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951B1 -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951B1
KR100581951B1 KR1020040098741A KR20040098741A KR100581951B1 KR 100581951 B1 KR100581951 B1 KR 100581951B1 KR 1020040098741 A KR1020040098741 A KR 1020040098741A KR 20040098741 A KR20040098741 A KR 20040098741A KR 100581951 B1 KR100581951 B1 KR 10058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it glass
position alignment
intaglio
plasm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8Sealing, e.g. seals specially adapted for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1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방전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및 배면 패널을 구비한 패널 조립체;와, 패널의 대향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된 프릿트 글래스;와, 패널의 가장자리에 도포되며, 전면 패널에 대하여 배면 패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기준을 제공하는 위치 정렬부;를 포함하고, 위치 정렬부는 프릿트 글래스와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중첩되어 형성되고, 프릿트 글래스와의 음영 차이에 의하여 위치를 확인가능하도록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 인쇄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위치 정렬부와, 프릿트 글래스가 중첩된 상태에서, 위치 정렬부의 음각부에 도포된 프릿트 글래스를 비젼이 인식하게 되므로, 위치 정렬부와 프릿트 글래스의 오판없이 복수의 패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Plasma display panel having a convenient position alignment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통상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릿트 글래스를 도포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판을 정렬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렬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렬부를 도시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패널 조립체 210...전면 패널
211...전면 기판 261...배면 기판
266...프릿트 글래스 270...위치 정렬부
271...제 1 음각부 272...제 1 양각부
273...제 2 음각부 274...제 2 양각부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향되게 배치된 복수의 기판을 정렬시에 위치 오차 없이 봉착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기판의 대향면에 각각의 방전 전극을 형성하고, 기판 사이의 방전 공간에 방전 가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여 방전 공간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에 의하여 발광된 빛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를 말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및 배면 패널을 각각 제조하여 이를 결합시키고, 결합된 패널 조립체에 샤시 베이스를 조립하고, 이 샤시 베이스에 패널 조립체와 전기적 신호를 상호 전달가능하도록 구동 회로부를 실장하고, 소정의 검사 과정을 통한 다음에 케이스에 장착함으로써 완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가장자리에는 이들을 봉착하기 위하여 프릿트 글래스(frit glass)가 도포되고, 소정의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이들을 상호 봉착시키게 된다.
이때, 전면 및 배면 패널은 패널의 소정 부위에 얼라인 마크(align mark)를 표시하고, 비젼(vision)등과 같은 위치 정렬 수단을 이용하여서 위치를 정렬한 다음에, 프릿트 글래스가 용융되는 온도에서 열융착하는 과정을 통하여 정위치에서 봉착하게 된다.
한편,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는 구동중에 여러 가지 이유로 소음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프릿트 글래스의 도포량이 증가하게 되면, 패널 조립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다소 줄어들게 된다.
