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765B1 -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8765B1 KR100578765B1 KR1020030029244A KR20030029244A KR100578765B1 KR 100578765 B1 KR100578765 B1 KR 100578765B1 KR 1020030029244 A KR1020030029244 A KR 1020030029244A KR 20030029244 A KR20030029244 A KR 20030029244A KR 100578765 B1 KR100578765 B1 KR 1005787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operation member
- spring
- case
- type electr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7—Details of power supp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3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connected to or incorporated in clothing or garments
- A61F2007/023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connected to or incorporated in clothing or garments for the lower part of the trunk, e.g. pan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lide Switche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중립위치로의 복귀정밀도가 높여진 셀프 리턴 타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귀스프링 (2) 에 의해, 조작부재 (4) 가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복귀스프링 (2) 의 조작부재측의 일단부가 케이스 (1) 에 맞닿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기초대(基臺)와 접동자(摺動子)편을 제외한 조작부재와 복귀스프링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으로 도 1의 중심부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조작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케이스로 도 4의 중심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조작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조작부재로 도 6의 중심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요부확대설명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요부횡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요부확대설명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13 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요부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케이스 1a : 수납부
1b : 개구부 1c : 스프링 수납부
1d : 벽부 1e : 연결홈부
1f : 접동(摺動)홈부 1g : 가이드홈부
2, 23 : 복귀스프링 3 : 스페이서
4 : 조작부재 4a : 구동체부
4c : 조작노브 4d : 돌기부
4e : 가이드돌출부 5 : 접동자편
6 : 기초대(基臺) 30 : 테이퍼부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기기의 줌 콘트롤 등에 사용되는 중립위치에 센터복귀되는 타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구조를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낸다. 도 12 는 요부종단면도, 도 13 은 요부횡단면도이다.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구조로서는 금속판 등을 절곡시킴으로써 상자형으로 형성된 케이스 (21) 와, 이 케이스 (21) 내부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조작부재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체 (22) 와, 이 슬라이드체 (22) 의 양측에 형성되어 슬라이드체 (22) 를 중립위치로 탄성지지하는 한 쌍의 복귀스프링 (23, 23) 과, 상기 슬라이드체 (22) 에 유지되어 슬라이드체 (22) 와 함께 이동되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접촉편 (24) 과, 이 접촉편 (24) 과 접촉분리되는 고정단자 (25) 가 고정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 (21) 하면에 장착된 절연기판 (26) 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21) 의 상면판에는 슬라이드체 (22) 의 조작손잡이 (22a) 가 돌출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사각형 구멍 (21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사각형 구멍 (21a) 의 이동방향의 서로 대향하는 양변부에는 케이스 (21) 의 내측에 일체로 절곡된 스프링 걸림편 (21b, 21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걸림편 (21b, 21b) 과 상기 케이스 (21) 의 양 내측면의 각각의 사이에 상기 한 쌍의 복귀스프링 (23, 23) 이 각각 걸려 있다.
슬라이드체 (22) 의 상면 중앙에는 사각형 구멍 (21a)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조작손잡이 (22a) 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손잡이 (22a) 를 사이에 두고 상면 양측에는 양측 내부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방향으로 상기 복귀스프링 (23) 의 도피부로서의 조금 큰 스프링 도피홈 (22b, 22b) 이 형성되고, 또한 이 스프링 도피홈 (22b, 22b) 에 연속해서 상기 슬라이드체 (22) 가 슬라이드 이동하였을 때의 상기 스프링 걸림편 (21b, 21b) 의 도피부로서의 조금 작은 걸림편 도피홈 (22c, 22c)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도피홈 (22b) 과 걸림편 도피홈 (22c) 의 연접부에 단부 (22d) 가 형성됨과 동시에, 슬라이드체 (22) 의 양 단부 (22d, 22d) 에 한 쌍의 복귀스프링 (23, 23) 의 일단이 각각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드체 (22) 를 케이스 (21) 의 중앙위치로 탄성지지하게 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체 (22) 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에는 단부 (22d) 에 의해 복귀스프링 (23) 을 가압하여 압축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 (22) 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 걸림편 (21b) 이 상기 슬라이드체 (22) 의 걸림편 도피홈 (22c) 으로 삽입 통과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체 (22) 의 슬라이드 이동이 방해받지 않고 확실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동작으로서는 상기 복귀스프링 (23)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조작손잡이 (22a) 를 도 12 의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가압하면, 접촉편 (24) 도 함께 이동하여 접촉편 (24) 이 고정단자 (25) 와 접촉분리함으로써 회로가 전환되는 것이 된다. 