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399B1 -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399B1
KR100584399B1 KR1020030087754A KR20030087754A KR100584399B1 KR 100584399 B1 KR100584399 B1 KR 100584399B1 KR 1020030087754 A KR1020030087754 A KR 1020030087754A KR 20030087754 A KR20030087754 A KR 20030087754A KR 100584399 B1 KR100584399 B1 KR 10058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unit
main body
folder
radiation pattern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827A (ko
Inventor
박정호
서호수
최완진
최재준
유택종
김선경
김원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834,737 priority Critical patent/US7280856B2/en
Priority to EP04012115A priority patent/EP1482646B1/en
Priority to DE602004005101T priority patent/DE602004005101T2/de
Priority to CN200410045337.0A priority patent/CN1574661A/zh
Publication of KR2004010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말기에 제공되는 그라운드의 전류 분포 조건을 변화시켜 안테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는 튜닝부를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체부 피씨비를 내장하는 본체와, 폴더부 피씨비를 내장하는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테나 장치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폴더의 소정 위치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의 이웃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본체 및 폴더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변화시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는 튜닝부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단말기의 SAR 값 저감 및 안테나의 동작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안테나 장치, 튜닝부, SAR, 방사패턴

Description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WITH TUNING APPARATUS FOR CHANGING RADIATION PATTERN }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Azimuth)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고도(Elevation)(E1)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고도(Elevation)(E2)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 적용한 튜닝부를 본체부 피씨비의 상면에 구비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는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 적용한 튜닝부를 본체부 피씨비의 하면에 구비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 적용한 튜닝부 패턴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에 적용한 튜닝부 패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Azimuth)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고도(Elevation)(E1)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고도(Elevation)(E2)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에 적용한 튜닝부 패턴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에 적용한 튜닝부 패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Azimuth)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고도(Elevation)(E1)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16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고도(Elevation)(E2)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말기에 제공되는 그라운드의 전류 분포 조건을 변화시켜 안테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는 튜닝부를 구성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면서 소형, 경량화되어 휴대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추세이다. 무선통신이 상용화되던 초기에는 음성 통화, 단문 전송 등으로 제한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서비스 업자가 제공하는 동영상 서비스, 무선 인터넷 등으로부터 화상 통화, 동영상 메일 등의 멀티미디어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로는 HHP, CT-2 셀룰라 폰, 스마트 폰, 디지털 폰, PCS 폰, PDA 및 노트북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출력장치는 엘씨디(LCD)를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사용하는 키패드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상대방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를 본체의 적소에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효율의 증대라는 기본 목적과 최근에 문제화 되고 있는 전자파 흡수율의 감소가 가장 큰 당면과제가 되고 있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중에서 휩 안테나, 헬리컬 안테나, 슬리브 안테나, N형 안테나, 칩 안테나, FS-PIFA 등은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장형 안테나로 구분되고, 역F형 안테나, 평판 역F형 안테나, 다이버시티 안테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트위스티드 루프 안테나, EID 안테나 등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장형 안테나로 구분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복사전자파를 여기하는 방법에 따라 모노폴 타입 안테나와 평판 타입 안테나로 구분되는데, 모노폴 타입 안테나는 대개 휩 안테나, 헬리컬 안테나, 슬리브 안테나, 칩 안테나, N형 안테나 등이 있고, 평 판 타입 안테나는 역F형 안테나, 평판 역F형 안테나, 다이버시티 안테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EID 안테나, FS-PIFA, RCDLA, DTSA 안테나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모노폴 타입 안테나는 보편적으로 광대역성을 갖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이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평판 타입 안테나는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억제시키기 용이한 반면에 광대역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한 모노폴 타입 안테나가 외장형인데 반해, 최근에 개발된 반노출 고정형 모노폴 안테나, 전파흡수체를 활용한 내장형 모노폴 안테나 및 SAR(Specific Absorption Rate; 전자파 흡수율) 값 감소용 폴더형 단말기 모노폴 안테나의 경우에는 내장형 구조를 갖으며, 광대역성을 지나는 동시에 SAR 값이 낮은 특성을 갖는다.
