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456B1 - 누름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456B1
KR100584456B1 KR1020040044541A KR20040044541A KR100584456B1 KR 100584456 B1 KR100584456 B1 KR 100584456B1 KR 1020040044541 A KR1020040044541 A KR 1020040044541A KR 20040044541 A KR20040044541 A KR 20040044541A KR 100584456 B1 KR100584456 B1 KR 10058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ight
arm
light guid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105A (ko
Inventor
모리타카즈아키
토비타코키치
히라이요시카즈
미네테루유키
사토타다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1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01H2219/0622Light conductor only an illuminated ring around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수가 적은 칩 LED를 이용하여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조광을 행할 수 있는 조광형의 누름버튼 스위치를 얻는다.
해결 수단
조작 플런저(3')를 가압 조작함에 의해, 베이스 부재(8')에 배설된 스위치 본체(6)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 스위치로서, 조작 플런저(3')의 외단 부위에 배치 구비한 가압 부재로서의 캡(2')의 외주를, 투명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렌즈(30)의 주위테두리부(30d)로 밖에서 둘러쌈과 함께, 플런저 내 속의 중심 부근에 위치시켜서 배치 구비한 광원(5)로부터의 광을 상기 주위테두리부(30d)의 상단부로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누름버튼, 스위치

Description

누름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링크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감촉용 스프링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동작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단면도.
도 6은 스트로크와 하중과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의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방진 시트 장착전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방진 시트가 장착된 누름버튼 스위치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누름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누름버튼 스위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2' : 캡 3, 3' : 조작 플런저
5 : 칩 LED 6 : 리프 스위치
7 : 배선 기판 8, 8' : 베이스 부재
9, 9' : 커버 3d, 30d : 주위테두리부
12 : 제 1의 레버 13 : 제 2의 레버
14 : 복귀 스프링 15 : 감촉용 스프링
17 : 조작편 30 : 렌즈
h : 테이퍼 구멍 s, w : 테이퍼면
기술분야
본 발명은, 누름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벽면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용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 지시 스위치 등에 알맞은 조광식(照光式)의 누름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누름버튼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누름버튼의 조작면을 가압 조작하여 조작 플런저를 압입 변위시킴에 의해, 스위치 본체를 작동시키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고, 또한, 스위치 본체가 작동된 것을 표시하기 위해 LED 등의 광원을 이용한 조광 수단이 내장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평11-314861호 공보(도 3, 도 4)
종래의 누름버튼 스위치에 조립된 조광 수단으로서는, 가압 부재로서의 누름버튼의 조작면 전체를 비추기 위해, 다수개의 LED가 광원으로서 이용되고 있고, 고비용의 하나의 원인으로 되는 것이였다.
또한, 종래의 누름버튼 스위치에서는, 누름버튼의 가압 조작에 의해 압입 변위되는 스위치 조작용의 플런저를 고정된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누름버튼의 조작면의 단(端)을 가압하는, 소위 구석 누름(片押)이 되더라도 조작 플런저를 원활히 슬라이드 변위시키기 위해, 가이드 부재로 조작 플런저를 조작 방향에 따라 길게 안내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스위치 전체가 두꺼워져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적은 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조광을 행할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석 누름에 대해서도 적정한 스위칭 작동을 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면서 스위치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누름버튼 스위치는, 조작면을 갖는 가압 부재를 가압 조작함에 의해, 해당 가압 부재에 연동하는 조작 플런저를 통하여 베이스 부재에 배설된 스위치 본체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 스위치로서, 조광용의 광원 및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도광 부재를 구비하고, 해당 도광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조작면의 외주를 바깥에서 둘러싸는 주위테두리부를 갖음과 함께,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주위테두리부로 유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가압 부재의 조작면을 바깥에서 둘러싸는 주위테두리부로 유도하고 그 주위테두리부를 빛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면의 주위의 테두리 부분이 조광하는, 소위 테두리 조광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도광 부재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외주로 유도하기 때문에, 광원은, 중앙 부근만에 위치시켜서 마련하면 좋고, 광원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광원은,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조작면의 배면의 중앙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배면과의 사이에, 상기 도광 부재가 배치됨과 함께, 해당 도광 부재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렌즈 부재이다.
본 실시 양태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해당 광원과 가압 부재의 배면과의 사이에 배치된 렌즈 부재에 의해, 외주측의 주위테두리부로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또한, 광원은, 상기 가압 부재의 배면의 중앙부에 대향하도록, 단일, 또는, 2개 정도의 칩 LED 등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여 상기 주위테두리부로 유도하는 반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양태에 의하면, 반사면에 의해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방향을 바꾸어 효율적으로 주위테두리부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는, 해당 도광 부재에 형성된 테이퍼 구멍을 상기 반사면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 구멍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배면의 외주측으로 반사하는 것이다.
여기서, 구멍(혈)은, 관통한 구멍이라도 좋고, 또는, 관통하지 않은 파여진 구멍이라도 좋다.
본 실시 양태에 의하면, 가압 부재의 배면의 중앙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테이퍼 구멍에서 반사시켜서 상기 가압 부재의 외주측의 주위테두리부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는, 해당 도광 부재의 외주부에 형성된 테이퍼면을 상기 반사면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테이퍼 구멍에서 반사되고 상기 배면의 외주측으로 유도된 광을, 상기 조작면측으로 반사하는 것이다.
