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471B1 -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471B1
KR100586471B1 KR1020040022924A KR20040022924A KR100586471B1 KR 100586471 B1 KR100586471 B1 KR 100586471B1 KR 1020040022924 A KR1020040022924 A KR 1020040022924A KR 20040022924 A KR20040022924 A KR 20040022924A KR 100586471 B1 KR100586471 B1 KR 10058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ntact
hole
protruding
sp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823A (ko
Inventor
하나와나오키
다카하시가즈나리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3Measuring during assembly or fitting of spec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접점스프링에의 돌기부의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돌기부와의 접합부의 저항을 저감하고, 신뢰성이 높은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통구멍(1d)이 형성된 스프링부재(1)와, 관통구멍(1d)에 삽입되어 유지된 돌기부재(2)와, 이 돌기부재(2)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2a)와, 이 가압부(2a)의 다른쪽 끝측을 스프링부재(1)의 팽창 돌출부의 하면측에 돌출시켜 형성한 접점부(2b)를 구비하고, 돌기부재(2)는 스프링부재(1)의 판두께방향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를 변형시켜 관통구멍(1d)에 빠지지 않게 유지되어 있고,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와 접합하는 스프링부재(1)의 관통구멍(1d)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하 양면에는,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재(3)를 피복하였다.

Description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CONTACT SPRING AND SWITCHING DEVICE USING THE CONTACT SP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점스프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점스프링의 접합부분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접점스프링의 접합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돌기부재의 코킹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돌기부재의 코킹시의 금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돌기부재의 코킹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점스프링을 설치한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접점스프링을 설치한 스위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접점스프링을 설치한 다른 스위치장치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점스프링(스프링부재) 1a :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
1b : 스커트부 1c : 정점부
1d : 관통구멍 2 : 돌기부재
2a : 가압부 2b : 접점부
2c : 오목부 2d : 홈부
3 : 피복재 10 : 푸시 버튼 스위치
11 : 하우징 11a : 바닥판부
11b : 측벽 12 : 수납부
13 : 점착시트 13a : 접착부분
15a, 15b : 외부 접속단자 16 : 고정접점
16a : 중앙 고정접점 16b : 주변 고정접점
30 : 접점기판 31 : 고정접점
31a : 중앙 고정접점 31b : 주변 고정접점
35 : 가요성 점착시트 35a : 접착부분
40 : 시트형상 스위치장치 J : 상형
Ja : 볼록부 K : 하형
Ka : 돌출부
본 발명은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 등 소형의 전자기기의 푸시 버튼 스위치에 적합한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의 구조로서는, 고정접점이 형성된 기초대와, 이 기초대 상에 고정접점과 대향 배치된 돔형상의 반전부를 가지는 접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스프링은 상면측에 가압조작용 키 톱이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전자기기의 화장패널측으로부터 이 키 톱을 가압함으로써 접점스프링의 상면이 가압되고,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접점부가 반전하여 고정접점과 접촉함으로써 접점의 전환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가압조작용 키 톱의 하면에는, 돔형상의 접점스프링의 정점부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키 톱이 가압되면 그 가압력이 이 돌기를 거쳐 접점스프링의 정점부에 전달되기 때문에, 접점스프링이 클릭감을 수반하여 반전하여 고정접점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키 톱 하면의 돌기와 접점스프링의 돔 정점부 사이에 상대위치의 불균일이 있으면 조작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키 톱 하면의 돌기 대신에 접점스프링의 상면에 수지로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키 톱의 가압력을 접점스프링의 돔 정점부에 전달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러나 상기의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의 구조는, 접점스프링의 돔 정점부에 인쇄 등에 의하여 수지를 쌓아 올려 돌기를 형성하기 때문에, 돌기 두께의 조절이 어려워 정밀도 좋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접점스프링의 돔 정점부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돌기부재를 코킹(calking)하여 돌기부를 형성하는 구성의 접점스프링(접점판)의 출원을 행하였다(일본국 특원2002-029268호 참조).