이 중, 반노출 고정형 모노폴 안테나는 안테나 효율은 우수하나 SAR 값 저감 효과가 전파흡수체를 활용한 내장형 모노폴 안테나보다 떨어지며, 전파흡수체를 활용한 내장형 모노폴 안테나는 SAR 값 감소 효과는 우수하나 안테나 효율이 반노출 고정형 모노폴 안테나 보다 떨어지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한 반노출 고정형 모노폴 안테나는 일반 휩 안테나의 경우처럼, 안테나 엘리먼트와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와의 결합량(coupling)증가로 인해 임피던스 정합이 어렵고, 안테나 엘리먼트와 두부가 근접하게 되어 복사효율이 떨어지며, 소정의 접지면적의 확보가 요구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SAR값 감소용 폴더형 단말기의 모노폴 안테나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안테나 효율 및 SAR값 감소효과 모두에 대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한 SAR값 감소용 폴더형 단말기의 모노폴 안테나의 경우에는 단말기의 접철되는 양측부재의 힌지 결합부에 인접하게 전파흡수체가 위치되기 때문에 절첩부를 통한 전자파의 누설에 따른 SAR의 증가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는 누름 동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 개의 키(11)와 마이크(12)가 구비된 본체(10)와, 입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엘씨디(21)와 스피커(22)가 구비된 폴더(20)와, 상기 본체(10)와 폴더(20)를 힌지축(A1)에 의해 연결시키고, 상기 힌지축(A1)을 중심으로 상기 폴더(2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장치(30)가 구비된다.
종래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상기 폴더(20)를 넓게 하거나 제작상의 편의를 위해 본체(10)와 폴더(20)가 결합되는 힌지축(A1)이 본체(10) 상면의 안테나 장치(40)와 인접된 위치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급전부에서 전자파가 상기 본체(10)와 폴더(20)간의 힌지축(A1) 부분의 틈을 통해 누설되어 SAR값이 높아지게 된다.
더욱이 모노폴 타입 안테나 경우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상단에 안테나 엘리먼트와 직교하는 접지면을 구비해야하는데, 상기 힌지축(A1)이 본체의 상면일 부를 점유하므로 충분한 안테나 접지 면적을 확보하기 어렵고,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는데 있어 제한이 따르게 된다.
한편, 종래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펼쳐질 시에 안테나 장치에 대향하는 폴더(20)의 내면이나 외면에 전자파 반사판을 부착한 SAR 저감형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안테나가 헬리컬 안테나, 휩 안테나, 반노출 고정형 모노폴 안테나 등 다양한 안테나가 위치될 수 있는데, 반노출 고정형 모노폴 안테나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반사판에 의해 안테나 접지면의 확보가 용이하나, 휩 안테나와 헬리컬 안테나 등과 같이 본체의 상면에 안테나 접지면을 확보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접지면 자체가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는 동작 주파수 1800MHz대의 1/4λ 보다 큰 그라운드(ground)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그라운드는 본체 및 폴더에서 전류가 흐르는 부분을 말하며, 폴더의 전류 분포 조건에 크게 의존하여 변화 폭이 큰 방사 패턴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근 SAR 저감방법에 대한 특별한 대안이 없는 관계로 안테나의 출력을 저하시켜 SAR를 개선하는 경우가 많아 안테나 장치의 동작 특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방사 패턴은 단순히 단말기의 제한된 그라운드의 크기에 크게 의존적이며, 휴대용 단말기의 방사 특성이 인체 방향이나 인체 영향을 크게 받는 패턴 형태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SAR 값 및 단말기의 동작 성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SAR값 개선을 위해선 안테나의 방사 성능 저하를 가져오며, 이는 단말기의 동작 성능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말기에 제공되는 그라운드의 전류 분포 조건을 변화시켜 안테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는 튜닝부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SAR 값을 저감 및 안테나 동작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부 피씨비를 내장하고, 상기 본체부 피씨비에 구비되는 본체측 그라운드를 갖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테나 장치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소정 위치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의 이웃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변화시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는 튜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폴더부 피씨비를 내장하고, 상기 폴더부 피씨비에 구비되는 폴더측 그라운드를 갖는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테나 장치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의 소정 위치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의 이웃하게 설치되며, 상기 폴더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변화시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는 