를 용융접착과 동시에 돌기(16) 내에 공기가 충진된 멜빵패드(100)를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면서 불량률이 적으므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비용절감으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하부히터금형(60)의 상면에 올려지는 발포고무지(14)와 합성섬유원단(12)으로 상부히터금형(60)를 110∼150℃의 온도를 가열하고, 또한 상부평면히터금형(60a)를 90∼110℃의 온도로 가열하기 때문에 상기 합성섬유원단(12)과 발포고무지(14) 및 발포고무지(22)와 합성섬유원단(24)이 합지되는 과정에서 접착력을 높이고 이로 인한 외피부(10)와 내피부(20)의 접착력 또한 높게 됨과 동시에 공기층쿠션부(30)를 형성하는 외피부(10)와 내피부(20)가 완전히 용융접착되므로 떨어질 염려가 없이 안전한 사용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발포고무지(14)(22) 및 합성섬유원단(12)(24)가 용융접착되므로 전체적으로 쿠션력을 가지면서 기계적 강도를 좋게 하여 멜빵패드(100)의 인장 강도를 한층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상부히터금형(60)를 110∼150℃로 하고 상부평면히터금형(60a)를 90∼110℃로 하는 것은 다양한 실험 결과의 데이터로서, 제시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프레스하게 되면 접착력이 저하되어 외피부(10) 및 내피부(20)가 완성 용융접합으로 성형되지 못하고, 또한 내피부(20)와 외피부(10)가 충분히 접착하지 못한다.
또한 제시된 상기 각각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프레스를 가압하게 되면 접착력은 우수하지만 외피부(20)와 내피부(10)의 성형불량 및 제품이 녹아버려 완성도를 높일 수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하부금형(50)의 상부에 배치된 발포고무지(14)와 합성섬유원단(12)를 상부히터금형(60)를 이용하여 30~50ton/㎠의 압력으로 7∼16초 동안 가압함으로써, 돌기(16)가 형성되는 외피부(10)가 성형된다.
또한 하부금형(50)이 성형되어 배치된 외피부(10)의 상면에 발포고무지(22)와 합성섬유원단(24)을 올려놓고 상기 상부평면히터금형(60a)를 이용하여 20~40ton/㎠에서 5∼10초 동안 가압함으로써 내피부(20)의 형성은 물론 내피부(20)가 외피부(10)의 상부에서 용융접합되어 상기 돌기(16)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쿠션부(30)를 가지는 멜빵패드(100)가 만들어진다.
상기에서 상부히터금형(60)의 압력을 40ton/㎠의 압력으로 하여, 합성섬유원단(12)과 발포고무지(14)가 합지되어 외피부(10)를 이루고 적정한 두께로 성형된다. 여기서 30ton/㎠이하의 압력에서는 누르는 힘이 역하여 합지상태가 불량해지고 50ton/㎠이상의 압력에서는 누르는 힘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돌기(16)부의 형상이 불량해져 쿠션력을 가지지 못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에서 상부평면히터금형(60a)의 압력을 30ton/㎠의 압력으로 하여, 합성섬유원단(24)과 발포고무지(22)가 합지되어 내피부(20)를 이루고 적정한 두께로 성형됨과 동시에 외피부(10)의 상면에 용융접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20ton/㎠이하의 압력에서는 누르는 힘이 역하여 합지상태가 불량해지고 40ton/㎠이상의 압력에서는 누르는 힘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돌기(16)부의 모양이 불량형태로 만들어져 쿠션력을 상실하게 되어 쿠션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를 제공하게 된다.
멜빵패드(100)는 일면에 규칙적으로 다수개의 돌출된 공기층쿠션부(30)를 구비하는 형상으로, 공기층쿠션부(30)에는 공기가 충진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구조로 완성된다.
상술한 멜빵패드(100)는 가방이나 배낭 및 악기 등에 부착 또는 결속되어 어깨에 멜 수 있는 멜빵의 부자재로서, 멜빵패드의 상, 하부는 각각 또 다른 끈이연결되어 배낭 등에 부착되는 것이다. 멜빵패드는 연결장치나 끈 등의 또 다른 부자재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멜빵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게 된다. 멜빵의 구성물로서 멜빵패드는 사용자의 어깨나 가슴과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배낭의 하중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여, 배낭을 메었을 때 착용감을 결정짓는 중요한 구성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멜빵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멜빵패드가 적용된 멜빵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멜빵패드(100)는 외피부(10)와, 내피부(20)가 결합되어 공기층쿠션부(30)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외피부(10)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섬유원단(12)의 일면에 발포고무지(14)를 열 가압하여 접착과 동시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피부(10)에 형성된 돌기(16)는 복수 개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열하되 중앙영역은 크고 외측영역은 작은 크기로 배열되며 머리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피부(20)는 상기 외피부(10)의 일면에 발포고무지(22)와 탄성력을 갖는 합성섬유원단(24)이 열 가압되어 접합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피부(10)와 접합되어진 내피부(20)의 외면에는 벨크로(44)가 부착되어 멜빵에 대응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 편리하고 간편한 부착으로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공기층쿠션부(30)는 상기 외피부(10)와 내피부(20)를 접합하면서 상기 돌기(16)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므로 완성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상기 발포고무지(14)(22)는 천연고무지, 우레탄고무지, 합성천연고무지, 스티렌고무지, 부타디엔고무지, 클로로프렌고무지, 부틸고무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피부(10)에 형성된 돌기(16)는 사각, 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이거나 복합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실시가능한 형태이며 모두 적용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멜빵패드(100)는 도 8의 사용상태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멜빵(110)을 착용하였을 때 멜빵패드(100)의 공기층쿠션부(30)가 형성된 면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고, 공기층쿠션부(30)가 형성되지 않은 면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즉, 멜빵패드(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멜빵(110)의 본체(112)의 중앙에 배치하고 가장자리를 원단으로 감싸고 해리 처리하여 결합부(114)를 구성한다. 또한 본체(1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구(214)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112)의 일측 단에는 가방(116)에 고정되어 있는 결속고리(118)와 착탈이 자유롭게 개폐가 가능한 클립(120)이 결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멜빵패드(100)는 멜빵(110)의 본체(112)와 재봉되어 부착되고, 공기층쿠션부(30)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자장자리가 해리 처리된 결합부(114)에 의하여 설치되고 있다.