그런데, 프릿트 글래스가 도포되는 면적이 증가할수록, 패널의 일측에 표시된 얼라인 마크가 형성된 영역까지 침범하게 되어서, 비젼이 얼라인 마크와 프릿트 글래스를 인식하지 못하고 위치를 오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서 저면 및 배면 패널의 결합이 불가능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 및 배면 패널의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어서 이들을 상호 봉착시키는 프릿트 글래스와, 위치를 정렬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위치 정렬부를 일부 중첩시켜서 음영의 차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의 정렬이 가능한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및 배면 패널을 구비한 패널 조립체;와,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대향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되며, 이들을 상호 봉착시키는 프릿트 글래스;와,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가장자리에 도포되며,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하여 배면 패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기준을 제공하는 위치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프릿트 글래스와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릿트 글래스와의 음영 차이에 의하여 위치를 확인가능하도록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되지 않은 영역인 음각부와, 상기 음각부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인쇄되는 영역인 양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위치 정렬부는 최내측에 음각부가 위치되고, 상기 음각부의 바깥쪽으로 적어도 1회 이상의 양각부와, 음각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위치 정렬부는 프릿트 글래스에 의하여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프릿트 글래스는 상기 음각부를 채우도록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양각부의 윗면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위치 정렬부는 은 페이스트나, 형광체용 원소재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은,
방전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및 배면 패널을 구비한 패널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하여 배면 패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기준을 제공하는 위치 정렬부를 전면 및 배면 패널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대향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들을 상호 봉착시키는 프릿트 글래스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 조립체의 상부로부터 비젼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렬부를 통한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위치를 정위치에 정렬하여서, 이들을 상호 봉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렬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프릿트 글래스와의 음영 차이에 의하여 위치를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프릿트 글래스와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중첩되게 소정 패턴으로 인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렬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대향되는 내면에 인쇄되지 않은 영역인 음각부와, 상기 음각부의 둘레를 따라서 인쇄되는 영역인 양각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위치 정렬부는 최내측에 위치한 음각부와, 상기 음각부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양각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쌍을 이루어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프릿트 글래스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프릿트 글래스는 상기 음각부를 채우도록 도포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양각부의 윗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비젼은 위치 정렬부와 프릿트 글래스가 중첩된 패널의 반대쪽으로부터 조사되어서, 조사된 빛이 양각부를 통과하지 못하고, 프릿트 글래스가 도포된 음각부만을 통과하여서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비젼은 음각부를 통과한 프릿트 글래스가 도포된 부분을 전면 패널에 대한 배면 패널의 위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100)는 전면 패널(102)과, 상기 전면 패널(102)과 대향되게 배치된 배면 패널(103)을 구비한 패널 조립체(10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01)의 후방에는 샤시 베이스(10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샤시 베이스(104)는 접착 부재에 의하여 패널 조립체(101)와 결합되어 있다. 접착 부재로는 배면 패널(103)의 외면 중앙에 부착된 방열 쉬트(105)와, 배면 패널(103)의 외면 가장자리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10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열 쉬트 (105)는 패널 조립체(10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
상기 샤시 베이스(104)의 배면에는 구동 회로부(10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107)에는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으며,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 10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108)는 패널 조립체(101)의 각 전극 단자와 구동 회로부(107) 사이에 접속되어서, 이들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01)의 전방에는 필터 조립체(1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조립체(112)는 구동중 상기 패널 조립체(101)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나, 적외선이나, 네온 발광이나, 외광의 반사를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필터 조립체(101)에는 투명한 기판상에 외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이 부착되고, 패널 조립체(101)의 구동중에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전자파 차폐층이 형성되고, 네온 발광과 화면 발광시 사용되는 불활성 기체의 플라즈마에 의한 근적외선의 불필요한 발광을 차폐하기 위하여 선택파장 흡수필름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패널 조립체(101), 샤시 베이스(104), 필터 조립체(112)는 케이스(115)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5)는 상기 필터 조립체(112)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캐비넷(113)과, 상기 샤시 베이스(104)의 후방에 설치된 커버 백(1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 백(114)의 상하단에는 다수개의 벤트 홀(114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조립체(112)의 배면에는 필터 홀더(1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홀더(118)는 상기 프론트 캐비넷(113)에 대하여 필터 조립체(112)를 가압하는 프레스부(116)와, 상기 프레스부(116)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된 픽싱부(11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픽싱부(117)에는 다수의 체결공(11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캐비넷(113)의 배면에는 필터 장착부(1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장착부(119)에는 상기 픽싱부(117)가 대향되게 위치하고 있으며,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프론트 캐비넷(113)에 대하여 필터 조립체(112)를 고정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조립체(200)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 조립체(200)는 전면 패널(210)과, 배면 패널(26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은 상호 결합시에 대향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프릿트 글래스(frit glass, 266)에 의하여 봉착되어서 내부 공간이 밀폐된다.
상기 전면 패널(210)에는 전면 기판(21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면 기판(211)은 투명한 기판, 예컨대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면 기판(211)의 아랫면에는 이의 X 방향으로 X 전극 및 Y 전극(212)(21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X 및 Y 전극(212)(213)은 기판(211)의 Y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위치하고 있으며, 각 단위 방전 셀별로 한 쌍씩 배치된다.