본 실시 양태에 의하면, 가압 부재의 배면측에서, 중앙부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테이퍼 구멍에서 반사시켜서 외주측의 주위테두리부로 유도하고, 이 반사되어 외주측의 주위테두리부로 유도된 광을, 테이퍼면에서 더욱 반사시켜서 배면측으로부터 조작면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주위테두리부로 둘러싸인 오목부을 가지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배면 및 상기 도광 부재의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장착할 때의 위치맞 춤용 마크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양태에 의하면, 가압 부재를 도광 부재의 오목부에 장착할 때에, 가압 부재의 배면의 위치맞춤용 마크를, 투명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광 부재의 오목부의 위치맞춤용 마크에 맞추어서 장착할 수 있고, 이로써, 조작에 필요한 표시 등이 붙여져 있는 가압 부재를 올바른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조작 플런저에, 상기 도광 부재를 일체화하고 상기 조작 플런저로 상기 도광 부재를 겸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 양태에 의하면, 전용의 렌즈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개수 및 조립 공수의 저감에 유효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서는, 일단측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상기 조작 플런저에 연결된 제 1의 레버와, 일단측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상기 조작 플런저에 연결된 제 2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의 레버의 중간부를 교차 형상으로 조합시키고 상기 타단측을, 상기 일단측에 대해 평행 상태로 상기 조작 방향에 따라 변위 가능하게 하고, 한쪽의 레버에는, 상기 조작 플런저의 변위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 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본 실시 양태에 의하면, 제 1, 제 2의 레버에 의해 평행 운동 기구가 구성되고, 조작 플런저가 연결된 상기 양 레버의 타단측이, 베이스 부재에 지지된 일단측에 대해 평행 상태로 조작 방향에 따라 변위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 플런저에 연동하는 가압 부재를 구석 누름으로 하여도 경 사하는 일 없이 변위하게 된다. 또한, 조작 플런저의 변위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 부재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양호한 클릭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제 1, 제 2의 각 레버는, 제 1 내지 제 4의 암부가 연속하여 개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단측이 제 1의 암부로 됨과 함께, 상기 타단측이, 상기 제 1의 암부에 대향하는 제 3의 암부로 되고, 상기 양 레버는, 한쪽의 레버의 제 3의 암부가, 다른쪽의 레버의 제 1의 암부와 제 3의 암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2, 제 4의 암부의 중간부에서 교차 형상으로 조합됨과 함께, 복귀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가압 조작에 대항하도록 복귀 가세되고, 상기 조작 플런저는, 상기 양 레버의 상기 제 3의 암부에 착탈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제 3의 암부의 승강에 의해 조작 방향에 따라 변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조합된 상기 양 레버로 구획되는 영역 내에, 상기 광원이 실장된 배선 기판을 착탈 자유롭게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양태에 의하면, 각 레버는, 제 1 내지 제 4의 암부가 연속한 개략 직사각형 형상이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조합시킨 직사각형의 양 레버로 구획되는 영역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조광용의 광원이 실장된 배선 기판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플런저 및 배선 기판은, 착탈 자유롭기 때문에, 메인티넌스성에 우수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배선 기판의 이면에, 상기 스위치 본체로서의 리프 스위치를 실장하고, 해당 리프 스위치의 조작편을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어느 하나의 레버의 상기 제 3의 암부로 조작하는 것이다.
본 실시 양태에 의하면, 배선 기판의 양면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양 레버는 복귀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 스위치의 조작편을 제 3의 암부의 위에 위치시켜서 복귀시에는, 접점을 오프 시키고, 가압 조작시에는 접점을 온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한쪽의 레버의 상기 제 1의 암부와 다른쪽의 레버의 제 3의 암부와의 사이에 개장됨과 함께, 조작 플런저의 가압 조작에 수반하는 제 3의 암부의 변위에 의해 상기 스프링 부재의 가세 방향이 반전하는 것이다.
본 실시 양태에 의하면, 조작 플런저의 가압 조작에 수반하는 제 3의 암부의 변위에 의해 스프링 부재의 가세 방향이 반전하기 때문에, 양호한 클릭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상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이 누름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는, 엘리베이터의 승차장 벽면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용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 등의 지시 스위치로서 이용되는 조광식의 누름버튼 스위치이다.
이 누름버튼 스위치(1)는, 기본적으로는, 조작면을 갖는 가압 부재로서의 캡(2)이 장착된 조작 플런저(3)와, 이 조작 플런저(3)를 경사하는 일 없이 조작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에 따라 변위시키는 후술하는 링크 기구(4)와, 조광용의 광원으로서의 칩 LED(5) 등의 전자 부품이 표면에 실장됨과 함께, 이면에 스위치 본체로서의 리프 스위치(6)가 실장된 배선 기판(7)과, 이 배선 기판(7) 및 상술한 링크 기구(4) 등을 수납하는 베이스 부재(8)와, 베이스 부재(8)에 밖으로 끼워지고(外嵌) 나사 고정 되는 커버(9)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조작 플런저(3)는, 칩 LED(5)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도광 부재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한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그 외주 상단에 돌설 형성한 주위테두리부(3d)를 구비하고 있고, 이 주위테두리부(3d)로 둘러싸인 오목부에 캡(2)이 끼워넣어지고 점착 테이프(10)로 붙이어 고정되어 있다.
