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373B1 -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373B1
KR100580373B1 KR1020040111060A KR20040111060A KR100580373B1 KR 100580373 B1 KR100580373 B1 KR 100580373B1 KR 1020040111060 A KR1020040111060 A KR 1020040111060A KR 20040111060 A KR20040111060 A KR 20040111060A KR 100580373 B1 KR100580373 B1 KR 10058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se
entrance
filter base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연준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4Seals or g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92Threaded sections, e.g. scre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필터 교환 시 필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filter assembly for water purifier }
도 1은 종래의 필터베이스와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 및 3b는 도 2의 패킹부재가 필터베이스에 수용된 상태의 A-A 단면도로서, 필터베이스 출입포트의 폐쇄 및 개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터베이스 11 : 플랜지
13, 33 : 홈 20 : 필터
21 : 필터케이스 22 : 넥부
23 : 돌기 24 : 오링
30 : 패킹부재 31a : 단차부
31b : 타측 단차부 32 : 연통공
41 : 체결위치결정돌기 42 : 체결위치결정홈
본 발명은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 교환 시 필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식수 또는 조리용으로 사용되는 수돗물에 대한 수질 오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감이 증가함에 따라, 수돗물을 정수하여 사용하는 가정 또는 업소가 증가하고 있다. 정수기는 각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이하, "원수"라 칭함)을 여과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를 갖추고 있으며, 다수개의 필터를 서로 직렬 연결함으로써 원수에 들어 있는 각종 오염 성분을 여과한다. 그런데, 정수기를 장기간 사용하면 원수의 오염 정도 또는 정수기 사용 기간에 따라 필터를 교환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는 하부면(204)에 직경이 상이하며 동일축선상에 위치한 원통형상의 입구(202)와 출구(203)를 갖는 필터(200)와, 상기 입구(202)가 삽입되는 입구포트(110)와 상기 출구(203)가 함입되는 출구포트(111)를 구비한 필터베이스(100)로 구성된다.
물론, 입구(202)의 원주면을 따라라 오링을 부착함으로써, 입구포트(110)와의 결합 시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필터(200)의 하부면(204) 외주면에는 돌출된 고정돌기(201,205)가 형성되고, 필터베이스(100)에는 고정돌기(201,205)가 고정 지지되는 고정홈(113,11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필터(200)의 고정돌기(201,205)를 상기 고정홈(113,114)에 끼운 후 회전시킴으로써, 필터(200)가 필터베이스(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20020호 종래기술 참조.) 여기서, 전술한 필터(200)는 필터베이스(1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수개의 필터(200)에 각각의 필터베이스(100)가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필터베이스(100)를 호스를 통해 직렬로 연결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는 필터(200)를 필터베이스(100)에 회전시켜 끼우는 방식으로서, 필터(200)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필터(200)를 상기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돌린 다음 필터베이스(100)로부터 분해해야한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는 필터(200)의 오링이 필터베이스(100)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분해하는 과정에서 필터(200)를 흔들어서 빼내게 된다. 따라서, 필터(200) 내부에 고인 물이 흔들림에 의해 새어나오거나 필터베이스(100)를 통해 물이 새어 나오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터 교환 시 필터베이스로부터 필터의 분해 작업이 용이하고, 필터베이스의 출입포트를 폐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는 측면에 출입구가 구비된 필터; 상기 측면출입구에 대응되는 출입포트가 구비되는 필터베이스;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베이스에 체결 시 상기 출입포트와 상기 출입구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을 갖으며, 분해 시 상기 출입포트와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필터 교환 시 필터 내부의 물이 흘러버리거나 필터베이스를 통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와 상기 필터베이스에는 상기 필터의 체결위치를 결정하는 체결위치결정부재가 더 형성되면, 필터베이스의 출입포트를 개폐하여 출입포트와 출입구를 쉽게 연통 또는 차단시킬 수 있고, 나아가, 체결된 필터의 위치 및 체결 방향 확인을 통해 필터베이스의 출입포트를 개폐상태를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도 2의 패킹부재가 필터베이스에 수용된 상태의 A-A 단면도로서, 필터베이스 출입포트의 폐쇄 및 개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또는 도 3a 및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는 출입구(미도시)가 구비된 필터(20), 출입구에 대응되는 출입포트(110,111)가 구비되며 필터(20)에 체결되는 필터베이스(10), 출입구와 출입포트(110,111)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패킹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20)는 필터케이스(21)와, 필터케이스(21)의 하부면(204)에 형성된 넥부(22)로 구성된다.
