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142B1 - 계단용 타일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계단용 타일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142B1
KR100579142B1 KR1020050079202A KR20050079202A KR100579142B1 KR 100579142 B1 KR100579142 B1 KR 100579142B1 KR 1020050079202 A KR1020050079202 A KR 1020050079202A KR 20050079202 A KR20050079202 A KR 20050079202A KR 100579142 B1 KR100579142 B1 KR 100579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main
staircase
sli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철
Original Assignee
금강세라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세라텍(주) filed Critical 금강세라텍(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2011/1046Miscellaneous features of trea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표면에 미끄럼방지처리와 아울러 선단부에 미끄럼방지요철을 형성함에 의하여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증강시킨 계단용 미끄럼방지 타일과 이 타일에 띠장타일을 일체로 결합시켜 양산됨으로써 계단의 한단의 면적을 한장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하는 타일조립체 및, 이 타일조립체를 이용하여 계단시공시 계단의 각 면을 한 장씩으로 한번에 시공함으로써 시공비를 절감하고 시공을 신속간편하게 하는 계단의 타일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계단용 타일조립체는 주타일; 상기 주타일의 적어도 일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띠장타일; 상기 띠장타일과 상기 주타일의 접촉되는 부분을 포함한 이면의 일정범위에 부착되어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을 결속하는 보강재로 이루어진다.
미끄럼방지 타일, 계단 타일, 계단판, 계단챌판, 미끄럼방지 요철부, 보강재

Description

계단용 타일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TILE ASSEMBLY FOR STAIRW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미끄럼방지 타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확대상세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타일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저면도이고,
도 4c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타일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이고,
도 6a는 도 3 내지 도 5b에 도시된 타일조립체들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타일시공방법이 적용된 건축물 설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타일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9a는 도 8을 결합한 상태에서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타일시공방법의 전체적인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타일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들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a 및 도 11b의 조립사시도들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a의 B-B선 및 C-C선 단면도들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도 11a 내지 도 13b에 도시된 타일조립체의 조립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미끄럼방지 타일 12 : 미끄럼방지 요철부
14 : 미세요철 20a~20f : 띠장타일
30a~30d : 보강판 40a~40d : 접착제
50 : 주타일 70a~70d : 접착제
80a,80b : 보강재 82a,82b : 우레탄수지
84a,84b : 섬유메쉬(mesh) 90 : 장착홈
92 : 보강철심 94 : 접착제
본 발명은 계단용 타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에 미끄럼방지처리와 아울러 선단부에 미끄럼방지요철을 형성함에 의하여 미끄럼방지성능을 대폭 증강시킨 계단용 미끄럼방지 타일과 이 타일에 띠장타일을 일체로 결합시켜 양산됨으로써 계단의 한단의 면적을 한장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하는 타일조립체 및, 이 타일조립체를 이용하여 계단시공시 계단의 각 면을 한 장씩으로 한번에 시공함으로써 시공비를 절감하고 시공을 신속간편하게 하는 계단의 타일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아파트등의 계단을 시공하는 경우 콘크리트 표면의 광택을 위하여 물과 연마설비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데, 이는 환경오염을 유발시킨다는 문제로 인하여 규제 대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계단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배합하여 성형틀에 대고서 성형한 후, 건조공정 및 연마공정 등을 시공장소에서 진행하여야 하므로 시공작업이 번거로워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연마시에 오폐수 발생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계단 시공시 계단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미끄럼 방지를 목적으로 미끄럼 방지부재가 설치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계단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부재로는 계단의 단부측 착지면에 횡방향으로 요철을 형성한 동판(신주)을 매설시공하거나 또는 표면이 거칠게 제조된 별도의 계단용 타일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계단의 착지면에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보행편의성과 안전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건물의 계단등에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대리석 또는 염화비닐수지 바닥 타일 상부에 논슬립(nonslip)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논슬립재를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부착후에는 조그만 하중에 의해서도 잘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특히, 고무 바닥 타일이나 염화비닐수지 바닥 타일에 엠보싱(embossing)이나 프레싱(pressing)을 하여 일정 형태의 모양을 형성시키기도 했는데, 이것만으로는 바닥의 미끄럼 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타일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하기 때문에 건축 및 인테리어(interior)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도자기 타일이나 석재 타일 등의 바닥용 타일들은 외관이 미려하고 우수한 내마모성, 내구성, 내변색성 등으로 인하여 지금까지 우리 생활주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향후에도 그 사용량이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바닥용 타일의 경우 제품 특성상 대부분 고광택 및 고평활 표면을 유지한다. 