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066B1 -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 - Google Patents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066B1
KR100585066B1 KR1019990029534A KR19990029534A KR100585066B1 KR 100585066 B1 KR100585066 B1 KR 100585066B1 KR 1019990029534 A KR1019990029534 A KR 1019990029534A KR 19990029534 A KR19990029534 A KR 19990029534A KR 100585066 B1 KR100585066 B1 KR 10058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dex
signal
video
index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567A (ko
Inventor
허광호
황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06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6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a video-frame or a video-field (P.I.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Abstract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을 공개한다. 재생되는 영상신호와 기록하고자 하는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선택신호에 따라 재생된 영상신호 또는 기록하고자 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선택기, 재생모드인가 또는 기록모드인가에 따라 선택신호를 발생하고, 기록모드이면 신(scene)과 신사이의 경계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한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정보신호를 발생하고, 재생모드이면 재생되는 영상신호에서 인덱스 영상이 검출되면 경계정보신호를 발생하는 경계정보 검출기, 비디오 메모리 및 기록모드에서는, 경계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인덱스 영상으로 간주하고, 지금까지 발생된 인덱스 영상의 갯수에 따라 결정되는 이미지 축소율에 따라 발생된 인덱스 영상들을 축소하여 비디오 메모리 및 상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재생모드에서는, 경계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인덱스 영상으로 간주하여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인덱스 영상을 정지 영상으로 제공하는 인덱스 영상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비디오 멤모리를 사용하여 신과 신사이의 경계에 인덱스 영상을 함께 기록하므로, 재생시 테이프에 기록된 내용을 바로 알 수 있고 원하는 화면을 빠르고 쉽게 찾아 영상의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recording/writing function of index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c)는 도 1에 도시된 VCR이 기록모드일 때, 비디오 메모리에 인덱스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이하, VC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된 영상의 히스토리(history)를 나타내는 인덱스 영상을 테이프에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VCR은 촬영된 각 신(scene:의미가 일관된 일련의 복수화상)들을 대표하는 인덱스 영상들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없다. 그래서, 사용자는 기록된 테이프를 처음부터 끝까지 재생을 시켜서 확인해본 뒤에야 테이프의 내용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상의 특정 부분을 찾고자 할 때에도 테이프를 처음부 터 재생을 하여 찾아갈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VCR에 내장된 메모리를 이용하여 각 신을 대표하는 인덱스 영상을 신과 신사이에 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구간에 기록하여 사용자가 영상 편집을 쉽게 하고 테이프에 기록된 내용을 바로 알 수 있는 등 VCR의 이용을 편리하게 하는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재생되는 영상신호와 기록하고자 하는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선택신호에 따라 재생된 영상신호 또는 기록하고자 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선택기, 재생모드인가 또는 기록모드인가에 따라 선택신호를 발생하고, 기록모드이면 신(scene)과 신사이의 경계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한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정보신호를 발생하고, 재생모드이면 재생되는 영상신호에서 인덱스 영상이 검출되면 경계정보신호를 발생하는 경계정보 검출기, 비디오 메모리 및 기록모드에서는, 경계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인덱스 영상으로 간주하고, 지금까지 발생된 인덱스 영상의 갯수에 따라 결정되는 이미지 축소율에 따라 발생된 인덱스 영상들을 축소하여 비디오 메모리 및 상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재생모드에서는, 경계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인덱스 영상으로 간주하여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인덱스 영상을 정지 영상으로 제공하는 인덱스 영상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은 제1선택기(10), 경계정보 검출기(12), 인덱스 영상 생성부(22), 재생/기록기(26) 및 디스플레이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제1선택기(10)는 경계정보 검출기(12)로부터 발생되는 모드 판별신호(R/W)에 응답하여 재생/기록기(26)의 테이프(30)로부터 재생되는 재생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테이프(30)에 기록하기 위해 입력단자 IN으로부터 수신되는 기록 영상신호를 인덱스 영상 생성부(22)로 선택 출력한다. 즉, VCR이 재생상태인가 또는 기록상태인가에 따라 모드 판별신호(R/W)는 발생되고, VCR이 재생상태이면 제1선택기(10)는 재생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VCR이 기록모드이면 기록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경계정보 검출기(12)는 VCR이 재생모드인가 또는 기록모드인가에 따라 모드 판별신호(R/W)를 발생한다. 경계정보 검출기(12)는 VCR이 기록모드이면 입력단자 IN으로 입력되는 기록영상의 신(scene)과 신사이의 경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정해지는 영상의 경계를 표시하는 경계정보신호(BOUND)를 발생한다. 또한, VCR이 재생모드이면 재생 영상신호에서 인덱스 영상이 검출되면 경계정보신호(BOUND)를 발생한다.
