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463B1 -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463B1
KR100579463B1 KR1020050075108A KR20050075108A KR100579463B1 KR 100579463 B1 KR100579463 B1 KR 100579463B1 KR 1020050075108 A KR1020050075108 A KR 1020050075108A KR 20050075108 A KR20050075108 A KR 20050075108A KR 100579463 B1 KR100579463 B1 KR 100579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precious metal
coupling member
shape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선영
남대우
최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더블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더블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더블유넷
Priority to KR102005007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2Gems made of several cut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각종 귀금속의 몸체에 보석류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변경하여 보다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각종 보석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인건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는 보다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귀금속 제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는, 그 평면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 광채를 발산할 수 있도록 표면에는 다수 개의 절개면이 형성된 상층부 및 상기 상층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대략 역사각뿔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된 하층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상층부 및 하층부 경계부분의 양측면에는 각각 요입부가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특정 보석을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의 홀 내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에 있어서, 일정 강도 및 탄성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를 그 정면의 형상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 상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가압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부 홀의 바닥부분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끼움홈이 각각 구비되도록 결합돌출부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JEWELRY FIXING STRUCTURE FOR THE PRECIOUS METAL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4c는 도 4b의 "A"부 확대분리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부, 20: 홀,
22: 걸림돌기, 24: 끼움홈,
26: 결합돌출부, 30: 보석,
32: 상층부, 34: 하층부,
36: 요입부, 40: 결합부재,
42: 가압부, 44: 끼움돌기,
46: 측면부재.
본 발명은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귀금속의 소정 위치에 고정 결합되어 다양한 신미감을 부여하는 보석류의 고정 구조를 변경하므로서, 보다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보석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보다 고품질의 귀금속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외모를 돋보이게 함과 동시에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연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를 신체의 일정 부위에 착용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 장신구 중에서는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반지나 목걸이, 귀걸이 등이 가장 널리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술한 반지나 목걸이, 귀걸이 등과 같은 각종 귀금속재 장신구의 몸체 일정 지점이나 상기 귀금속 장신구에 구비되는 펜던트 등에는 상기 장신구의 외관을 보다 돋보이게 할 수 있도록 다이아몬드나 사파이어, 큐빅, 루비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갖는 보석류가 한 개 내지 수십 개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귀금속에 각종 보석류를 결합시키는데 있어서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고정 방법이 창출되어 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고정 방법 중에서도 특정 고정 구조에 의해 상기 보석류의 표면 일부가 가려지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보석류의 일정 높이를 갖는 양측면에 각각 요입부를 형성한 후, 상기 요입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귀금속 및 보석류를 상호 고정 결합시키는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고정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나 귀걸이, 반지 등의 장신구에 포함되어 신미감을 표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을 갖으며 그 내부에는 소정 공간부를 갖는 홀(20)이 형성된 귀금속 재질의 본체부(1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의 홀(20)을 통해 각종 보석(30)이 소정 구조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됨에 따라 달성된다.
