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980B1 - 접이식 삼륜차 - Google Patents

접이식 삼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980B1
KR100583980B1 KR1020040097467A KR20040097467A KR100583980B1 KR 100583980 B1 KR100583980 B1 KR 100583980B1 KR 1020040097467 A KR1020040097467 A KR 1020040097467A KR 20040097467 A KR20040097467 A KR 20040097467A KR 100583980 B1 KR100583980 B1 KR 10058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heel
body frame
folding
tr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이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우 filed Critical 이진우
Priority to KR102004009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8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steering devices acting on two or more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16B1/02Means for securing elements of mechanisms aft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삼륜차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는, 차체 프레임의 선단에 위치하여 핸들 포스트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핸들이 결합되는 조향축과, 상기 핸들 포스트가 위치한 차체 프레임의 전방으로 연결되는 연장바 및 이 연장바의 끝부분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횡바 그리고 이 횡바의 양측 끝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피봇 지지되는 한쌍의 전륜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좌우 전륜포크를 구비하는 전륜 지지프레임과, 안장이 설치되는 안장축 및 페달을 지지하는 페달축에 연결되는 구동휠 및 차체 프레임에 연결된 후륜포크로 지지되고 구동휠에 연동되는 종동휠을 구비하는 단일의 후륜으로 구성되는 삼륜차에 있어서,
상기 전륜과 후륜이 선택적으로 상호 근접되게 접어질 수 있게 전륜과 후륜을 연결하는 차체 프레임의 일단을 분할하여 선택적으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 제1폴딩수단과, 상기 조향축의 일단을 분할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 제2폴딩수단과, 상기 좌우 전륜포크가 상호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전륜프레임의 횡바를 선택적으로 수축시키도록 접이체 형태로 구성되는 팬터그래프 폴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접이식 삼륜차는 별도의 공구 없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접거나 펼 수 있으며, 특히 한쌍의 전륜을 폭방향으로 상호 근접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삼륜차의 전체적인 부피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 한다.
삼륜차, 접이식, 자전거, 폴딩, 보관

Description

접이식 삼륜차{Collapsible tricy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에서 제1폴딩수단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에서 제2폴딩수단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에서 팬터그래프 폴딩수단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체 프레임 11 : 핸들 포스트 12 : 조향축
13 : 안장축 13a : 안장 14 : 페달
14a : 페달축 15 : 구동휠 16 : 종동휠
17l,17r : 좌, 우 전륜 18 : 후륜 20 : 전륜 지지프레임
21 : 연장바 22a.22b : 횡바 23l.23r : 전륜포크
30 : 제1폴딩수단 31,32 : 제1돌출 플랜지부 33 : 힌지축
34 : 브라켓트 35 : 나사부재 40 : 제2폴딩수단
41,42 : 제2돌출 플랜지부 43 : 힌지축 44 : 잠금레버
44a : 손잡이바 44b : 걸림바 50 : 팬터그래프 폴딩수단
51,52 : 홀더 53 : 고정기구 54,55 : 아암
본 발명은 한쌍의 전륜과 단일의 구동 후륜으로 구성되는 삼륜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간단한 조작만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여 보관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접이식 삼륜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륜차는 전방바퀴 또는 후방바퀴 중의 어느 한 바퀴부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총 3개의 바퀴를 갖도록 구성되며, 이는 이륜차의 전륜 및 후륜으로 이루어지는 2점 지지구조에서 3전 지지구조를 이용하여 그 안정성이 증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삼륜차는 이륜차에 비해 바퀴가 하나 더 구비되는 것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넘어지지 않아 안정감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며, 바퀴의 배치 형태에 따라 크게 단일의 전륜과 한쌍의 구동 후륜으로 구성된 것과, 한쌍의 전륜과 단일의 구동 후륜으로 구성된 것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상기 삼륜차는 구동력의 전달방식이 후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어 전방 양측에 2개의 전륜이 구비되고, 후방에 사용자의 페달 조작력을 전달받는 단일개의 후륜이 설치며, 상기 전륜은 운전자가 조향축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방향 및 각도를 이루고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한쌍의 전륜과 단일의 후륜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삼륜차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1-003892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에 개시된 삼륜차는 