이 구조에 의하면, 가압부를 용이하게 접점스프링의 팽창 돌출부의 정점부에 형성할 수 있어, 키 톱과의 상대위치 어긋남이 있어도, 접점스프링의 팽창 돌출부의 정점부에 확실하게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 양호한 필링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007862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의 구조에 있어서는, 접점스프링에 스프링 특성이 뛰어난 재료를 사용하고, 돌기부재에는 코킹하여 고정할 때의 가공성과, 접점면의 형성을 위한 가공성을 고려하여 가공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각각 다른 금속을 사용하게 되나, 그 때문에 이종 금속 사이에서의 접합부분이 산화함으로써 고저항값이 되고, 스위치용의 접점스프링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특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신뢰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접점스프링에의 돌기부의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돌기부와의 접합부의 저항값을 저감하고, 신뢰성이 높은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1의 수단으로서, 접점스프링은 반전 가능한 팽창 돌출부를 가지고, 이 팽창 돌출부의 정점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한쪽 끝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면측으로 돌출하여 유지된 돌기부재와, 이 돌기부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와, 이 가압부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스프링부재의 팽창 돌출부의 하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상기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를 변형시켜 상기 관통구멍에 빠지지 않게 유지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와 접합하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하 양면에는,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재를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의 수단으로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하 양면에 귀금속의 도금이 실시된 처리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판두께방향으로 펀칭함으로써 상기 피복재를 가지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3의 수단으로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의 안 둘레면에도 상기 피복재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4의 수단으로서, 접점스프링은 반전 가능한 팽창 돌출부를 가지고, 이 팽창 돌출부의 정점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 어, 한쪽 끝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면측으로 돌출하여 유지된 돌기부재와, 이 돌기부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와, 이 가압부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스프링부재의 팽창 돌출부의 하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상기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를 변형시켜 상기 관통구멍에 빠지지 않게 유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접합하는 상기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에는,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재를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5의 수단으로서, 상기 돌기부재는 도전성이 뛰어난 귀금속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바깥 둘레부에서 상기 피복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6의 수단으로서, 스위치장치는 제 1항 내지 제 5의 수단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점스프링과,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과 도통하는 외부 접속단자가 배치된 기초대를 구비하고, 상기 접점스프링의 접점부를 상기 고정접점에 대향시킴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상기 가압부를 조작 가능하게 상기 기초대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점스프링의 단면도, 도 2는 접점스프링의 접합부분의 부분단면도, 도 3은 접점스프링의 접합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접점스프링의 제조공정을 나타내고, 도 4는 돌기부재의 코킹 전의 부분상세도, 도 5는 코킹시의 금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상세도, 도 6은 코킹 후의 부분상세도, 도 7은 접점스 프링을 설치한 스위치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마찬가지로 스위치장치의 단면도, 도 9는 접점스프링을 설치한 다른 스위치장치의 일부를 파단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접점스프링(1)은 인청동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박판을 대략 원반형상으로 펀칭한 도전성의 스프링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1a)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로 상승하는 스커트부(1b)와, 이 스커트부(1b)에 연속하여 돔형상으로 팽창 돌출된 정점부(1c)가 프레스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정점부(1c)의 중앙에는 판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d)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1d) 내에는 도전재료로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재(2)가 상기 관통구멍(1d)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재(2)의 상면측에는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2a)가 형성되어 있고, 또 하면측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팽창 돌출부의 하면측에 돌출시켜 접점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2a)의 중앙부에는 원형상의 오목부(2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c)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압부(2a)의 바깥 둘레부의 두께가 상기 가압부(2a)의 중앙부의 두께보다도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접점부(2b)의 표면에는, 十자형상의 홈부(2d)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2d)에 의하여 복수로 분할된 사각부가 돌기형상이 되어 상기 접점부(2b)의 접점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 이 접점부(2b)에는 은도금 등의 표면처리가 실시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접점스프링(1)의 스프링부재의 상하 양면에는,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재(3)로 도금 등의 표면처리(피복)가 실시되어 있고, 스프링부재의 상기 관통구멍(1d)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피복재(3)와, 상기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가 밀착하여 접합되어 빠지지 않게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와 접합하는 스프링부재의 상기 관통구멍(1d)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하 양면에는,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피복재(3)가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관통구멍(1d)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경도가 낮은(부드러운) 쿠션성이 있는 도금층으로 폐쇄되게 되어, 서로의 밀착성이 향상함으로써 산화가 억제되므로 도전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 결과, 서로의 접합부의 저항값이 저감되므로 접촉 신뢰성이 높은 접점스프링(1)이 얻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접점스프링(1)의 스프링부재로서, 미리 양면에 귀금속의 도금이 실시된 처리강판을 사용하여 판두께방향으로 대략 원반형상으로 펀칭함으로써 상기 접점스프링(1)을 형성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는 도금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돌기부재(2)와의 접합부의 저항값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프링부재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의 절감이 도모되게 된다.