인덱스 영상 생성부(22)는 모드 판별신호(R/W)에 따라 VCR이 기록모드이면, 경계정보신호(BOUND)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인덱스 영상으로 간주하고, 지금까지 발생된 인덱스 영상의 갯수에 따라 이미지 축소율을 구하고, 입력되는 인덱스 영상들을 이미지 축소율에 따라 축소하여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한다. 인덱스 영상 생성부(22)는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인덱스 영상들 읽어들여 테이프(30)에 기록되도록 출력한다. 여기서, 비디오 메모리(24)는 비디오 신호처리를 위해 프레임(또는 필드)단위로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이다. 이러한 프레임 메모리에 입력되는 인덱스 영상들을 모두 저장하기 위해, 인덱스 영상들은 적당한 축소율로 축소되어야 한다. 한편, VCR이 재생모드이면, 경계정보신호(BOUND)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인덱스 영상으로 간주하여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인덱스 영상을 반복적으로 출력하므로 정지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인덱스 영상 생성부(22)는 구체적으로 이미지 스케일러(image scaler)(14), 이미지 믹서(mixer)(16), 지연 조정기(18) 및 제2선택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미지 스케일러(14)는 모드 판별신호(R/W)에 따라 VCR이 기록모드이면, 경계정보신호(BOUND)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인덱스 영상으로서, 이미지 믹서(16)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축소율에 따라 인덱스 영상을 축소하고, 축소된 인덱스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이미지 스케일러(14)는 모드 판별신호(R/W)에 따라 VCR이 재생모드이면, 경계정보신호(BOUND)에 응답하여, 제1선택기(10)에서 발생되는 재생 영상신호를 그대로 이미지 믹서(16)로 출력한다.
이미지 믹서(16)는 모드 판별신호(R/W)에 따라 VCR이 기록모드이면, 지금까지 발생되는 인덱스 영상의 갯수에 따라 따라 이미지 축소율을 구하고, 이를 이미지 스케일러(14)로 출력한다. 여기서, 인덱스 영상의 갯수는 경계정보신호(BOUND)를 카운트하여 구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믹서(16)는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이전 인덱스 영상들의 이미지 축소율과 현재 이미지 스케일러(14)의 이미지 축소율이 같아지도록 제어한다. 즉,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이전 인덱스 영상들의 이미지 축소율과 이미지 스케일러(14)의 현재 이미지 축소율이 같으면 이미지 스케일러(14)로부터 발생되는 축소된 인덱스 영상을 받아들여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한다. 그러나,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이전 인덱스 영상들의 이미지 축소율과 이미지 스케일러(14)의 현재 이미지 축소율이 같지 않으면, 이미지 믹서(14)는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이전 인덱스 영상들을 읽어들여 그들을 이미지 스케일러(14)의 이미지 축소율로 다시 축소한다. 이미지 믹서(16)는 다시 축소된 이전 인덱스 영상들을 이미지 스케일러(14)에서 출력되는 현재의 인덱스 영상과 함께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한다.
또한, 이미지 믹서(16)는 인덱스 영상들이 테이프상에 기록되도록,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인덱스 영상들을 다시 독출하여 제2선택기(20)로 출력한다. 이미지 믹서(16)가 이미지 축소율을 구하는 방법 및 비디오 메모리(24)에 인덱스 영상들이 저장되는 과정에 때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모드 판별신호(R/W)에 따라 VCR이 재생모드이면, 경계정보신호(BOUND)에 응답하여 이미지 스케일러(14)로부터 발생도는 영상을 인덱스 영상으로서 비디 오 메모리(24)에 저장하면서 제2선택기(20)로 출력한다.
지연 조정기(18)는 경계정보신호(BOUND)의 지연시간을 조정하여 경계정보신호(BOUND)가 이미지 믹서(16)에서 출력되는 인덱스 영상과 타이밍이 맞도록 조정한다. 즉, 인덱스 영상은 이미지 스케일러(14) 및 이미지 믹서(16)를 거치면서 소정시간 지연되어 제2선택기(20)로 출력된다. 따라서, 이미지 믹서(16)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경계정보신호(BOUND)의 타이밍을 동기시킬 필요가 있다.
제2선택기(18)는 지연 조정기(18)에서 발생되는 신호(N3)에 응답하여, 제1선택기(10)에서 발생되는 영상신호 또는 이미지 믹서(16)에서 발생되는 인덱스 영상을 선택하여 테이프 재생/기록기(26) 및 디스플레부(28)로 출력한다.