조향축선 상에 좌우로 배치되는 한쌍의 전륜과 사용자의 페달 조작력을 전달받는 단일의 구동 후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1-0038925호에 개시된 삼륜차는 상기 조향축의 중간부분 전방으로 소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캐리어가 부착되는 구조이나, 상기 한쌍의 전륜이 조향축선 상에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무거운 짐을 적하시키는 경우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되어 조향성이 불량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삼륜차는 오르막길과 같은 경사진 비탈길을 주행함에 있어 페달 조작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후방으로 밀리게 되며, 비탈길 등에 주정차 시키는 경우에도 관성에 의해 비탈길을 따라 이동하여 자칫 크나큰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04-91255호를 통해 개선된 삼륜차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삼륜차 및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삼륜차는 급격한 도시화 및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주거형태가 아파트와 같은 집단주거 형태로 변화하면서 협소한 주거 공간으로 인하여 삼륜차의 보관이 어려워지고 녹지가 점차 줄어들면서 야외 취미활동을 위해서는 멀리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륜차(자전거)에 비해 삼륜차는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하여 접이부를 구성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으로 인해 보관 및 이동시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 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조향핸들과 차체 프레임 그리고 한쌍의 전륜을 지지하는 횡바에 접이구조를 제공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 사용자의 조작력만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여 보관과 이동의 편리성을 높인 접이식 삼륜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는, 차체 프레임의 선단에 위치하여 핸들 포스트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핸들이 결합되는 조향축과, 상기 핸들 포스트가 위치한 차체 프레임의 전방으로 연결되는 연장바 및 이 연장바의 끝부분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횡바 그리고 이 횡바의 양측 끝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피봇 지지되는 한쌍의 전륜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좌우 전륜포크를 구비하는 전륜 지지프레임과, 안장이 설치되는 안장축 및 페달을 지지하는 페달축에 연결되는 구동휠 및 차체 프레임에 연결된 후륜포크로 지지되고 구동휠에 연동되는 종동휠을 구비하는 단일의 후륜으로 구성되는 삼륜차에 있어서,
상기 전륜과 후륜이 선택적으로 상호 근접되게 접어질 수 있게 전륜과 후륜을 연결하는 차체 프레임의 일단을 분할하여 선택적으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 제1폴딩수단과; 상기 조향축의 일단을 분할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 제2폴딩수단과; 상기 좌우 전륜포크가 상호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전륜프레임의 횡바를 선택적으로 수축시키도록 접이체 형태로 구성되는 팬터그래프 폴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제1폴딩수단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분할된 접촉면상에 지름이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와;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를 상호 연결하여 차체 프레임의 접힘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맞은편에 위치하여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의 일부가 일체로 끼움되는 크기의 끼움홈을 형성한 브라켓트와;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어 브라켓트의 위치를 가변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에 구속력을 작용하는 것으로 나사체결 구조에 의해 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고정시키는 나사부재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2폴딩수단은, 상기 조향축의 분할된 일단의 접촉면상에 지름이 확장된 형태로 상호 끼움구조로 구비되면서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제2돌출 플랜지부와; 상기 한쌍의 제2돌출 플랜지부의 상측 조향축상에 위치하여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힌지에 결합되면서 상향 연장되는 손잡이바와, 이 손잡이바와 연동되며 하향 연장되어 한쌍의 제2돌출 플랜지부중 하측에 위치한 제2돌출 플랜지부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구속력을 작용하는 후크를 구비한 걸림바로 구성되는 잠금레버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팬터그래프 폴딩수단은,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횡바의 중간부분을 분할하고 이를 커버하는 형태로 마련되면서 접힘될 수 있게 힌지 결합하는 상하 홀더와; 상기 상하 홀더를 상호 선택적으로 구 속시키는 고정기구와; 상기 한쌍의 횡바의 양측 끝을 각각 일체로 힌지 결합한 상태에서 각각의 전륜포크에 연결 구성하는 좌우 아암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에서 제1폴딩수단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에서 제2폴딩수단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에서 팬터그래프 폴딩수단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삼륜차는, 차체 프레임(10)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으로는 한쌍의 전륜(17l),(17r)이 배치되고 후방으로는 단일의 