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687A - 누름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687A
KR20060045687A KR1020050030880A KR20050030880A KR20060045687A KR 20060045687 A KR20060045687 A KR 20060045687A KR 1020050030880 A KR1020050030880 A KR 1020050030880A KR 20050030880 A KR20050030880 A KR 20050030880A KR 20060045687 A KR20060045687 A KR 20060045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contact
resin
fixed contact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코 오다지마
가즈오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가압 조작시의 동작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접점부의 접촉 신뢰성이 높은 누름버튼 스위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1) 과, 하우징 (1) 에 배치된 중앙 고정접점 (2) 및 주변 고정접점 (3) 과, 반전가능한 팽출부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고정접점 (2) 및 주변 고정접점 (3) 상에 탑재된 가동접점 (7) 과, 가동접점 (7) 의 팽출부 상면에 맞닿는 누름부 (9c) 를 갖고, 하우징 (1) 에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재 (9) 를 구비하고, 조작부재 (9) 를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재로 형성하는 것과 함께, 누름부 (9c) 와 가동접점 (7) 의 맞닿음면에는, 마찰계수를 작게 하여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층 (8) 을 형성하였다.

Description

누름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도 1 은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접점부를 투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 2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누름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누름버튼과 가압용 탄성체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1a: 수납부
1b: 돌기부
2: 중앙 고정접점
3: 주변 고정접점
4: 접속단자
5: 접속단자
6: 커버
6a: 개구부
7: 가동접점
7a: 외주 가장자리부
7b: 중앙 정상부
8: 수지층
9: 조작부재
9a: 버튼부
9b: 차양부
9c: 누름부
10: 판형상 수지부재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조작용 스위치로서 사용되는 누름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름 조작시에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는 누름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구조로는, 누름 조작시의 스트로크를 크게 하기 위해, 반전가능한 가동접점을 눌러 동작시키는 누름버튼의 하면 중앙의 돌출부를 탄성체로 형성하여, 스위치 조작시에 가동접점의 반전 동작보다도 먼저 가압용 탄성체를 소정량 만큼 변형 (축소) 시키는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하, 종래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구조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종래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단면도, 도 9 는 누름버튼과 가압용 탄성체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특징은, 다이어프램형상의 반전 동작형 가동접점 (36) 을 눌러서 반전 동작시키는 누름버튼 (51) 하면의 가압용 돌출부를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로 형성하는 것에 있다. 즉, 누름버튼 (51) 은 그 하면 중앙에 가압용 탄성체 (52) 를 유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압용 탄성체 (52) 는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지고,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직경이 큰 플랜지부 (52B) 로 된 2 단 구조의 원기둥형상이고, 이 선단이 테이퍼 (52C) 로 된 플랜지부 (52B) 를,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체(剛體) 재료로 만든 누름버튼 (51) 의 하면 중앙의 내부가 넓어진 단이 있는 구멍 (51A) 에 밀어 넣음으로써 양자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가압용 탄성체 (52) 의 눌림에 의한 변형 즉 축소는, 누름버튼 스 위치의 다이어프램형상의 반전 동작형 가동접점 (36) 의 반전 동작시의 누름력보다도 작은 힘에 의해 변형이 시작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버튼 (51) 의 상면 돌출부 (53) 에 누름력을 가함으로써 누름버튼 (51) 이 아래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그 하면 중앙의 가압용 탄성체 (52 (52A)) 가 축소되기 시작하고, 상면 돌출부 (53) 에 가해지는 힘이 커짐에 따라서 다이어프램형상의 반전 동작형 가동접점 (36) 도 서서히 변형되어, 누름력이 반전 동작형 가동접점 (36) 이 반전 동작하는 힘을 초과하면 반전 동작형 가동접점 (36) 은 절도(節度)감을 수반하여 반전 동작하고, 외측 고정접점 (33A, 33B) 과 중앙 고정접점 (35) 의 사이 즉 접속단자 (32) 와 접속단자 (34) 의 사이를 도통시킨다.
이후, 누름버튼 (51) 의 상면 돌출부 (53) 에 가하고 있던 누름력을 제거하면, 누름버튼 (51) 은 반전 동작형 가동접점 (36) 과 가압용 탄성체 (52) 의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되돌아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61599호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가동접점의 구조에 있어서는, 가압용 탄성체 (52) 가 축소 변형되면 금속 돔형상의 가동접점 (36) 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서로간의 마찰력이 증대하여, 누름버튼 (51) 의 조작시에 가압용 탄성체 (52) 와 가동접점 (36) 이 일체적으로 움직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외측 고정접점 (33A, 33B) 상에서 가동접점 (36) 이 회전하여 접촉면의 은 도금이 스쳐서 깎여져, 높은 접촉 신뢰성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누름 조작시의 동작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접점부의 접촉 신뢰성이 높은 누름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해결수단으로서,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배치된 중앙 고정접점 및 주변 고정접점과, 반전가능한 팽출부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고정접점 및 주변 고정접점 상에 탑재된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의 팽출부 상면에 맞닿는 누름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를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재로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누름부와 상기 가동접점의 맞닿음면에는, 마찰계수를 작게 하여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층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수지층을,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수지층을,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부 또는 상기 가동접점의 팽출부 상면의 적어도 일방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수지층을, 개별적인 판형상 수지부재로 형성하고, 이 판형상 수지부재를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부와 상기 가동접점의 팽출부 상면의 사이에 끼워서 지지한 구성으로 하였다.