상기 X 전극(212)은 상기 전면 기판(211)의 내면에 형성된 제 1 투명 전극 라인(212a)과, 상기 제 1 투명 전극 라인(21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버스 전 극 라인(212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버스 전극 라인(212b)은 상기 제 1 투명 전극 라인(212a)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Y 전극(213)은 상기 X 전극(2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며, 전면 기판(211)의 내면에 형성된 제 2 투명 전극 라인(213a)과, 상기 제 2 투명 전극 라인(21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버스 전극 라인(213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2 버스 전극 라인(213b)은 상기 제 2 투명 전극 라인(213a)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 라인(212a)(213a)은 전면 기판(211)의 개구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도전막, 예컨대 ITO막(Indium Tin Oxide Film)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버스 전극 라인(212b)(213b)은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 라인(212a)(213a)의 라인 저항을 줄이고,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 이를테면, 은 페이스트(Ag paste)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한 쌍의 X 및 Y 전극(212)(213)과, 이와 인접한 다른 한 쌍의 X 및 Y 전극(212)(213) 사이의 공간은 비방전 영역에 해당된다. 이러한 비방전 영역에는 패널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블랙 스트라이프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X 및 Y 전극(212)(213)은 전면 유전체층(214)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214)은 글래스 페이스트(glass paste)에 각종 필러(filler)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고유전율 소재이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214)은 상기 X 및 Y 전 극(212)(213)이 패턴화된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인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면 기판(211)의 아랫면 전체 영역에 인쇄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214)의 표면에는 이의 파손을 방지하고, 2차 전자 방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마그네슘 옥사이드(MgO)와 같은 보호막층(215)이 증착되어 있다.
상기 배면 패널(260)에는 배면 기판(26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 기판(261)은 전면 기판(2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면 기판(261)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26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262)은 상기 X 및 Y 전극(212)(21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어드레스 전극(262)은 배면 유전체층(263)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 사이에는 이들과 함께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2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격벽(264)은 어드레스 전극(26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격벽(264a)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262)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격벽(264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격벽(264a)은 인접한 한 쌍의 제 2 격벽(264b)의 내측벽으로부터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격벽(264a)(264b)의 결합은 매트릭스형의 방전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상기 격벽(264)은 미앤더형(meander type)이나, 델타형(delta type)이나, 벌집형(honeycomb type)등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존재하며, 이로 인하여 구획된 방전 셀은 사각형 이외에도 다른 형상의 다각형이나, 원형등 어느 하나의 방전 공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과, 격벽(264)에 의하여 구획된 방전 셀내에는 네온(Ne)-크세논(Xe)이나, 헬륨(He)-크세논(Xe)과 같은 방전 가스가 주입되어 있다.