도 3은 상기 접점스프링(1)의 스프링부재의 상기 관통구멍(1d)의 안 둘레면(펀칭에 의한 파단면)에도, 상기 피복재(3)로 피복하도록 한 접점스프링(1)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또한 상기 돌기부재(2)와의 접합부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도전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더욱 접합부의 저항값의 저감이 도모되게 되어 있다.
상기 돌출형상부재(2)를 상기 접점스프링(1)의 스프링부재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한쪽 면에 은도금 등의 표면처리가 실시된 황동 등의 도전성의 금속기둥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부재(2)를 상기 관통구멍(1d)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지름이 되도록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금속기둥은 접점면이 되는 한쪽 면에 은도금 등을 실시한 금속판재를 펀칭하여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금속기둥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부재(2)를 대략 원반형상의 외형에 펀칭된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1d) 내에 도금면이 하면측이 되도록 배치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금속기둥으로 이루어지는 돌기부재(2)를 상하방향으로부터 상형(J)과 하형(K)으로 끼워 넣어 가압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를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1d)의 안 가장자리로 파고 들게 하여 빠짐방지를 형성하여 유지시킨다. 또 동시에, 상기 돌기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부(2a)를, 하면에는 상기 접점부(2b)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상형(J)의 상기 돌기부재(2)의 가압부(2a)와의 맞닿음면의 중앙에는 볼록부(J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재(2)의 가압변형시에 상기 볼록부(Ja)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2a)의 상면측의 두께가 중앙부로부터 바깥 둘레부방향으로 밀어 넓혀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과, 상기 가압부(2a)의 중앙에는 원형상의 상기 오목부(2c)가 형성되게 된다.
또 상기 하형(K)의 상기 돌기부재(2)의 접점부(2b)와의 맞닿음면에는 十자 형상의 돌출부(K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재(2)의 가압변형시에, 상기 돌출 부(Ka)에 의하여 상기 돌기부재(2)의 하면측의 두께가 十자형상의 사각방향으로 밀어 넓혀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과, 상기 접점부(2b)에는 十자형상의 상기 홈부(2d)가 형성되고, 이 홈부(2d)에 의하여 복수로 분할된 사각부가 돌기형상이 되어 상기 접점부(2b)의 접점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재(2)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상기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를 변형시켜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1d)에 빠지지 않게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돌기부재(2)가 일체화된 상기 스프링부재를, 도시 생략한 프레스 금형에 의하여 스로틀가공함으로써, 상기 스프링부재에 상기 스커트부(1b)와 정점부(1c)를 가지는 돔형상의 팽창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점스프링(1)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상기 스프링부재에 상기 돌기부재(2)를 일체화하여 두고, 그런 다음에 상기 스프링부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돔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반전 가능한 팽창 돌출부와 외부로부터의 가압부(2a)를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돌출형상부재(2)를 도전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압부(2a)에 대하여 상기 접점부(2b)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상기 접점스프링(1)은 상기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1a)의 하면을 피지지면으로 하여 뒤에서 설명하는 주변 고정접점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2a)의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정점부(1c)가 반전되어, 상기 접점부(2b)가 중앙 고정접점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상기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1a)의 하면 및 상기 접점부(2b)가 은 등의 귀금속의 도금처리면이 되기 때문에, 접점 사이의 도통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접점스프링(1)의 스프링부재의 양면에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피복재(3)로 도금 등의 표면처리(피복)가 실시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1d)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피복재(3)와, 도전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가 밀착하여 접합되어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과는 반대로 상기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에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피복재(3)로 도금 등의 표면처리(피복)를 실시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의 피복재(3)와, 도전재료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1d)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밀착하여 접합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하면측에서 주변 고정접점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은 등의 도금처리를 실시하여 두기로 한다.