그리고,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판형상 수지부재를, 상기 가동접점과 상 기 중앙 고정접점 및 주변 고정접점의 상면을 덮는 한 장의 폭이 넓은 수지제 시트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접점부를 투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은 상기 제 3 실시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2 에 있어서, 하우징 (1)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이고 수납부 (1a) 를 갖는 상면이 개구된 형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 (1a) 의 내저면 중앙에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고정접점 (2) 이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매설되고 그 일부가 표출되어 배치되어 있고, 이 중앙 고정접점 (2)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는, 마찬가지로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주변 고정접점 (3, 3) 이 그 일부가 표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대향하는 측면 하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접속단자 (4, 5) 가 형성되고, 이 접속단자 (4, 5) 는 상기 하우징 (1) 의 내저면에서 상기 중앙 고정접점 (2) 및 주변 고정접점 (3, 3)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상면측의 네 모서리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부 (1b) 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 (1b) 에, 금속판 등을 펀칭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한 커버 (6) 가 걸어 맞춰지고 그 선단이 코킹됨으로써, 커버 (6) 가 하우징 (1) 의 상면측에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는, 도전성의 박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반전가능한 돔형상의 팽출부를 갖는 가동접점 (7) 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접점 (7) 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 가장자리부 (7a) 가 상기 주변 고정접점 (3, 3) 상에 접촉한 상태로 탑재되고, 팽출부의 중앙 정상부 (7b) 가 상기 중앙 고정접점 (2) 과 대향하여 이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접점 (7) 의 팽출부의 중앙 정상부 (7b) 의 상면측에는 수지층 (8) 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층 (8) 은, 예를 들어, 수지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용융된 수지를 가동접점 (7) 의 상면측에 도포한 후, 응고시킴으로써 일체적으로 수지층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지층 (8) 은 마찰계수가 작은 것,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조작부재 (9) 는, 고무 등의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에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 (9) 는, 상기 커버 (6) 의 개구부 (6a) 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가압용 버튼부 (9a) 와, 상기 커버 (6) 에 맞닿는 빠짐방지용의 차양부 (9b) 와, 상기 가동접점 (7) 의 팽출부의 상면에 맞닿는 돌출된 형상의 누름부 (9c) 를 갖고 있고, 이 누름 부 (9c) 와 상기 가동접점 (7) 의 팽출부 상면측에 형성된 상기 수지층 (8) 이 맞닿은 상태로 상기 수납부 (1a) 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경우, 상기 수지층 (8) 의 외주의 크기는, 상기 조작부재 (9) 의 누름부 (9c) 의 외주 크기와 비교하여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접점 (7) 의 팽출부 상면측에 상기 누름부 (9c) 가 맞닿아 눌릴 때에는, 상기 수지층 (8) 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접점 (7) 의 팽출부가 상기 누름부 (9c) 에 의해 눌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지층 (8) 을, 마찰계수가 작은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 등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고, 이 수지층 (8) 의 마찰계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부끼리 (가동접점 (7) 과 중앙 고정접점 (2) 및 주변 고정접점 (3)) 의 마찰계수보다도 작기 때문에, 조작부재 (9) 의 조작시에 누름부 (9c) 에 가동접점 (7) 이 접착되어서 일체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점부의 접촉면의 깎임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접점 (7) 의 팽출부의 중앙 정상부 (7b) 는 상기 중앙 고정접점 (2) 으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접점부는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재 (9) 의 버튼부 (9a) 가 하측으로 눌리면, 상기 누름부 (9c) 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지층 (8) 을 사이에 두고 가동접점 (7) 의 팽출부의 중앙 정상부 (7b) 를 하측으로 누른다. 그리고, 이 누름동작에 의해 가동접점 (7) 의 팽출부가 반전되어 팽출부의 중앙 정상부 (7b) 의 하면이 중앙 고정접점 (2) 과 접촉하게 되어, 가동접점 (7) 을 사이에 두고 중앙 고정접점 (2) 과 주변 고정접점 (3, 3) 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접점부가 온상태가 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접점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장의 금속판을 포개어 형성되고, 팽출부가 반전될 때의 반전 하중이 약간 무거워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 (9) 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고, 탄성 변형되는 변형 하중은 상기 가동접점 (7) 의 반전 하중보다 약간 가벼워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조작부재 (9) 의 누름부 (9c) 가 상기 가동접점 (7) 의 팽출부를 누를 때에는, 가동접점 (7) 의 팽출부가 반전되기까지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누름부 (9c) 가 먼저 변형 축소됨으로써, 이 축소되는 (변형하는) 분만큼 누를 때의 동작 스트로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 (9) 의 버튼부 (9a) 에 대한 누름력을 해제시키면, 스스로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 (9c) 의 변형이 원래대로 복귀되는 것과 함께, 가동접점 (7) 이 스스로의 탄성력에 의해 역반전하여 중앙 정상부 (7b) 가 중앙 고정접점 (2) 으로부터 이간되어 접점부가 오프상태가 되고, 조작부재 (9) 도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4, 도 5 는,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수지층 (8) 의 형성 방법이 일부 다른 점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지층 (8) 은, 가동접점 (7) 의 팽출부의 중앙 정상부 (7b) 의 상면측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은 아니고, 가동접점 (7) 의 팽출부의 상면에 맞닿는, 조작부재 (9) 의 돌출된 형상의 누름부 (9c) 하면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수지층 (8) 은, 예를 들어, 조작부재 (9) 의 성형시에 2 색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적으로 누름부의 하면측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수지층 (8) 은 마찰계수가 작은 것,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도 5 에 나타내지만, 동작 내용에 관해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재 (9) 를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재로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누름부 (9c) 와 상기 가동접점 (7) 의 맞닿음면에는 마찰계수를 작게 하여 서로가 붙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수지층 (8) 을 형성했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재 (9) 의 가압시에 조작부재 (9) 자신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동작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상기 누름부 (9c) 와 상기 가동접점 (7) 의 맞닿음면에 형성된 상기 수지층 (8) 에 의해 상호간 맞닿음면의 마찰력이 저감되기 때문에 서로 붙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 (9) 의 조작시에 상기 가동접점 (7) 이 중앙 고정접점 (2) 및 주변 고정접점 (3) 상에서 크게 움직이는 일이 없어 접촉면의 은 도금이 스쳐서 깎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 로, 높은 접촉 신뢰성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지층 (8) 을, 상기 조작부재 (9) 의 누름부 (9c) 또는 상기 가동접점 (7) 의 팽출부 상면의 적어도 일방에 일체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재 (9) 또는 상기 가동접점 (7) 을 상기 수지층 (8) 을 갖는 부품으로서 미리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6, 도 7 은,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서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수지층 (8) 의 구조가 일부 다르다는 점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층을 가동접점 (7) 이나 조작부재 (9) 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판형상 수지부재 (10) 로 형성하고, 이 판형상 수지부재 (10) 를 조작부재 (9) 의 누름부 (9c) 와 가동접점 (7) 의 팽출부 상면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판형상 수지부재 (10) 를, 가동접점 (7) 과 중앙 고정접점 (2) 및 주변 고정접점 (3, 3) 의 상면을 덮는 한 장의 폭이 넓은 수지제 시트로 형성하고, 그 외주를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판형상 수지부재 (10) 에 대해서도 마찰계수가 작은 것,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제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도 7 에 나타내지만, 동작 내용에 대해서도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형상 수지부재 (10) 를 한 장의 폭이 넓은 수지제 시트로 형성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폭이 좁은 크기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적어도 가동접점 (7) 의 팽출부 상면과 조작부재 (9) 의 누름부 (9c) 하면과의 맞닿음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에는, 판형상 수지부재 (10) 를 가동접점 (7) 또는 조작부재 (9) 중 어느 한쪽에 부착함으로써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판형상 수지부재 (10) 는, 박판형상의 금속판 표리에 일체적으로 수지를 코팅함으로써 수지제 시트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수지층을, 개별적인 판형상 수지부재 (10) 로 형성하고, 이 판형상 수지부재 (10) 를 상기 조작부재 (9) 의 누름부 (9c) 와 상기 가동접점 (7) 의 팽출부 상면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고 있어, 판형상 수지부재 (10) 를 별도 부품으로 형성하여 조작부재 (9) 와 가동접점 (7) 사이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각 부품에 대한 형상의 제약이 없어 소형화에 바람직하고, 마찰계수의 편차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상 수지부재 (10) 를, 상기 가동접점 (7) 과 상기 중앙 고정접점 (2) 및 주변 고정접점 (3, 3) 의 상면을 덮는 한 장의 폭이 넓은 수지제 시트로 형성하여, 이 판형상 수지부재 (10) 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한 장의 시트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스위치의 하우징 (1) 내에 장착시키기가 용이해져, 작업성이 양호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과, 하우징에 배치된 중앙 고정접점 및 주변 고정접점과, 반전가능한 팽출부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고정접점 및 주변 고정접점 상에 탑재된 가동접점과, 가동접점의 팽출부 상면에 맞닿는 누름부를 갖고, 하우징에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조작부재를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재로 형성하는 것과 함께, 누름부와 가동접점의 맞닿음면에는, 마찰계수를 작게 하여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층을 형성했기 때문에, 조작부재의 가압시에 조작부재 