넥부(22)의 외주면에는 입구와 출구가 구비된다.
여기서, 넥부(22)에는 필터(20) 내부의 물이 필터베이스(10)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오링(2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넥부(22)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면(204)에 대해 이격된 돌기(23)가 형성된다.
물론, 돌기(23)는 종래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단일구조, 또는 한 쌍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돌기(23)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하부면(204)과 돌기(2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하에서 후술하겠지만, 필터(20) 체결 시 필터베이스(10)의 플랜지(11)가 상기 공간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필터(20)는 필터베이스(10)로부터 이탈 방지된다.
필터(20)의 물의 흐름은 원통형 필터(20)를 반원통으로 구분하는 구조로 하여 입구에서 출구로 나가는 방식이다. 이러한, 일예가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0-0024022호에 제시되어 있다.
필터베이스(10)는 상측이 개구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필터베이스(10)의 상측 단부에는 필터베이스(10)의 외주면에 대해 수직한 플랜지(11)가 형성된다.
또한, 필터베이스(10)에는 입구와 출구에 대응되는 입구포트(110)와 출구포트(1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출입포트(110,111)는 필터(20)의 출입구에 수직한 위치에 배치된다.
플랜지(11)에는 필터(20)의 돌기(23)가 수용되는 홈(13)이 형성된다.
홈(13)은 출입포트(110,111)에 대해 수직한 위치에 배치된다.
패킹부재(3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패킹부재(30) 또한 필터(20)의 돌기(23)가 수용되는 홈(33)이 형성된다.
패킹부재(30)의 외주면에는 출입구와 출입포트(110,111)를 연통시키는 연통공(32)이 형성된다.
여기서, 패킹부재(30)에 형성된 홈(33)과, 연통공(32)은 필터베이스(10)에 형성된 홈(13)과 마찬가지로 출입포트(110,111)에 대해 수직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필터(20)를 회전시켜 체결하기 전의 필터 조립체의 유로를 살펴보면, 출입구와 연통공(32)이 연통되어 있고, 출입포트(110,111)는 상기 출입구와 연통공(32)에 대해 수직한 위치에 배치된다.
패킹부재(30)는 필터베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패킹부재(30)가 필터베이스(10)에 수용되는 예로서, 필터베이스(10)를 2개의 파트로 나누어 성형한다. 즉, 2개의 파트로 나누어진 필터베이스(10)를 패킹부재(30)에 설치한 후 분리된 부분을 접합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물론, 패킹부재(30)를 고무재질로 하여 탄성을 이용해 필터베이스(10)에 쉽게 수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는 필터(20)의 돌기(23)를 필터베이스(10)와 패킹부재(30)에 형성된 각각의 홈(13,33)에 끼운 후 체결하기 위해 필터(20)를 회전시키면, 필터(20)가 회전함에 따라 패킹부재(30) 또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돌기(23)는 플랜지(11)를 통해 이탈 방지되어 필터(20) 가 필터베이스(10)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즉, 필터(20) 체결 시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30)의 연통공(32)에 의해 필터베이스(10)의 출입포트(110,111)가 개방되고, 이로 인해, 필터(20)와 필터베이스(10)의 유로가 연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터 조립체는 필터 본연의 여과작용을 한다.
반면에, 필터(20)를 교환 시에는 필터(20)를 회전시켜 돌기(23)를 홈(13,33)의 위치에 배치시킨 후 홈(13,33)에서 돌기(23) 분리한다. 이때, 패킹부재(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포트(110,111)를 폐쇄하여 필터(20)와 필터베이스(10)의 유로를 차단한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20) 교환 시 필터베이스(10)의 출입포트(110,111)를 폐쇄하므로 필터베이스(10)를 통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필터베이스(10)와 패킹부재(30)에 형성된 홈(13,33)에서 필터(20)의 돌기(23)를 쉽게 분해 할 수 있으므로 필터(20) 교환 시 필터(20) 내부의 물이 흘러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필터베이스(10)의 플랜지(11)에는 하향 돌출된 체결위치결정돌기(41)가 형성되고, 패킹부재(30)에는 출입포트(110,111)와 출입구가 연통됐을 때 필터(20)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도록 체결위치결정돌기(41)에 대응되는 체결위치결정홈(42)이 형성된다.