테이프 재생/기록기(26)는 제2선택기(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테이프(30)에 기록하거나 또는 테이프(30)에 기록된 영상을 재생하여 제1선택기(1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28)는 제2선택기(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도 2(a)~(c)는 도 1에 도시된 VCR이 기록모드일 때, 비디오 메모리(24)에 인덱스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a)는 기록되는 영상의 신 구별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각 신을 대표하는 인덱스 영상을 나타낸다. 즉, A, B, C, D, E는 신 S1, S2, S3, S4, S5의 인덱스 영상이고, F는 마지막 촬영된 프레임(또는, 필드)의 영상이다. 도 2(c)는 인덱스 영상들이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ls
도 1 및 도 2(a)~(c)를 참조하면, 경계정보 검출기(12)는 각 신(S1, S2, S3, S4, S5) 경계구간인 I1, I2, I3, I4, I5 및 I6에서 경계정보신호(BOUND)를 발생한다. 경계정보신호(BOUND)가 발생되면, 이미지 스케일러(14)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신을 대표하는 한 화면분(1필드 또는 1프레임)의 인덱스 영상을 받아들여 이미지 믹서(16)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축소율에 따라 인덱스 영상을 축소한다. 이미지 믹서(16)는 지금까지 발생되는 인덱스 영상이 프레임 메모리로 구성되는 비디오 메모리(24)에 모두 저장될 수 있도록 이미지 축소율을 조절하고, 이를 이미지 스케일러(14)로 출력한다. 여기서, 인덱스 영상을 축소하기 위한 축소율은 다음 조건식 1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조건식 1]
(a-1)2<인덱스 영상의 갯수≤a2이면, 이미지 축소율은 1/a2
여기서, a는 0보다 큰 자연수며, 인덱스 영상의 개수는 경계정보신호(BOUND)를 카운트하여 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b)에 도시된 첫번째 인덱스 영상 A가 이미지 스케일러(14)로 입력되면, 조건식 1에 의해 이미지 축소율은 1이 된다. 따라서, 첫번째 인덱스 영상 A는 축소되지 않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대로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되며, 테이프(30)에 기록된다. 2번째 인덱스 영상 B가 입력되면 이미지 축소율은 조건식 1에 의해 1/4이 되며, 이미지 스케일러(14)로 입력되는 인덱스 영상은 1/4로 축소된다. 이미지 믹서(16)는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이전 인덱스 영상 A의 축소율과 이미지 스케일러(14)의 이미지 축소율이 동일한가를 비교한다. 이 때,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이전 인덱스 영상 A의 축소율과 이미지 스케일러(14)의 이미지 축소율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이미지 믹서(16)는 비디오 메모리(24)로부터 저장된 이전 인덱스 영상 A를 읽어들여 이미지 스케일러(14)의 이미지 축소율로 인덱스 영상 A를 축소한다. 즉, 이미지 믹서(16)는 1/4로 인덱스 영상 A를 축소하고, 축소된 인덱스 여상 A와 이미지 스케일러(14)로부터 발생되는 축소된 인덱스 영상 B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메모리(24)로 저장하고, 테이프(30)에 기록되도록 출력한다. 계속해서, 인덱스 영상 C 및 D가 1/4로 축소되어 비디오 메모리(24)로 저장된다.
한편, 5번째 인덱스 영상 E가 입력되면 조건식 1에 의해 이미지 축소율은 1/9로 된다. 이미지 스케일러(14)는 이미지 믹서(16)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축소율에 따라 인덱스 영상 E를 1/9로 축소한다. 이 때,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인덱스 영상들은 1/4로 축소된 상태이다. 즉,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이전 인덱스 영상들의 축소율과 이미지 스케일러(14)의 이미지 축소율이 다르다. 따라서, 이미지 믹서(16)는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된 인덱스 영상들 A, B, C, D를 읽어들여 이들의 스케일이 이미지 스케일러(14)에서 발생되는 인덱스 영상의 스케일과 동일해지도록, 인덱스 영상들 A, B, C, D의 스케일을 조정한다. 이미지 믹서(14)는 스케일 조정된 인덱스 영상 A, B, C, D와 이미지 스케일러(14)에 의해 축소된 인덱스 영상 E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메모리(24)로 저장하고, 테이프(30)에 기록되도록 출력한다.
이처럼, 입력되는 인덱스 이미지의 개수에 따라 이미지의 축소율을 가변시키 는 이유는 아날로그 방식에 의한 기록시 S/N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미지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가져가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해 인덱스 영상을 비디오 메모리(24)에 저장하면, 최종적으로 비디오 메모리(24) 및 테이프에 기록되는 인덱스 영상은 지금까지 발생된 인덱스 영상 A, B, C, E, F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기록되는 인덱스 영상을 확인하면, 테이프(30)에 기록된 각 신을 대표하는 인덱스 영상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덱스 영상을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은 비디오 멤모리(24)를 사용하여 신과 신사이의 경계에 인덱스 영상을 함께 기록할 수 있으며, 재생시 기록된 인덱스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의 편집을 용이하게 하고 테이프에 기록된 내용을 바로 알 수 있는 등 VCR의 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 는 VCR은 비디오 멤모리(24)를 사용하여 신과 신사이의 경계에 인덱스 영상을 함께 기록하므로, 재생시 테이프에 기록된 내용을 바로 알 수 있고 원하는 화면을 빠르고 쉽게 찾아 영상의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이다.