자체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동작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누름부와 가동접점의 맞닿음면에 형성된 수지층에 의해 상호간 맞닿음면의 마찰력이 저감되기 때문에 서로 붙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며, 조작부재의 조작시에 가동접점이 고정접점 상에서 크게 움직이는 일이 없어 접촉면의 은 도금이 스쳐서 깎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높은 접촉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지층을,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로 형성했기 때문에, 수지층의 마찰계수를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부끼리의 마찰계수보다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접점부의 접촉면의 깎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을, 조작부재의 누름부 또는 가동접점의 팽출부 상면의 적어도 일방에 일체적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조작부재 또는 가동접점을 수지층을 갖는 부품으로서 미리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부품점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을, 개별적인 판형상 수지부재로 형성하고, 판형상 수지부재를 조작부재의 누름부와 가동접점의 팽출부 상면의 사이에 끼웠기 때문에, 판형상 수 지부재를 별도 부품으로 형성하여 조작부재와 가동접점 사이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각 부품에 대한 형상의 제약이 없어 소형화에 바람직하고, 마찰계수의 편차도 줄일 수 있다.
또한, 판형상 수지부재를, 가동접점과 중앙 고정접점 및 주변 고정접점의 상면을 덮는 한 장의 폭이 넓은 수지제 시트로 형성했기 때문에, 판형상 수지부재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한 장의 시트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스위치 내에 장착시키기가 용이해져 작업성이 좋다.

Claims (5)

  1.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배치된 중앙 고정접점 및 주변 고정접점과, 반전가능한 팽출부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고정접점 및 주변 고정접점 상에 탑재된 가동접점과, 이 가동접점의 팽출부 상면에 맞닿는 누름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를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재로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누름부와 상기 가동접점의 맞닿음면에는, 마찰계수를 작게 하여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을,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을,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부 또는 상기 가동접점의 팽출부 상면의 적어도 일방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을, 개별적인 판형상 수지부재로 형성하고, 이 판형상 수지부재를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부와 상기 가동접점의 팽출부 상면의 사이에 끼워서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 수지부재를, 상기 가동접점과 상기 중앙 고정접점 및 주변 고정접점의 상면을 덮는 한 장의 폭이 넓은 수지제 시트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KR1020050030880A 2004-04-15 2005-04-14 누름버튼 스위치 KR200600456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0349A JP2005302643A (ja) 2004-04-15 2004-04-15 押釦スイッチ
JPJP-P-2004-00120349 2004-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687A true KR20060045687A (ko) 2006-05-17

Family

ID=3526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880A KR20060045687A (ko) 2004-04-15 2005-04-14 누름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302643A (ko)
KR (1) KR20060045687A (ko)
CN (1) CN1684211A (ko)
TW (1) TW2006143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2770B2 (ja) * 2008-04-18 2013-11-0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器具
JP5440111B2 (ja) * 2009-11-16 2014-03-12 横河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4301A (en) 2006-05-01
CN1684211A (zh) 2005-10-19
JP2005302643A (ja)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3265B2 (en) Switch
US7740166B2 (en) Push switch
EP1884971B1 (en) Lateral pushing type push switch
KR100235154B1 (ko) 푸시온스위치
KR100664365B1 (ko) 푸쉬온 스위치
EP0224006B1 (en) Pushbutton switches using dome springs
KR20020061491A (ko) 클릭감이 양호한 돔 형상 접점판 및 접점판이 장착된 시트
US7919719B2 (en) Dome contact used in pushbutton switch
KR20070066891A (ko) 스위치 장치
KR100501061B1 (ko) 접점판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JP5459770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60045687A (ko) 누름버튼 스위치
EP2363872B1 (en) Electrical switch with a dual action tactile effect
US6133538A (en) Keyswitch with rubber dome disposed within housing provided by the plunger
JP2001216865A (ja) スイッチ
JP2005129301A (ja) 押釦スイッチ
JP2001216866A (ja) スイッチ
US20110083950A1 (en) Multi-directional tact switch
JP2005019112A (ja) 押釦スイッチ
KR100586471B1 (ko) 접점스프링 및 이것을 사용한 스위치장치
JP2004311126A (ja) 反転ばね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3769793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4944699B2 (ja) キーユニット、キーユニット背板の製造方法及び携帯電話
JPH10112240A (ja) 二段押圧スイッチ及び脚付き可動板
KR100357922B1 (ko)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