또, 이 상태로부터 조작손잡이 (22a) 로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복귀스프링 (23) 의 탄성력으로 조작손잡이 (22a) 는 원래의 중앙위치 상태로 복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구조에서는 한 쌍의 복귀스프링 (23, 23) 으로 슬라이드체 (22) 의 단부 (22d) 를 가압하고, 스프링 걸림편 (21b) 에 맞닿는 중립위치로 복귀시켜 중립위치에서 유지시키는 것이지만, 단부 (22d) 사이의 길이와 스프링 걸림편 (21b) 사이의 길이가 다를 경우가 있다. 단부 (22d) 사이의 길이가 스프링 걸림편 (21b) 사이의 길이보다 길고, 또 복귀스프링 자체의 편차에 의한 스프링력의 편차나 스프링 걸림편 (21b) 의 절곡 정밀도의 오차에 의한 수납된 복귀스프링 길이의 불균일에 의한 스프링력의 크기 편차나 스프링력의 방향 편차가 생기면, 이에 의해 슬라이드체 (22) (조작손잡이 (22a)) 의 중립위치로의 복귀정밀도가 악화되는 것이었다. 또, 단부 (22d) 사이의 길이가 스프링 걸림편 (21b) 사이의 길이보다 짧으면, 이에 의해 중립위치에서의 슬라이드체 (22) 의 흔들림이 생겼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중립위치로의 복귀정밀도가 높여진 셀프 리턴 타입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접동자편 또는 도전패턴의 일측을 형성한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케이스와, 상기 조작부재를 사이에 두고 한 쌍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재측의 일단부가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케이스에 위치결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으로 압축 가능하게 배치된 탄성부재를 갖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으로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수단으로서, 제 1 수단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조작부재측의 일단부가 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에서 길이가 다르도록 테이퍼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3 수단으로서, 제 2 수단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를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八 자 형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을 수납하는 상기 케이스부분도 八 자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4 수단으로서, 제 2 또는 3 수단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을 원호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5 수단으로서, 제 1 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에서 길이가 다르도록 테이퍼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6 수단으로서, 제 1 ∼ 5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7 수단으로서, 제 3 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를 호형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낸다. 도 1 은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기초대와 접동자편을 제외한 조작부재와 복귀스프링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종단면도, 도 3 은 조작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 는 케이스의 평면도, 도 5 는 마찬가지 로 종단면도, 도 6 은 조작부재의 저면도, 도 7 은 마찬가지로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1, 도 3 에서는 조작부재와 복귀스프링의 걸어맞춤 및 동작상태를 잘 알 수 있도록, 편의적으로 조작부재와 복귀스프링을 중첩시켜 투시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케이스 (1)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상면 및 정면이 개구된 바닥이 있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가로로 긴 형상의 수납부 (1a) 가 형성되며, 이 수납부 (1a) 의 상측에는 마찬가지로 가로로 긴 형상의 개구부 (1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스 (1) 상면은 완만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1b) 상면도 이에 따라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 (1a) 의 내측면의 대략 중앙 양측에는 대략 케이스 (1) 상면의 원호와 동일한 중심을 갖는 원호를 따라서 조금 경사진 상태 (八 자 형상 배치) 의 긴 홈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스프링 수납부 (1c, 1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 수납부 (1c) 의 길이방향의 대향하는 내측면이 후술하는 복귀스프링 (탄성부재) (2) 의 양단부를 위치결정하는 벽부 (1d, 1d) 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수납부 (1c, 1c) 사이에는 양측을 연결하도록 상기 스프링 수납부 (1c) 보다 조금 폭이 좁고 바닥이 깊은 연결홈부 (1e) 가 형성되어 있고, 또 이 연결홈부 (1e) 에 연속해서 상기 스프링 수납부 (1c) 의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벽부 (1d, 1d) 사이에 후술하는 구동체부 (4a) 의 돌기부 (4d) 를 접동안내하는 접동홈부 (1f, 1f)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홈부 (1e) 와 접동홈부 (1f, 1f) 는 동일한 크기로 연속 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스프링 수납부 (1c) 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에 비하여 상기 개구부 (1b) 상면의 원호 형상과 동일 중심점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 가까운 쪽의 측면에는 상기 개구부 (1b) 상면의 원호 형상과 동일 중심점을 갖는 원호 형상의 긴 홈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홈부 (1g)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부 (1g) 및 접동홈부 (1f) 에, 후술하는 조작부재 (4) 의 구동체부 (4a) 에 형성된 가이드돌출부 (4e) 및 돌기부 (4d) 가 안내되어 접동함으로써, 조작부재 (4) 가 원호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만, 양자 사이에는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1) 의 한 쌍의 스프링 수납부 (1c, 1c) 에는 코일 형상으로 감겨진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이 수납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스프링 수납부 (1c) 의 대향하는 벽부 (1d, 1d) 에 복귀스프링 (2) 의 양단부가 압축되어 맞닿아 있고, 이에 의해 복귀스프링 (2) 의 양단부가 위치결정됨으로써 복귀스프링 (2) 이 스프링 수납부 (1c) 내에 유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일단측의 벽부 (1d, 1d) 에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3) 가 각각 배치되며, 따라서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의 일단측은 스페이서 (3) 를 개재하여 벽부 (1d) 에 압접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 (3, 3) 사이에는 후술하는 조작부재 (4) 의 구동체부 (4a) 에 형성된 돌기부 (4d) 가 끼워져 있고,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의 스프링력이 전달되어 상기 조작부재 (4) 가 중립위치로 유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조작부재 (4) 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고, 평면의 대략 사각 형상을 한 구동체부 (4a) 와, 이 구동체부 (4a) 의 상측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블레이드부 (4b) 를 갖는 조작노브 (4c) 와, 복귀스프링 (2) 의 일단부를 받치는 받침부 (4e) 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체부 (4a) 의 일측의 측면에는 그 대략 중앙에 도 1 의 횡방향으로 가늘고 긴 원호 형상을 한 돌기부 (4d) 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 (4d) 가 케이스 (1) 의 연결홈부 (1e) 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 돌기부 (4d) 의 양단부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곡면 형상 양단부가 스페이서 (3) 와 맞닿음으로써 스페이서 (3) 를 탄성변형시키고 있다. 또, 돌기부 (4d) 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는 그 치수에 편차가 생긴 경우에도 하측에 위치하는 벽부 (1d) 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상측에 위치하는 벽부 (1d)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같이 스프링 수납부 (1c) 의 연결홈부 (1e) 에서 연결된 쪽의 벽부 (1d) 에는 복귀스프링 (2) 의 타단측과 맞닿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3) 가 배치되어 있고, 연결홈부 (1e) 에 걸어맞추어지는 구동체부 (4a) 에 형성된 돌기부 (4d) 의 양단부의 곡면이 스페이서 (3) 의 타단과 맞닿아 스페이서 (3) 를 탄성변형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 (4) 가 중앙위치로 복귀할 때에, 구동체부 (4a) 의 돌기부 (4d) 와 복귀스프링 (2) 의 단부가 맞닿을 때의 충돌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 돌기부 (4d) 의 하측에는 평면의 양단부에 걸쳐 가늘고 긴 원호 형상을 한 가이드돌출부 (4e) 가 마찬가지로 돌기부 (4d) 의 돌출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돌출부 (4e) 가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에 형성된 가이드홈부 (1g) 에 접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돌기부 (4d) 가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에 형성된 연결홈부 (1e) 와 접동홈부 (1f) 에 걸어맞춤과 동시에, 가이드돌출부 (4e) 가 가이드홈부 (1g) 에 걸어맞추어져 접동안내됨으로써, 조작노브 (4c) 가 원호 형상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구동체부 (4a) 의 돌기부 (4d) 가 형성된 평면이 수납부 (1a) 의 내저면과 접동하는 접동면으로 되어 있고, 가이드돌출부 (4e) 및 가이드홈부 (1g) 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형성하면 된다.
또,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은 八 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립위치 부근에서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의 스프링력은 조작부재 (4) 의 가늘고 긴 원호 형상을 한 돌기부 (4d) 의 양단의 조금 하측으로부터 부여되게 되기 때문에, 조작부재 (4) 는 도 1 의 상측으로 밀어올려져 돌기부 (4d) 상면이 연결홈부 (1e) 상측의 내면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된다. 이 때, 벽부 (1d) 사이의 거리는 상측으로 감에 따라서 길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 조작부재 (4) 가 상측에 위치함에 따라서 복귀스프링 (2, 2) 의 조작부재 (4) 측의 단부는 벽부 (1d) 에 가까워지게 된다. 그런데, 중립위치의 어긋남의 최대값은 소정 이상의 스프링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 돌기부 (4d) 의 길이와 벽부 (1d) 사이의 길이의 차이가 된다. 따라서, 복귀스프링 (2, 2) 의 조작부재 (4) 측의 단부는 벽부 (1d) 에 가까워지게 되면, 이에 의해 좌우의 복귀스프링 (2, 2) 의 스프링력의 차이가 있는 경우라도, 조작부재 (4) 의 중앙위치에서의 위치 어긋남은 적어진다.