도자기 타일의 경우에는 유약코팅에 의해서, 대리석 등의 석재 타일의 경우에는 세밀한 표면 연마(grinding)에 의해서 고광택 및 고평활 표면을 유지한다. 이러한 표면 특성 때문에 보행시 미끄러지기 쉽고, 특히 물이 표면에 묻어 있는 경우에는 수막현상에 의해서 미끄러짐 현상이 안전사고로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일예로, 바닥용 도자기 타일은 원료 파우더를 프레스로 성형하여 얻은 그린 타일에 유약을 시유하고 소성시켜 제조함이 일반적인 데, 바닥용 타일이 사람의 활동이 불편할 정도로 미끄러운 것은 외관만을 고려한 유약처리와 연마로 인하여 그 표면이 지나치게 평활도를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타일의 성형시 표면에 큰 돌기를 형성시켜 표면이 가시적으로도 거친 느낌을 주는 제품이 제조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타일에서는 타일 고유의 광택이 반감되어 사용자에게 대리석과 같은 미려한 느낌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또한, 잘못하여 넘어지면 돌출된 돌기에 의해 다치는 정도가 큰 문제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타일 시공후 테잎(tape)이나 띠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미끄럼 방지를 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을 뿐더러 자주 보수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일반적으로 계단에 설치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계단용 타일의 형상은 크게 직사각형으로 계단의 각 단마다 여러개를 연장하여 부착시공하게 되며, 일정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타일을 개별적으로 꾸러미로 묶어 운반하거나 보관한다. 따라서, 운반시 파손의 우려가 높으며, 계단의 각 단마다 일일히 하나씩 연결하여 모 르타르(mortar)로 부착함으로써 시공이 더디고 힘들 뿐만 아니라 정확한 시공면과 길이를 맞추기가 어려웠다. 나아가, 마감선에 맞추어 마지막 타일을 절단기로 재단하여 시공을 하므로, 마감부가 미려하게 시공되지 못하고 절단에 따른 파손의 우려가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미끄럼방지 타일(주타일)의 적어도 일측에 띠장타일을 대고 그 이면에서 결합부위에 금속제 보강판을 접착시켜 일체화하여 양산함으로써 계단의 한단의 면적을 한장으로 포괄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타일의 측면에 띠장타일을 접착하고 주타일과 띠장타일의 접합면을 가로지면서 장착홈을 형성하여 이 장착홈에 보강철심을 삽입하고 합체된 주타일과 띠장타일의 배면과 동일한 높이로 접착제를 장착홈에 충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배면이 평편하고 깔끔하여 시공시 접합보강부위가 타물체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시공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시공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주타일의 측면에 띠장타일을 부착하고 그들의 배면에 장착홈을 마련하여 보강철심을 삽입하고 접착제를 충전하여 상기 타일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타일조립체는 주타일; 상기 주타일의 적어도 일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띠장타일; 및 상기 띠장타일과 상기 주타일의 접촉되는 부분을 포함한 이면의 일정범위에 부착되어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을 결속하는 보강재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타일조립체는 주타일; 상기 주타일의 적어도 일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띠장타일; 상기 띠장타일과 상기 주타일의 접합면을 가로지르면서 상기 주타일 및 상기 띠장타일에 연결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매설되는 보강철심; 및 상기 보강철심이 매설된 장착홈에 충전되어 상기 보강철심을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에 결속시키며 경화후 상기 주타일 및 상기 띠장타일의 배면들과 일평면을 이루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타일조립체의 제조방법은 (a) 소정크기의 주타일의 양측에 띠장타일을 접착하여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접착에 의해 합체된 주타일과 띠장타일의 배면에 접합면을 가로지르는 장착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장착홈에 장착홈의 깊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보강철심을 삽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강철심이 삽입된 상기 장착홈에 경화성 접착제를 충전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일조립체의 제조방법은 (f) 상기 (d)단계 후 합체된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의 선단에 연마기로 라운드 가공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g) 상기 타일조립체가 계단판용인 경우 상기 주타일은 상기 (a)단계에 앞서 상기 주타일의 표면에 연마기로 연마하여 미끄럼방지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미끄럼방지 타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확대상세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계단용 미끄럼방지 타일(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미끄럼방지요철부(12)를 구비한다. 