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621Y1 -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621Y1
KR0116621Y1 KR2019950001621U KR19950001621U KR0116621Y1 KR 0116621 Y1 KR0116621 Y1 KR 0116621Y1 KR 2019950001621 U KR2019950001621 U KR 2019950001621U KR 19950001621 U KR19950001621 U KR 19950001621U KR 0116621 Y1 KR0116621 Y1 KR 0116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water purifier
water in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1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392U (ko
Inventor
이용기
Original Assignee
이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기 filed Critical 이용기
Priority to KR2019950001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621Y1/ko
Publication of KR960028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6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상측유닛트(3)는 정수기 본체판(1)에 고정하고 하측유닛트(4)는 휠터통(2)에 고정하여 상측유닛트에서 하측유닛트를 착탈함으로서 휠터(5)를 교체할 수 있게 한 가정용정수기에 있어서 하측유닛트(4)의 걸림턱(19)(19')과 상측유닛트(3)의 걸림턱(42)(42´)의 결합·분리에 의하여 작은 회전거리에서 양 유닛트(3)(4)가 착탈되게 함과 동시에 하측유닛트(4)의 돌기부(15)(15´)의 회전에 의하여 물 유입구(26) 상측의 밸브(32)가 개폐되게 함으로서 누구나 손쉽게 휠터를 교체할 수 있는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용 착탈장치이다.

Description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3도의 (a)(b)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를 보이는 종단면도.
제4도의 (a)(b)는 본 고안에서 상측유닛트의 밸브와 하측유닛트의 돌기부와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제5도의 (a)(b)는 하측유닛트의 정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정수기본체판 2 : 휠터통
2': 원형돌기 3 : 상측유닛트
3' : 배수관 3 : 벽면
3': 공간 4 : 하측유닛트
5 : 휠터 5´: 휠터중앙공
6 : 공간 7 : 격판
8 : 플랜지 9 : 통공
10 : 벽체 11 : 상측평면
12 : 하측평면 13 : 수직면
14 : 경사면 15 : 돌기부
15´: 돌기부 16 : 요입홈
17 : 고무링 18 : 간격
18´: 융기부 19 : 걸림턱
19´: 걸림턱 20 : 상향경사면
21 : 하향경사면 22 : 수평면
23 : 격판 24 : 하향플랜지
25 : 접속부 26 : 물유입구
27 : 물유입호스연결부 28 : 배수공
29 : 물유출호스연결구 30 : 밸브실
31 : 밸브시트 32 : 밸브
33 : 작동간 34 : 지지판
35 : 안내핀 36 : 지지공
37 : 코일스프링 38 : 덮개판
39 : 나사 40 : 나사
41 : 팩킹 42 : 걸림턱
42´: 걸림턱 43 : 수평면
44 : 경사면 45 : 직각면
46 : 간격 47 : 경사부
48 : 돌설부
본 고안은 가정용 정수기의 휠터를 교체하기 위하여 그 본체판에서 휠터가 수장된 하우싱 즉 휠터통을 착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착탈에 의하여 그 휠터통에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는 밸브가 자동적으로 개폐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정수기는 정기적으로 그 휠터를 교체하여 주어야 하며 교체시에는 휠터통을 정수기 본체에서 분리시켜야 하고, 이때에는 반드시 그 휠터통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별도의 밸브를 막아야 하는바 만일 이를 망각하고 휠터통을 분리시키면 그 휠터통으로 유입되는 물이 한꺼번에 밑바닥으로 쏟아져서 당황하게 되며 그리고 그 휠터통의 착탈방식은 일반적으로 회전방식을 체택하고 있는바 그 회전회수가 종래에는 최소한 3∼5 회전 또는 그 이상이므로 불편이 있는 것이다.
가정용 정수기의 휠터 교체시에는 이상과 같은 작업상의 번거로움 때문에 이를 아무나 손쉽게 교체하지 못하고, 반드시 에프터서비스하는 사람을 불러야하며 이렇게되면 그 휠터 하나를 교체하여 주기 위해서 장거리를 차를 타고 왕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휠터 값은 자연 높아질 수밖에 없을 뿐아니라, 정기 교체도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누구나 쉽게 예를들면 일반 가정주부라도 정수기 휠터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정수기 본체에서 휠터통을 착탈하면 그 휠터통으로 유입되는 물을 제어하는 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되게 함과 동시에 휠터통의 개폐방식을 회전방식으로하되 휠터통을 2분의 1 내지 4분의 1 정도만 회전하면 그 착탈이 완성되게 한 것이며, 이하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부호 1은 정수기 본체판이고, 부호 2는 휠터를 수장하는 휠터통이며, 부호 3은 본체판(1)에 고정되는 착탈장치의 상측유닛트이고, 부호 4는 휠터통(2)에 고정되는 착탈장치의 하측유닛트이다.