즉, 주위테두리부(3d)는, 캡(2)의 조작면의 외주를 바깥에서 둘러싸는 것으로서, 상술한 종래 예와 같이, 캡(2)의 조작면 전체를 조광하는 것이 아니라, 캡(2)의 조작면을 바깥에서 둘러싸는 주위테두리부(3d)를 조광함에 의해, 디자인적으로도 우수한, 소위 테두리 조광을 행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조작 플런저(3)는, 칩 LED(5)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도광 부재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 그 중심에는, 반사면을 구성하는 상방으로 밖으로 벌어지는 테이퍼 구멍(h)이 형성됨과 함께, 이 테이퍼 구멍(h)의 안쪽 속(內奧)부에 상기 칩 LED(5)가 배치 구비되고, 칩 LED(5)로부터의 광이 테이퍼 구멍(h)의 주위면에 의해 해당 테이퍼 구멍(h)의 주위로 퍼지도록 전반사되고 외주측으로 유도되 도록 되어 있다. 이 테이퍼 구멍(h)의 경사 각도는, 중심에 배치된 칩 LED(5)로부터의 광을, 캡(2)의 외주측의 주위테두리부(3d)로 효율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4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테이퍼 구멍(h)은, 하방으로 밖으로 벌어지도록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관통하지 않는 파여진 테이퍼 형상의 구멍이라도 좋다.
또한, 조작 플런저(3)의 주위테두리부(3d)의 하단 모서리부에는, 테이퍼면(s)이 형성되고, 테이퍼 구멍(h)에서 전반사되고 외주까지 유도된 광이 다시 테이퍼면(s)에서 전반사되고, 상기 주위테두리부(3d)의 상단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s)의 경사 각도는, 캡(2)의 배면측의 광을, 상방의 조작면측으로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4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테이퍼면(s)은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캡(2)의 조작면의 배면에는, 필름의 부착이나 인쇄에 의해 백색의 반사면을 형성하고 있고, 테이퍼 구멍(h)을 통과한 광을 렌즈 부재(3) 내로 반사시켜서, 주위테두리부(3d)로 유도하는 광량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작 플런저(3)는, 중심에 배열 구비된 단일의 칩 LED(5)로부터의 광을, 테이퍼 구멍(h)과 테이퍼면(s)에서 반사하여 주위테두리부(3d)의 상단 전둘레로 유도하는 도광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2)을 가압 조작하여 조작 플런저(3)를 통하여 리프 스위치(6)를 작동시킨 때에는, 칩 LED(5)로부터의 광을, 캡(2)의 조작면의 외주를 바깥에서 둘러싸는 주위테두리부(3d)로 유도하여 캡(2)의 주위를 조광시키는 테두리 조광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조작 플런저(3)의 하면측의 구석의 4개소에는, 링크 기구(4)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제 1, 제 2의 레버(12, 13)에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추어 연결하기 위한 감합 오목부(3a)가 늘어나와(延出) 형성됨과 함께, 커버(9)에 걸어맞추어 조작 플런저(3)가 상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용 폴(3b)이 2개소씩 양측(도 2에서는 한쪽만 도시되어 있다)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캡(2)이 장비된 조작 플런저(3)를, 경사시키는 일 없이, 조작 방향에 따라 변위시키는 링크 기구(4)는, 제 1, 제 2의 레버(12, 13)와, 이들 레버(12, 13)를 상방으로 복귀 가세하는 2개의 복귀 스프링(14)과, 가압 조작시의 클릭 느낌을 얻기 위한 와이어 형상의 감촉용 스프링(15)을 구비하고 있다. 각 레버(12, 13)는, 도 3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의 암부(121 내지 124, 131 내지 134)가 연속하는 개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의 레버(12)의 일단측인 제 1의 암부(121)가, 직사각형의 베이스 부재(8)의 한 변측에 활주 및 회전 가능하게 수납 지지되고, 타단측인 단면 원형의 제 3의 암부(123)가, 조작 플런저(3)의 감합 오목부(3a)에 끼워맞추어 연결되고, 또한, 제 2의 레버(13)의 일단측인 제 1의 암부(131)가 베이스 부재(8)의 대향 변측에 활주 및 회전 가능하게 수납 지지되고, 타단측인 단면 원형의 제 3의 암부(133)가, 조작 플런저(3)의 감합 오목부(3a)에 끼워맞추어 연결된다.
제 1의 레버(12)의 서로 대향하는 제 2, 제 4의 암부(122, 124)에는, 그 중 간 위치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계합 돌기(122a, 124a)가 형성되는 한편(도 3에서는 한쪽만 도시되어 있다), 제 2의 레버(13)의 서로 대향하는 제 2, 제 4의 암부(132, 134)에는, 그 중간 위치에, 다소의 횡방향의 활주를 허용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길다란 계합 구멍(132a, 134a)이 형성되고, 이 제 2의 레버(13)의 계합 구멍(132 a, 134a)에, 제 1의 레버(12)의 계합 돌기(122a, 124a)를 각각 걸어맞춤에 의해, 양 레버(12, 13)가, 교차 형상으로 조합되어 연결된다. 이 연결 상태에서는, 제 1의 레버(12)의 제 3의 암부(123)가, 제 2의 레버(13)의 제 2 및 제 4의 암부(132, 134 )의 오목개소(132b, 134b)에 받아내여지고, 제 2의 레버(13)의 제 3의 암부(133)가 제 1의 레버(12)의 제 1의 암부(121)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제 1의 레버(12)의 서로 대향하는 제 2, 제 4의 암부(122, 124)의 중간부의 외측 위치에는, 하방으로 개방한 지지벽(122b, 124b)이 형성됨과 함께, 이 상벽의 하면에는, 베이스 부재(8)의 저면에 형성된 도 2에 도시된 지지용 돌기(8a)와의 사이에서 복귀 스프링(1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돌기(122c, 124c)가 형성되어 있다(도면에서는 한쪽만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레버(12)의 제 2, 제 4의 암부(122, 124)의 제 3의 암부(123)측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의 레버(13)와의 사이에서, 감촉용 스프링(15)을 지지하기 위해, 이 감촉용 스프링(15)의 양단을 받는 스프링 받침이부(122d, 124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레버(12)의 제 3의 암부(123)의 축방향의 양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소음용의 고무(16)가 삽착되는 돌기(1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소음용의 고무(16)는, 제 1, 제 2의 레버(12, 13)의 제 2의 암부(122, 132), 제 4의 암부(124 , 134)가, 복귀 스프링(14)의 가세력으로 복귀할 때에, 플랜지부(11)에 직접 충돌함에 의한 충돌음을 소음하는 것이다.