이 미끄럼방지요철부(12)는 타일(10)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요입홈(12a)과 돌출부(12b)로 이루어지며, 이 미끄럼방지요철부(12)의 요입홈(12a)과 돌출부(12b)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미끄럼방지요철부(12)는 직선형 외에도 물결무늬 등의 곡선형을 응용한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최전방의 요입홈(12a)은 타일(10)의 최전단으로부터 대략 1~3cm 이격되어 형성되고, 요입홈(12a)의 넓이는 6mm이상 그리고 깊이는 3mm이상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요입홈(12a)은 3개이상으로 그들 사이의 간격이 1cm내외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요입홈(12a)들 사이는 돌출부(12b)를 이루므로, 결과적으로 돌출부(12b)의 넓이는 1cm내외가 된다. 이러한 가시적인 선형의 미끄럼방지요철부(12)는 도자기 타일의 경우 타일(10)의 성형시 요철부와 상응하는 성형틀의 요철형상에 의해 성형된다. 한편, 석재 타일의 경우에는 위에 설명한 크기와 깊이를 갖는 요입홈(12a)들을 연마가공함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타일(10)은 또한 이상 설명한 선형 미끄럼방지요철구조에 더하여 그 전표면에 눈에는 잘 보이지 않는 미세요철(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요철(14)은 타일(10)의 제조 마무리단계에서 타일(10) 표면에 미끄럼방지제를 도포하고 일정시간 경과시켜 미끄럼방지제에 의해 타일표면이 식각(etching)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세요철(12)이 형성된 타일표면은 가시적으로는 평평한 것처럼 보이지만, 좀더 크게 확대하여 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세한 요철들로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타일표면의 평탄도 및 광택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좀더 향상된 미끄럼방지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타일표면의 미끄럼방지제 처리는 도자기 타일의 경우 시유 소성후에 시행될 수 있으며, 석재 타일의 경우는 연마 폴리싱후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타일(10) 표면에 미끄럼방지제를 도포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타일(10)에 잔류하는 미끄럼방지제 및 식각으로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시간이 지나 타일표면에 미끄럼방지제가 완전히 작용하여 미세요철(14)을 형성한 다음에는 미끄럼방지제는 타일표면에 잔류한 이물질이 되므로 세척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일표면에 처리되는 미끄럼방지제로는 불산계 화합물이 적합하며, 이 불산계 화합물은 타일표면의 규소(실리카)성분과 반응 침착하여 표면에 미세한 요철구조를 만들게 된다. 불산계 화합물로는 염산(HCl), 불화 암모늄(NH4F) 등으로 조성된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 화합물에서 위의 조성성분들은 거의 동일한 비율로 혼합되며, 여기에 기타 계면활성제, 소포제 등이 소량 첨가될 수 있다. 또 한편으 로, 불산계 화합물은 이미 상용화된 제품이 적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미국 아쿠아론(Aquron)사의 티-스텝(T-STEP), 일본 니드스인터내셔널(Needsinternational)사의 스키드리스(Skidless), 및 토탈시저스(Tatalsezus)사의 논슬리드(Nonslid), 국내 대한테크인더스트리의 슬립닥터(Slipdoctor) 등이 있다.
위와 같은 미끄럼방지제의 처리가 끝나면, 타일표면에 형성된 요철에 잔류하는 이물질(미끄럼방지제 및 식각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타일표면의 고유광택을 살리는 광택제를 타일표면에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제가 산성을 띠므로, 광택제로는 알카리성(염기성)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 광택제로 수산화나트륨(NaOH)이나 적어도 수산화나트륨이 함유된 물질이 적합하다. 그러면, 산성의 미끄럼방지제는 알카리성의 광택제와 반응하여 중화되면서 요철로부터 떨어져나오게 되고, 미세요철(14)이 형성된 타일 표면에 얇은 피막의 광택막을 형성하여 타일(10) 고유의 광택성을 살리게 된다. 광택제의 처리 후에는 타일표면을 세척하고 건조시켜 타일표면으로부터 떨어져나온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계단용 타일은 계단판용과 계단챌판용으로 구분되며,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타일(10)은 계단판용으로 사용되며 그 전면에는 라운드(round)처리가 되어 있다. 이 라운드처리는 타일의 두께가 12mm인 경우 반지름 6mm정도로, 그리고 타일의 두께가 9mm인 경우 반지름 5mm정도로 한다.
또한, 본 미끄럼방지 타일(10)은 홀 첫단과 중간계단참 첫단에 적용되는 경 우, 정방형으로 제조되며 그 전면부에 라운드(round) 가공을 한다. 예를 들어, 홀과 중간계단참에는 500mm×500mm, 400mm×400mm, 300mm×600mm 등의 타일들이 부착되는 데, 이때 계단과 인접한 홀 첫단과 중간계단참 첫단에 적용되는 본 미끄럼방지 타일은 그와 동일한 크기로 하여 제작하되 위와 같은 미끄럼방지구조와 라운드구조를 갖는다. 이때, 라운드 가공은 반지름 5mm정도가 적당하다. 이 홀이나 중간계단참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타일에는 미세요철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계단판용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저면도이고, 도 4c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c에는 본 발명의 계단판에 적용되는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1)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1)는 도 1 및 도 2에서 기설명한 미끄럼방지 타일(10; 이하 '주타일'이라 함)의 양측에 띠장타일(20a,20b)을 부착하여 구성된다. 이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a,20b)은 그들의 이면에서 보강재를 부착하여 결속되는 데, 이 보강재로는 금속제 보강판(30a,30b)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선단부에 미끄럼방지요철부(12)를 갖고 전표면에 미세요철(14)이 형성된 주타일(10)의 양측에 띠장타일들(20a,20b)을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타일들(10,20a,20b)의 이면(裏面)측에서 금속제 보강판(30a,30b)을 주타일(10)과 띠장타일들(20a,20b)의 접촉부위를 포함하는 인근부위를 일정부분 덮도록 부착한다. 보강판(30a,30b)은 타일들(10,20a,20b)에 접착제로 부착되며, 보강판(30a,30b)을 타 일들(10,20a,20b)에 부착하는 접착제(40a,40b)로는 에폭시 본드가 적합하다. 보강판(30a,30b)은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판(30a,30b)은 계단에 매설시공되므로 시공상 얇을수록 좋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3mm정도의 두께가 적당하다.
