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711B1 -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711B1
KR100582711B1 KR1020030031941A KR20030031941A KR100582711B1 KR 100582711 B1 KR100582711 B1 KR 100582711B1 KR 1020030031941 A KR1020030031941 A KR 1020030031941A KR 20030031941 A KR20030031941 A KR 20030031941A KR 100582711 B1 KR100582711 B1 KR 10058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game
video
control signal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825A (ko
Inventor
김흥호
박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던테크
Priority to KR102003003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7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9Saving the game status; Pausing or ending the game
    • A63F13/497Partially or entirely replaying previous game 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어느 특정인이 가지고 있는 하나의 게임기와 그 게임 타이틀을 1인 이상이 원격지에서 공유하여 온라인 게임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는 영상/오디오신호를 캡쳐하는 뷰어장치와, 콘트롤신호를 제어하는 파이터장치로 구성되고, 그 파이터 장치는 플레이어 스위칭부와, 제어부와, 인코딩/디코딩부와, 키/제어값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플레이 제어장치이다.
인터넷, 게임기, 원격지, 공유, 온라인, 다중 플레이, 관전, 관람

Description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APPARATUS OF MULTI PLAY CONTROL USING A MOVINGIMAGE ON INTERNET}
도 1은 본 발명을 인터넷상에서 구현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플레이 장치 및 모듈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플레이 장치의 파이터 장치의 더욱 상세히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클라이언트 시스템 110, 210 : 콘트롤패드
120, 220 :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 121 : 뷰어장치
122 : 파이터 장치 122a : 플레이어 스위칭부
122b :제어부 122c : 키/제어값 테이블
122d : 인코딩/디코딩부 123. 141 : 직렬통신부
130, 230 : 게임기
140, 240 : 컴퓨터 단말기(다중 플레이 제어모듈)
142 : 디스플레이 제어모듈 143 : 사운드 제어모듈
144 : 영상/오디오 복원모듈 145 : 영상/오디오 압축모듈
146 : 콘트롤신호 모듈 147 : 통신모듈
400 : 운영서비스시스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상에서 어느 특정인이 가지고 있는 하나의 게임기와 그 게임 타이틀을 1인 이상이 원격지에서 공유하여 온라인 게임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게임기(플레이스테이션 또는 엑스박스 등)는 2인 이상이 게임을 하고자 할 때, 먼저 원하는 게임 타이틀을 구비하여야 하고, 게임기가 놓여진 장소에 2인의 게이머가 참석하여 게임기의 콘트롤 패드를 조작하여야 한다.
즉, 종래의 비디오 게임은 오프라인 게임으로 어는 한 지역에서만 폐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게임기 본체와 많은 량의 게임 타이틀을 게이머 모두가 각각 구비하여야 하며, 2인 이상의 게이머가 하나의 오프라인 게임 타이틀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원격 장소에서 게임을 즐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상에서 어느 특정인이 가지고 있는 하나의 게임기와 그 게임 타이틀을 1인 이상이 원격지에서 공유하여 온라인 게임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용하는 동영상으로서 게임타이틀이나 DVD 및 에니메이션 동영상 등등 모든 동영상을 공용하고 그 동영상 제공수단을 공용으로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는, 게임기 또는 동영상 플레이 수단과, 게임 콘트롤패드와, 다중 플레이제어장치와, 개인용 컴퓨터로 하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이루어져 복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임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을 공용하도록 이루어진 다중 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중플레이 제어장치는 영상/오디오를 캡쳐하여 로칼 및 원격지 클라이언트시스템이 공용으로 감상 또는 플레이할수 있게하는 뷰어장치와,
로칼 및 원격지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콘트롤패드 신호를 제어하여 공용으로 플레이할수 있도록하는 파이터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터 장치는,
상기 로칼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게임 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그 로칼 콘트롤패드의 신호와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어온 원격지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콘트롤패드 신호를 상기 게임기 또는 동영상 제공 수단에 콘트롤신호로 입력하고, 상기 원격지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게임 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로칼 콘트롤패드의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게임 및 동영상을 제공하는 원격지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터 장치는, 제1플레이어 및 제2플레이어로서 스위칭하여 게임기에 콘트롤신호를 입력시키는 플레이어 스위칭부와, 로칼 콘트롤패드의 콘트롤신호 및 원격지의 콘트롤신호를 상기 플레이어 스위칭부에 전달하거나, 상기 로칼 콘트롤패드의 콘트롤신호를 원격지로 바이패스 시켜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 키/제어값에 의거하여 디코딩하여 원격지로 전송하거나 원격지의 콘트롤신호를 키/제어값에 의거하여 인코딩하여 상기 플레이어 스위칭부로 입력시키는 인코딩/디코딩부와, 콘트롤신호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키/제어값을 저장하여둔 키/제어값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영상을 임의의 게임 동영상 즉, 하나의 게임타이틀을 예로하여 그 구성과 동작 설명을 한다. 