이를 위해, 보석(30)은 그 평면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 광채를 발산할 수 있도록 그 표면에는 다수 개의 절개면이 형성된 상층부(32) 및, 상기 상층부(32)로부터 하측을 향해 대략 역사각뿔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된 하층부(34)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층부(32) 및 하층부(34) 경계부분의 양측면에는 각각 요입부(36)가 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부(10) 홀(20)의 양내벽 상단부 측에는 상기 보석의 요입부(36)와 대응되는 걸림돌기(22)가 횡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보석(30)은 상기 본체부(10)에 형성된 각각의 홀(20)에 대응되어 결합되면서 그 양측면에 형성된 요입부(36)가 상기 본체부(10) 홀(20)의 양내벽에 형성된 걸림돌기(22)에 각각 끼워짐에 따라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각종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에 각종 보석류를 고 정시킬 시에 상기 보석의 요입부 및 본체부의 걸림돌기를 이용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보석의 가로 및 세로 길이와 높이가 대략 2밀리미터(mm) 내지 3밀리미터(mm) 정도로 매우 작은데 반하여 그 작업은 일일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작업의 난이도가 매우 높아 숙련된 작업자의 경우에도 일정 시간 동안의 작업량에 한계가 있게 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인건비의 상승 등에 의해 제품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종 귀금속의 몸체에 보석류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변경하여 보다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각종 보석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인건비 절감 및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는 보다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귀금속 제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는, 그 평면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 광채를 발산할 수 있도록 표면에는 다수 개의 절개면이 형성된 상층부 및 상기 상층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대략 역사각뿔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된 하층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상층부 및 하층부 경계부분의 양측면에는 각각 요입부가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특정 보석을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의 홀 내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에 있어서, 일정 강도 및 탄성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를 그 정면의 형상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 상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가압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부 홀의 바닥부분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끼움홈이 각각 구비되도록 결합돌출부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재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는 그 몸체의 중앙부분이 천공된 직사각형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부 측에 평행 상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부 및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 측에 평행 상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는 평면에서 볼 때 상호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재 몸체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는 그 정면의 형상이 각각 내측을 향해 ")" 형상 및 "(" 형상을 이루도록 요입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 및 끼움돌기를 매개로 한 보석의 요입부 및 귀금속 본체부와의 결합시에 소정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 상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상기 가압부의 절곡되는 각도(β)는 상기 보석에 형성된 요입부의 경사면 기울기(α)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는 상기 요입부의 경사면에 밀착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는, 다이아몬드나 사파이어, 큐빅, 루비 등과 같은 다양한 색상 및 크기를 갖는 각종 보석(30)을 결합부재(40)를 매개로 하여 특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각종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에 적용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귀금속은 그 평면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 광채를 발산할 수 있도록 표면에는 다수 개의 절개면이 형성된 상층부(32) 및 상기 상층부(32)로부터 하측을 향해 대략 역사각뿔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된 하층부(34)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층부(32) 및 하층부(34) 경계부분의 상호 대응되는 양측면이나 각각의 측면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각각 요입부(36)가 횡방향을 따라 요입된 상태로 형성된다.
한편, 각종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보석(30)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40)는 일정 크기 이상의 강도 및 탄성력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판 형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부재를 그 정면의 형상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함에 따라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40)의 양측 상단부에는 그 내측을 향해 일정 각도(β)를 갖도록 절곡되어 구성된 가압부(42)가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40) 하면에는 각각 그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4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40)의 상측 양단부에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구성되는 상기 가압부(42)의 절곡되는 각도(β)는 상기 보석(30)에 구비되는 요입부(36)의 경사면(36a) 기울기(α)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이루도록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재(40)의 가압부(42)를 매개로 상기 보석(30)이 끼워져 결합될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진 상기 요입부(36)의 경사면(36a) 기울기(α) 및 가압부(42)의 절곡각도(β)에 의해 상호 견고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40)의 상측 양단부에 평행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부(42) 및 상기 결합부재(40)의 하면에 평행한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44)는 평면에서 볼 때 상호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결합부재(40)를 매개로 한 보석(30) 및 본체부(10)의 결합시에 보다 견고한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임의적인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결합부재(40)의 양측면을 구성하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부(42) 및 한 쌍의 끼움돌기(44)를 상호 연결하도록 대략 수직상태로 구비되는 측면부재(46)는 그 정면의 형상이 대략 ")" 형상 및 "(" 형상을 갖도록 그 내측을 향해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42) 및 끼움돌기(44)를 매개로 한 보석(30) 및 본체부(10)의 상호 결합시에는 상기 측면부재(46)를 통해 결합부재(40)에 제공되는 소정 탄성력에 의해 보다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40)의 몸체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부재는 