본 고안은 그 착탈장치의 상측유닛크(3)와 하측유닛트(4)의 결합과 분리에 의하여 정수기 본체와 휠터통(2)의 착탈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휠터(5)는 휠터통(2) 내부에 수장되는 그 중앙공(5')의 하단에는 휠터통(2) 내부 저면의 원형돌기(2')가 삽입고정되고, 상단에는 상측유닛트(3)의 배수관(3')이 삽입고정되며, 휠터(5)의 외주면과 휠터통(2)의 내주면 그리고 휠터(5)의 상면과 하측유닛트(4)의 하면 사이에는 일정한 하나의 공간(6)이 형성되는바 이 공간(6)에 유입된 물이 휠터에서 여과되어 휠터중앙공(5')으로 흐른 다음 배수관(3')을 통하여 배수되는 것이 정수기의 일반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하측유닛트(4)는 그 격판(7) 외주에 하향의 플랜지(8)를 환설하여 그 내측에 휠터통(2)의 상단을 삽입 고정하고 격판(7)의 중앙부에는 원형통공(9)을 형성하며, 이 원형통공(9)의 내주에는 상측으로 원형 벽체(10)를 돌설하여 그 상단에는 상측수평면(11)과 하측수평면(12) 그리고 수직면(13)과 경사면(14)을 갖는 두개의 돌기부(15)(15')를 대칭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하측평면(12) 바로 아래의 원형벽체(10) 외주면에는 요입홈(16)을 환설하여 이에 팩킹용 고무링(17)을 끼우며 원형벽체(10) 하측 위주의 격판(7) 상면에 원형융기부(18')를 형성하고, 그 상측 양단에는 격판(7)의 상면과 일정한 간격(18)을 두고 걸림턱(19)(19')을 돌설하되 이 양 걸림턱(19)(19')의 양 선단에는 각기 상향경사면(20)과 하향경사면(21)을 대칭으로 갖고 그 양 경사면 사이에는 각기 수평명(22)을 형성한다.
상측유닛트(3)는 그 원형격판(23) 하면 외주에 하향플랜지(24)를 형성하고, 격판(23) 상면에는 접속부(25)를 돌설하여 이에 물유입구(26)와 연통되는 물유입호스연결구(27)를 형성함과 동시에 휠터(5)의 중앙공(5')과 접속되는 상측유닛트(3)의 배수관(3') 내부의 배수공(28)과 연통되는 물유출호스연결구(29)를 형성하며 배수관(3') 외주에는 원형의 수직벽면(3)을 갖고 그 천정면에 물유입구(26)가 위치하는 하측유닛트(4)의 원형벽체(10)의 삽입공간(3')을 형성한다.
물유입호스연결구(27)와 물유입구(26) 사이에는 물유입구(26)를 중심으로 그보다 직경이 큰 밸브실(30)을 만들어 그 저면의 물유입구(26) 주위에는 밸브시트(31)를 돌출 환설하고, 그 위에 밸브(32)를 상치하며 이 밸브(32)의 하면 중앙에는 일정길이의 작동간(33)을 돌설하여 물유입구(26)에 관통시키고, 그 상면 중앙에는 지지판(34)의 안내핀(35)이 삽입되는 지지공(36)을 융설한다.
그리고 밸브(32)와 지지판(34) 사이의 안내핀(35) 외주에는 코일스프링(37)을 탄설하여 지지판(34) 상면이 밸브실(30) 상단의 덮개판(38) 하면에 물려서 지지되었을때 밸브(32)의 하면이 밸브시트(31)에 밀접되어 밸브가 닫어지므로서 물유입호스연결구(27)에서 유입되는 물이 물유입구(26)로 통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덮개판(38)은 나사(39)로 접속부(25) 상면에 고정하므로서 쉽게 열지 못하게 하고 상측유닛트(3)는 그 접속부(25) 상면을 정수기 본체판(1)의 하면에 나사(40)로 견고하게 고정하며 밸브(32)는 그 외면에 연질 팩킹(41)을 씌워서 밸브의 개폐작용을 정확하게 한다.