또 이 경우에 상기 돌기부재(2)를 도전성이 뛰어난 귀금속의 재료(예를 들면, 은선, 양백선 등)로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는 도금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1d)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접합하는 상기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에는,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피복재(3)가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가 경도가 낮은(부드러운) 쿠션성이 있는 피복층으로 폐쇄되게 되어, 서로의 밀 착성이 향상함으로써 산화가 억제되므로, 도전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 결과, 서로의 접합부의 저항값이 저감되므로, 접촉 신뢰성이 높은 접점스프링(1)이 얻어진다.
또 상기 돌기부재(2)를 도전성이 뛰어난 귀금속의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접합부의 저항값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돌기부재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에서 상기 접점스프링(1)을 설치한 스위치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상기한 접점스프링(1)을 단(單)키 스위치로서 구성한 경우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푸시 버튼 스위치(10)의 기초대로서의 하우징(11)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상의 바닥판부(11a)의 바깥 둘레를 고리형상으로 둘러싸 기립하는 측벽(11b)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수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우징(11)의 바닥판부(11a)에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단자재가 인서트성형되어 있고, 그 한쪽 끝이 바닥판부(11a) 내에서 굴곡되어 상기 수납부(12) 내로 돌출되어 중앙 고정접점(16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쪽 단자재의 한쪽 끝은, 바닥판부(11a) 내에서 두 갈래로 분기되어 각각이 상기 수납부(12) 내에 중앙 고정접점(16a)을 끼고 돌출하여 한쌍의 주변 고정접점(16b)이 설치되어 있다.
중앙 고정접점(16a)은 하우징(11)의 수납부(1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수납부(12)에의 바닥판부(11a)로부터의 돌출량이 중앙 고정접점(16a)에 대하여 주변 고정접점(16b)이 약간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고정접점(16a)에 접속한 단자재의 다른쪽 끝부는, 하우징(11) 밖으로 도출되어 상기 측벽(11b)을 따라 구부러져 면설치용의 납땜부를 가지는 외부 접속단자(15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주변 고정접점(16b)에 접속한 단자재의 다른쪽 끝부에는, 면설치용의 납땜부를 가지는 외부 접속단자(1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점스프링(1)이 상기 하우징(11)의 오목형상의 수납부(12)에 수용되고, 그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1a)가 주변 고정접점(16b) 상에 탑재되어 항상 접촉함과 동시에, 접점부(2b)가 중앙 고정접점(16a) 상에 접촉 이탈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어 가동접점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하우징(11) 내에 수납된 상기 접점스프링(1)은 그 상면이 절연성의 점착시트(13)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시트(13)의 접착부분(13a)이 상기 하우징(11)의 상면에 점착층에 의하여 고정되어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푸시 버튼 스위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푸시 버튼 스위치(10)의 가압부(2a)의 비가압시에는, 상기 접점스프링(1)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중앙 고정접점(16a)과 접점부(2b)는 이간되어 있고, 스위치는 전기적으로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가압부(2a)가 도시 생략한 키 톱 등으로 가압조작되면, 점착시트(13)를 휘게 하면서 접점스프링(1)이 좌굴 반전하여 클릭감을 창출함과 동시에, 중앙 고정접점(16a)과 접점부(2b)가 접촉하고,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온상태가 되어, 외부 접속단자(15a, 15b)를 통하여 전자기기로 신호가 송출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접점스프링(1)의 정점부(1c)에는 상기 가압부(2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키 톱의 설치오차나, 가압시의 경사 등에 의하여 접점스프링(1)의 정점부와의 상대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키 톱으로부터의 가압력을 접점스프링(1)에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감이 얻어진다. 