그 몸체의 중앙부분이 천공된 대략 직사각형틀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 에 의해 제품의 원재료 절감 및 중량 저감 등을 달성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10)의 홀(20) 바닥면에는 그 단면이 대략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돌출부(26)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줄 형태로 다수 개가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결합돌출부(26)의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재(40)의 끼움돌기(44)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끼움홈(24)이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본체부(10)의 홀(20)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40)의 끼움돌기(44)가 그와 대응되는 상기 결합돌출부(26)의 끼움홈(24)에 각각 끼워져 고정됨에 따라 상기 본체부(10)와 상호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술한 각종 보석(30)은 상기 결합부재(40)를 매개로 하여 각종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10)의 홀(20) 내에 견고하게 고정 배열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40)의 측면부재(46) 높이를 비롯한 결합부재(40)의 전체적인 크기는 그 몸체에 결합되는 특정 보석(30)의 크기에 맞춰 다양하게 변경 설계할 수가 있음은 물론인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에 따라, 다이아몬드나 사파이어, 큐빅, 루비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보석(30)을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결합부재(40)를 매개로 고정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부재(40)의 양측 상단부 측에 구비된 한 쌍의 가압부(42)가 상기 보석(30)의 상층부(32) 및 하층부(34) 경계지점의 양측에 형성된 요입부(36) 하면을 소정 탄성력에 의해 각각 밀착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결합부재(40) 및 보석(3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42)의 절곡되는 각도(β) 및 상기 요입부(36) 하면의 경사면(36a) 기울기(α)는 상호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결합부재(40) 및 보석(30)은 상호 완벽한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임의적인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되어 매우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40)에 상기 보석(30)을 결합시킨 후, 상기 보석(30)이 일체로 결합된 결합부재(40)를 본체부(10)의 홀(20) 내부에 고정시키는데 있어서는 상기 각종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10)의 개방된 상측에 상기 결합부재(4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석(30) 및 결합부재(40)의 상면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40)의 하면에 구비된 한 쌍의 끼움돌기(44)는 상기 본체부(10)에 다수 개의 줄상태로 형성된 결합돌출부(26)의 끼움홈(24)에 각각 대응하여 끼워지면서 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석(3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결합부재(40)를 상기 결합돌출부(26)의 끼움홈(24)에 끼우는 작업을 행할 시에는, 상기 결합부재(40) 하면의 일측에 구비된 끼움돌기(44)를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끼움홈(24)에 먼저 끼운 후 그 상면을 가압하여 외력을 인가함에 의해 소정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갖는 상기 결합부재(40)의 측면부재(46)가 탄성 및 복원 작용을 행하면서 상기 결합부재(40) 하면의 타측에 구비된 끼움돌기(44)가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끼움홈(24)에 끼워지도록 하므로서, 보다 용이한 결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특정 보석(30)을 소정 형상을 갖는 결합부재(40)에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의 홀(20)에 삽입하고 가압력을 인가하는 것만으로도 매우 간편하게 본체부(10)에 보석(30)을 고정 결합시킬 수가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다량의 보석(30)이 포함되는 각종 귀금속도 매우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정 형상을 갖는 보석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각종 보석류에도 변형하여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보석의 요입부와, 결합부재의 가압부 및 끼움돌기와, 귀금속 본체부의 결합돌출부 및 끼움홈 등의 위치를 변형 설계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귀금속의 몸체에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각종 보석류를 소정 형상을 갖는 결합부재를 매개로 매우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가 있음과 더불어, 틀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 부재를 통해서 보석류에 투과되는 빛이 감소되거나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되므로, 보다 우수한 품질의 보석류가 포함된 귀금속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다량의 보석이 구비되는 귀금속도 매우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절감을 통한 생산성 증대 및 노동력의 절감을 통한 인건비 감소 등을 달성할 수가 있으므로, 소비자에게는 보다 저가의 제품을 공급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산업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그 평면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 광채를 발산할 수 있도록 표면에는 다수 개의 절개면이 형성된 상층부 및 상기 상층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대략 역사각뿔 형상을 갖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된 하층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상층부 및 하층부 경계부분의 양측면에는 각각 요입부가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특정 보석을 귀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부의 홀 내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에 있어서,
    일정 강도 및 탄성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를 그 정면의 형상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결합부재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 상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가압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부 홀의 바닥부분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되는 끼움홈이 각각 구비되도록 결합돌출부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는 그 몸체의 중앙부분이 천공된 직사각형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부 측에 평행 상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부 및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 측에 평행 상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는 평면에서 볼 때 상호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 몸체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재는 그 정면의 형상이 각각 내측을 향해 ")" 형상 및 "(" 형상을 이루도록 요입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 및 끼움돌기를 매개로 한 보석의 요입부 및 귀금속 본체부와의 결합시에 소정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 상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상기 가압부의 절곡되는 각도(β)는 상기 보석에 형성된 요입부의 경사면 기울기(α)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압부는 상기 요입부의 경사면에 밀착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구조.