띠장타일들(20a,20b)은 통상적으로 계단에서 사람들이 잘 밟지 않는 양측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주타일(main tile)인 미끄럼방지타일(10)에 비해 그 길이가 상당히 작게 설계된다. 따라서, 띠장타일들(20a,20b)은 주타일(10)과 달리 그 표면 선단부에 미끄럼방지 요철부(12) 및 그 전표면에 미세요철(14)이 형성되지 않는 일반적인 타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띠장타일(20a,20b)의 전표면에 미세요철을 처리하여 어느정도의 미끄럼방지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 표면 선단부에 미끄럼방지 요철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건물 계단의 폭이 1250~1300mm정도라고 할 때, 양측의 띠장타일들(20a,20b)은 각각 180~240mm 범위내에서 정해지고, 주타일(10)은 800~900mm 범위내에서 계단폭에 맞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계단용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1)는 계단판용에는 전면에 라운드(round) 가공이 되어 있으며, 이 라운드처리는 타일의 두께가 12mm인 경우 반지름 6mm내외가 적합하며, 타일의 두께가 9mm인 경우 반지름 5mm내외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주타일(10)과 그 양측에 띠장타일(20a,20b)이 결합되어 구성된 타일조립체(1)는 하나의 계단판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되며, 따라서 계단판면당 한장의 타일조립체(1)로 한번에 시공이 가능하다.
도 5a는 본 발명에서 계단의 계단챌판에 적용되는 일반타일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이다.
계단챌판용 일반타일조립체(3)는 위에서 설명한 계단판용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1)와 동일한 결합구조를 갖는다. 부연설명하면, 주타일(50)의 양측에 띠장타일들(20c,20d)을 맞대고 이면에서 스테인리스 스틸재질의 보강판(30c,30d)을 접착시켜 결합시킨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단지, 계단챌판용 타일조립체(3)가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와 다른 것은 사람이 밟고 다니지 않으므로 미끄럼방지구조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는 데 있다. 따라서, 일반타일조립체(3)의 주타일(50)에는 미끄럼방지 타일에서 볼 수 있는 미끄럼방지 요철부와 미세요철이 없이 평탄한 표면을 가지며, 이러한 점에서 일반타일조립체로 명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일조립체에서 계단판용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1)와 계단챌판용 일반타일조립체(3)는 폭이 넓은 주타일의 양측면에 각각 띠장타일들을 부착시켜 구성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주타일의 일측면에만 띠장타일을 동일한 부착구조, 즉 보강판을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구조로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a,20b)의 접촉하는 대응측면부들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도 6a는 도 3 내지 도 5b에 도시된 타일조립체들을 이용한 계단시공방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타일시공방법이 적용된 건축물의 설계도이다.
건축물의 계단(100)시공시 계단에 적합한 크기, 한 단의 계단판면(110)과 계단챌판면(120)의 전체크기에 맞게 타일조립체가 계단판용 및 계단챌판용으로 제작되어 공사현장에 제공되게 된다. 이러한 타일조립체에서 계단판용으로는 주타일(10)에 미끄럼방지 타일이 적용된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1)가 사용되며, 계단챌판용으로는 사용자와 접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미끄럼방지기능을 부여할 필요가 없어 일반적인 타일이 적용된 일반타일조립체(3)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1)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간에 주타일(10)인 미끄럼방지 타일이 위치하고, 그 양 옆으로 띠장타일들(20a,20b)이 스테인리스 스틸재질의 보강판(30a,30b)으로 이면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1)는 그 주타일(10)의 미끄럼방지 요철부(12)가 계단판면(110)의 선단쪽으로 위치하도록 부착시공된다. 한편, 계단챌판에 적용되는 일반타일조립체(3)는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와 동일하게 주타일(50)의 앞 옆으로 띠장타일들(20c,20d)이 스테인리스 스틸재질의 보강판(30c,30d)으로 결속되어 있지만, 주타일(50)이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와는 다르게 미끄럼방지 요철부와 미세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일반 타일이 사용된다.
위와 같이 일체화되어 공급되는 일반타일조립체(3)는 계단(100)의 계단챌판면(120)에 모르타르(122)로 부착한다. 또한,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1)는 계단(100)의 계단판면(110)에 모르타르(112)와 압착시멘트(114)를 차례로 바른 후 부착 한다. 이때, 모르타르(112)는 20~30mm정도의 두께로 그리고 그 위의 압착시멘트(114)는 3~6mm의 두께로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일시공에 있어, 계단의 아래에서부터 위쪽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지만, 계단(100)의 모든 계단챌판면(120)을 먼저 시공한 후 계단판면(110)을 시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특히, 타일조립체들(1,3)은 계단폭에 대략 맞춰져서 양산되지만, 약간의 오차는 시공후 계단실 벽체(130)의 걸레받이 미장내에 진입되는 정도를 조정하여 보정한다. 이 걸레받이 미장은 대략 20mm정도의 두께로 시공하게 되므로,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mm두께의 미장면(모르타르; 132)내로 타일조립체(1,3)의 진입정도를 조절하여 계단실 벽체(130)로부터 계단판 단부까지의 길이에 맞춰 시공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계단폭방향에서 볼 때 계단판용 타일(1)은 계단판면(110)의 노출된 일측단부로부터 5mm가 돌출하게 부착되는 데, 이러한 시공기준에 맞춰 본 타일조립체(1)들이 계단판면 단부로부터 5mm 돌출하도록 부착하고 나서, 계단실 벽체(130)의 걸레받이 미장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계단판 단부쪽에 기준을 맞춰서 시공하고 계단실 벽체쪽에서 마무리하면, 계단실 벽면으로의 진입정도에 따라 본 타일조립체의 길이오차는 걸레받이미장의 두께인 20mm내에서 수용될 수 있다.