또 상기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1d)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상기 접점부(2b)를 가지는 돌기부재(2)의 바깥 둘레부가,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피복재(3)를 거쳐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도전성이 향상되어 접합부의 저항값이 저감되므로, 신뢰성이 높은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것은, 상기 접점스프링(1)을 고정접점이 형성된 접점기판상에 다수 설치하여 시트형상 스위치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시트형상 스위치장치(40)에 있어서의 기초대로서의 접점기판(30)은, 절연성 수지 등의 적층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 구리박이나 카본 등에 의하여 복수 세트의 고정접점(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접점(31)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주변 고정접점(31b)의 안쪽으로 이간시켜 중앙 고정접점(31a)이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각각이 접속패턴에 의하여 외부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주변 고정접점(31b)에 상기 접점스프링(1)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부(1a)가 항상 도통 가능하게 탑재됨과 동시에, 접점스프링(1)의 접점부(2b)가 중앙 고정접점(31a) 상에 접촉 이탈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어 가동접점을 형성하고 있다.
또 접점스프링(1)은 가압부(2a)를 설치한 측이 하면에 점착층을 형성한 절연성의 가요성 점착시트(35)에 의하여 덮여져 있다. 그리고 점착시트(35)의 접착부 분(35a)에 형성된 점착층에 의하여 접점기판(30)의 상면에 고정되어 시트형상 스위치장치(40)가 형성됨과 동시에, 접점부 내에의 외부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트형상 스위치장치(40)는, 가요성 점착시트(35)의 상면에 키 톱을 배치하여 전자기기에 조립되나, 이 조립시에 키 톱과 접점스프링(1)과의 상대위치에 어긋남이 생겼다고 하여도, 키 톱으로부터의 가압력을 가압부(2a)를 거쳐 접점스프링(1)에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감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접점스프링(1)의 스프링부재와 상기 접점부(2b)를 가지는 돌기부재(2)가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피복재(3)를 거쳐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접합부의 저항값을 저감하여 신뢰성이 높은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점스프링은 반전 가능한 팽창 돌출부를 가지고, 이 팽창 돌출부의 정점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프링부재와,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한쪽 끝이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면측으로 돌출하여 유지된 돌기부재와, 이 돌기부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와, 이 가압부의 다른쪽 끝측을 스프링부재의 팽창 돌출부의 하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접점부를 구비하고, 돌기부재는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를 변형시켜 관통구멍에 빠지지 않게 유지되어 있고,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와 접합하는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하 양면에는,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재를 피복하였기 때문에, 접점부가 설치된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와 접합하는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경도가 낮은(부드러운) 쿠션성이 있는 피복층으로 폐쇄되므로, 서로의 밀착성이 향상하여 산화가 억제되고, 도전성이 향상되므로, 접합부의 저항값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 스프링부재는 상하 양면에 귀금속의 도금이 실시된 처리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판두께방향으로 펀칭함으로써 피복재를 가지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접합부의 저항값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프링부재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의 절감이 도모된다.