또한, 방전 셀내에는 방전 가스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에 의하여 여기되어서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적,녹,청색의 형광체층(265)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적,녹,청색의 형광체층(265)은 방전 셀의 어느 영역에도 도포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264)의 내측으로 도포되어 있다. 상기 형광체층(265)은 각각의 방전 셀별로 코팅되어 있다. 적색의 형광체층은 (Y,Gd)BO3;Eu+3 으로 이루어지고, 녹색의 형광체층은 Zn2SiO4:Mn2+ 으로 이루어지고, 청색의 형광체층은 BaMgAl 10O17:Eu2+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전면 패널(210)에 대하여 배면 패널(260)을 정렬시킬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는 위치 정렬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면 패널(210)과, 배면 패널(260)은 상기 X 및 Y 전극(212)(213)과, 어드레스 전극(262)에 소정의 방전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 공간에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하여 형광체층(265)을 여기시켜서 화상을 구현하는 영역인 표시 영역(display area, D)과, 상기 표시 영역(D)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X 및 Y 전극(212)(213)과, 어 드레스 전극(262)의 단자와, 외부 단자, 예컨대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이 접속되는 영역인 비표시 영역(non-display area, ND)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비표시 영역(ND)에는 X 및 Y 전극(212)(213)과, 전면 유전체층(214)과, 보호막층(215)이 형성된 전면 패널(210)과, 어드레스 전극(262)과, 배면 유전체층(263)과, 격벽(264)과, 형광체층(265)이 형성된 배면 패널(262)을 상호 봉착시켜서, 밀폐된 방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릿트 글래스(266)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프릿트 글래스(266)는 비표시 영역(ND)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적인 띠모양으로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의 형상에 따라 사각 띠 형상이다. 이러한 프릿트 글래스(266)는 표시 영역(D)까지 침범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넓히면 넓힐수록 패널 조립체의 구동시 소음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표시 영역(ND)에는 상기 프릿트 글래스(266)와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중첩되도록 위치 정렬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 정렬부(270)는 상기 프릿트 글래스(266)와의 음영 차이에 의하여 위치를 확인가능하도록 인쇄 물질을 이용하여 소정 패턴으로 인쇄되어 있다. 인쇄시, 사용되는 인쇄 물질로는 상기 어드레스 전극(262)용 원소재로 사용되는 은 페이스트(Ag paste)나, 형광체층(265)용 원소재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가 있어서 용이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위치 정렬부(270)는 상기 비표시 영역(ND)에 형성된 제 1 음각부 (271)와, 상기 제 1 음각부(27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제 1 양각부(272)와, 상기 제 1 양각부(272)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제 2 음각부(273)와, 상기 제 2 음각부(273)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제 2 양각부(27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음각부(271)(273)는 인쇄 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양각부(272)(274)는 이와 반대로 인쇄 물질이 도포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음각부(271)(273)와, 제 1 및 제 2 양각부(272)(274)는 서로 한 쌍을 이루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상이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음각부(271)(273)와, 제 1 및 제 2 양각부(272)(274)는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쌍을 이루는 원형의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제 1 음각부(571)와, 상기 제 1 음각부(571)의 둘레를 따라서 인쇄된 원형의 제 1 양각부(572)를 구비한 위치 정렬부(570)나, 도 6에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제 1 음각부(671)와, 상기 제 1 음각부(671)의 둘레를 따라서 인쇄된 원형의 제 1 양각부(672)와, 상기 제 1 양각부(267)의 둘레를 따라서 인쇄된 원형의 제 2 음각부(673)와, 상기 제 2 음각부(673)의 둘레를 따라서 인쇄된 사각형의 제 2 양각부(674)을 구비한 위치 정렬부(570)등 타원형이나, 다각형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위치 정렬부(270)는 최내측인 중앙에는 음각부가 위치하고, 이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양각부와, 음각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프릿트 글래스(266)와의 중첩시 도포 면적을 확대시킬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
여기서, 위치 정렬부(270)는 프릿트 글래스(266)에 의하여 매립되어 있다. 상기 프릿트 글래스(266)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조립체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그 면적을 넓히면 넓힐수록 유리한데, 이러한 이유로서, 비표시 영역(ND)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위치 정렬부(270) 상에도 도포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프릿트 글래스(266)는 빈 공간인 제 1 및 제 2 음각부(271)(273)을 채우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양각부(272)(274)의 윗면에 소정 두께로 도포되어진다. 주지하는 바 대로, 상기 프릿트 글래스(266)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 정렬부(270)는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추후, 위치 정렬시 명확하게 구별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정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전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패널(210)과, 배면 패널(260)을 구비한 패널 조립체(200)를 준비한다.