계단판과 계단챌판의 시공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챌판과 인접한 중간계단참(140) 선단과 홀(hall;150) 선단에는 정방형의 미끄럼방지 타일(60)을 시공한다. 이때, 본 미끄럼방지 타일(60)의 미끄럼방지 요철부(62)가 계단챌판과 인접한 선단에 위치하도록 시공한다. 물론, 이 정방형의 미끄럼방지 타일(60)은 중간계단참이나 홀의 평면에 부착되는 나머지 일반 폴리싱타일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 된 것을 사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타일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9a는 도 8을 결합한 상태에서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저면도이다. 이제, 이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일조립체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계단용 타일조립체(5)도 앞실시예와 같이 주타일(10a)의 양측에 띠장타일들(20e,20f)을 부착시켜 구성되며, 단지 그 부착방법에 있어 앞실시예와 다른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주타일(10a)과 띠장타일들(20e,20f)의 접촉하는 대응측면부들에 접착제(70a,70b)를 도포하여 대응측면부들을 접착시켜 주타일(10a)과 띠장타일들(20e,20f)을 결합한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70a,70b)로는 강력한 접합력을 제공하는 고분자 수퍼글루(super glue)가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실시예의 금속제 보강재 대신에 우레탄수지(82a,82b)와 섬유메쉬(mesh; 84a,84b)로 이뤄진 보강재(80a,80b)가 앞실시예와 동일한 자리에 대체하여 적용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위와 같이 주타일(10a)과 띠장타일들(20e,20f)의 대응하는 접촉측면부들을 접착시킨 상태에서, 주타일(10a)과 띠장타일들(20e,20f)의 이면에서 그 접촉선을 포함하는 인접부위의 일정부분을 덮도록 겔상의 우레탄수지(82a,82b)를 도포한다. 그리고 나서, 우레탄수지(82a,82b)에 섬유메쉬(84a,84b)를 침착시켜 일체화하게 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우레탄수지(82a,82b)는 상온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경화되는 성질을 가진 것이 사용되며, 따라서 섬유메쉬(84a,84b)는 우레탄수지(82a,82b)가 경화되면서 우레탄수지(82a,82b)와 일체화되어 보강재(80a,80b)로서 주타일(10a)과 띠장타일들(20e,20f)에 부착되게 된다. 그로 인하여, 주타일(10a)과 띠장타일들(20e,20f)은 보다 강력한 결속력을 가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접착제(70a,70b)와 보강재(80a,80b)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타일(10a)과 띠장타일들(20e,20f)의 접촉측면부들을 접착하는 접착제(70a,70b)만을 사용하거나, 우레탄수지(82a,82b)와 섬유메쉬(84a,84b)로 이뤄진 보강재(80a,80b)만을 사용하여 주타일(10a)과 띠장타일들(20e,20f)을 배면에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위에 설명한 섬유메쉬(84a,84b)는 금속메쉬로도 대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재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타일시공방법의 전체적인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시공방법의 전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1. 타일시공에 앞서 계단골조 시공면을 정리하고 청소한다. 이것은 후에 이뤄질 타일시공시 부착성 및 평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S1)
2. 계단실 벽체에서 걸레받이 미장을 제외한 부분을 먼저 미장한다.(S3)
3. 계단챌판을 시공한다.(S5)
시공전에 벽체에 선형도를 먹메김한다. 먹메김시에는 홀의 첫단과 중간계단참 첫단에서 정방형의 미끄럼방지 타일이 5mm 돌출시공됨으로써 이를 고려하여 추 후 정방형 미끄럼방지 타일의 선형이 어긋나지 않도록 첫단의 계단챌판과 계단판부터 전체적으로 5mm 뒤쪽으로 밀려서 선형을 잡는다. 이 선형도에 따라 시공면에 모르타르를 바르고 평탄하게 한 다음 그 위에 계단챌판용 일반타일 조립체를 부착한다. 이때, 수직과 수평 선형을 유지하여 정확한 위치로 시공하며, 계단폭방향에서 단부쪽으로 5mm 돌출하게 시공한다. 계단챌판들을 전체적으로 먼저 시공한 후 양생한다.