구동후륜(18)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즉, 본 발명의 삼륜차는 차체 프레임(10)의 선단측에 조향축(12)이 구비되는 구조이며, 상기 조향축(12)은 차체 프레임(10)에 결합되는 핸들 포스트(11)에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고, 그 상측으로는 횡방향으로 조향핸들(12a)이 연결 구성되 어 사용자가 조향핸들(12a)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시키면 조향핸들(12a)이 일체로 회동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핸들 포스트(11)가 위치한 차체 프레임(10)의 전방으로는 전륜 지지프레임(20)이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전륜 지지프레임(20)은 크게 연장바(21)와 횡바(22a),(22b) 그리고 전륜포크(23l),(23r)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바(21)는 차체 프레임(10)의 선단에서 전방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구조이며, 이 연장바(21)의 끝부분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횡바(22a),(22b)가 횡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횡바(22a),(22b)는 상하 한쌍이 배치되는 구성이며, 이 횡바(22a),(22b)의 양측 끝 하방향으로는 좌우 전륜포크(23l),(23r)가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좌우 전륜포크(23l),(23r)에는 각각의 전륜(17l),(17r)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조향축(12)의 후방측으로 대략 차체 프레임(10)의 중간부분에는 운전자가 탑승하기 위한 안장(13a)이 구비되며, 이 안장(13a)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장축(13)에 의해 차체 프레임(10)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안장축(13)의 아래 측에는 사용자가 답력을 가하기 위한 페달(14)과, 이 페달(14)을 지지하는 페달축(14a) 및 구동휠(15)이 구성되며, 상기 차체 프레임(10)의 후방측으로는 후륜(18)포크로 지지되는 후륜(18)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후륜(18)에는 상술할 구동휠(15)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종동휠(16)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통상의 삼륜차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며, 다만 본 발명은 핸들 포스트(11)와 차체 프레임(10) 그리고 전륜 지지프레임(20)에 각각의 접이구조를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는 접이식 삼륜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전륜(17l),(17r)과 후륜(18)을 연결하는 중간부분에 구비되는 제1폴딩수단(30)과, 조향축(12) 상에 구비되는 제2폴딩수단(40) 그리고 전륜(17l),(17r) 프레임에 구비되는 팬터그래프 폴딩수단(50)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폴딩수단(30)은 상술한 전륜(17l),(17r)과 후륜(18)을 연결하는 차체 프레임(10)의 일단을 분할하여 선택적으로 접힘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전륜(17l),(17r)과 후륜(18)이 상호 근접되게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1폴딩수단(30)은 크게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와 힌지축(33) 그리고 브라켓트(34) 및 나사부재(35)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는 차체 프레임(10)의 분할된 분할 접촉면상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0)의 지름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들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는 힌지축(33)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힌지축(33)은 상술한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의 일측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구조로 구비되며, 이 힌지축(33)에 의해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는 접히거나 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34) 는 상술한 힌지축의 맞은편에 위치하여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잠금부재로서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의 일부가 일체로 끼움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트(34)는 나사부재(35)에 의해 상술한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력을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나사부재(35)는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 중 어느 한쪽에 브라켓트(34)와 일체로 구비되며, 나사체결 방식에 의해 브라켓트(34)가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를 구속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거나 또는 후퇴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술한 제1폴딩수단(30)은 삼륜차의 전체 길이에서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폴딩수단(30)은 상기 나사부재(35)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브라켓트(34)가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에 대해 구속력을 실시 또는 해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31),(32)에 가해지는 구속력이 해제되면 힌지축(33)을 중심으로 분할된 차체 프레임(10)이 회동되어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폴딩수단(40)은 상기 조향축(12)의 일단을 분할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크게 