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860B1 - 인버터의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인버터의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860B1
KR100585860B1 KR1020030086554A KR20030086554A KR100585860B1 KR 100585860 B1 KR100585860 B1 KR 100585860B1 KR 1020030086554 A KR1020030086554 A KR 1020030086554A KR 20030086554 A KR20030086554 A KR 20030086554A KR 100585860 B1 KR100585860 B1 KR 10058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urrent detection
inverter
curren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960A (ko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8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5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한 잡음 영향이 많아 인버터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유도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를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해 검출하여 유도 전동기의 운전 제어에 사용하는 인버터에 있어서, 3상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접지를 1차 접지로 연결하고 직류/직류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2차 접지를 공통 접지로 연결하는 전류 검출회로, 게이트 드라이버, 제어부, 및 제어 스위치 소자와; 상기 공통 접지에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1차 접지에 일측을 연결하는 전류 검출 저항으로 구성되어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한 잡음 영향이 줄어들므로 제어부와 전류 검출회로에 잡음 발생이 줄어들고 잡음에 의한 인버터의 오동작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버터의 구동 회로{DRIVING CIRCUIT OF INVERTER}
도 1은 종래 인버터의 구동 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전원부, 제어부, 게이트 드라이버, 스위칭부의 접지 운영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의 구동 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전원부, 제어부, 게이트 드라이버, 스위칭부의 접지 운영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3상전원 33 : 정류부
37 : 전류 검출회로 38 : 게이트 드라이버
39 : 제어부
본 발명은 인버터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직 회로에 오동작을 유발하는 잡음이 전원부로부터 발생되어 제어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 게 한 인버터의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전력변환을 통해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변환시켜 전동기에 공급함으로써 전동기 속도 및 토크를 고효율로 제어하는 가변속 전동기 구동 장치이다.
그리고, 인버터는 유동 전동기의 속도를 정밀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므로 각종 송풍기, 펌프 및 공작기계, 섬유기계 등의 자동화 설비에 널리 쓰여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 인버터의 구동 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 전원(1)을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2)와; 상기 직류전압을 평활시키는 평활 콘덴서(C)와; 제어 스위치 소자(4)를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8)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8)에 의해 운전되는 유도 전동기(5)와; 상기 유도 전동기(5)와 제어 스위치 소자(4)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회로(7)와; 상기 전류 검출 회로(7)의 상전류 정보를 수집하고 게이트 드라이버(8)에 운전을 지령하는 제어부(9)와; 상기 제어부(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로 구성된다.
컨버터(2)는 3상 전원(1)을 직류로 변환하고 평활 콘덴서(3)는 상기 직류전압을 평활시켜 제어 스위치 소자(4)에 공급한다. 전류 검출회로(7)는 유도 전동기(5)와 제어 스위치 소자(4)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제어부(9)는 상기 전류 검출 회로(7)의 상전류 정보를 수집하고 게이트 드라이버(8)에 운전을 지령하고 게이트 드라이버(8)는 제어 스위치 소자(4)를 구동하여 유동 전동기(5)를 동작시킨다.
도 2는 도 1의 전원부, 제어부, 게이트 드라이버, 제어 스위치 소자의 접지 운영을 설명하는 예시도로서, 직류단에 1개의 전류 검출 저항을 이용한 전원부와 제어부의 접지 운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상 전원(1)이 인가되면 컨버터(2)와 평활 콘덴서(3)를 통해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때, 인버터는 운전 대기 상태가 되고 제어부(9)는 운전 지령 신호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버(8)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 신호는 게이트 드라이버(8)에 의해 증폭되어 제어 스위치 소자(4)로 전달되고 유도 전동기(5)로 교류 신호가 출력된다.
제어 스위치 소자(4)와 유도 전동기(5)에 흐르는 전류는 제어 스위치 소자의 공통 연결선(13)과 전류 검출 저항(Rs1)을 통해 흐르고 전류 검출 저항을 통해 흐른 전류는 전류 검출 신호(10)의 전압으로 변환되어 전류 검출회로(7)로 전달된다.