또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의 안 둘레면에도 피복재를 실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접합부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되고, 도전성이 향상되므로, 접합부의 저항값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 접점스프링은 반전 가능한 팽창 돌출부를 가지고, 이 팽창 돌출부의 정점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한쪽 끝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면측으로 돌출하여 유지된 돌기부재와, 이 돌기부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와, 이 가압부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스프링부재의 팽창 돌출부의 하면측에 돌출시켜 형성한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상기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를 변형시켜 상기 관통구멍에 빠지지 않게 유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접합하는 상기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에는,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재를 피복하였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접합하는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가 경도가 낮은(부드러운) 쿠션성이 있는 피복층으로 폐쇄되므로, 서로의 밀착성이 향상하여 산화가 억제되고, 도전성이 향상되므로, 접합부의 저항값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 돌기부재는 도전성에 뛰어난 귀금속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바깥 둘레부에서 피복재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접합부의 저항값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돌기부재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스위치장치는 제 1 내지 제 5의 수단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점스프링과,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과 도통하는 외부 접속단자가 배치된 기초대를 구비하고, 접점스프링의 접점부를 고정접점에 대향시킴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가압부를 조작 가능하게 기초대상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키 톱과 접점스프링 사이에 상대위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이어도, 접점스프링의 팽창 돌출부의 정점부로 키 톱의 가압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감이 얻어짐과 동시에, 접합부의 저항값을 저감하여 신뢰성이 높은 스위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반전 가능한 팽창 돌출부를 가지고, 이 팽창 돌출부의 정점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한쪽 끝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면측으로 돌출하여 유지된 돌기부재와,
    상기 돌기부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스프링부재의 팽창 돌출부의 하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상기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를 변형시켜 상기 관통구멍에 빠지지 않게 유지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와 접합하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하 양면에는,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재를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스프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하 양면에 귀금속의 도금이 실시된 처리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판두께방향으로 펀칭함으로써 상기 피복재를 가지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스프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로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의 안 둘레면도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스프링.
  4. 반전 가능한 팽창 돌출부를 가지고, 이 팽창 돌출부의 정점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한쪽 끝이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면측으로 돌출하여 유지된 돌기부재와,
    상기 돌기부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다른쪽 끝측을 상기 스프링부재의 팽창 돌출부의 하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접점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판두께방향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상기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를 변형시켜 상기 관통구멍에 빠지지 않게 유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재의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접합하는 상기 돌기부재의 바깥 둘레부에는, 도전성이 풍부한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재를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스프링.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재는 도전성이 뛰어난 귀금속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스프링.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점스프링과,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과 도통하는 외부 접속단자가 배치된 기초대를 구비하고,
    상기 접점스프링의 접점부를 상기 고정접점에 대향시킴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상기 가압부를 조작 가능하게 상기 기초대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20040022924A 2003-04-03 2004-04-02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KR100586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0943A JP2004311127A (ja) 2003-04-03 2003-04-03 接点ばね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JP-P-2003-00100943 2003-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823A KR20040086823A (ko) 2004-10-12
KR100586471B1 true KR100586471B1 (ko) 2006-06-07

Family

ID=3346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924A KR100586471B1 (ko) 2003-04-03 2004-04-02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311127A (ko)
KR (1) KR100586471B1 (ko)
CN (1) CN1253903C (ko)
TW (1) TWI2336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3569B2 (ja) * 2004-11-26 2009-09-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原稿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51849B2 (ja) 2006-04-20 2008-09-17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
KR101896856B1 (ko) * 2014-12-25 2018-10-18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버튼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하는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3903C (zh) 2006-04-26
KR20040086823A (ko) 2004-10-12
TW200503029A (en) 2005-01-16
JP2004311127A (ja) 2004-11-04
TWI233625B (en) 2005-06-01
CN1536597A (zh)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3265B2 (en) Switch
US8410381B2 (en) Push-on switch
JP5566536B2 (ja) Pcbタクトスイッチ
US8022326B2 (en) Push switch
CN105826112A (zh) 按键开关
US20050001822A1 (en) Resilient switch contact for a key switch device
JP200329717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EP3364436A1 (en) Push switch
US20110083946A1 (en) Slide Switch
JP3818174B2 (ja) ボタン型電池用ターミナル
KR100501061B1 (ko) 접점판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KR100586471B1 (ko)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JP5459770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80018449A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KR10103862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EP1903590A1 (en) Push-Button Switch
JP2004311126A (ja) 反転ばね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WO2002017340A1 (en) Push switch
JP569642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458968B1 (ko) 플랙시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JP2004311129A (ja) 反転ばね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KR20060045687A (ko) 누름버튼 스위치
KR20230001939U (ko) 방수형 소형 택트스위치
JPS63124318A (ja) 押釦スイツチ
JP3177154U (ja) プッシュ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