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105B1 -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105B1
KR100583105B1 KR1020030096266A KR20030096266A KR100583105B1 KR 100583105 B1 KR100583105 B1 KR 100583105B1 KR 1020030096266 A KR1020030096266 A KR 1020030096266A KR 20030096266 A KR20030096266 A KR 20030096266A KR 100583105 B1 KR100583105 B1 KR 10058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mp process
layer
semiconductor device
hard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4689A (ko
Inventor
정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9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105B1/ko
Priority to US10/876,686 priority patent/US7199053B2/en
Publication of KR2005006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051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 H01L21/31053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involving a dielectric removal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의 종말점(end-point)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질화막을 연마 정지막으로 하는 모든 연마 공정을 수행할 때, 질화막 상부에 질소 성분을 포함하는 완충막을 형성한 다음, 연마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완충막에서 발생된 암모니아 가스로부터 일산화질소(NO)의 농도를 검출하여 질화막을 손실 없이 원하는 타겟(target) 까지 연마되도록 종말점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Method for Detecting End-Point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종말점 검출 방법에 따른 CMP 공정 단면도,
도 1e는 종래 방법의 연마 시간에 따른 종말점 측정 그래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종말점 검출 방법에 따른 CMP 공정 단면도.
도 2e는 본 발명의 종말점 검출 방법의 연마 시간에 따른 종말점 측정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21 : 기판 3, 23 : 다결정 실리콘층
3-1, 23-1 : 다결정 실리콘 패턴 5, 25 : 도전체층
5-1, 25-1 : 도전체 패턴 7, 27 : 하드마스크 질화막
7-1, 27-1 :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
8, 28 : 게이트 라인 10, 30 : 스페이서
13, 33 : 절연막 29 : 완충막
29-1 : 완충막 패턴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의 종말점(end-point)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질화막을 연마 정지막으로 하는 모든 연마 공정을 수행할 때, 질화막 상부에 질소 성분을 포함하는 완충막을 형성한 다음, 연마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완충막에서 발생된 암모니아 가스로부터 일산화질소(NO)의 농도를 검출하여 질화막을 손실 없이 원하는 타겟(target) 까지 연마되도록 종말점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미세화, 대용량화 및 고집적화를 위해서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비트라인(bit-line) 및 캐패시터(capacitor) 등을 형성한 다음, 각각의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층 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랜딩 플러그 콘택(landing plug contact; 이하"LPC"라 칭함)형성 공정과 같은 후속 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즉, 상기 비트라인이나 캐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게이트를 패터닝하고, 전면에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연마 공정으로 절연막을 평탄화 시키고, 후속 공정으로 LPC 마스크(M/K) 및 식각(etch) 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상기 연마 공정에서 절연막의 일부를 남겨두면서 평탄화 시킬 경우 셀(cell)과 페리(peri) 영역에 단차가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게이트 전극의 하드마스크 질화막이 노출될 때까지 절연막을 전부 연마하여 제거하고, 다시 절연막을 증착한 다음, 후속 공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법은 일정한 시간 연마 한 다음, 원하는 타겟까지 연마되었는지 두께를 측정하고, 게이트 전극의 하드마스크 질화막이 노출되었는지 CD SEM으로 관찰하는 등의 복잡한 공정 단계를 거쳐야 할뿐만 아니라, 상기 연마 공정에서 게이트 하드마스크의 선폭(critical dimension; 이하"CD"라 칭함)이 원하는 만큼 확보되지 못했을 경우, 연마 공정을 다시 수행하거나, 런(run)을 폐기(scrap)해야 하므로 공정 시간이 지연되고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광학적 방법 또는 모터 전류 방법 등을 이용하여 연마 공정 시에 실시간으로 층간절연막의 종말점을 검출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상기 방법 중에 빠르고 정확하다는 이유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질화막을 연마할 때 발생되는 암모니아 기체를 측정하여 종말점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실리콘 질화막(SiN)이나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등 질소를 포함한 막을 연마할 때 슬러리 내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NH3) 가스를 검출기(EPD; End Point detector)에서 기체 상태로 채집하여 측정한다. 그 원리는 열작용과 효소 작용으로 상기 암모니아 가스가 NO 가스로 변화되어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오존(O3)과 결합하여 이산화질소(NO2)와 여기된 NO2*로 된 다음, 다시 광화학 반응에 의해 빛을 내면서 NO2로 변할 때, 생성되는 빛을 검출함으로써 NO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반응식 1]
Figure 112003049389213-pat00001
NO + O 3~ ----->~NO 2 * + O 2
NO 2 *~----->~NO 2 + hv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종말점 검출 방법에 따른 CMP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소자분리막(미도시)이 구비된 반도체 기판(1) 상부에 다결정 실리콘층(3), 게이트 전극용 도전체층(5) 및 하드마스크 질화막(7)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도 1a에서 형성된 하드마스크 질화막(7), 게이트 전극용 도전체층(5) 및 다결정 실리콘층(3)에 대한 선택적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결정 실리콘 패턴(3-1), 게이트 전극용 도전체 패턴(5-1) 및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7-1)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8)을 형성한다.
