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375B1 - 중탕기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중탕기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375B1
KR100585375B1 KR1020040089619A KR20040089619A KR100585375B1 KR 100585375 B1 KR100585375 B1 KR 100585375B1 KR 1020040089619 A KR1020040089619 A KR 1020040089619A KR 20040089619 A KR20040089619 A KR 20040089619A KR 100585375 B1 KR100585375 B1 KR 10058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asing
pipe
cooling devic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910A (ko
Inventor
김귀복
Original Assignee
김귀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귀복 filed Critical 김귀복
Priority to KR102004008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37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탕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열용기로부터 빠져나온 추출증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응결시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탕기의 냉각장치(30)에 의하면, 가열용기(20)에서 빠져나와 케이싱(31)내로 유입된 증기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파이프(40)를 통해 1차로 냉각되며, 계속하여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를 통해 2차로 냉각된다. 이에 따라 증기의 응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영양소 즉 약재성분의 손실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용기(20)에서 발생된 증기가 보다 완전하게 포집 회수됨으로써, 전반적인 중탕기의 제품 신뢰성 역시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 주변으로는 냉각수를 통해 1차로 냉각된 증기가 올라오기 때문에, 압축기(53)를 소용량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비전력 및 소음이 줄어들고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중탕기, 본체, 가열용기, 냉각장치, 냉각파이프

Description

중탕기의 냉각장치{A cooling device of drugs double boiler}
도 1은 종래 중탕기의 냉각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중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20..가열용기
30..냉각장치 31..케이싱
32..연결관 33..배출구
34..회수관 40..냉각파이프
50..냉동사이클의 증발기
본 발명은 중탕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용기로부터 빠져나간 추출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회수하기 위해 마련된 중탕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탕기는 유리 등의 재질로 된 가열용기에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여과기를 안치하고 물과 조리물을 각각 담아 가열함으로써, 한약재나 차 등의 조리물을 달이는 기기이다. 이러한 중탕기를 이용해 조리물을 달일 때 발생하는 증기는 조리물의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증기가 중탕기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막대한 영양소 손실이 우려된다.
따라서 중탕기에는 가열용기 상부측으로 냉각장치가 부설되어 있어서, 조리 시 발생되는 증기가 포집된 후 응결(凝結)되어 가열용기로 회수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 냉각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용기(미도시)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 케이싱(1)과, 이 케이싱(1) 내부에 배치되며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냉각코일(2)과, 케이싱(1)의 상부에 대기와 연통되게 마련된 폐가스 배출구(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케이싱(1)의 저부는 연결관(3)을 통해 가열용기의 상부 공간과 연결된다.
따라서 가열용기에서 발생된 증기는 연결관(3)을 통해 케이싱(1)내로 빠져나오며, 계속하여 냉각코일(2)과 열교환된다. 그리고 증기의 일부는 응결되어 다시 연결관(3)을 통해 회수되며, 나머지 일부는 폐가스 배출구(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때, 폐가스 배출구(4)로 배출되는 증기는 대부분 재액화되지 않는 산화성 물질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냉각장치에서는 연결관(3)을 통해 케이싱(1)내로 들어간 증기 일부가 폐가스 배출구(4)측으로 곧바로 상승하여 빠져나가는 경우도 있다. 즉, 케이싱(1) 저부로 유입된 증기가 냉각코일(2)의 내부 및 외측 공간을 통해 곧바로 케이싱(1) 상부공간으로 올라가며, 이러한 증기의 일부가 폐가스 배출구(4)를 통해 외부로도 빠져나가 많은 영양소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장치를 개선하여 가열용기에서 발생된 증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응결시켜 회수할 수 있는 중탕기의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 시 가열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 냉각시켜 회수하기 위한 중탕기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냉각장치는 가열용기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저부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어 증기가 유입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며 펌프를 통해 펌핑된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순환하여 케이싱내로 유입된 증기를 1차로 냉각하는 냉각파이프와, 냉각파이프 상부에 배치되며 냉매가 기화되면서 케이싱내로 유입된 증기를 2차로 냉각시키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와, 케이싱의 상부에 마련되어 액화되지 않은 증기가 빠져나가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각파이프는 케이싱의 내측 저부에 배치되며 수차례 U형태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는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태엽스프링 형태로 냉매파이프를 권선한 냉각부가 다단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관의 중도에는 케이싱내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에서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과, 이 회수관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열용기를 빠져나간 증기는 냉각수를 통해 1차로 냉각되며 계속하여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통해 2차로 냉각되면서 열교환 작용 즉 응결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탕기는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가열히터(미도시)와 같은 각종 전장품이 설치된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약재나 차 등의 조리물을 담기 위한 여과기(미도시)가 마련된 가열용기(20)와, 가열용기(20)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여 냉각하는 냉각장치(30)를 갖추고 있다.