한편 하향플랜지(24)의 내주면에는 걸림턱(42)(42')를 대향되게 돌설하고, 그 상면에는 수평면(43)과 경사면(44) 그리고 직각면(45)을 형성하며 수평면(43)과 격판(23) 하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46)을 형성한 다음 하향플랜지(24)의 내주면에는 또한 걸림턱(42)(42')의 각 직각면(45)과 일정거리를 두고 하측유닛트(4)를 밀어내는 하향의 경사면(47)을 갖는 돌설부(48)를 형성한다.
미 설명부호 50은 연결호수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결합할 때에는 휠터(5)가 내장되고 하측유닛트(4)가 상단에 고정된 휠터통(2)을 잡고 하측유닛트(4)의 상부를 정수기 본체판(1)에 고정된 상측유닛트(3)의 하부에 배수관(3')이 원형통공(9)에 삽입되게 접합시키면 먼저 하측유닛트(4)의 걸림턱(19)(19') 상면이 상측유닛트(3)의 걸림턱(42)(42') 하면에 접촉되는데 이때 휠터통(2)을 약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측유닛트(3)의 두 걸림턱(42)(42') 사이에 하측유닛트(4)의 두 걸림턱(19)(19')이 삽입되면서 하측유닛트(4)의 고무링(17)이 상측유닛트(3)의 벽면(3)에 닿을 때까지 하측유닛트(4)의 돌기부(15)(15')가 상측유닛트(3)의 공간(3)에 삽입된다.
여기서 약간의 힘을 가하면서 휠터통(2)을 약간만 더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걸림턱(19)(19')의 하향경사면(21)과 걸림턱(42)(42')의 상향의 경사면(44)이 서로 습동상승된 다음 양측걸림턱(19)(19')(42)(42')의 수평면(22)(43)이 서로 접촉되면 경사면(21)(44)의 습동상승작용은 정지되고 수평면(22)(43)에서 하측유닛트(4) 전체가 회전작용만 하다가 걸림턱(19)(19')의 하향경사면(21) 선단이 상측유닛트(3)의 돌기부(48) 일측에 닿았을 때 하측유닛트(4)의 회전은 여기서 정지되고 더 이상 회전되지 아니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양측걸림턱(19)(19')(42)(42')의 습동상승작용에 의하여 고무링(17)도 상측유닛트(3)의 원형벽면(3)에서 상승됨과 동시에 돌기부(15)(15') 또한 회전되면서 상승하여 그 하측평면(12) 위에 위치하던 밸브(32)의 작동간(33) 선단이 경사면(14)에 의하여 상승하며 그 작동간(33) 선단이 돌기부(15)(15')의 상측평면(11)에 이르렀을 때 그 상승작용은 정지된다. 이에따라 물유입구(26)를 막고 있던 밸브(32)는 열려서 물 유입호스연결구(27)를 통하여 공급되는 정수되지 아니한 물은 물 유입구(26)로 유입되어 공간(6)으로 이송되고 휠터(5)에서 정수된 다음 휠터중앙공(5')과 배수관(3') 및 배수공(28) 그리고 물 유출호스연결구(29)를 통하여 정수된 물을 얻는다. 이때 물 유입구(26)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고무링(17)에 의하여 철저하게 차단되어 있음으로 휠터(5)에 의하여 정수된 물과는 혼합되지 아니한다.
그후 휠터를 또 다시 교환하기 위하여 휠터통(2)을 정수기 본체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휠터통(2)을 손에 잡고 시계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측유닛트(3)와 하측유닛트(4)는 그들 걸림턱(19)(19')(42)(42')의 각 수평면(22)(4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음으로 서로 빠지지는 아니하고 회전운동만 하는데 이때 밸브(32)의 작동간(33) 하선단을 떠 받치고 있던 돌기부(15)(15')의 상측수평면(11)도 회전함으로 그 작동간(33)의 선단은 경사면(14)을 거쳐 하측평면(12) 상으로 내려오게 됨으로 밸브(32)는 코일스프링(37)에 의하여 물 유입구(26)를 완전히 막게 된다.