그 다음, 게이트 라인(8)을 포함하는 결과물 전면에 산화막(미도시)을 형성하고, 식각하여 산화막 스페이서(10)를 형성한다.
도 1b에서 형성된 게이트 라인(8) 및 질화막 스페이서(10)를 포함하는 결과물의 전면에 도 1c와 같이 층간절연막(13)을 형성한다.
도 1c와 같이 형성된 층간절연막(13)을 도 1d와 같이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7-1)이 노출될 때까지 연마한다.
그러나, 종래 방법에서 상기 도 1d의 연마 공정을 수행할 때 연마 정지막인 하드마스크 질화막이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NH3 가스의 양의 증가로 NO 농도가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NO의 농도를 검출하여 종말점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이 부족하다, 그 결과, 하드마스크 질화막이 어느 정도 연마된 후에야 종말점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하드마스크 질화막이 손실되어 안정한 후속 공정을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질화막을 연마 정지막으로 하는 모든 연마 공정을 수행할 때, 질화막의 손실 없이 원하는 타겟까지 종말점 시간을 설정하여, 반도체 소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 라인 상부에 질소가 포함된 완충막을 형성하고, CMP 공정을 수행하여 게이트 하드마스크 절연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반도체 기판 상부에 다결정 실리콘층, 도전체층, 하드마스크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마스크 질화막 상부에 질소를 포함하는 완충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에 대한 선택적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폴리 실리콘 패턴, 도전체 패턴,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 및 완충막 패턴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의 측벽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결과물 전면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을 식각 정지막으로 상기 절연막 및 완충막에 대한 CMP 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CMP 공정 시에 슬러리 내의 암모니아 가스를 검출기로 검출하여 NO의 농도가 검출되기 시작하다가 NO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종말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완충막은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 또는 과실리콘 산화질화막(Si-rich SiON)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드마스크 질화막 상부로부터 200∼1000Å, 바람직하게는 300∼700Å두께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하드마스크 질화막 상부에 질소를 포함한 완충막을 형성한 후, 절연막에 대한 연마 공정을 수행하면 SiON 막으로부터 NO의 농도가 완만하게 증가되어 종말점을 쉽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종말점 측정이 빠르고 정확해 하드마스크 질화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한 후속 공정을 수행하여 반도체 소자의 신뢰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소자분리막(미도시)이 구비된 반도체 기판(21) 상부에 다결정 실리콘층(23), 게이트 전극용 도전체층(25) 및 하드마스크 질화막(27)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드마스크 질화막(27) 상부에 질소가 포함된 완충막(29)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 전극용 도전체층은 도핑 실리콘, 폴리 실리콘, 텅스텐(W), 텅스텐 나이트라이드(WN), 텅스텐 실리사이드(WSiX), 또는 티타늄 실리사이드(TiSiX)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완충막은 질소를 포함한 막으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질화막(SiON)으로 하드마스크 질화막 상부로부터 200∼1000Å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도 2a에서 형성된 하드마스크 질화막(27), 게이트 전극용 도전체층(25) 및 다결정 실리콘층(23)에 대한 선택적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도 2b와 같이 다결정 실리콘 패턴(23-1), 도전체 패턴(25-1),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27-1) 및 완충막 패턴(29-1)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28)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공정은 게이트 산화막에 대해 고선택비를 갖도록 사염화 탄소(CCl4)나 염소(Cl2)등과 같은 염소(chlorine) 가스를 소스로 사용하는 플라즈마 식각 공정으로 수행한다.
그 다음, 결과물 전면에 TEOS(Tetraethoxysilicate glass) 또는 실란계열 산화막(silane (SiH4)-base oxide)을 LP 화학 기상 증착법 (Low-Pressure CVD)으로 형 성한 후, 전면 식각하여 산화막 스페이서(30)를 형성한다.
도 2b에 의해 형성된 게이트 라인(28) 및 산화막 스페이서(30)를 포함하는 결과물의 전면에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층간절연막(33)을 형성한다.