본체(10)는 사각 함체상으로 구성되며, 이의 내부에는 가열용기(2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히터와, 냉각장치(30)측으로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핑 구성요소들과, 냉매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11 "은 본체(10)의 후방부에 세워져 설치되며 전장품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조작버튼이 마련된 콘트롤패널이다. 즉, 콘트롤패널(11) 을 통해 조리물의 중탕 추출시간 및 가열온도 등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가열용기(20)는 본체(10)의 상부에 안치되어 조리물이 실제 담기는 것으로, 이의 상부에는 탄압수단(22)을 통해 용기뚜껑(2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냉각장치(30)는 조리물을 달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회수함과 동시에 액화되지 않은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용기(2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연결관(32)을 통해 가열용기(20)의 상부공간과 연결되어 증기기 유입되는 케이싱(31)과, 이 케이싱(31)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된 증기를 냉각수를 통해 1차로 냉각하는 냉각파이프(40)와, 이 냉각파이프(40) 상부에 배치되며 케이싱(31)내로 유입된 증기를 2차로 냉각하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를 갖추고 있다.
케이싱(31)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폐쇄된 유리 원통으로 제작되며, 가열용기(20)의 상부 수평선상보다 높은 곳에 배치된다. 이러한 케이싱(31)의 저부는 연결관(32)을 통해 가열용기(20)와 연결된다. 즉, 연결관(32)의 하단은 가열용기(20)의 상부공간과 연통되게 결합되며, 이의 상단은 케이싱(31)의 저부와 연통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열용기(20)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연결관(32)을 통해 케이싱(31)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연결관(32)의 중도에는 케이싱(31)내에서 응결된 증류수를 외부에서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34)이 마련되어 있다.
이 회수관(34)은 연결관(32)에서 하부측과 연통되게 마련되는데, 이것은 연 결관(32)을 타고 내려오는 응결수가 회수관(34)내로 용이하게 흘러 들어가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회수관(34)에는 이를 개폐하기 위한 수동밸브(35)가 마련된다.
따라서 수동밸브(35)를 개방 작동시키면 케이싱(31)내에서 발생된 응결수는 회수관(34)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며, 수동밸브(35)를 폐쇄 작동시키면 응결수는 연결관(32)을 통해 가열용기(20)내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케이싱(31)의 상부에는 액화되지 않는 폐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3)가 마련된다.
그리고 냉각파이프(40)는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차례 U형태로 밴딩되며, 케이싱(31)의 내부 저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냉각파이프(40)에는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본체(10)에 내장된 펌프(45) 토출측과 연계된 인렛파이프(41)와, 열교환작용을 마친 물이 저수탱크(44)측으로 귀환되도록 안내하는 아웃렛파이프(42)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냉각파이프(40)측으로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본체(10)의 내부에는 아웃렛파이프(42)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열기(43)와, 이 방열기(43)에서 방열된 물이 일시 저장되는 저수탱크(44)와, 이 저수탱크(44)의 물을 펌핑하여 냉각파이프(40)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45)가 콤팩트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는 냉각파이프(40)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케이싱(31)의 내측 상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입된 증기를 2차로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는 케이싱(31)의 내측 상부 공간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냉매파이프를 태엽스프링 형태로 권선된 냉각부(50a)(50b)(50c)를 다단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증발기(50)의 입구에는 본체(10)에 내장된 냉동사이클의 응축기(54) 출구측과 연계된 인렛파이프(51)가 연결되며, 증발기(50)의 출구에는 증발작용을 마친 냉매를 다시 압축기(53)측으로 귀환되도록 안내하는 아웃렛파이프(52)가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증발기(50)를 태엽 스프링 형태의 냉각부(50a)(50b)(50c)가 다단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기술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냉매가 통과하여 열교환 작용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설명 부호 "55"은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응축기(54)와 증발기(50) 사이에 배치된 팽창수단으로, 압축된 냉매는 팽창수단(55)을 지나면서 증발하기에 용이한 압력으로 감압되게 된다.