상기 전면 패널(210)의 경우, 전면 기판(211)의 내표면에는 디스플레이 방전 유지 전극쌍인 X 전극(212)과, Y 전극(213)과, 이들을 매립하는 전면 유전체층(214)과, 상기 전면 유전체층(214)의 표면에 증착되는 보호막층(215)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배면 패널(260)의 경우, 배면 기판(261)의 내표면에는 어드레스 전극(262)과, 이를 매립하는 배면 유전체층(263)과, 방전 셀을 한정하는 격벽(264)과, 상기 격벽(264)의 내측으로 도포되는 적,녹,청색의 형광체층(265)을 연속적으로 형 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위치 정렬부(27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위치 정렬부(270)는 전면 패널(210)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버스 전극 라인(212b)(213b)을 형성시키기 위하거나, 배면 패널(260)에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262)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은 페이스트나, 격벽(264)내에 도포되는 적,녹,청색의 형광체층(265)중 어느 하나의 형광체용 원소재를 이용하여 이들과 동일한 공정시 형성시키는 것이 제조 공정상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의 대향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들을 상호 봉착시키는 프릿트 글래스(266)를 도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패널 조립체(200)의 상부로부터 비젼(vision)을 이용하여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의 위치를 위치 정렬부(270)를 통하여 일치시키고, 상기 전면 패널(210)에 대하여 배면 패널(260)을 상호 봉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 정렬부(270)를 형성시, 상기 프릿트 글래스(266)와의 음영 차이에 의하여 위치를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위치 정렬부(270)는 상기 프릿트 글래스(266)와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중첩되게 소정 패턴으로 인쇄된다.
즉, 상기 위치 정렬부(270)는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의 가장자리, 예컨대, 비표시 영역(ND)에 형성되는데, 인쇄가 되지 않은 영역인 원형의 제 1 음각부(271)와, 상기 제 1 음각부(271)의 둘레를 따라서 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 며, 인쇄가 되는 영역인 원형의 제 1 양각부(272)와, 상기 제 1 양각부(272)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인쇄가 되지 않은 영역인 원형의 제 2 음각부(273)와, 상기 제 2 음각부(273)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인쇄가 되는 영역인 원형의 제 2 양각부(274)를 구비하도록 패턴화된다. 이렇게 음각부와, 음각부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양각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쌍을 이루어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프릿트 글래스(266)를 도포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포 장치(300)을 이용하게 된다.
즉, 테이블(301)상에 전면 또는 배면 패널(210)(260)을 장착하게 된다. 상기 전면 또는 배면 패널(210)(260)이 장착된 다음에는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한 XY 샤프트(302)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XY 샤프트(302)에 장착된 디스펜서(dispenser, 306)의 노즐부(306a)를 통하여 배출되는 프릿트 글래스의 원소재를 상기 전면 또는 배면 패널(210)(260)의 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도포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306)의 노즐부(306a)로부터 프릿트 글래스의 원소재가 분사되기 위해서는 프릿트 글래스의 원소재를 저장된 탱크부(306)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고, 상기 전면 또는 배면 패널(210)(260)상에 도포되는 양을 제어기(304)로 조절하면서, 정량 밸브(303)를 개방시키는 것에 의하여 프릿트 글래스의 원소재는 연결관(307) 내를 통하여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릿트 글래스(366)는 도 2에 도시된 위치 정렬부(270) 상에도 도포된다. 즉, 상기 프릿트 글래스(366)는 제 1 음각부(271)와, 제 2 음각부(272)를 채우고, 이와 동시에, 제 1 음각부(271)의 둘레를 따라서 인쇄된 제 1 양각부 (272)와, 제 2 음각부(272)의 둘레를 따라서 인쇄된 제 2 양각부(274)의 윗면에도 소정 두께로 도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210)에 대한 배면 패널(260)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젼(400)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정렬이 가능하다.