제 2의 레버(13)의 제 3의 암부(133)의 중앙 위치에는, 리프 스위치(6)의 설편 형상의 조작편(17)을 받는 오목개소(1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의 레버(13)의 제 2, 제 4의 암부(132, 134)에는, 제 1의 레버(12)의 제 3의 암부(123)의 양단을 받기 위한 상술한 오목개소(132b, 13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의 레버(13)의 제 1의 암부(131)의 내측의 중앙 위치에는, 감촉용 스프링(15)의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돌기(131a, 131b)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의 돌기(131a)와 그 양측의 하측의 돌기(131b)에 의해 와이어 형상의 감촉용 스프링(15)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의 레버(13)의 제 3의 암부(133)의 축방향의 양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소음용의 고무(18)가 삽착되는 돌기(13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제 2의 레버(12, 13)가 제 2, 제 4의 암부(122, 124;132, 13 4)에 연결되고 복귀 스프링(14)과 함께 베이스 부재(8)에 조립된다. 이 때, 제 1의 레버(12)의 제 1의 암부(121) 및 제 2의 레버(13)의 제 1의 암부(1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8)의 ㄷ자 모양의 수납부에서 조작 방향(상하 방향)의 변위는 저지되고, 수평 방향의 활주 및 회전이 약간 허용될 뿐인 것에 대해, 조작 플런저(3)의 하단에 끼워맞추어 연결된 제 1의 레버(12)의 제 3의 암부(123) 및 제 2의 레버(13)의 제 3의 암부(133)는, 조작 방향에 따른 변위, 즉, 승강이 허용되고, 복귀 스프링(14)에 의한 복귀 위치가, 상기 제 3의 암부(123, 133)에 맞닿는 베이스 부재(8)의 제 1, 제 3의 칸막이벽(81, 83)에 형성된 규제 돌기(81a, 8 3a)에 의해 규제되게 되어 있다.
이 제 1, 제 2의 레버(12, 13)로 이루어지는 링크 기구(4)에서는, 베이스 부재(8)에 지지된 양 레버(12, 13)의 제 1의 암부(121, 131) 에 대해, 조작 플런저(3)에 끼워맞추어 연결된 제 3의 암부(123, 133)는,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평행 운동을 행하는 것으로서, 이로써, 조작 플런저(3)는, 베이스 부재(8)에 대해 평행하게 기울어지는 일 없이 조작 방향에 따라 변위하게 된다.
따라서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 플런저(3)에 장비된 캡(2)을 구석 누름으로 하여도 기울어지는 일 없이 조작 방향에 따라 변위하게 되고, 양호한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다.
상방이 개방된 베이스 부재(8)에는, 그 중앙 위치에, 제 1 내지 제 4의 4개의 칸막이벽(81 내지 84)이 세워 설치되어 직사각형의 수납부(19)가 구성되어 있고, 이 수납부(19)에, 이면측에 리프 스위치(6), 표면측에 칩 LED(5)가 실장된 직사각형의 배선 기판(7)이 수납 지지되게 되어 있다. 제 2, 제 4의 칸막이벽(82, 84)의 상단의 내측에는, 배선 기판(7)을 수납부(19) 내로 지지하는 지지 돌기(82a, 84a)가 형성되어 있다(도 2에서는 한쪽만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제 1, 제 2의 레버(12, 13)는, 이 4개의 칸막이벽(81 내지 84)과 그 외측의 주벽(8b)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제 3의 칸막이벽(81, 83)의 상단의 외측에는, 복귀 스프링(14)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 가세되어 있는 제 1의 레버(12)의 제 3의 암부(123) 및 제 2의 레버(13)의 제 3의 암부(133)의 복귀 위치를 규제하는 상술한 규제 돌기(81a, 83a)가 2개소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의 칸막이벽(83)의 중앙부에는, 수납부(19)에 배치된 리프 스위치(6)의 조작편(17)을, 수납부 밖으로 연장하여 제 2의 레버(13)의 제 3의 암부(133)에서 받을 할 수 있도록, 노치(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 부재(8)의 4개소의 구석부의 상단에는, 제 1의 레버(12)의 제 1의 암부(121) 및 제 2의 레버(13)의 제 1의 암부(131)의 상방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8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 부재(8)의 양측에는, 해당 누름버튼 스위치(1)를 커버(9)에 부착 하기 위해 나사 구멍(21)이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 부재(8)의 저면에는, 조작 플런저(3)의 빠짐 방지용 폴(3b)이 형성된 양측의 설편(3c)(도 2에서는 한쪽만 도시되어 있다)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하기 위한 노치(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2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소음용의 고무 시트(23)가 마련되어 있고, 이 고무 시트(23)에 의해, 조작 플런저(3)의 가압 조작시에, 조작 플런저(3)의 설편(3c)이, 도시하지 않은 섀시에 직접 충돌함에 의한 충돌음을 소음하는 것이다.