그렇지만 게임 타이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DVD 영상과 같은 비디오 영상이나, 애니메이션영상, 컴퓨터에서 플레이되는 각종 동영상 및 비디오 플레이 장치등의 동영상과 카메라 동영상등등도 이에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의 콘트롤패드는 게임제어용 콘트롤패드를 예로하여 설명되었으나, 상기 동영상 제공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수단들이 이에 해당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게임타이틀을 공용하는 다중 플레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플레이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플레이 제어 장치 및 다중 플레이 제어 모듈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게임기를 통해 게임 타이틀을 플레이시켜 원격지에서 공용으로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과,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의 게임기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을 원격지에서 공용으로 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과, 상기 제1,제2클라이언트 시스템(100)(200)의 사용자들이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해 게임 제공자와 공용 사용자를 정하도록 커뮤니티를 제공하고, 상호 IP주소를 제공하여 온라인 연결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일측의 게임기의 게임 플레이를 공용으로 플레이 할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용서비스시스템(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과, 제2 클라이언트 시스템(200) 및 제3클라이언트 시스템은 모두 같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든 클라이언트 시스템중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는 게임기가 구비되어 게임 제공자가 되고, 다른 클라이언트 시스템들은 상기 게임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게임을 인터넷을 통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게임기(130)는 게임 타이틀을 플레이 시켜 게임을 실행하는 통상의 게임기이고, 상기 콘트롤패드(110)(210)는 상기 게임기(130)의 게임 콘트롤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기이다.
그리고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의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120)는, 콘트롤패드(110)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콘트롤신호와, 컴퓨터 단말기(140)를 통해서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콘트롤패드(210)로부터 입력된 콘트롤신호를 게임기(130)에 입력시키고, 상기 게임기(130)의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캡쳐하여 컴퓨터 단말기(14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다중 플레이장치(220)는 콘트롤패드(210)의 콘트롤신호를 입력받아 컴퓨터단말기(240)를 통해서 인터넷으로 전송하여 제1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3 클라이언트 시스템등은 상기 제1,제2클라이언트 시스템들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서 다중 플레이되는 게임을 관전할 수도 있으며, 이는 운영서비스 시스템(400)에서 게임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IP주소를 다중으로 연결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120)는, 게임기(130)의 영상신호를 캡쳐하는 영상/오디오 캡쳐 뷰어(viewer)장치(121)와, 상기 게임기(110)에서 게임이 실행되는 경우는, 콘트롤패드(110)의 콘트롤신호와 원격지의 클라이언트 시스템들로부터 전송 되어온 콘트롤패드 신호를 플레이어 선택에 맞 추어서 상기 게임기(130)에 입력시키고, 원격지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구비된 게임기에서 게임이 실행되는 경우는 상기 콘트롤패드(110)의 콘트롤신호를 전송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콘트롤신호 전송 파이터(fighter)장치(122) 및 상기 뷰어장치(121) 및 파이터 장치(122)와 상기 컴퓨터 단말기(140) 간의 통신을 하기 위한 직렬통신부(123)로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 단말기(140)는,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에 인터넷과 연결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본 발명에 의한 다중 플레이 제어모듈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다중플레이 제어모듈은, 상기 다중플레이제어장치(120)와 통신하기 위한 직렬통신부(141)와, 상기 다중 플레이제어장치(120)의 뷰어장치(121)로부터 전송된 영상및 오디오신호를 모니터와 스피커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제어모듈(142) 및 사운드 제어모듈(142)과, 원격지로부터 전송되어온 게임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복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제어모듈(142) 및 사운드 제어모듈(142)을 통해서 출력하는 영상/오디오 복원모듈(144)과, 