한쌍의 제2돌출 플랜지부(41),(42)와 잠금레버(44)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2돌출 플랜지부(41),(42)는 전술한 제1돌출 플랜지부 (31),(32)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향축(12)의 분할된 일단의 접촉면상에 지름이 확장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때의 제2돌출 플랜지부(41),(42)는 결합시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호 끼움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돌출 플랜지부(41),(42)의 상측으로 조향축(12)상에 구비되는 잠금레버(44)는 전체적인 형상이 지렛대 형태로 중간부분이 조향축(12)상에 힌지(h1) 결합되어 상술한 제2돌출 플랜지부(41),(42)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속력을 작용한다. 즉, 잠금레버(44)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으며 조향축(12)상에 힌지(h1)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바(44a)가 상향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바(44a)의 일단에 힌지(h2)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걸림바(44b)를 구비하는 바, 이때의 상기 걸림바(44b)는 하향 연장되어 회동되는 구조이며, 그 끝단에는 한쌍의 제2돌출 플랜지부(41),(42) 중 하측에 위치한 제2돌출 플랜지부(42)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구속력을 작용하는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의 제2폴딩수단(40)은 조향축(12)이 접어진 상태에서 조향핸들(12a)의 타 구성품과 위치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폴딩수단(40)은 손잡이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걸림바(44b)가 하측에 위치한 제2돌출 플랜지부(42)에 작용하는 걸림 력이 해제되어 결과적으로 조향축(12)을 접을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조향축(12)을 직립 시킨 상태에서 걸림바(44b)의 후크가 하측에 위치한 제2돌출 플랜지부(42)에 걸림되게 한 상태에서 손잡이바(44a)를 상향 회동시키면 걸림바(44b)가 상향 이동하면서 후크부분이 하측의 제2돌출 플랜지부(42)의 하면을 가압하여 구속력을 작용하게 된다.
상기 팬터그래프 폴딩수단(50)은 좌우 전륜포크(23l),(23r)가 상호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게 전륜(17l),(17r) 프레임의 횡바(22a),(22b)를 선택적으로 수축되게 접이체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팬터그래프 폴딩수단(50)은 크게 상하 홀더(51),(52)와, 고정기구 그리고 좌우 아암(54),(55)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 홀더(51),(52)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횡바(22a),(22b)의 중간부분을 분할하고 이를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커버하는 형태로 마련되면서 각각의 상횡바(22a),(22b)와 하횡바(22a),(22b)가 접힘될 수 있게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술한 상하 홀더(51),(52)를 상호 선택적으로 구속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레버의 회동에 의해 구속 또는 구속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폴딩수단(30) 또는 제2폴딩수단(40)과 유사한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8 및 도 11에서는 제1폴딩수단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고정기구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정기구는 상하 홀더(51),(52)를 선택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아암(54),(55)은 그 일단이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횡바(22a),(22b)의 양측 끝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구조이며, 타단은 각각의 전륜포크(23l),(23r)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갖는 팬터그래프 폴딩수단(50)은 상하로 배치되는 각각의 횡바(22a),(22b)가 상하 홀더(51),(52)와 좌우 아암(54),(55)과의 연결 힌지점에서 회동하여 도 9에서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다이아몬드 형태로 일차 변형되고 최종적으로 도 10에서와 보는 바와 같이 상 횡바(22a),(22b)는 중간부분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하고, 하 횡바(22a),(22b)는 중간부분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하여 수직하게 모아진 형태로 변형되어 결과적으로 좌우 전륜(17l),(17r)이 모아지는 형태로 변형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접이식 삼륜차는 별도의 공구 없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접거나 펼 수 있으며, 특히 한쌍의 전륜을 폭방향으로 상호 근접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삼륜차의 전체적인 부피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삼륜차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차체 프레임의 선단에 위치하여 핸들 포스트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핸들이 결합되는 조향축과, 상기 핸들 포스트가 위치한 차체 프레임의 전방으로 연결되는 연장바 및 이 연장바의 끝부분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횡바 그리고 이 횡바의 양측 끝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피봇 지지되는 한쌍의 전륜을 회전되게 지지하는 좌우 전륜포크를 구비하는 전륜 지지프레임과, 안장이 설치되는 안장축 및 페달을 지지하는 페달축에 연결되는 구동휠 및 차체 프레임에 연결된 후륜포크로 지지되고 구동휠에 연동되는 종동휠을 구비하는 단일의 후륜으로 구성되는 삼륜차에 있어서,