또한 상기 재봉을 생략하여 멜빵패드(100)의 내피부(20) 이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벨크로(44)를 부착하여서 편리하고 간편한 부착과 이탈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멜빵패드(100)가 부착되어 있는 멜빵(110)을 가방(116)이나 악기 등에 클립(120)으로 결속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멜빵패드(10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층쿠션부(30)를 사용자의 신체면에 접촉한 상태로 착용하게 되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내부의 공기층에 의하여 완충되는 공기층쿠션부(30)에 의하여 어깨에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는 공기층쿠션부(30)와 신체사이에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완충효과는 물론 통기성에 의하여 피로감을 적게 하면서 하중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다수개의 공기층쿠션부(30)에 의하여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어서 착용자에게 매우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층쿠션부(30)가 신체와 견고한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멜방(110)이 미끄럼없이 양호한 사용으로 착용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외피부 12,24; 합성섬유원단
14,22; 발포고무지 16; 돌기
20; 내피부 30; 공기층쿠션부
50; 하부금형 52; 요홈부
62; 돌기부 60; 상부히터금형
60a; 상부평면히터금형 100; 멜빵패드
110; 멜빵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멜빵패드(100)를 제조함에 있어서,
    발포고무지(14)의 상면에 합성섬유원단(12)을 얹혀놓고 이를 내면에 요홈부(52)가 형성된 하부금형(50) 상부에 올려놓고 상기 하부금형(50) 상부에서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부(62)가 형성된 상부히터금형(60)으로 프레싱하여 접합과 동시에 다수개의 돌기(16)를 가지는 외피부(10)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금형(50)에 성형되어 배치된 외피부(10)의 상면에 발포고무지(22)와 합성섬유원단(24)을 얹혀놓고 이를 표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상부평면히터금형(60a)으로 프레싱하여 형성되는 내피부(20)가 상기 돌기(16) 내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외피부(10)와 접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히터금형(60)은 110∼150℃의 온도로 가열하고 30~50ton/㎠의 압력으로 7∼16초 동안 외피부(10)를 가열하고, 상기 상부평면히터금형(60a)은 90∼110℃의 온도로 가열하고 20~40ton/㎠에서 5∼10초 동안 내피부(20)를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30161727A 2013-12-23 2013-12-23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KR10138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727A KR101387766B1 (ko) 2013-12-23 2013-12-23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727A KR101387766B1 (ko) 2013-12-23 2013-12-23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766B1 true KR101387766B1 (ko) 2014-04-21

Family

ID=5065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727A KR101387766B1 (ko) 2013-12-23 2013-12-23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7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176Y1 (ko) 2001-01-10 2001-07-04 강두관 완충쿠션의 멜빵 및 등판을 갖는 가방
KR20020063930A (ko) * 2000-01-15 2002-08-05 이정균 어깨끈용 충격완충부재
KR100586806B1 (ko) * 2006-03-09 2006-06-08 정종완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KR100984226B1 (ko) * 2008-02-13 2010-09-28 이상근 공기완충부가 구비된 폴리우레탄 완충패드 및 상기폴리우레탄 완충패드가 구비된 의류 및 헬멧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930A (ko) * 2000-01-15 2002-08-05 이정균 어깨끈용 충격완충부재
KR200229176Y1 (ko) 2001-01-10 2001-07-04 강두관 완충쿠션의 멜빵 및 등판을 갖는 가방
KR100586806B1 (ko) * 2006-03-09 2006-06-08 정종완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KR100984226B1 (ko) * 2008-02-13 2010-09-28 이상근 공기완충부가 구비된 폴리우레탄 완충패드 및 상기폴리우레탄 완충패드가 구비된 의류 및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3161B2 (en) Strap pad
JP5142304B1 (ja) 顔面加圧マッサージ器
CN104970626B (zh) 腰凳携带装置
CN104703508A (zh) 背包的压缩系统
JP2020152100A (ja) 反重力バランスマッサージ式緩衝対流エア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811066B2 (ja) 肩ひも用緩衝具
KR20150128519A (ko) 핫팩을 이용한 하체 찜질구
US20160287829A1 (en) Cushioned Sleep Apnea Mask
KR101387766B1 (ko) 공기층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의 제조방법
KR101383768B1 (ko) 가압식 지압구 및 가압식 지압구를 구비한 의류 제품
KR100586806B1 (ko) 돌기가 형성된 멜빵패드
CN207040956U (zh) 一种护颈围脖
CN108743026A (zh) 一种3d立体眼罩及其使用方法
CN206304020U (zh) 一种多功能护腰带
CN208864633U (zh) 一种3d立体眼罩
CN101637418B (zh) 鼻罩
WO2019137111A1 (zh) 可自主调节的脊椎保护垫
CN207949420U (zh) 便携式睡眠装置
JP7483284B1 (ja) 鞄用ベルト
CN217218244U (zh) 一种内穿护腰
WO2019218144A1 (zh) 颈枕及颈枕枕芯
CN219835219U (zh) 一种护腕
CN201468065U (zh) 一种睡眠保暖护肩
CN201451464U (zh) 一种护膝
CN221044316U (zh) 一种具有支撑结构与自发热复合模块的服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