4. 계단챌판들을 시공한 후에는 그에 맞춰 계단판을 시공한다.(S7)
계단판 시공면에 모르타르를 계단판 선형에 맞춰 깔고 평탄하게 한 다음, 그 위에 압착시멘트를 3~5mm 바르고 나서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를 부착한다. 이때,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는 계단폭방향으로 단부쪽으로 5mm 돌출시키고 전면쪽으로도 5mm 돌출시켜 수직과 수평을 잡으면서 계단판을 전체적으로 시공한다.
5. 시공후에는 시멘트물이나 오염물질이 타일면에 부착되어 착색되지 않도록 청소한다.(S9)
6. 홀 첫단과 중간계단참 첫단에 500mm×500mm 미끄럼방지 타일을 마감높이에 맞춰 시공한다.(S11) 이때, 정방형의 미끄럼방지 타일에서 미끄럼방지 요철부가 계단챌판쪽으로 오도록 시공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500mm×500mm 규격의 타일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400mm×400mm나 300mm×600mm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7. 홀과 중간계단참의 나머지 부분에 정방형 미끄럼방지 타일과 동일한 크기 의 폴리싱타일들을 부착시공한다.(S13)
8. 시공이 완료되면 일정기간 양생한다.(S15)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용 타일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들로, 타일조립체를 위쪽과 아래쪽에서 각각 보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도 11a 및 도 11b의 조립사시도들이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a의 B-B선 및 C-C선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는 주타일의 양측에 띠장타일을 부착하는 변형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의 배면에 그들의 접경부를 지나가는 장착홈(90)을 마련하되, 이 장착홈(90)은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에 대략 반쪽씩(16a,16b,22g,22h)이 형성되어 합체되어 이루어진다. 장착홈(90)은 바람직하게는 먼저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의 대응 접촉측면들을 접착제(70c,70d)로 접착한 후 연마도구나 절삭도구를 이용하여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을 가로지르는 선형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장착홈(90)은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의 접합면을 가로지르면서 그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일조립체의 좌우양측에 각각 접합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씩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형성된 장착홈(90)은 도 13a 및 도 1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대략 V자형 단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보강재를 장착홈(90)에 삽입시 꽉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보강재로 는 금속재, 바람직하게는 철재의 보강철심(92)이 좋으며, 이 보강철심(92)은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강철심(92)은 직경이 장착홈(90)의 깊이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의 두께가 10mm인 경우 장착홈(90)은 대략 4~7mm정도 깊이로 그리고 보강철심(92)은 3~6mm정도의 직경으로 장착홈(90)에 완전히 매몰될 수 있는 크기가 좋다. 보강철심(92)은 또한 단면이 원형인 원형봉이나,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봉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보강철심(92)을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에 연장되어 형성된 장착홈(90)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장착홈(90)과 보강철심(92)의 틈새로 접착제(94)를 주입하여 충전한다. 이 접착제(94)로는 에폭시 본드가 바람직하며, 경화되면 장착홈(90)을 완전히 메워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의 배면을 평편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충전한다.
이와 같이, 보강철심(92)이 장착홈(9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경화성 접착제(94)가 장착홈(90)에 충전되므로 타일의 결합력 보강부재인 보강철심(92) 및 접합제(94)가 타일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타일의 배면은 하나의 평면으로서 말끔하게 처리된다. 이로 인해, 제품의 저면이 깔끔하게 정돈될 뿐만 아니라 시공시 튀어나와 걸리적거리는 것이 없어지므로 보다 수월하고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계단판에 적용되는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를 예시한 것으로, 주 타일(10)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 요철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는 도기질 타일이 아닌 자기질 타일로 제조하여 보다 석재 타일에 가까운 느낌과 미려함을 제공하며, 이때 자기질 타일의 주타일(10)의 표면을 연마기로 연마하여 미끄럼방지 요철부(12)를 가공하게 된다. 물론, 위에 설명한 모든 결합구조를 동일하게 하되, 단지 주타일(10)의 표면에 미끄럼방지 요철부(12)를 가공하지 않으면 계단챌판용의 타일조립체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의 타일조립체도 주타일(10)의 표면에 전술한 미끄럼방지제를 처리하여 미세요철을 형성하거나, 또는 연마정도를 떨어뜨려 표면의 거칠기를 높여 미끄럼방지성능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계단용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는 선단에 라운드(round;18,24g,24h) 가공이 되어 있으며, 이 라운드(18,24g,24h)처리는 주타일(10)의 양측에 띠장타일들(20g,20h)을 보강철심(92) 및 접착제(94)로 완전히 접착한 후에 타일조립체의 선단을 연마기로 연마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라운드(18,24g,24h)는 타일 두께의 대략 1/2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타일조립체는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의 색상을 다르게 함에 의해 보다 미려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비단 자기질 타일 뿐만 아니라 도기질 타일 및 석재타일에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조립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1a 내지 도 13b에 도시된 타일조립체의 조립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타일표면 연마
본 실시예의 자기질 타일은 타일을 소성한 후 그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한다. 즉, 주타일과 띠장타일이 되는 자기질 타일들(M1,M2)의 표면을 연마기로 연마하여 석재타일과 같은 느낌이 나게 한다.