상기 층간절연막은 매립 특성이 우수한 BPSG(boron phosphosilicate glass), PSG (phosphosilicate glass), FSG (fluorosilicate glass), PE-TEOS (plasma enhanced tetraethoxysilicate glass) 또는 PE-SiH4 (plasma enhanced-silane)등과 같은 도프(doped) 산화막이나, 과산화수소와 사일렌 반응 소스를 이용하여 LP-CVD 방법으로 유동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APL(advanced planarization layer) 산화막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산화막이나, 고밀도 플라즈마 산화막인 HDP USG (high density plasma undoped silicate glass)또는 HDP PSG (high density plasma phosphosilicate glass) 및 이들을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산화막은 TEOS를 소스로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산화막을 이용하여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경우, 막 형성 후에 H2, O2, N2, O3, N2O 또는 H2 +O2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에서 500∼1200℃에서 5분 이상 후속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거나, 60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1500℃에서 5초 이상 고속 열처리(rapid thermal processing; RTP) 공정을 수행하여 층간절연막을 밀착시켜 밀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2c와 같이 형성된 층간절연막(33)에 대하여 도 2d와 같이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27-1)이 노출될 때까지 CMP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CMP 공정은 연마 중인 슬러리 내에서 암모니아 가스를 검출기로 검출하여 NO의 농도가 검출되기 시작하다가 NO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종말점으로 설정한 CMP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MP 공정은 50nm∼500nm 크기의 콜로이달(colloidal) 또는 퓸드(fumed) 형태의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세리아(CeO2) 또는 지르코니아(ZrO2) 등의 연마제를 0.5∼15wt%, 바람직하게 1∼10wt%로 포함하는 pH 2∼12의 일반적인 산화막용 제 1 슬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막용 제 1 슬러리의 산화막 : 질화막의 연마 선택비는 1∼10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MP 공정은
상기 제 1 슬러리를 이용하여 층간절연막이 완충막 상부에 1000Å이하, 바람직하게는 300∼800Å두께로 남을 때까지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이 노출될 때까지 제 2 슬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완충막 상부에 잔류하는 층간절연막과 완충막을 연마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2 슬러리는 고선택성 슬러리로 상기 언급한 제 1 슬러리의 연마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CeO2를 연마제로 사용하는 pH 는 3∼8, 바람직하게는 pH 5∼7의 슬러리이다. 또한, 상기 제 2 슬러리의 산화막 : 질화막의 연마선택비는 10∼150 : 1, 바람직하게는 15∼100 : 1인 산화막용 고선택비 슬러리이다.
상기 모든 CMP 공정 조건은 1psi∼10psi의 연마 압력에서 10rpm∼100rpm의 연마 테이블 속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CMP 공정에서 상기 완충막인 SiON 막으로부터 도 2e의 도면과 같이 완만하게 증가되는 NH3 가스를 검출기로 검출할 때, NO의 농도가 검출되기 시작하다가 NO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종말점으로 설정함으로써, 게이트 하드마스크 절연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CMP 공정 전후의 막의 두께를 측정하거나 선폭(critical dimension)을 확인하는 단계를 생략(skip)할 수 있어 연마 시간 선정 오류에 의한 공정 지연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총 공정 시간을 단축시켜 반도체 소자의 오류(fail) 감소 및 수율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하드마스크 질화막 상부에 질소를 포함하는 완충막을 형성한 다음, CMP 공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정확한 종말점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층간절연막을 연마하는 동안 하드마스크 절연막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한 후속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CMP 공정 전후의 막의 두께를 측정하거나 선폭을 확인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공정 지연에 의한 소자의 오류를 감소시키고 수율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반도체 기판 상부에 다결정 실리콘층, 도전체층, 하드마스크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마스크 질화막 상부에 질소를 포함하는 완충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에 대한 선택적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폴리 실리콘 패턴, 도전체 패턴,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 및 완충막 패턴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의 측벽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결과물 전면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을 식각 정지막으로 상기 절연막 및 완충막에 대한 CMP 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CMP 공정 시에 슬러리 내의 암모니아 가스를 검출기로 검출하여 NO의 농도가 검출되기 시작하다가 NO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종말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막은 실리콘 산화질화막(SiON) 또는 과실리콘 산화질화막(Si-rich SiO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 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막은 하드마스크 질화막 상부로부터 200∼1000Å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용 도전체층은 도핑 실리콘, 폴리 실리콘, 텅스텐(W), 텅스텐 나이트라이드(WN), 텅스텐 실리사이드(WSiX) 및 티타늄 실리사이드(TiSi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공정은 염소(chlorine) 가스를 소스로 사용하는 플라즈마 식각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TEOS(Tetraethoxysilicate glass) 또는 실란계열 산화막(silane (SiH4)-base oxide)을 이용한 LP 화학 기상 증착법(Low-Pressure CVD)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절연막은 BPSG(boron phosphosilicate glass), PSG(phosphosilicate glass), FSG(fluorosilicate glass), PE-TEOS(plasma enhanced tetraethoxysilicate glass), PE-SiH4(plasma enhanced-silane), APL(advanced planarization layer),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및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HDP 산화막은 TEOS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HDP 산화막 형성 후, H2, O2, N2, O3, N2O 및 H2+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스 분위기 하에서 후속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HDP 