제어부(9)의 구동 신호(12)는 게이트 드라이버(8)와 제어부의 접지(14)를 통해 전달된다. 게이트 드라이버에 의해 증폭된 구동 신호(11)는 제어 스위치 소자(4), 제어 스위치 소자의 공통 연결선(13), 전류 검출 저항(6), 전원부의 접지(15)를 통해 전달된다.
그리고, 구동 신호는 게이트 드라이버 내의 증폭회로부로 연결선(19), 전류 검출 저항(Rs1), 연결선(15)를 통하여 전달된다. 게이트 드라이버 내부 회로에 의해 증폭된 구동 신호는 저항(Rg), 연결선(13), 연결선(19)을 통하여 제어 스위치 소자(4)에 전달된다.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는 1차측 접지를 전원부 접지(16)에 연 결하고, 전원부의 1차측 스위칭 전류는 컨버터 접지(17)를 통하여 흐른다. 1차와 절연된 2차측 제어 전원의 전류는 제어부 접지(14)를 통하여 흐른다.
즉, 전원부(18)의 1차측 전류는 컨버터 접지(16)를 통해서 흐르고, 2차측 전류는 제어부(9)와 제어부 접지(14)를 통해 흘러 각각의 독립적인 경로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인버터에서 제어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 동작시 큰 전류 및 스위칭 잡음이 전류 검출 저항을 통해 흐른다. 이러한 전류와 잡음은 게이트 드라이버의 로직 회로에 영향을 주어 오동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의 전류 검출 저항을 통한 신호 전달은 전류 검출회로에 잡음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전류 검출 저항의 일측을 전류 검출회로, 제어부, 및 게이트 드라이버의 공통 접지에 연결하고 다른 일측을 정류부 접지에 연결하여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한 잡음의 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한 인버터의 구동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도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를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해 검출하여 유도 전동기의 운전 제어에 사용하는 인버터에 있어서,
3상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접지를 1차 접지로 연결하고 직류/직류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2차 접지를 공통 접지로 연결하는 전류 검출회로, 게이트 드라이버, 제어부, 및 제어 스위치 소자와; 상기 공통 접지에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1차 접지에 일측을 연결하는 전류 검출 저항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의 구동 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를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해 검출하여 유도 전동기의 운전 제어에 사용하는 인버터에 있어서,
3상전원(31)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33)와; 상기 정류부(33)의 접지를 1차 접지로 연결하고 직류/직류 변환하는 전원부(48)와; 상기 전원부(48)의 2차 접지를 공통 접지로 연결하는 전류 검출회로(37), 게이트 드라이버(38), 제어부(39), 제어 스위치 소자(34)와; 상기 공통 접지에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1차 접지에 일측을 연결하는 전류 검출 저항(Rs4)으로 구성된다.
정류부(33)는 3상전원(31)을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32)와 직류 변환된 직류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 콘덴서(C3)로 구성되어 제어 스위치 소자(34)를 통해 유도 전동기(35)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48)는 정류부(33)에 의해 직류 변환된 전압을 직류/직류 변환하여 제어부(39)에 공급한다. 전류 검출회로(37), 게이트 드라이버(38), 제어부(39), 제어 스위치 소자(34)는 상기 전원부(48)의 2차 접지를 공통 접지로 연결한다.
전류 검출 저항(Rs4)은 상기 공통 접지를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전원부(48)의 1차 접지를 일측에 연결한다. 전류 검출회로(37)는 상기 공통 접지와 1차 접지 사이의 전압을 입력받아 유도 전동기(35)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도 4는 도 3의 전원부, 제어부, 게이트 드라이버, 스위칭부의 접지 운영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3상전원(31)이 인가되면 컨버터(32)와 평활 콘덴서(C3)를 통해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고, 인버터는 운전 대기 상태가 된다.
제어부(39)는 운전 지령신호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버(38)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구동 신호(42)는 게이트 드라이버(38)를 통해 증폭되어 제어 스위치 소자(34)의 게이트에 전달된다. 유도 전동기(35)는 제어 스위치 소자(34)에 의해 교류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된다.
제어 스위치 소자(34), 유도 전동기(35)에 흐르는 전류는 정류부 접지(46), 전류 검출 저항(Rs4)을 통해 흐르고, 전류 검출 저항(Rs4)을 통해 흐른 전류는 전류 검출 신호의 전압으로 변환되어 전류 검출회로(37)로 전달된다.