KR1020050075108A 2005-08-17 2005-08-17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KR100579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108A KR100579463B1 (ko) 2005-08-17 2005-08-17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108A KR100579463B1 (ko) 2005-08-17 2005-08-17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463B1 true KR100579463B1 (ko) 2006-05-12

Family

ID=3718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108A KR100579463B1 (ko) 2005-08-17 2005-08-17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5355A (zh) * 2013-01-30 2015-09-30 梵克雅宝股份有限公司 包括组装于闭合框架内的多个宝石、具有两个装饰面的装饰元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497A (ja) 2001-02-07 2002-08-14 Sakamoto Industry Art:Kk 宝石の支持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95868Y1 (ko) 2002-08-05 2002-11-22 (주)태현 통상 장신구의 보석 고정구조
JP2004008425A (ja) 2002-06-06 2004-01-15 Amano Seisakusho:Kk チェ−ン状装身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497A (ja) 2001-02-07 2002-08-14 Sakamoto Industry Art:Kk 宝石の支持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08425A (ja) 2002-06-06 2004-01-15 Amano Seisakusho:Kk チェ−ン状装身具
KR200295868Y1 (ko) 2002-08-05 2002-11-22 (주)태현 통상 장신구의 보석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5355A (zh) * 2013-01-30 2015-09-30 梵克雅宝股份有限公司 包括组装于闭合框架内的多个宝石、具有两个装饰面的装饰元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1078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 pin
US20070095105A1 (en) Jewelry having a pave mounted gem stone
US6293129B1 (en) Multi-stone center setting for diamonds and gemstones
US20140345322A1 (en) Multi-Piece Jewelry Set
JP4333882B2 (ja) 宝石の不可視嵌合
US11617425B1 (en) Jewelry pie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EP3013173B1 (en) Ornament setting for a detachable ornament, products comprising such a setting and method
US20160316864A1 (en) Article of jewelry and /or of lapidary work
US9901152B2 (en) Handle bag
CN112911961A (zh) 珠宝装置
US802267A (en) Article of jewelry.
US7269973B2 (en) Eternity band with U-shaped seats for gemstones
CN102379495A (zh) 具有连接链环的多琢面宝石
US8096146B1 (en) Apparatus to create a jewelry setting for precious stones where the stones appear to float in the setting
KR100579463B1 (ko) 귀금속의 보석류 고정 구조
US20110252829A1 (en) Jewelry articles having a solitaire cut appearanc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639679B1 (ko) 장식용 체인
US20180325226A1 (en) Composite rectangular jewelry structure
US20020166337A1 (en) Round gemstone arrangements with settings
ITMI20101728A1 (it) Articolo ornamentale di gioielleria
US20030115903A1 (en) Segmented jewelry item
US20020166338A1 (en) Oval gemstone arrangements with settings
US20050251966A1 (en) Composable aricle for production of gold items, jewelry and the like
JP4555886B1 (ja) ペンダント
JP3137955U (ja) 宝石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