2. 커팅(cutting)
타일의 표면연마후에 주타일 소재(M1)와 띠장타일 소재(M2)는 시공에 적합한 크기로 커팅된다. 예를 들어, 주타일의 정해진 크기가 800×275mm2라면, 800×800mm2의 주타일 소재(M1)를 수직방향으로 275mm 간격으로 절단하게 된다. 띠장타일의 정해진 크기가 240×275mm2라면, 800×800mm2의 띠장타일 소재(M2)를 수평방향으로 240mm 간격으로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275mm 간격으로 절단하게 된다.
3. 미끄럼방지 요철 가공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된 주타일(10)은 계단판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의 경우 주타일(10) 표면의 앞쪽에 연마기로 미끄럼방지 요철부(12)를 형성한다.
4. 1차 접합(접합면 접착)
위와 같이 시공에 적합한 크기로 절단가공된 주타일(10)과 띠장타일 (20g,20h)은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의 접합면에 접착제(70c,70d)를 도포한 후 주타일(10)의 양측면에 좌우측 띠장타일들(20g,20h)을 접합시킨다.
5. 장착홈 가공
주타일(10)의 양측에 띠장타일(20g,20h)을 접합시켜 합체된 타일조립체의 배면에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을 가로지르며 장착홈(90)을 형성한다. 이 장착홈(90)은 연마기로 타일조립체의 배면을 깊이가 대략 타일 두께의 절반정도가 되도록 V자형 홈으로 연마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홈(90)은 주타일(10)과 띠장타일(20g,20h)의 접합면을 가로지르면서 접합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일조립체의 좌우양측에 접합면을 따라 상하로 각각 한쌍씩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철심 삽입 및 2차 접합
합체된 주타일(10)과 띠장타일들(20g,20h)의 배면에 마련된 V자형의 장착홈(90)들에 각각 보강철심(92)을 삽입한 후, 타일조립체의 배면과 평행하도록 장착홈(90)들에 접착제(94)를 충전한다. 그러면, 액상의 접착제(94)는 장착홈(90)과 보강철심(92)의 틈새로 스며들며 보강철심(92)과 타일들(10,20g,20h)을 견고하게 접합시키게 된다. 특히, 접착제(94)로 경화성 에폭시 본드를 사용하여 경화후 장착홈(90)이 메워져 타일표면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타일과 같은 상태로 딱딱해지게 된다.
7. 선단 라운드 처리
타일조립체의 장착홈(90)에 보강철심(92)을 삽입하고 접착제(94)를 충전하여 완전히 경화되면, 주타일(10)과 좌우 띠장타일들(20g,20h)이 합체되어 이뤄진 타일조립체의 선단부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라운드(18,24g,24h) 처리한다. 이때, 라운드(18,24g,24h)는 타일 두께의 대략 절반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합체된 주타일(10)과 좌우 띠장타일들(20g,20h)은 일체로 라운드 처리되어 일체감이 더해지게 된다.
이상의 과정들을 거쳐 본 타일조립체는 주타일(10)의 좌우에 띠장타일들(20g,20h)이 견고하게 조립되어 일체화되게 되며, 이렇게 양산되는 본 타일조립체를 건축물의 계단에 하나씩 부착하기만 하면 간편하게 계단시공이 된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끄럼방지 타일은 선단부에 미 끄럼방지요철부를 구비하여 계단 선단부에서부터 미끄러짐을 잡아주는 동시에 전표면에 걸쳐 미세요철이 형성되어 타일표면의 물기로 인해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끄럼방지성능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주타일과 양옆의 띠장타일들을 이면에서 금속제 보강판으로 결합시켜 계단의 한단의 전면적에 상응하는 크기로 제작되어 공급되므로 공사현장에서 한면의 시공이 한번에 한 장으로 가능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특히, 주타일과 양측의 띠장타일들을 스테인리스 스틸의 보강판으로 결합시킴에 의해 결합강도를 증진시키면서도 보강판의 박형화가 가능하여 계단에의 시공성을 좋게 한다.
또 한편으로, 본 발명은 주타일과 띠장타일들을 접착제로 접촉측면부들을 접착시킨 상태에서 배면에서 우레탄수지와 섬유메쉬로 이뤄진 보강재를 부착하여 결합력을 보강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결합이 가능하다.