튜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단 양측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접철되는 폴더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단 일측에 돌출되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폴더의 센터 힌지 암 상에 소정 패턴의 그라운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변경시키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되는 구성요소들 중 종래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7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두 가지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 본체부 피씨비(13)를 내장하고, 상기 본체부 피씨비(PCB)(13)에 구비되는 본체측 그라운드(400)를 갖는 본체(10)와, 폴더부 피씨비(PCB)(23)를 내장하고 상기 폴더부 피씨비(23)에 구비되는 폴더측 그라운드(4000)를 갖는 폴더(2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 일단에는 상기 본체(10)와 폴더(20)를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10) 의 상단 적소에는 안테나 장치(40)가 장착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본체(10)의 소정 위치 내에 상기 본체(10)의 안테나 장치(40)의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측 그라운드(400)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안테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기 위한 튜닝부(1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튜닝부(100)는 F 자 형상 또는 P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튜닝부(100)의 한쪽(101)끝단에는 상기 본체측 그라운드(400)의 접지부(13a)와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수단(3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튜닝부(100)의 다른 쪽(102) 끝단은 상기 접지부(13a)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본체(10)의 안테나 장치(40)에 근접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튜닝부(100)는 상기 본체측 그라운드(400)의 접지부(13a)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전도성 페인트 등을 이용하여 소정 패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닝부(100)는 본체(10)에 제공되는 본체측 그라운드(400)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9와 도 10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닝부(100)는 상기 본체부 피씨비(13)를 기준으로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피씨비(13)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일면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튜닝부(100)는 상기 본체(10)에 제공되는 본체측 그라운드(400)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변화시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 패턴을 변경시 키고, 이와 동시에 SAR(Specific Absorption Rate)값 저감 및 안테나 동작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튜닝부(100)의 길이나 세부 구조 등 그 패턴을 조절함으로써 안테나의 방사 패턴의 변화에 따라 튜닝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닝부(100)는 F자 모양 또는 P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F 자 모양의 튜닝부(200)의 한쪽(201)은 연결수단(300)이 구비되고, 다른 쪽(202)은 상기 힌지 장치(30)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접지부(13a)로부터 멀어지며, 상기 본체(10)의 안테나 장치(40)에 근접하게 구비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닝부(100)를 적용한 단말기의 방위(Azimuth) 방사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며, 0도 방향이 인체머리 방향이다. 여기서, 도 4는 튜닝부(100)를 적용하지 않은 단말기의 방위 방사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와 도 13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튜닝부(100)를 적용한 단말기가 종래의 단말기보다 인체 방향으로의 방사가 적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닝부(100)를 적용한 고도(Elevation)(E1) 및 (E2) 방사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튜닝부(100)를 적용하지 않은 단말기의 고도(Elevation)(E1) 및 (E2) 방사 패턴을 도시한다. 고도 방사 패턴은 대략 90도 내지 150도 범위가 인체 방향을 향하게 되며, 도 5, 도 6과 도 14, 도 15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튜닝부(100)를 적용한 단말기가 종래의 단말기 보다 인체 방향으로의 방사가 적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6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20) 소정 위치,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장치(30) 내에 상기 튜닝부(1000)를 내장한다.