감촉용 스프링(15)은, 제 1의 레버(12)의 제 3의 암부(123)와 제 2의 레버(13)의 제 1의 암부(131)와의 사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되어 있고, 복귀 위치(초기 위치)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촉용 스프링(15)은, 제 3의 암부(123)의 하방으로의 변위에 대항하도록 가세하고 있고, 조작 플런저(3)를 가압 조작하여 제 3의 암부(123)가 하방으로 변위함에 따라 그 가세력은 증대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의 암부(123)와 제 1의 암부(131)가 가장 근접한 중간 위치에서 그 가세력이 최대로 되고, 그 중간 위치를 넘어서 하방으로 변위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촉용 스프링(15)의 가세력은, 제 3의 암부(123)를 하방으로 변위시키는 방향으로 반전 작용하게 되고, 이로써, 양호한 클릭 느낌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조작 감촉을 설명하기 위한 스트로크와 하중과의 관계를 도시한 특 성도로서, 감촉용 스프링(15)은, 파선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플런저(3)의 가압 조작에 의해 소정의 중간 위치에서 반전 작용하고, 가상선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조작에 응하여 가세력이 증대하는 복귀 스프링(14)과를 합성하면, 실선 C로 도시된 특성으로 되고, 양호한 클릭 느낌을 얻을 수 있다.
리프 스위치(6)는, 내부에 고정 접점(24)과 가동 접점(25)을 구비하고 있고, 통상은, 접점이 오프하고 있고, 가동 접점(25)이 마련되어 있는 조작편(17)이 외부로 연장되어 제 2의 레버(13)의 제 3의 암부(133)의 중앙부의 오목개소(133a)에 받아내고 지지되어 있고, 이 제 3의 암부(133)은, 복귀 스프링(14)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 가세되어 복귀 위치에 있고, 이 복귀 위치에서는, 조작편(17)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저서 가동 접점(25)이 고정 접점(24)로부터 이간한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복귀 위치에 있는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 플런저(3)를 캡(2)을 통하여 가압 조작하면, 상술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플런저(3)의 하단에 끼워맞추어 연결된 제 1의 레버(12)의 제 3의 암부(123)와 제 2의 레버(13)의 제 3의 암부(133)가, 양 레버(12, 13)의 제 1의 암부(121, 131)에 대해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즉, 조작 플런저(3)가 베이스 부재(8)에 대해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방으로 변위하고, 이로써, 리프 스위치(6)의 조작편(17)도 하방으로 변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달하면, 조작편(17)에 마련되어 있는 가동 접점(25)이 고정 접점(24)에 압접하여 온 하고, 이로써, 배선 기판(7)의 상면의 LED 칩(5)이 점등함과 함께, 외부로 출력을 주도록 되어 있고, 조작 플런저(3)의 가압 조작을 해제하면, 복귀 스프 링(14)의 가세력으로 복귀 위치로 되돌아오고, 리프 스위치(6)도 오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플런저(3)는, 제 1, 제 2의 레버(12, 13)에, 감합 오목부(3a)를 통하여 착탈 자유롭게 연결됨과 함께, 배선 기판(7)은, 베이스 부재(8)의 수납부(19)에, 지지 돌기(82a, 84a)를 통하여 착탈 자유롭게 수납 지지되고, 또한, 배선 기판(7)의 이면측에 실장된 리프 스위치(6)의 조작편(17)은, 제 2의 레버(13)의 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방에서 조작 플런저(3) 및 배선 기판(7)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되고, 칩 LED(5)나 리프 스위치(6)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성에 우수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2
도 7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누름버튼 스위치의 단면도가, 또한 도 8에 그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9, 10에 그 배면에서 본 사시도가, 또한 도 11에 그 분해 한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누름버튼 스위치(1')는, 버튼 조작부가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다르지만, 조작 플런저를 경사하는 일 없이 변위시키는 링크 기구 등의 주요부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동일 기능을 갖는 부품 및 부위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칩 LED(5)로부터의 광을 유도하여 캡(2)의 외주를 조광하기 위한 도광 부재를, 조작 플런저(3)에 일체 성형하여 겸용하고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조작 플런저(3')와, 도광 부재로서의 렌즈 부재(30)를 별체 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캡(2)은, 조작면이 직사각형이였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캡(2')은, 조작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렌즈 부재(30)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투명한 수지 재료로 구성된 것이고,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칩 LED(5)로부터의 광을, 그 렌즈 부재(30)의 주위테두리부(30d)의 상단으로 유도하기 위해 반사면을 구성하는 테이퍼 구멍(h) 및 테이퍼면(s)이 구비되어 있다. 이 테이퍼 구멍(h) 및 테이퍼면(s)의 경사 각도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45도로 하고 있다. 또한, 테이퍼 구멍(h)은, 하방으로 밖으로 벌어지도록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관통하지 않는 파여진 테이퍼 모양의 구멍이라도 좋다.
한편, 조작 플런저(3')는, 중앙이 크게 개구되고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상기 렌즈 부재(30)의 한 쌍의 돌기(30a)에 걸어맞추는 계합 구멍(3'd)을 구비하고 있고, 렌즈 부재(30)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점착 테이프(26)로 붙이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렌즈 부재(30)에 형성되는 상기 테이퍼 구멍(h)은, 지름이 너무 크면 칩 LED(5)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양이 적어지고, 지름이 너무 작으면 반사면적이 적어지기 때문에, 캡(2')의 크기, 칩 LED(5)의 광량 등에 응하여 구멍 지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와 관련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캡(2')의 외경이 32㎜, 렌즈 부재(30)의 두께가 1.6㎜이고, 테이퍼 구멍의 대경부의 직경을 6.2㎜로 하고 있다.