또 한편으로, 본 발명의 타일조립체는 주타일과 띠장타일의 접촉 측면을 접착제로 접합하고 나서 합체된 주타일과 띠장타일의 접합면을 가로지르게 장착홈을 형성하여, 이 장착홈에 보강철심을 삽입하고 타일들의 배면과 평행하게 접착제를 장착홈에 충전하여 경화시킴에 의해 완성된 타일조립체의 배면이 평편하고 깔끔하여 시공시 접합보강부위가 타물체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시공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시공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채용하면, 상술한 구조의 미끄럼방지 타일조립체를 미끄럼방지 요철부가 선단으로 오게 계단판을 시공하고, 나아가 계단참 및 홀 의 선단에도 미끄럼방지 요철부가 오도록 미끄럼방지 타일을 시공함에 의해 미끄럼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세련된 계단시공이 가능하다. 특히, 계단시공시 타일조립체의 남는 부분을 계단실 벽체의 미장면내부로 진입시킴으로써 타일조립체의 제조시의 오차를 일정부분 수용할 수 있는 시공방법이다. 따라서, 시공시 타일의 남는 부분을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수고를 덜어 시공비를 절감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주타일;
    상기 주타일의 적어도 일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띠장타일; 및
    상기 띠장타일과 상기 주타일의 접촉되는 부분을 포함한 이면의 일정범위에 부착되어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을 결속하는 보강재를 포함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금속제 보강판으로, 접착제에 의해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보강판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이고, 그 두께는 1~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 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주타일 및 상기 띠장타일에 도포되어 일정시간 경과후 경화되는 우레탄수지와, 상기 우레탄수지에 침착되고 상기 우레탄수지의 경화에 따라 일체화되는 메쉬(mesh)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10. 주타일;
    상기 주타일의 적어도 일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띠장타일;
    상기 띠장타일과 상기 주타일의 접합면을 가로지르면서 상기 주타일 및 상기 띠장타일에 연결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매설되는 보강철심; 및
    상기 보강철심이 매설된 장착홈에 충전되어 상기 보강철심을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에 결속시키며 경화후 상기 주타일 및 상기 띠장타일의 배면들과 일평면을 이루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V자형 홈으로,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의 접합면을 따라 적어도 2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심은 직경이 상기 장착홈의 깊이보다 작아 상기 장착홈에 완전히 매입되는 철재의 원형 또는 다각형 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의 접촉측면부들에는 접착제가 개재되어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의 접촉측면부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고분자 수퍼 글루(super glu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15. 제 6항, 제 9항 및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장타일은 상기 주타일의 양측에 결합되는 좌우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주타일은 적어도 표면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 요철부와 표면의 전구간에 걸쳐 형성된 미세요철을 포함하는 미끄럼방지 타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a) 소정크기의 주타일의 양측에 띠장타일을 접착하여 부착하는 단계;
    (b) 상기 접착에 의해 합체된 주타일과 띠장타일의 배면에 접합면을 가로지르는 장착홈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장착홈에 장착홈의 깊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보강철심을 삽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보강철심이 삽입된 상기 장착홈에 경화성 접착제를 충전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0항에 따른 계단용 타일조립체의 제조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f) 상기 (d)단계 후 합체된 상기 주타일과 상기 띠장타일의 선단에 연마기로 라운드 가공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의 제조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g) 상기 타일조립체가 계단판용인 경우 상기 주타일은 상기 (a)단계에 앞서 상기 주타일의 표면에 연마기로 연마하여 미끄럼방지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단용 타일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050079202A 2005-01-03 2005-08-29 계단용 타일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579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043 2005-01-03
KR20050000043 2005-0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142B1 true KR100579142B1 (ko) 2006-05-12

Family

ID=3718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202A KR100579142B1 (ko) 2005-01-03 2005-08-29 계단용 타일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14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731B1 (en) Snap together floor structure
US7871054B2 (en) Brick formliner apparatus
US8158249B2 (en) Multi-layered foam furniture method and apparatus
US10753092B1 (en) Fiber reinforced surface covering
WO2017148012A1 (zh) 铝合金的地台板
CA2805187A1 (en) New model of warm stone floor material
KR20110064350A (ko) 석재 접합식 타일
KR100579142B1 (ko) 계단용 타일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6960273B2 (en) Process for renovation of a staircase
CN217840084U (zh) 一种铜条嵌边砂浆护脚
KR20140042543A (ko) 건축용 석재패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축용 석재패널
JP5134922B2 (ja) 階段用化粧材
KR200236114Y1 (ko) 인조 계단석
KR200196194Y1 (ko) 계단용 인조 바닥재의 설치구조
JP4751203B2 (ja) 漆喰用左官用鏝
WO2009026679A1 (en) Universal trowel
KR100412287B1 (ko) 원가절감형 논스립이 일체로 형성된 수직블럭과논스립홈이 형성된 수평블럭을 이용한 계단의 마감시공구조
KR200212912Y1 (ko) 계단용 디딤판 및 챌판의 설치구조
KR100730340B1 (ko) 논슬립을 가지는 계단용 디딤평판의 제조방법
KR102526623B1 (ko) 콘크리트 바닥 마감용 코너 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마감층 시공 방법
US20070000196A1 (en) Decorative corner guard
KR200287105Y1 (ko) 계단시공용 조립식 테라조의 마감형재
JPH0612920Y2 (ja) 彩小粒石積層柔軟シート
JPH0420602A (ja) 防滑施工法
KR100352034B1 (ko) 논스립과 전면미장판이 일체로 부착된 계단의 조립식 수직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