상기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120)의 뷰어에서 전송되어온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오디오 압축모듈(145)과, 원격지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콘트롤패드 신호를 상기 다중 플레이제어장치(120)의 파이터 장치(122)에 전송하는 콘트롤신호모듈(146)과, 상기 영상/오디오 복원 모듈 및 압축모듈과 상기 콘트롤신호 모듈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여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 클라이언트 시스템들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147)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줄플레이 제어장치의 콘트롤신호 전송 파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기(130)와 콘트롤신호 통신 유지를 하면서 로칼 콘트롤 신호와 원격지의 콘트롤신호를 게임선택에 의거해여 제1플레이어 및 제2플레이어로서 스위칭하여 게임기(130)에 콘트롤신호를 입력시키는 플레이어 스위칭부(122a)와, 상기 플레이어 스위칭부(122a)를 제어하여 제1, 제2플레이어를 선택 제어하고, 로칼 콘트롤패드(110)의 콘트롤신호 및 원격지에서 전송되어온 콘트롤신호를 상기 플레이어 스위칭부(122a)에 전달하거나, 상기 로칼 콘트롤패드(110)의 콘트롤신호를 원격지로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22b)와, 상기 제어부(122b)의 제어를 받아 로칼 콘트롤패드(110)의 신호를 키/제어값에 의거하여 디코딩하여 직렬통신부(123)를통해 원격지로 전송하거나 그 직렬통신부(123)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콘틀롤신호를 키/제어값에 의거하여 인코딩하여 상기 제어부(122b)를 통해 상기 플레이어 스위칭부(122a)로 입력시키는 인코딩/디코딩부(122d)와, 상기 인코딩/디코딩부(122d)의 콘트롤신호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키/제어값을 저장하여둔 키/제어값 테이블(12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운영 서비스 시스템(400)은, 웹사이트를 제공하여 각 클라이언트 시스템들이 접속하여 다중 게임 플레이를 연결할수 있도록 하고, 게임실행에 따른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 제어방과, 게임제어방에 입장된 클라이언트들이 서로 커뮤니티를 할수 있는 커뮤니티방을 포함하고, 회원 가입에 의해 클라이언트들이 다중 게임 플레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다중 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각각의 컴퓨터 단말기(140, 240)를 운영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고, 그 운영 서비스 시스템(400)은 접속 사용자의 IP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운영서비시스템(400)에서는 접속된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140, 240)에 통신 연결 및 운용을 위한 소프트웨어즉, 다중 플레이 제어모듈을 다운로드시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에서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2인의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140, 240)간에 IP주소를 서로 교환하고, 상호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운영서비스 시스템(400)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회원가입하여 게임 제어방에 입장하고, 그 게임제어방에서 커뮤니티를 통해서 게임 타이틀 제공자와 원격 게임자를 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의 사용자가 게임타이틀을 제공하는 경우는,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 사용자가 원격 게임자가 된다.
상기 게임 제어방에서 다중 플레이 게임을 설정하여 게임 실행을 연결하게 되면, 운영 서비스 시스템(400)의 라우터가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과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간에 상호 IP주소를 제공하여 연결되도록 관리하게된다.
이와 같이 운영서비스 시스템(400)의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다중 게임 플레이 서비스레 의거하여 각 클라이언트 시스템들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다중 플레이를 실행 할수 있게 되는데,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의 사용자가 게임기(130)에서 게임타이틀을 실행시킨다.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120)는, 뷰어 장치(121)를 통해서 게임기(130)의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캡쳐하고, 그 캡쳐된 신호는 직렬통신부(123)를 통해서 컴퓨터 단말기에 전송된다. 컴퓨터 단말기는 직렬통신부(141)를 통해서 다중 플레이 제어모듈에서 상기 게임기의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 제어모듈(142)과 사운드 제어모듈(142)을 통해서 모니터와 스피커에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게임기(130)에서 캡쳐된 영상 및 오디오신호는 영상/오디오 압축모듈(145)을 통해서 압축되고, 통신모듈(147)을 통해서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에서는 컴퓨터 단말기(240)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서 전송한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수신받는다.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컴퓨터 단말기 내에 설치된 다중 플레이 제어모듈에서 수신된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복원시킨후 이를 디스플레이 제어모듈 및 사운드 제어모듈을 통해서 모니터와 스피커에 출력시킨다.
따라서, 제1클라이언트와 제2클라이언트는 공용으로 게임기(130)의 영상 및 오디오를 각자의 모니터와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시킬 수 있게된다.