또한, 주위테두리부(30d)의 상단에는, 테이퍼면(t)이 형성되고, 배면으로부 터 유도되어 온 광을 주위테두리부(30d)의 주위로 확산함과 함께, 주위테두리부(30d)의 상단면에 시보 가공을 시행하여 광을 한층 확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캡(2')의 조작면의 배면에는, 필름의 부착이나 인쇄에 의해 백색의 반사면을 형성하고, 테이퍼 구멍(h)을 통과한 광을 렌즈 부재(30) 내로 반사시켜서, 주위테두리부(30d)로 유도하는 광량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작 플런저(3')도 백색의 수지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렌즈 부재(30)를 통과한 광을 재차 렌즈 부재(30)로 반사하여 광의 로스를 적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 조작 플런저(3')에는, 렌즈 부재(30)의 테이퍼면(s)에 대향하도록, 테이퍼면(w)이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렌즈 부재(30)를 통과한 광을, 재차 렌즈 부재(30) 내로 반사시켜서, 주위테두리부(30d)로 유도하는 광량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렌즈 부재(30)에 의해, 칩 LED(5)로부터의 광을, 테이퍼 구멍(h) 및 테이퍼면(s)에 의해, 캡(2')의 조작면을 바깥에서 둘러싸는 주위테두리부(30d)로 효율적으로 유도하고 캡(2')의 주위를 조광하는 테두리 조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1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2')의 배면에는, 흰 바탕에 검은 색으로 십자의 위치 맞춤용의 마크(m1)가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렌즈 부재(30)에도 십자 형상으로 위치 맞춤용의 마크(m2)가 형성되어 있고, 유저가 표면 디자인이 다른 캡(2')을 렌즈 부재(30)에 장착할 때, 마크(m1, m2)를 맞춤으로써, 올바른 방향으로 캡(2')을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커버(9')의 외주연에는, 주위테두리부(30d)를 감싸도록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의 테두리 두르기 화장 링(27)이 바깥으로 끼워 장착되어 고급감이 있는 외관을 가져오도록 고려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9')는, 베이스 부재(8')에 대해 계합 폴(8'd)과 계합 구멍(9'a)으로 걸어맞추어 연결됨과 함께, 이 누름버튼 스위치(1')를 엘리베이터 홀의 벽면의 조작 패널에 끼워넣어 장착하기 위한 계합 폴(8'e)이 베이스 부재(8')의 배면으로부터 돌설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8')의 배면은, 방진 시트(28)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이 누름버튼 스위치(1')는, 조광용의 전원선 2개와 접점 신호선 2개로 이루어지는 리드선(29)을 구비한 1a 접점 타입[도 12의 (a) 참조]와, 조광용의 전원선 2개와 접점 신호선 4개로 이루어지는 리드선(29)을 구비한 2a 접점 타입[도 12의 (b) 참조]이 있다. 도 12에 있어서, 31은, 다이오드(D1, D2), 트랜지스터(TR1) 및 저항(R1, R2)으로 이루어지는 정전류 회로이고, ZD1은, 칩 LED(5)를 보호하는 서지 흡수용의 제너 다이오드이고, 32는, 상술한 리프 스위치(6)의 접점부이고, 33은 커넥터이다.
그 밖의 실시의 형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조광용 광원으로서 단일의 칩 LED(5)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특히 광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2개의 칩 LED(5)를 플런저(3)나 렌즈(30)의 중심부 안쪽에 병렬 배열 구비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주위테두리부와 해당 주위테두리부로 광을 유 도하기 위한 광로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로서, 주위테두리부와 해당 주위테두리부로 광을 유도하기 위한 광로를, 개별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액정이나 광파이버를 이용하여 테두리 조광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감촉용 스프링(15)을, 와이어 형상으로 하였지만, 압축 코일 스프링이라도 좋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리프 스위치를 이용하였지만, 리프 스위치 대신에 마이크로 스위치나 그 밖의 스위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조작하는 가압 부재의 조작면의 외주를 바깥에서 둘러싸는 주위테두리부를 조광하는, 즉, 누름버튼의 테두리를 조광하는 테두리 조광으로 하였기 때문에, 누름버튼 전체를 조광하고 있던 누름버튼 스위치에 비하여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되고, 상품 가치가 높은 것으로 된다.
게다가, 도광 부재에 의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외주측의 주위테두리부로 유도하기 때문에, 중앙 부근에 수가 적은 칩 LED 등의 광원을 배치하면 좋고, 누름버튼 전체을 조광하기 위해 수많은 칩 LED를 광원으로서 사용하고 있던 종래의 누름버튼 스위치에 비하여 사용하는 칩 LED를 적게 할 수 있고, 비용 저감에도 유효해진다.