제어부(39)의 구동 신호는 게이트 드라이버(38), 제어부(39)의 접지를 통해 전달된다. 전원부(48)는 1차 접지를 정류부 접지(46)에 연결하고 전원부(48)의 1차측 스위칭 전류는 정류부 접지(46)를 통하여 흐른다. 1차와 절연된 전원부(48)의 2차 전원의 전류는 제어부 접지(44)를 통하여 흐른다.
즉, 전원부(48)의 1차측 전류는 정류부 접지(46)를 통해 흐르고, 2차측 전류는 제어부(39), 제어부 접지(44)를 통해 흘러 각각의 독립적인 경로를 갖는다. 제 어부(39)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42)는 게이트 드라이버(38)에 입력되고 제어부 접지(44)를 통하여 전달된다.
상기 구동신호(42)는 게이트 드라이버(38) 내의 증폭회로부, 연결선(49), 연결선(45)을 통하여 전달된다. 게이트 드라이버(38)에 의해 증폭된 구동 신호는 저항(Rg3), 연결선(43), 연결선(49)를 통하여 제어 스위치 소자(34)에 전달된다.
위와 같이, 접지 운영에 있어서 게이트 드라이버(38)에 입력된 구동 신호는 연결선(45)을 통하여 전달되어 전류 검출 저항(Rs4)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와 스위칭 잡음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한, 구동 신호의 전달이 전류 검출 저항(Rs4)을 거치지 않으므로 전류 검출회로(37)는 잡음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한 잡음 영향을 줄이는 접지 운영을 함으로써 제어부와 전류 검출회로에 잡음 발생이 줄어들고 잡음에 의한 인버터의 오동작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유도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를 전류 검출 저항에 의해 검출하여 유도 전동기의 운전 제어에 사용하는 인버터에 있어서,
    3상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접지를 1차 접지로 연결하고 직류/직류 변환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2차 접지를 공통 접지로 연결하는 전류 검출회로, 게이트 드라이버, 제어부, 및 제어 스위치 소자와;
    상기 공통 접지에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1차 접지에 일측을 연결하는 전류 검출 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구동 회로.
KR1020030086554A 2003-12-01 2003-12-01 인버터의 구동 회로 KR10058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554A KR100585860B1 (ko) 2003-12-01 2003-12-01 인버터의 구동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554A KR100585860B1 (ko) 2003-12-01 2003-12-01 인버터의 구동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960A KR20050052960A (ko) 2005-06-07
KR100585860B1 true KR100585860B1 (ko) 2006-06-07

Family

ID=3724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554A KR100585860B1 (ko) 2003-12-01 2003-12-01 인버터의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3413A (zh) * 2020-08-24 2022-05-13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高功率因数整流电路及电源转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960A (ko) 2005-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4107B1 (ko) 모터전원공급장치
JP5938008B2 (ja) 電力変換装置
EP33968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ter-phase short-circuit of three-phase mot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102036115B1 (ko) 압축기 보호 기능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JP2002199744A (ja) インバータ保護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2624411B1 (en) Power supply apparatus of home appliance
JP5396920B2 (ja) 三相交流電動機駆動システムの巻線切替装置
JP2008072857A (ja) モータ駆動装置
KR100512720B1 (ko) 모터전원공급장치 및 모터전원공급방법
KR101480468B1 (ko) 모터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075222B1 (ko) 역률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0585860B1 (ko) 인버터의 구동 회로
KR101958787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JP2009207263A (ja) 電力変換装置
KR102060068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TWI717142B (zh) 內建有輸出濾波器之變頻器裝置以及依據漏電流值而選擇性輸出電流之方法
KR101946369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JP4605915B2 (ja) 同期整流型コンバータ
KR20100055921A (ko) 세탁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3535073B2 (ja) インバータ機器の制御装置
JPH1063351A (ja) 電源装置
KR100335798B1 (ko) 인버터 일체형 유도전동기
JP2013135516A (ja) 電力変換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5359229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H10309078A (ja) スイッチング型直流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