    상기 전륜과 후륜이 선택적으로 상호 근접되게 접어질 수 있게 전륜과 후륜을 연결하는 차체 프레임의 일단을 분할하여 선택적으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 제1폴딩수단과;
    상기 조향축의 일단을 분할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 제2폴딩수단과;
    상기 좌우 전륜포크가 상호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전륜프레임의 횡바를 선택적으로 수축시키도록 접이체 형태로 구성되는 팬터그래프 폴딩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륜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폴딩수단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분할된 접촉면상에 지름이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와;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를 상호 연결하여 차체 프레임의 접힘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맞은편에 위치하여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의 일부가 일체로 끼움되는 크기의 끼움홈을 형성한 브라켓트와;
    상기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 중 어느 한쪽에 브라켓트와 일체로 구비되며, 브라켓트의 위치를 가변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한쌍의 제1돌출 플랜지부에 구속력을 작용하는 것으로 나사체결구조에 의해 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고정시키는 나사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륜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폴딩수단은,
    상기 조향축의 분할된 일단의 접촉면상에 지름이 확장된 형태로 상호 끼움구조로 구비되면서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제2돌출 플랜지부와;
    상기 한쌍의 제2돌출 플랜지부의 상측 조향축상에 위치하여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힌지에 결합되면서 상향 연장되는 손잡이바와, 이 손잡이바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연동되며 하향 연장되어 한쌍의 제2돌출 플랜지부중 하측에 위치한 제2돌출 플랜지부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구속력을 작용하는 후크를 구비한 걸림바로 구성되는 잠금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륜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터그래프 폴딩수단은,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횡바의 중간부분을 분할하고 이를 커버하는 형태로 마련되면서 접힘될 수 있게 힌지 결합하는 상하 홀더와;
    상기 상하 홀더를 상호 선택적으로 구속시키는 고정기구와;
    상기 한쌍의 횡바의 양측 끝을 각각 일체로 힌지 결합한 상태에서 각각의 전륜포크에 연결 구성하는 좌우 아암;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삼륜차.
KR1020040097467A 2004-11-25 2004-11-25 접이식 삼륜차 KR100583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467A KR100583980B1 (ko) 2004-11-25 2004-11-25 접이식 삼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467A KR100583980B1 (ko) 2004-11-25 2004-11-25 접이식 삼륜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980B1 true KR100583980B1 (ko) 2006-05-26

Family

ID=3718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467A KR100583980B1 (ko) 2004-11-25 2004-11-25 접이식 삼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31B1 (ko) 2007-04-26 2009-01-09 조정환 세발 자전거
CN102673694A (zh) * 2012-06-06 2012-09-19 河南理工大学 休闲趣味运动三轮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231B1 (ko) 2007-04-26 2009-01-09 조정환 세발 자전거
CN102673694A (zh) * 2012-06-06 2012-09-19 河南理工大学 休闲趣味运动三轮车
CN102673694B (zh) * 2012-06-06 2013-08-28 河南理工大学 休闲趣味运动三轮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065B1 (ko) 접이식 자전거 프레임
US5052706A (en) Foldable bicycle
US7175192B1 (en) Foldable bicycle
EP2336014B1 (fr) Véhicule transformable permettant de passer d&#39;un mode de roulage à empattement long à celui d&#39;un empattement court en une seule opération rapide
US7530419B2 (en) Three wheeled vehicle
NL1013919C2 (nl) Step.
JP3647383B2 (ja) 三輪スケータ
JP6890584B2 (ja) ベビーカーに変換可能な自転車
EP2582570A1 (de) Lasten- und/oder transportroller
KR20090130020A (ko) 3­바퀴형 후방­조향 스쿠터
JP2006507176A (ja) 個人用移動手段
JP2008502536A (ja) スキースレッジ
US5486015A (en) Human powered ground vehicle
CN210101894U (zh) 一种可折叠的电动滑板车
KR100583980B1 (ko) 접이식 삼륜차
KR20120030859A (ko) 리컴번트 자전거의 조향 장치
EP1810917A1 (en) Foldable bicycle
JP3643819B2 (ja) 折り畳み自転車
CN110053693B (zh) 一种可折叠的电动滑板车
JP2010540306A5 (ko)
CN201030923Y (zh) 折叠式自行车
FR2836447A1 (fr) Vehicule a au moins trois roues equipe de moyens d&#39;inclinaison de son chassis dans un virage
NL2003040C2 (en) Vehicle.
KR200164478Y1 (ko) 접철식 자전거
JP5406169B2 (ja) 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