Claims (11)

  1. 조작면을 갖는 가압 부재를 가압 조작함에 의해, 해당 가압 부재에 연동하는 조작 플런저를 통하여 베이스 부재에 배설된 스위치 본체를 작동시키는 누름버튼 스위치로서,
    조광용의 광원 및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유도하는 도광 부재를 구비하고, 해당 도광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조작면의 외주를 바깥에서 둘러싸는 주위테두리부를 갖음과 함께,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주위테두리부로 유도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조작면의 배면의 중앙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배면과의 사이에, 상기 도광 부재가 배치됨과 함께, 해당 도광 부재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렌즈 기능을 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여 상기 주위테두리부로 유도하는 반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해당 도광 부재에 형성된 테이퍼 구멍을 상기 반사면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 구멍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배면의 외주측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해당 도광 부재의 외주부에 형성된 테이퍼면을 상기 반사면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테이퍼 구멍에서 반사되고 상기 배면의 외주측으로 유도된 광을, 상기 조작면측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주위테두리부로 둘러싸인 오목부을 가지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상기 배면 및 상기 도광 부재의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장착할 때의 위치맞춤용 마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플런저에, 상기 도광 부재를 일체화하고 상기 조작 플런저로 상기 도광 부재를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일단측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상기 조작 플런저에 연결된 제 1의 레버와, 일단측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지지됨과 함께, 타단측이 상기 조작 플런저에 연결된 제 2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의 레버의 중간부를 교차 형상으로 조합시키고 상기 타단측을, 상기 일단측에 대해 평행 상태로 상기 조작 방향에 따라 변위 가능하게 하고, 한쪽의 레버에는, 상기 조작 플런저의 변위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 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각 레버는, 제 1 내지 제 4의 암부가 연속하여 개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단측이 제 1의 암부로 됨과 함께, 상기 타단측이, 상기 제 1의 암부에 대향하는 제 3의 암부로 되고,
    상기 양 레버는, 한쪽의 레버의 제 3의 암부가, 다른쪽의 레버의 제 1의 암부와 제 3의 암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2, 제 4의 암부의 중간부에서 교차 형상으로 조합됨과 함께, 복귀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가압 조작에 대항하도록 복귀 가세되고,
    상기 조작 플런저는, 상기 양 레버의 상기 제 3의 암부에 착탈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제 3의 암부의 승강에 의해 조작 방향에 따라 변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조합된 상기 양 레버로 구획되는 영역 내에, 상기 광원이 실장된 배선 기판을 착탈 자유롭게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기판의 이면에, 상기 스위치 본체로서의 리프 스위치를 실장하고, 해당 리프 스위치의 조작편을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어느 하나의 레버의 상기 제 3의 암부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한쪽의 레버의 상기 제 1의 암부와 다른쪽의 레버의 제 3의 암부와의 사이에 개장됨과 함께, 조작 플런저의 가압 조작에 수반하는 제 3의 암부의 변위에 의해 상기 스프링 부재의 가세 방향이 반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KR1020040044541A 2003-06-19 2004-06-16 누름버튼 스위치 KR100584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4428A JP2005011672A (ja) 2003-06-19 2003-06-19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JP-P-2003-00174428 2003-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105A KR20040110105A (ko) 2004-12-29
KR100584456B1 true KR100584456B1 (ko) 2006-05-26

Family

ID=3351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541A KR100584456B1 (ko) 2003-06-19 2004-06-16 누름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84797B2 (ko)
JP (1) JP2005011672A (ko)
KR (1) KR100584456B1 (ko)
CN (2) CN2708472Y (ko)
TW (1) TWI2360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0948B2 (en) * 2001-02-28 2003-12-09 Vip Investments Ltd. Switch matrix
US7258458B2 (en) * 2004-03-26 2007-08-21 Michael Mochiachvili Automatic base-mounted container illuminator
JP4367850B2 (ja) * 2004-09-27 2009-11-18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照光式スイッチ
JP4540511B2 (ja) * 2005-03-10 2010-09-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入力装置
US7692111B1 (en) * 2005-07-29 2010-04-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lluminating structure
JP4609247B2 (ja) * 2005-08-31 2011-01-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発光スイッチ
KR100610336B1 (ko) * 2005-09-12 2006-08-09 김형준 키패드 백라이트용 도광판 및 그 제조 방법
EP1850358B1 (en) * 2006-04-25 2009-12-09 Industrias Lorenzo, S.A. Lighted pushbutton-type switch assembly
US8134430B2 (en) * 2006-11-14 2012-03-13 Unitech Electronics Co., Ltd. Trigger device used in a palmtop computer
FR2913524B1 (fr) * 2007-03-05 2009-04-17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effort de rappel variable.