상기 튜닝부(1000)는 상기 폴더(20)에 제공되는 폴더측 그라운드(4000)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변화시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 패턴을 변경시키고, 이와 동시에 SAR(Specific Absorption Rate)값 저감 및 필드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튜닝부(1000)는 상기와 같은 작용하기 위해 가급적 본체(10)의 안테나 장치(40)와 이웃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튜닝부(1000)의 한쪽(1001) 끝단에는 안테나 프레임이나 폴더부 피씨비(23)에 구비된 폴더측 그라운드(4000)의 접지부(23a)와 접촉하여 연결되도록 연결수단(3000)이 구비된다. 상기 튜닝부(1000)의 다른 쪽(1002) 끝단은 상기 접지부(23a)로부터 멀이지고, 상기 본체(10)의 안테나 장치(40)에 근접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튜닝부(1000)의 길이나 세부 구조는 안테나의 방사 패턴의 변화에 따라 조절된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튜닝부(1000)가 폴더(20) 상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상기 튜닝부(1000)는 상기 폴더(20)의 센터 힌지 암(35) 상에 구성되는 소정의 패턴으로 구성된다.
상기 폴더(20)는 단말기의 본체(10)에 접철되었을 때, 상기 본체(10)와 대면하는 전면 케이스(20a)와, 상기 전면 케이스(20a)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20b)를 구비한다. 상기 전면 케이스(20a)의 일단에는 상기 센터 힌지 암(35)이 구비되고, 그 외주면의 일부분은 상기 후면 케이스(20b)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튜닝부(1000)는 상기 센터 힌지 암(35) 상에, 구체적으로 상기 센터 힌지 암(35)의 외주면 중 상기 후면 케이스(20b)에 의해 커버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튜닝부(1000)는 폴더(20)의 센터 힌지 암(35) 상에 도포되는 전도성 스프레이로 구성되었으나, 동 테이프(tape), 전도성 천 테이프 또는 부착이 가능한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 패턴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튜닝부(1000)는 상기 폴더(20) 내 피씨비(23)의 그라운드 라인 또는 상기 폴더(20) 내에 도포된 전도성 스프레이에 접속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튜닝부(1000)는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피씨비의 접지를 확장시켜 줌과 동시에,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을 변경하여, 인체로 흡수되는 유해 전자파를 저감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닝부(1000)는 F자 모양 또는 P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 자 모양의 튜닝부(2000)의 한쪽(2001)은 연결수단(3000)이 구비되고, 다른쪽(2002)은 상기 힌지 장치(30)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접지부(23a)로부터 멀어지며, 상기 본체(10)의 안테나 장치(40)에 근접하게 구비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닝부(1000)를 적용한 단말기의 방위(Azimuth) 방사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며, 0도 방향이 인체머리 방향이다. 여기서, 도 4는 튜닝부(1000)를 적용하지 않은 단말기의 방위 방사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와 도 21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튜닝부(1000)를 적용한 단말기가 종래의 단말기보다 인체 방향으로의 방사가 적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튜닝부(1000)를 적용한 고도(Elevation)(E1) 및 (E2) 방사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튜닝부(1000)를 적용하지 않은 단말기의 고도(Elevation)(E1) 및 (E2) 방사 패턴을 도시한다. 고도 방사 패턴은 대략 90도 내지 150도 범위가 인체 방향을 향하게 되며, 도 5, 도 6과 도 22, 도 23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튜닝부(1000)를 적용한 단말기가 종래의 단말기 보다 인체 방향으로의 방사가 적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체(10) 및 폴더(20)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변화시켜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 패턴을 변경시키는 튜닝부(100)(1000)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전류 분포 변화와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요구하는 사양으로 변경하여 SAR값 저감 및 필드 동작 성능을 개선하여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폴더형 단말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의 이웃한 위치에 폴더에 제공되는 그라운드의 전류 분포 조건을 변화시켜 안테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는 튜닝부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SAR값 저감 및 필드 동작 성능을 개선시켜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본체부 피씨비를 내장하고, 상기 본체부 피씨비에 구비되는 본체측 그라운드를 갖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테나 장치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소정 위치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의 이웃한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본체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변화시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는 튜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F자 형상 및 P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본체측 그라운드의 접지부와 접촉하여 연결되는 연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튜닝부의 다른 끝단은 상기 접지부로부터 멀어지며, 상기 안테나 장치에 근접하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전도성 페인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금속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상기 본체부 피씨비에 구비된 본체측 그라운드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상기 본체부 피씨비를 기준으로 사용에 따라서 상기 피씨비의 상, 하면 각각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8. 