이렇게 게임기(110)의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실시간으로 각각 출력시키면서 각자의 콘트롤패드(110)(210)를 통해 게임 조작을 한다.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120)의 파이터 장치(122)는, 이때, 게임기(130)와 콘트롤신호를 유지하는 통신을 하면서 콘트롤패드들과 통신하게 된다.
상기 파이터 장치(122)는, 그 파이터 장치(122)가 연결된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게임을 제공하는지 아닌지를 먼저 파악한다. 이는 제어부(122b)가 게임기(130)와의 콘트롤신호 유지를 위한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여 게이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인지 원격지 클라이언트인지를 판단한다.
게임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라면, 상기 플레이어 스위칭부(122a)를 통해서 게임기(130)와 콘트롤패드(110)간에 콘트롤신호 유지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므로 제어부(122b)가 이를 검출하여 판단한다. 게임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즉, 게임기(130)에서 게임이 플레이되는 경우는, 로칼 콘트롤패드(110)의 콘트롤 신호와 원격지의 콘트롤신호를 플레이어 스위칭부(122a)에 전송하여 게임기(130)를 제어할수 있도록 한다.
만약, 게임을 제공하지 않는 클라이언트라면, 제어부(122b)는 로칼 콘트롤패드(110)의 신호를 원격지로 전송을 제어하게되는 것이다.
인코딩/디코딩부(122d)는 제어부(122b)의 제어에 의거하여 원격지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콘트롤신호를 키/제어값 테이블(122c)의 테이블값을 참조해서 콘트롤신호값으로 복원하고 이를 제어부(122b)를 통해서 플레이어 스위칭부(122a)에 공급한다. 그리고, 게임을 제공하지 않는 원격지 클라이언트인경우 상기 제어부(122b)의 제어에 의해 로칼 콘트롤패드(110)에서 입력되는 콘트롤신호를 키/제어값 테이블(122c)의 테이블값에 의거하여 원격지로 송신할 정보로 디코딩하여 직렬통신 부(123)를 통해서 원격지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레이어 스위칭부(122a)는 로칼 콘트롤신호와 원격지의 콘트롤신호를 각기 제1플레이어 또는 제2플레이어로서 콘트롤신호를 스위칭하여 게임기(130)에 입력한다. 제1, 제2플레이어는 로칼 또는 원격지의 사용자중 임으로 선택해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파이터장치(122)는 로칼 콘트롤신호와 원격지 콘트롤신호를 게임제공, 제1 또는 제2플레이어의 선택에 의거하여 콘트롤신호의 전송제어를 하게 된다.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의 게임기(130)에서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1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의 다중 플레이 제어 장치(120)는, 상기 콘트롤패드(110)의 콘트롤신호와, 상기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의 콘트롤패드(210)에서 입력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게임기(130)에 입력시켜 게임 콘트롤을 하게 된다. 컴퓨터 단말기(140)의 다중 플레이 제어모듈은, 상기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 되어온 콘트롤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의 파이터 장치(122)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서 게임기(130)를 통해 게임을 실행시키고,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에서는 상기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원격지에서 조작하여 플레이 할 수 있게 되는것이다.
반대로,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에서 게임기(230)를 통해 게임을 실행시키고,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서 상기 게임기의 게임을 공용으로 플레이 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2인용 게임인 경우는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과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간에 각각 제1,제2플레이어를 결정하여 게임을 플레이 할수 있고, 1인용 게임인 경우는,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서 게임을 제공하고, 제2클라이언트 시스템(200)에서는 자신이 게임타이틀이 없을지라도 제1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게임을 원격지에서 플레이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2인이상 다중 게임인 경우는 임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게임기를 통해 게임을 실행시키면, 각자의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서 게임기의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면서 각자의 콘트롤 패드를 통해서 게임을 플레이하게 되는것이다. 이때 게임 제공자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는 다중 플레이 제어장치가 영상 및 오디오를 캡쳐하여 전송하고, 원격지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콘트롤신호를 플레이어에 맞추어서 게임기에 입력시킴으로써, 다중 게임 플레이를 진행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관전을 원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비스시스템(4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의해 관전자로 등록하게 되면, 해당 관전자들의 ip주소도 멀티로 연결되며, 이에따라 상기 게임에 대한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자신의 모니터에 출력하게 되므로, 여러명의 클라이언트들이 관전을 하게 되며, 게임의 단계 또는 일시 종료되는 경우 관전자중 임의의 사용자가 게임자로 변경되어 게임에 참여할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게임타이틀을 공용하는 다중 플레이 시스템에 의하면, 어느 일방에서만 게임기와 그 게임 타이틀을 구비하면, 게임기와 게임 타이틀일 없는 원격지의 다른 사람과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1인 이상의 게이머가 하나의 오프라인 게임 타이틀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원격 장소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특정 게임을 온라인을 통하여 여러명이 관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게임기 또는 동영상 플레이 수단과, 게임 콘트롤패드와, 다중 플레이제어장치와, 개인용 컴퓨터로 하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이루어져 복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임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을 공용하도록 이루어진 다중 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중플레이 제어장치는,