JP5008467B2 (ja) * 2007-06-13 2012-08-22 株式会社ブラザーエンタープライズ スイッチ装置
KR101498020B1 (ko) * 2007-10-02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4985444B2 (ja) * 2008-02-12 2012-07-25 住友電装株式会社 照明機能を有する操作装置
JP5083623B2 (ja) * 2008-05-28 2012-11-28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7982149B2 (en) * 2008-09-29 2011-07-19 Microsoft Corporation Mechanical architecture for display keyboard keys
US20100214135A1 (en) * 2009-02-26 2010-08-26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rear-projected user interface
US8424768B2 (en) 2009-04-09 2013-04-23 Metrologic Instruments, Inc. Trigger mechanism for hand held devices
US8129640B2 (en) * 2010-01-25 2012-03-06 Liao hong-ming Illuminating push button switch having a mistake proof design for installing a LED into said switch
JP5274537B2 (ja) * 2010-11-19 2013-08-28 オムロン株式会社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および操作パネル
JP5215369B2 (ja) * 2010-11-19 2013-06-19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DE102011016219A1 (de) * 2011-04-06 2012-10-11 Abb Ag Wippenträger mit mindestens einer Betätigungswippe einer Türstation oder Wohnungsstation eines Haus- Kommunikationssystems
US9740343B2 (en) 2012-04-13 2017-08-22 Apple Inc. Capacitive sensing array modulation
WO2013171887A1 (ja) 2012-05-17 2013-11-21 オムロン株式会社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および操作パネル
WO2013171874A1 (ja) * 2012-05-17 2013-11-21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9030440B2 (en) 2012-05-18 2015-05-12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KR101931942B1 (ko) * 2012-09-27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932684B2 (ja) * 2013-03-08 2016-06-08 Idec株式会社 電気部品の照光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る押ボタンスイッチ
TWM458600U (zh) * 2013-03-29 2013-08-01 Inhon Internat Corp Ltd 按鍵之鍵帽結構
US9883822B2 (en) 2013-06-05 2018-02-06 Apple Inc. Biometric sensor chip having distributed sensor and control circuitry
US9984270B2 (en) 2013-08-05 2018-05-29 Apple Inc. Fingerprint sensor in an electronic device
US10296773B2 (en) 2013-09-09 2019-05-21 Apple Inc. Capacitive sensing array having electrical isolation
US9697409B2 (en) * 2013-09-10 2017-07-04 Apple Inc. Biometric sensor stack structure
JP5869045B2 (ja) * 2014-05-19 2016-02-24 三和電子株式会社 壁埋込み型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6248825B2 (ja) * 2014-06-19 2017-12-20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10256057B2 (en) 2015-03-05 2019-04-09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chanical structure for button on satellite microphone
CN104766748A (zh) * 2015-04-02 2015-07-08 张琦 一种大型双锥混合机发光按键
JP6451471B2 (ja) * 2015-04-10 2019-01-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6733368B2 (ja) * 2016-06-29 2020-07-29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接続機構およびスイッチ
JP6708075B2 (ja) * 2016-09-15 2020-06-10 オムロン株式会社 遊技機用押ボタン
CN107180715B (zh) * 2017-07-24 2019-11-05 南通昌荣机电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超行程结构的按钮
JP6870583B2 (ja) * 2017-11-13 2021-05-12 オムロン株式会社 遊技機用押ボタン
JP6848853B2 (ja) * 2017-12-28 2021-03-24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6911756B2 (ja) * 2017-12-28 2021-07-28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EP3547303B1 (de) 2018-03-29 2020-05-13 Ableton AG Taste mit erweiterten ausdrucksmöglichkeiten
EP3556701A1 (en) * 2018-04-16 2019-10-2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ntrol button assembly
CN111128582B (zh) * 2018-10-31 2022-08-23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照光式按键开关
TWI682412B (zh) * 2018-11-05 2020-01-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按鈕模組
DE102019101264A1 (de) * 2019-01-18 2020-07-2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Tastschalter-Anordnung mit Kennzeichnung eines Schaltzustandes
USD1012180S1 (en) * 2019-07-17 2024-01-23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Low profile pushbutton
USD1009167S1 (en) * 2019-08-28 2023-12-26 Igt Gaming machine deck
DE102020121603A1 (de) * 2019-09-05 2021-03-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mit bewegbarem Schaltelement, Fahrzeug sowie Betätigungsverfahren
EP4408781A1 (en) * 2021-09-30 2024-08-07 Inventio Ag Elevator push butt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0628U (ko) * 1986-10-29 1988-05-12
ATE149735T1 (de) * 1991-12-24 1997-03-15 Inventio Ag Befehls- und meldegerät
US5434377A (en) * 1993-12-20 1995-07-18 Invento Ag Pushbuttton electrical switch assembly
JP3644258B2 (ja) * 1998-06-25 2005-04-27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TW511445B (en) * 2001-06-08 2002-11-21 Darfon Electronics Corp A key device and a method of installing
TW578085B (en) * 2002-04-09 2004-03-01 Darfon Electronics Corp Elevated key switch and keyboard with the elevated key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105A (ko) 2004-12-29
CN1574139A (zh) 2005-02-02
TWI236025B (en) 2005-07-11
CN2708472Y (zh) 2005-07-06
US6984797B2 (en) 2006-01-10
TW200506987A (en) 2005-02-16
JP2005011672A (ja) 2005-01-13
CN1278344C (zh) 2006-10-04
US20040256210A1 (en)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456B1 (ko) 누름버튼 스위치
EP1389790B1 (en) Illumination structure for pushbutton and electronic device with pushbutton having illumination structure
JP5301118B2 (ja) 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US8735748B2 (en) Keyboard structure
US20030103359A1 (en) Illuminated keyboard
US9443675B2 (en) Keyboard
US8142036B2 (en) Keypad device with light source and reflector
JP4609247B2 (ja) 発光スイッチ
JP2007287437A (ja) 操作スイッチ
US7309856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light-shielding plate interposed between light guides
JP4426952B2 (ja) 照光式スライドスイッチ装置
US11415739B2 (en) Illuminating device comprising a symbol and input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H0750788Y2 (ja) 照明装置
JPH07282677A (ja) 照光式パネルスイッチ
JPH0728790Y2 (ja) 照光式リモコン入力装置
JP4399250B2 (ja) スイッチ構造
JP2009026576A (ja) 携帯端末用操作スイッチ
JP2023044847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H09108098A (ja) 炊飯器
JPH024970B2 (ko)
JP2007134080A (ja) 照光式押しボタン装置
JP2023044848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4172479B2 (ja) 照光部構造とそれを使用した携帯用電子機器
JP2007194079A (ja) 照明付スイッチ操作装置
JP2002100259A (ja) 操作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