이러한 증발기(50)를 제외하고 폐회로를 이루도록 연계된 압축기(53)와 응축기(54) 등은 본체(10)의 저부에 콤팩트하게 장착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가열용기(20) 내부에 적당량의 물을 넣고, 여과기(미도시)에는 달이고자 하는 약재나 차를 담아 가열용기(20) 내부에 안치시킨다. 계속하여 용기뚜껑(21)을 닫고, 콘트롤패널(11)을 통해 펌프(45)와 압축기(53)를 구동시키면, 펌핑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파이프(40)가 냉각되며,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에서는 냉매가 기화되면서 케이싱(31) 내부가 냉각된다.
그리고 가열히터(미도시)를 구동시켜 가열용기(20)를 가열하면 물이 끓으면서 여과기에 담긴 조리물이 달여진다. 이 때, 가열용기(20)내의 물이 끓기 시작하면서 증기는 연결관(32)을 통해 냉각장치(30)로 이동한다.
즉, 가열용기(20)에서 발생된 증기는 연결관(32)을 통해 케이싱(31) 저부로 유입되며, 냉각파이프(40) 주변을 지나면서 1차로 냉각된다.
계속하여 1차로 냉각된 증기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를 통해 2차로 냉각되어 응결된다. 즉, 케이싱(31)의 상부공간으로 올라온 증기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 주변을 돌아나가면서 열교환되어 응결된다. 그리고 액화되지 않은 증기는 통상 산화성 물질(폐가스)인데, 이것은 배출구(33)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한편, 수동밸브(35)를 개방한 경우에 케이싱(31)내의 응결수는 연결관(32) 및 회수관(34)을 통해 외부로 추출된다. 즉, 응결수는 연결관(32) 내부를 타고 흘러내려가면서 거의 대부분 회수관(34)으로 빠져나가며, 이로 인해 응결수만을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수동밸브(35)를 폐쇄한 경우에 케이싱(31) 내에서 발생된 응결수는 연결관(32)을 통해 다시 가열용기(20)로 들어가 현탁액에 혼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수관(34)을 연결관(32) 중도에 구성한 것을 예로 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케이싱(31) 저부에 회수관을 직접 연통되게 구성하여 응결수를 빼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탕기의 냉각장치에 의하면, 가열용기에서 빠져나와 케이싱내로 유입된 증기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파 이프를 통해 1차로 냉각되며, 계속하여 냉동사이클의 증발기를 통해 2차로 냉각된다. 이에 따라 증기의 응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영양소 즉 약재성분의 손실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용기에서 발생된 증기가 보다 완전하게 포집 회수됨으로써, 전반적인 중탕기의 제품 신뢰성 역시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냉동사이클의 증발기 주변으로는 냉각수를 통해 1차로 냉각된 증기가 올라오기 때문에, 압축기를 소용량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비전력 및 소음이 줄어들고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조리 시 가열용기(20)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포집 냉각시켜 회수하기 위한 중탕기의 냉각장치(30)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30)는;
    상기 가열용기(2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저부가 연결관(32)을 통해 연결되어 증기가 유입되는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의 내부에 배치되며 펌프(45)를 통해 펌핑된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순환하여 상기 케이싱(31)내로 유입된 증기를 1차로 냉각하는 냉각파이프(40)와,
    상기 냉각파이프(40) 상부에 배치되며 냉매가 기화되면서 상기 케이싱(31)내로 유입된 증기를 2차로 냉각시키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와,
    상기 케이싱(31)의 상부에 마련되어 액화되지 않은 증기가 빠져나가는 배출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냉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파이프(40)는 상기 케이싱(31)의 내측 저부에 배치되며 수차례 U형태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냉각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는 상기 케이싱(31)의 내측 상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태엽스프링 형태로 냉매파이프를 권선한 냉각부(50a)(50b)(50c)가 다단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냉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2)의 중도에는 상기 케이싱(31)내에서 발생된 응결수를 외부에서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34)과, 상기 회수관(34)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3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냉각장치.