본체와, 폴더부 피씨비를 내장하고, 상기 폴더부 피씨비에 구비되는 폴더측 그라운드를 갖는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장치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안테나 장치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폴더의 소정 위치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장치의 이웃한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폴더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변화시켜 상기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패턴을 변경시키는 튜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F자 형상 및 P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의 한쪽 끝단에는 상기 폴더측 그라운드에 형성된 접지부와 접촉하여 연결되는 연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튜닝부의 다른 끝단은 상기 접지부로부터 멀어지며, 상기 안테나 장치에 근접하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전도성 페인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금속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상기 폴더부 피씨비에 구비된 폴더측 그라운드에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14. 상단 양측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접철되는 폴더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단 일측에 돌출되는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폴더의 센터 힌지 암 상에 소정 패턴의 튜닝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안테나 장치의 방사 패턴이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는,
    상기 본체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대면하는 전면 케이스;
    상기 전면 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센터 힌지 암은 상기 전면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 케이스에 의해 상기 튜닝부가 커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상기 센터 힌지 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전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부는,
    전도성 스프레이에 의해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20030087754A 2003-05-24 2003-12-04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8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34,737 US7280856B2 (en) 2003-05-24 2004-04-29 Portable terminal having tuner for changing radiation pattern
EP04012115A EP1482646B1 (en) 2003-05-24 2004-05-21 Portable terminal having tuner for changing radiation pattern
DE602004005101T DE602004005101T2 (de) 2003-05-24 2004-05-21 Tragbares Endgerät mit Abstimmeinrichtung zum Ändern der Strahlungscharakteristik
CN200410045337.0A CN1574661A (zh) 2003-05-24 2004-05-24 具有用于改变辐射图形的调协器的便携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3198 2003-05-24
KR1020030033198 2003-05-24
KR1020030052625 2003-07-30
KR20030052625 2003-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827A KR20040100827A (ko) 2004-12-02
KR100584399B1 true KR100584399B1 (ko) 2006-05-26

Family

ID=3737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754A KR100584399B1 (ko) 2003-05-24 2003-12-04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169B1 (ko) * 2006-07-07 2013-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성능개선을 위한 도전영역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759B1 (ko) * 2004-11-24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성능 개선을 위한 도전체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1257078B1 (ko) * 2006-09-26 2013-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장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169B1 (ko) * 2006-07-07 2013-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성능개선을 위한 도전영역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827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2646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uner for changing radiation pattern
KR100539935B1 (ko) 휴대 단말기의 그라운드 연결장치
US7411556B2 (en) Multi-band monopole antenna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6914570B2 (en) Antenna system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20020027636A (ko) 안테나 장치 및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
KR20010042844A (ko) 안테나시스템에서 접지수단에 결합하기 위한 접지신장장치와 이러한 접지장치를 갖는 안테나시스템 및 이동무선장치
KR20040023543A (ko) 이동 전화기용 안테나
WO2006081704A1 (fr) Antenne cadre multi-signaux a large bande utilisee dans un terminal mobile
KR20040025843A (ko) 절첩식 휴대형 무선기 및 그 무선기의 섀시
JP2002290139A (ja) プレーナアンテナ装置
EP1154513A1 (en) Built-in antenna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2011501498A (ja) 電子装置のハウジングを用いたアンテナ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装置
JP2002151949A (ja) 携帯端末機
JP4661180B2 (ja) 携帯無線端末及びアンテナ電流のアース方法
KR2005001370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JP2005303721A (ja) アンテナ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無線機
EP168664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31788A (ko) 이중 대역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통신 장치
JP4126664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器
KR101383465B1 (ko)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다중대역 안테나
JP4473825B2 (ja) 携帯端末用アンテナ
KR100584399B1 (ko) 방사 패턴 변경용 튜닝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060077106A1 (en) Antenna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289575Y1 (ko) 프린트기판에 구현된 이동통신기기용 다중 대역 안테나
US7592958B2 (en) Multi-band antennas and radio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