산화막 형성 후, 600∼1500℃에서 고속 열처리(rapid thermal processing; RTP)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MP 공정은 50nm∼500nm 크기의 콜로이달(colloidal) 또는 퓸드(fumed) 형태의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세리아(CeO2) 및 지르코니아(ZrO 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연마제를 0.5∼10wt%로 포함하는 제 1 슬러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MP 공정은 제 1 슬러리를 이용하여 층간절연막이 완충막 상부에 300∼800Å두께로 남을 때까지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하드마스크 질화막 패턴이 노출될 때까지 제 2 슬러리를 이용하여 상기 완충막 상부에 잔류하는 층간절연막과 완충막을 연마하는 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러리는 산화막 : 질화막의 연마선택비가 10∼150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러리는 세륨(CeO2) 연마제를 사용하는 pH 3∼8의 산화막용 슬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MP 공정 조건은 1psi∼10psi의 연마 압력에서 10rpm∼100rpm의 연마 테이블 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CMP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KR1020030096266A 2003-12-24 2003-12-24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KR10058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266A KR100583105B1 (ko) 2003-12-24 2003-12-24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US10/876,686 US7199053B2 (en) 2003-12-24 2004-06-28 Method for detecting end-point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266A KR100583105B1 (ko) 2003-12-24 2003-12-24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689A KR20050064689A (ko) 2005-06-29
KR100583105B1 true KR100583105B1 (ko) 2006-05-23

Family

ID=3469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266A KR100583105B1 (ko) 2003-12-24 2003-12-24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99053B2 (ko)
KR (1) KR100583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8259A1 (en) * 2004-11-15 2006-07-06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8003470B2 (en) 2005-09-13 2011-08-23 Infineon Technologies Ag Straine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7287939A (ja) * 2006-04-17 2007-11-01 Ebara Corp 研磨方法、及び研磨装置
JP2012151366A (ja) * 2011-01-20 2012-08-09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10832908B2 (en) * 2016-11-11 2020-11-10 Lam Research Corporation Self-aligned multi-patterning process flow with ALD gapfill spacer mask
WO2019169335A1 (en) 2018-03-02 2019-09-06 Lam Research Corporation Selective deposition using hydrolysis
US10643846B2 (en) 2018-06-28 2020-05-05 Lam Research Corporation Selective growth of metal-containing hardmask thin films
CN114649424B (zh) * 2022-03-28 2024-02-13 常州时创能源股份有限公司 晶硅太阳能电池的电极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1570A (ja) * 1997-05-15 1998-12-04 Tokuyama Corp 半導体ウェーハポリッシング用研磨剤及びその製造方法、ポリッシング方法
US6126848A (en) * 1998-05-06 2000-10-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direct endpoint detection by chemical reaction and chemiluminescence
KR100372894B1 (ko) * 2000-07-28 2003-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콘택홀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99053B2 (en) 2007-04-03
US20050142878A1 (en) 2005-06-30
KR20050064689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1664B2 (en) Process for planarizing upper surface of damascene wiring structure for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JP4669679B2 (ja) 窒化珪素膜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685895B (zh)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EP1445797A2 (en) Chemical treatment of low-K dielectric films
US7202160B2 (en) Method of forming an insulating structure having an insulating interlayer and a capping layer and method of forming a metal wiring structure using the same
US7018924B2 (en) CMP slurry compositions for oxide films and methods for forming metal line contact plugs using the same
JP498779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583105B1 (ko)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의 종말점 검출 방법
US7569481B2 (en) Method for forming via-hole in semiconductor device
US7026246B2 (en) Method of cleaning semiconductor substrates after forming tungsten patterns
JPH09116009A (ja) 接続孔の形成方法
TW473829B (en) An improved method of depositing a conformal h-rich Si3N4 layer onto a patterned structure
US7253094B1 (en) Methods for cleaning contact openings to reduce contact resistance
US6436829B1 (en) Two phase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process for tungsten layers
JP467269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724146B2 (ja) 半導体装置
US20060160301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US6559030B1 (en) Method of forming a recessed polysilicon filled trench
KR100648247B1 (ko) 캐패시터의 금속 하부전극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선택적인 금속막 식각 방법
US20030003712A1 (en) Methods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0583118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240927B1 (ko) 반도체 기판의 평탄화 방법
US6780771B1 (en) Forming a substantially planar upper surface at the outer edge of a semiconductor topography
US20020119618A1 (en) Method for forming contacts of memory devices using an etch stop layer
KR100533982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