    영상/오디오를 캡쳐하여 로칼 및 원격지 클라이언트시스템이 공용으로 감상 또는 플레이할 수 있게하는 뷰어장치와,
    로칼 및 원격지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콘트롤패드 신호를 제어하여 공용으로 플레이 할 수 있도록하는 파이터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터 장치는,
    게임기 또는 동영상 제공수단과 콘트롤신호 통신 유지를 하면서 로칼 콘트롤 신호와 원격지의 콘트롤신호를 제1플레이어 및 제2플레이어로서 스위칭하여 입력시키는 플레이어 스위칭부와,
    상기 플레이어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제1, 제2플레이어를 선택 제어하고, 로칼 콘트롤패드의 콘트롤신호 및 원격지에서 전송되어온 콘트롤신호를 상기 플레이어 스위칭부에 전달하거나, 동영상 제공자가 원격지인 경우 상기 로칼 콘트롤패드의 콘트롤신호를 원격지로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로칼 콘트롤패드의 신호를 키/제어값에 의거하여 디코딩하여 원격지로 전송하거나 원격지에서 전송되어오는 콘트롤신호를 키/제어값에 의거하여 인코딩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플레이어 스위칭부로 입력시키는 인코딩/디코딩부와,
    상기 인코딩/디코딩부의 콘트롤신호 인코딩/디코딩을 위한 키/제어값을 저장하여둔 키/제어값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플레이 제어장치.
  2. 삭제
KR1020030031941A 2003-05-20 2003-05-20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제어장치 KR10058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941A KR100582711B1 (ko) 2003-05-20 2003-05-20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941A KR100582711B1 (ko) 2003-05-20 2003-05-20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560U Division KR200324909Y1 (ko) 2003-05-20 2003-05-20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플레이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825A KR20040099825A (ko) 2004-12-02
KR100582711B1 true KR100582711B1 (ko) 2006-05-23

Family

ID=3737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941A KR100582711B1 (ko) 2003-05-20 2003-05-20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703942PA (en) 2014-11-25 2017-06-29 Razer (Asia-Pacific) Pte Ltd Access grant determin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ccess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825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9145B2 (en) Video game recording and playback with visual display of game controller manipulation
CN112788358B (zh) 游戏对局的视频直播方法、视频发送方法、装置及设备
KR100483322B1 (ko) Catv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게이밍 경험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372899B1 (ko) 인터넷을 통한 게임방송방법 및 그 장치
JP673771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画像配信方法
CN109005424B (zh) 对象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电子装置
US20120072561A1 (en) Video game system and method
US20010029201A1 (en) Game apparatus, storage medium, transmission medium and computer program
WO2010029024A1 (en) Electronic gaming system and method
KR100480411B1 (ko) 네트워크 게임용 서버 장치, 네트워크 게임 관리 방법 및 네트워크 게임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0582711B1 (ko)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 플레이제어장치
KR200324909Y1 (ko)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기 위한 다중플레이 제어장치
KR200324889Y1 (ko)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는 다중 플레이시스템
KR100601906B1 (ko)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는 다중 플레이 시스템
JP2003053041A (ja) ネットカジノシステム及び当該システムのゲーム制御方法、当該方法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並びにサーバ
KR20060092449A (ko) 비디오게임공유기
KR100587511B1 (ko)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는 다중 플레이 운용 시스템
KR200322056Y1 (ko)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는 다중 플레이운용 시스템
JP4754252B2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ゲーム装置及びサーバ
WO2004015610A1 (en) Multi play system that use one moving picture in common on internet
JP2006334077A (ja) 遊技場遊技機及び遊技システム
KR20120069246A (ko) 당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기록매체
KR20010093908A (ko) 펌프 게임 시스템 및 펌프 게임 서비스 방법
JPH09266971A (ja) 遠隔操作パチンコシステム
JPH11128537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演算集中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