Claims (3)

  1. 재생 모드 또는 기록 모드에 따라 테이프에 영상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VCR에 있어서,
    재생되는 영상신호와 기록하고자 하는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선택신호에 따라 재생된 영상신호 또는 기록하고자 하는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선택기;
    재생모드인가 또는 기록모드인가에 따라 상기 선택신호를 발생하고, 기록모드에서는 신(scene)과 신사이의 경계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한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정보신호를 발생하고, 재생모드에서는 인덱스 영상이 검출되면 상기 경계정보신호를 발생하는 경계정보 검출기;
    비디오 메모리; 및
    기록모드에서는, 상기 경계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인덱스 영상으로 간주하고, 지금까지 발생된 인덱스 영상의 갯수에 따라 결정되는 이미지 축소율에 따라 발생된 인덱스 영상들을 축소하여 상기 비디오 메모리 및 상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재생모드에서는, 상기 경계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인덱스 영상으로 간주하여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 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인덱스 영상을 정지 영상으로 제공하는 인덱스 영상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영상 생성부는
    (a-1)2<인덱스 영상의 갯수≤a2이면, 상기 이미지 축소율은 1/a2(여기서, a>0인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영상 생성부는
    상기 VCR이 기록모드이면, 상기 경계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인덱스 영상으로서 상기 이미지 축소율에 따라 축소하여 출력하고, 상기 VCR이 재생모드이면, 상기 제1선택기에서 발생되는 재생 영상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이미지 스케일러;
    상기 VCR이 기록모드이면, 발생된 상기 경계정보신호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축소율을 결정하여 상기 이미지 스케일러로 출력하고,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인덱스 영상들의 축소비율과 상기 이미지 스케일러의 축소비율이 같도록 이전 인덱스 영상들의 축소비율을 조정하여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현재의 인덱스 영상과 함께 저장하고,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인덱스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VCR이 재생모드이면 상기 경계정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인덱스 영상을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출력하는 이미지 믹서;
    상기 경계정보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경계정보신호가 상기 이미지 믹서에서 출력되는 인덱스 영상과 동기되도록 조정하는 지연 조정기; 및
    상기 지연 조정기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선택기에서 발생되는 영상신호 또는 상기 이미지 믹서에서 발생되는 인덱스 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선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
KR1019990029534A 1999-07-21 1999-07-21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 KR10058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534A KR100585066B1 (ko) 1999-07-21 1999-07-21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534A KR100585066B1 (ko) 1999-07-21 1999-07-21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567A KR20010010567A (ko) 2001-02-15
KR100585066B1 true KR100585066B1 (ko) 2006-06-01

Family

ID=1960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534A KR100585066B1 (ko) 1999-07-21 1999-07-21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0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685A (ko) * 1996-10-17 1998-07-15 김광호 비디오카세트레코더의 녹화테이프 목차정보 처리방법
KR19980051454A (ko) * 1996-12-23 1998-09-15 구자홍 비디오 인덱스 서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685A (ko) * 1996-10-17 1998-07-15 김광호 비디오카세트레코더의 녹화테이프 목차정보 처리방법
KR19980051454A (ko) * 1996-12-23 1998-09-15 구자홍 비디오 인덱스 서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567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4609A1 (en)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JP2958048B2 (ja) テレビジョン画像処理装置
US5787222A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JP4953545B2 (ja) オーバービュー再生モードを有する再生装置
JP3998909B2 (ja) リングバッファ付き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585066B1 (ko) 인덱스 영상을 기록/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vcr
EP0588535A1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452096A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herein the same frame of a video signal is repeatedly read out of a memory to produce special effects
JPH0523297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4215123A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及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KR200140949Y1 (ko) 테이프 녹화정보 확인기능을 구비한 비디오카세트레코더
JP3389386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735289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JP3647061B2 (ja) 映像再生装置
JP3000964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KR100219153B1 (ko) 카메라 촬영조건 화면표시장치
JP3089978B2 (ja) 垂直同期信号挿入装置
JPH1011951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US7796861B2 (en) Video reproducing apparatus
KR100201258B1 (ko) 캠코더의 촬영화면 및 재생화면 동시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JP2786481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JP3272244B2 (ja) デジタルビデオレコーダ
JPH1188829A (ja) ビデオ情報の編集方法及び編集装置ならびに編集方法の手順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2947393B2 (ja) タイムコード信号再生装置
KR0123777B1 (ko) 화상타이틀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