여기서, 패킹부재(30)의 연통공(32)은 출입포트(110,111)에 대해 수직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필터(20) 체결 시 출입포트(110,111)와 출입구가 연통되기 까지의 회전각도는 90도이다.
물론, 체결위치결정돌기(41)는 필터(20) 분해 시에도 또한 필터(20)의 분해 위치를 결정한다.
즉, 필터(20)를 체결하기 위해 필터(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체결위치결정돌기(41)가 체결위치결정홈(42)의 형성으로 인해 구비된 패킹부재(30)의 단차부(31a)에 걸려 필터(20)가 90도만큼 회전한 후 정지하게 된다. 물론, 패킹부재(30) 또한 90도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출입포트(110,111)와 출입구가 연통된다. 반면에, 필터(20)를 분해하기 위해 체결 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패킹부재(30)의 타측 단차부(31b)측에 위치한 돌기(23)가 체결위치결정돌기(41)에 걸려 90도만큼 회전한 후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20)의 돌기(23)가 홈(13,33)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필터베이스(10)와 필터(20)간의 유로가 폐쇄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패킹부재(30)와 필터베이스(10)에 필터(10)의 체결위치를 결정하는 체결위치결정부재(41,42)가 더 형성됨으로써, 필터베이스(10)의 출입포트(110,111)를 개폐하여 필터베이스(10)와 필터(20)간의 유로를 쉽게 연통 또는 패쇄 할 수 있다. 또한, 필터베이스(10)에 결합된 필터(20)의 위치 및 방향 확인으로 필터베이스(10)와 필터(20)간의 유로 연통상태를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필터베이스와 필터 사이에 개재된 패킹부재가 필터의 출입포트를 개폐함으로써, 필터 교환 시 필터베이스와 필터의 유로를 차단하고, 필터를 필터베이스로부터 쉽게 분해할 수 있으므로 필터 내부의 물이 흘러버리거나 필터베이스를 통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패킹부재와 상기 필터베이스에는 상기 필터의 체결위치를 결정하는 체결위치결정부재가 더 형성됨으로써, 필터베이스의 출입포트를 개폐하여 출입포트와 출입구를 쉽게 연통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된 필터의 위치 및 체결 방향 확인을 통해 필터베이스의 출입포트를 개폐상태를 알 수 있다.

Claims (2)

  1. 측면에 출입구가 구비된 필터;
    상기 측면출입구에 대응되는 출입포트가 구비되는 필터베이스;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베이스에 체결 시 상기 출입포트와 상기 출입구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을 갖으며,
    분해 시 상기 출입포트와 상기 출입구를 차단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필터베이스에는 상기 필터의 체결위치를 결정하는 체결위치결정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KR1020040111060A 2004-12-23 2004-12-23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KR10058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060A KR100580373B1 (ko) 2004-12-23 2004-12-23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060A KR100580373B1 (ko) 2004-12-23 2004-12-23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373B1 true KR100580373B1 (ko) 2006-05-15

Family

ID=3718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060A KR100580373B1 (ko) 2004-12-23 2004-12-23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37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148B2 (en) Rotary valve assembly for fluid filtration system
US20080223775A1 (en) Water purifying device
KR100195461B1 (ko) 스트레이너
US9084952B2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in particular a filter device, and cartridge
AU2007325600A2 (en) Water filter cartridge and valve with auto bypass feature
US20070284296A1 (en) Filter cartridge and head assembly with internal shutoff valve
US20220194820A1 (en) Filter element and filter having the filter element
JP2009078269A (ja) 燃料フィルタダイバータ
CN104826379A (zh) 一种滤瓶组件
KR100580373B1 (ko) 정수기용 필터 조립체
TWM629174U (zh) 淨水用的濾心組
KR200285193Y1 (ko) 정수기용 필터
KR100589656B1 (ko) 정수장치
TWI805280B (zh) 淨水用的濾心組
KR200327019Y1 (ko) 정수기용 외부필터 케이스
KR0116621Y1 (ko)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KR920006348Y1 (ko) 스트레이너장치
CN113149134B (zh) 滤头、过滤器以及过滤机组
KR200284898Y1 (ko) 수도꼭지
KR200269460Y1 (ko) 정수기용 필터의 조립구조
KR100680981B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용 여과장치
KR102534583B1 (ko) 중앙정렬형 유체여과장치
WO2022213310A1 (en) Filter head, filter and filter assembly
JPH0643433U (ja) 水路切換弁
KR100889637B1 (ko) 디스크착탈식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