여기서 휠터통(2)을 좀더 시계역방향으로 돌리면 걸림턱(19)(19')의 상향경사면(20)이 돌기부(48)의 하향의 경사면(47)에 닿아서 하측유닛트(4)를 상측유닛트(3)에서 밀어냄으로 양유닛트(3)(4)는 쉽게 분리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하측유닛트(4)를 상측유닛트(3)에 대고 약간만 회전시켜주면 휠터통(3)이 정수기의 본체에 쉽게 결합됨과 동시에 밸브(32)가 자동으로 열려서 휠터(5)에 물이 공급되고 또 약간만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밸브(32)가 자동으로 잠김과 동시에 휠터통(3)이 정수기 본체에서 이탈됨으로 휠터통(3)의 착탈이 대단히 간편하며 따라서 특별히 전문기능공에 의존 필요없이 일반가정주부라 하더라도 가정용정수기의 휠터교환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측유닛트(3)는 정수기 본체판(1)에 하측유닛트(4)는 휠터(5)가 내장된 휠터통(2)에 고정하여 상측유닛트(3)에서 하측유닛트(4)를 착탈함으로서 휠터(5)를 정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게한 가정용 정수기에 있어서 하측유닛트(4)의 격판(7) 상면의 원형 융기부(18') 외주에 격판(7)과 일정한 간격(18)을 두고 걸림턱(19)(19')를 돌설하되 이 양 걸림턱(19)(19')의 양단에는 각기 상향경사면(20)과 하향경사면(21)을 대칭으로 갖고 그 양 경사면 사이에는 수평면(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측유닛트(3)의 원형격판(23) 외주에 형성된 하향플랜지(24) 내면에는 격판(23) 하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턱(42)(42')을 대향되게 돌설하되 그 상면에는 수평면(43)과 경사면(44)을 형성하고 또한 플랜지(24) 내면에는 걸림턱(42)(42')과는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의 경사면(47)을 갖는 돌설부(48)를 형성하여서된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하측유닛트(4)의 원형벽체(10) 상단에 상측수평면(11)과 하측수평면(12), 그리고 경사면(14)을 갖는 돌기부(15)(15')를 대칭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측유닛트(3)의 물 유입구(26) 상부에 밸브실(30)을 만들고 그 내부에는, 하면중앙에 그 굵기가 물 유입구(26)의 지름보다 작은 일정길이의 작동간(33)을 갖는 밸브(32)를 코일스프링(37)으로 탄설하여 작동간(33) 선단이 물 유입구(26) 하측으로 관통 돌출되게 하여서된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KR2019950001621U 1995-02-03 1995-02-03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KR0116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621U KR0116621Y1 (ko) 1995-02-03 1995-02-03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621U KR0116621Y1 (ko) 1995-02-03 1995-02-03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392U KR960028392U (ko) 1996-09-17
KR0116621Y1 true KR0116621Y1 (ko) 1998-04-18

Family

ID=1940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1621U KR0116621Y1 (ko) 1995-02-03 1995-02-03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6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027B1 (ko) * 2007-10-30 2008-05-20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교체가 용이한 정수기 필터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656B1 (ko) * 2000-04-06 200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장치
KR20020029660A (ko) * 2002-03-15 2002-04-19 최낙관 이온수기용 정수필터의 장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027B1 (ko) * 2007-10-30 2008-05-20 주식회사 태영이앤티 교체가 용이한 정수기 필터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392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3955C2 (ru) Одинарный или множественный переходник типа фитинга, соединяемого одним нажатием, и фильтровальный узел, разъемно соединенный с ним
KR100646182B1 (ko) 정수기 필터 어셈블리
US20070246421A1 (en) Filter Cartridge and Apparatus for the Filtration of Liquids
EP0677619B1 (en) Diver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same
KR20080083903A (ko) 정수장치
US9084952B2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in particular a filter device, and cartridge
US20050035042A1 (en) Water filter cartridge
WO2014056161A1 (zh) 带旋转阀的过滤器
US20080197063A1 (en) Fluid Flow Interruption Means for Filter of Water Purifier
KR0116621Y1 (ko) 가정용정수기의 휠터수장통 착탈장치
CN214714876U (zh) 水栓用净水装置
KR100499804B1 (ko) 정수기의 필터 연결 장치
KR20150002961U (ko) 정수 필터용 커넥터
CN114405135A (zh) 滤芯组件和净水装置
US680902A (en) Filter.
KR200202974Y1 (ko) 정수기의 휠터 카트리지 장착장치
JP3783506B2 (ja) 水処理装置
KR0137538Y1 (ko) 정수기
CN215195658U (zh) 一种排污自动刮洗滤芯
JP3049769U (ja) ろ水器用水流切換弁
KR102465678B1 (ko) 정수기
KR102326205B1 (ko)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CN112704943B (zh) 具有旁通构造和过滤构造的水过滤系统
KR20120038281A (ko) 필터섬프 체결용 커넥터
JPH0741237B2 (ja) カ−トリッジ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