KR1020040089619A 2004-11-05 2004-11-05 중탕기의 냉각장치 KR100585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619A KR100585375B1 (ko) 2004-11-05 2004-11-05 중탕기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619A KR100585375B1 (ko) 2004-11-05 2004-11-05 중탕기의 냉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592U Division KR200351924Y1 (ko) 2004-03-11 2004-03-11 중탕기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910A KR20050091910A (ko) 2005-09-15
KR100585375B1 true KR100585375B1 (ko) 2006-06-07

Family

ID=3727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619A KR100585375B1 (ko) 2004-11-05 2004-11-05 중탕기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948A (ko) 2020-07-02 2022-01-11 최종율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4835B (zh) * 2018-08-28 2020-11-24 亳州市永刚饮片厂有限公司 一种中药加工用蒸煮反应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376A (ja) * 1988-07-04 1990-01-19 Murata Mfg Co Ltd 真空排気装置
KR20000003432U (ko) * 1998-07-24 2000-02-15 강경욱 전기 히타 중탕 가열솥
KR200230725Y1 (ko) 2001-02-12 2001-07-19 유종훈 냉각테이블
KR200287000Y1 (ko) 2001-06-20 2002-08-27 장병만 이화학용 수냉식 이중냉각기
KR100500697B1 (ko) 2002-10-21 2005-07-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단계 열회수형 물유동층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376A (ja) * 1988-07-04 1990-01-19 Murata Mfg Co Ltd 真空排気装置
KR20000003432U (ko) * 1998-07-24 2000-02-15 강경욱 전기 히타 중탕 가열솥
KR200230725Y1 (ko) 2001-02-12 2001-07-19 유종훈 냉각테이블
KR200287000Y1 (ko) 2001-06-20 2002-08-27 장병만 이화학용 수냉식 이중냉각기
KR100500697B1 (ko) 2002-10-21 2005-07-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단계 열회수형 물유동층 열교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948A (ko) 2020-07-02 2022-01-11 최종율 중탕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중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910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153B1 (ko) 응축수의 강제 순환과 진공압 유지 및 물 보충 자동형 진공 스팀 보일러
US6010599A (en) Compact vacuum distillation device
KR200448549Y1 (ko) 저온 추출 및 농축 병행장치
US4494317A (en) Accessory device for removing solvent vapor in machines for dry cleaning garments and the like
CN108042085A (zh) 干燥装置和具有其的洗涤电器和洗碗机
CN105091509A (zh) 一种热泵真空干燥装置
KR100585375B1 (ko) 중탕기의 냉각장치
KR200351924Y1 (ko) 중탕기의 냉각장치
CN213977034U (zh) 一种废液处理系统
US20210301804A1 (en) Multi-cooling type cold trap
JP6159579B2 (ja) 水加熱装置
CN1795356A (zh) 具有冷凝水蒸发器的致冷器具
KR200342041Y1 (ko) 중탕기의 냉각장치
KR200351923Y1 (ko) 중탕기의 냉각장치
CN205603556U (zh) 基于空气能的植物干燥及精油、纯露提取系统
KR200342040Y1 (ko) 중탕기의 냉각장치
CN209254140U (zh) 一种撬装式溶液低温蒸发装置
CN209445646U (zh) 一种电热除霜的制冷系统
CN205917233U (zh) 一种节能型脱臭设备
CN205598704U (zh) 空气能植物活性物提取系统
KR100566924B1 (ko) 한약 농축액 추출 포장기
CN219368156U (zh) 一种茶叶升华干燥设备
JP2001091120A (ja) 蒸気凝縮用熱交換器を持った真空冷却装置
KR200256456Y1 (ko) 한약재 추출기
CN218711629U (zh) 一种家用定制型热泵干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