즉, 테이블(401)상에 전면 패널(210)과, 배면 패널(260)을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한 다음에, 그 상부로부터 비젼부(402)로부터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젼부(402)는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의 각 가장자리마다 동시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비젼부(402)로부터 조사된 빛은 상기 위치 정렬부(270)의 위치를 인식하게 되어서, 상기 전면 패널(210)에 대하여 배면 패널(260)의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비젼부(402)는 위치 정렬부(270)가 형성된 부분과, 프릿트 글래스(266)가 도포된 부분의 반대쪽으로부터 조사되는데, 프릿트 글래스(266)가 도포된 제 1 및 제 2 음각부(271)(273)으로는 빛이 통과되는 반면에, 제 1 및 제 2 양각부(272)(274)로는 불투명한 소재로 위치 정렬부(270)가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릿트 글래스(266)가 도포된 영역인 위치 정렬 마크가 되어서, 상기 비젼부(402)로부터 조사된 빛에 의한 오판을 방지하면서,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210)(260)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위치 정렬부와, 프릿트 글래스가 중첩된 상태에서, 위치 정렬부의 음각부에 도포된 프릿트 글래스를 비젼이 인식하게 되므로, 위치 정렬부와 프릿트 글래스의 오판없이 복수의 패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다.
둘째, 프릿트 글래스의 면적이 넓게 도포되므로, 구동중에 소음을 줄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방전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및 배면 패널을 구비한 패널 조립체;와,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대향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되며, 이들을 상호 봉착시키는 프릿트 글래스;와,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가장자리에 도포되며,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하여 배면 패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기준을 제공하는 위치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프릿트 글래스와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릿트 글래스와의 음영 차이에 의하여 위치를 확인가능하도록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되지 않은 영역인 음각부와, 상기 음각부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인쇄되는 영역인 양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최내측에 음각부가 위치되고, 상기 음각부의 바깥쪽으로 적어도 1회 이상의 양각부와, 음각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프릿트 글래스에 의하여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트 글래스는 상기 음각부를 채우도록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양각부의 윗면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다각형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은 페이스트나, 형광체용 원소재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방전에 의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및 배면 패널을 구비한 패널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하여 배면 패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기준을 제공하는 위치 정렬부를 전면 및 배면 패널의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대향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들을 상호 봉 착시키는 프릿트 글래스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 조립체의 상부로부터 비젼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렬부를 통한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위치를 정위치에 정렬하여서, 이들을 상호 봉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렬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프릿트 글래스와의 음영 차이에 의하여 위치를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프릿트 글래스와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중첩되게 소정 패턴으로 인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대향되는 내면에 인쇄되지 않은 영역인 음각부와, 상기 음각부의 둘레를 따라서 인쇄되는 영역인 양각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부는 최내측에 위치한 음각부와, 상기 음각부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양각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쌍을 이루어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트 글래스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프릿트 글래스는 상기 음각부를 채우도록 도포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양각부의 윗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비젼은 위치 정렬부와 프릿트 글래스가 중첩된 패널의 반대쪽으로부터 조사되어서, 조사된 빛이 양각부를 통과하지 못하고, 프릿트 글래스가 도포된 음각부만을 통과하여서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배면 패널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비젼은 음각부를 통과한 프릿트 글래스가 도포된 부분을 전면 패널에 대한 배면 패널의 위치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40098741A 2004-11-29 2004-11-29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제조 방법 KR10058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741A KR100581951B1 (ko) 2004-11-29 2004-11-29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741A KR100581951B1 (ko) 2004-11-29 2004-11-29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1951B1 true KR100581951B1 (ko) 2006-05-22

Family

ID=3718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741A KR100581951B1 (ko) 2004-11-29 2004-11-29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95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087B1 (ko) 외광반사가 저감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JP3039437B2 (ja)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40000870A1 (en) Panel assembly for PD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685995B2 (ja) 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6512499B1 (en) Flat plasma discharge display device
KR2005011257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81951B1 (ko) 위치 정렬이 편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제조 방법
US20090051290A1 (en) Plasma display panel
JPWO2006112419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590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KR10107092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형성 방법
KR1009276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0002240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US8247970B2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0870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7947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정렬방법
KR1006476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1117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60062620A (ko) 소음을 줄인 플라즈마 표시장치 조립체
KR1006702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패널 조립체
US20090021165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13886B1 (ko) 전사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전사 플레이트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형성 방법
KR1005901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993117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5956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