또, 조작부재 (4) 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돌기부 (4d) 가 연결홈부 (1e) 보다 다소 길어도 복귀스프링 (2, 2) (탄성부재) 양측이 거의 균등하게 탄성변형되고, 양측의 스페이서 (3, 3) 가 돌기부 (4d) 와 벽부 (1d) 에 접한 상태가 되며, 조작부재 (4) 의 중립위치는 좌우의 복귀스프링 (2, 2) 의 스프링력의 차이가 있더라도 어긋나지 않는다.
또한, 충분히 조작부재 (4) 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두면, 양측의 스페이서 (3, 3) 가 탄성변형되지 않고, 돌기부 (4d) 와 벽부 (1d) 에 접한 상태가 될 때까지 조작부재 (4) 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조작부재 (4) 의 중앙위치는 좌우의 복귀스프링 (2, 2) 의 스프링력의 차이, 탄성부재의 변형량의 차이가 있더라도 어긋나지 않는다.
이같이 접동홈부 (1f) 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구동체부 (4a) 의 돌기부 (4d) 를 접동홈부 (1f) 에 접동시킴으로써, 조작노브 (4c) 를 원호 형상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노브 (4c) 의 슬라이드 조작 범위를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체부 (4a) 의 접동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노브 (4c) 의 조작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구동체부 (4a) 의 대향하는 평면의 타측에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접동자편 (5) 이 고정 장착되어 있다. 이 접동자편 (5) 에는 복수의 외팔보 형상의 접촉편 (5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접촉편 (5a) 이 기초대 (6) 에 형성 된 도전패턴 (도시하지 않음) 과 접촉분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기초대 (6) 는 페놀수지 등의 적층판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강박이나 카본 등의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도전패턴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며, 가변저항기의 집전체 및 저항체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면에는 상기 도전패턴과 스루홀 등으로 접속된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외부단자 (7) 가 고정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초대 (6) 는 이면측을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커버 (8) 에 일체적으로 고정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도전패턴이 상기 구동체부 (4a) 에 고정 장착된 상기 접동자편 (5) 의 접촉편 (5a) 과 접촉분리하도록 대향되어 상기 케이스 (1) 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동자편 (5) 과 상기 도전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체부 (4a) 에 상기 도전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대 (6) 에 상기 접동자편 (5) 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을 조립하려면, 상기 케이스 (1) 의 한 쌍의 상기 스프링 수납부 (1c, 1c) 의 대향하는 일단측의 벽부 (1d, 1d) 에 상기 스페이서 (3) 를 삽입하고, 이 스페이서 (3) 의 타단측에 일단측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복귀스프링 (2) 을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부 (1e) 와 상기 가이드홈부 (1g) 에 상기 조작부재 (4) 의 구동체부 (4a) 의 접동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 (4d) 와 상기 가이드돌출부 (4e) 를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중첩시키고, 이와는 반대의 일측면에 고정 장착된 상기 접동자편 (5) 위에 도전패턴이 형 성된 상기 기초대 (6) 가 일체적으로 고정 장착된 상기 커버 (8) 를 씌우고, 코킹 또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장착함으로써 조립이 종료된다.
이같이, 상기 조작부재 (4) 의 상기 구동체부 (4a) 에는 상기 돌기부 (4d) 가 형성되는 접동면과, 상기 접동자편 (5) 이 고정 장착되는 일측면을 표리(表裏)에 대향시켜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 (3) 및 복귀스프링 (2) 을 상기 케이스 (1) 의 스프링 수납부 (1c) 에 장착한 후에, 상기 조작부재 (4) 의 상기 돌기부 (4d) 가 형성된 접동면을 아래로 하여 위로부터 중첩하여 장착하고, 그 위로부터 도전패턴이 형성된 상기 기초대 (6) 가 일체적으로 고정 장착된 상기 커버 (8) 를 장착하면 조립이 종료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지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도전패턴을 상기 구동체부 (4a) 의 일측면인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전패턴의 형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 에서 상기 구성의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서는 조작부재 (4) (조작노브 (4c)) 는 중립위치에 있고, 이 상태에서는 구동체부 (4a) 의 돌기부 (4d) 가 연결홈부 (1e) 에 삽입되어 있으며, 돌기부 (4d) 의 양단부가 한 쌍의 스페이서 (3, 3) 에 맞닿게 되고, 한 쌍의 스페이서 (3, 3) 을 개재하여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노브 (4c) 는 중립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이 때,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의 양 탄성력은 균형적으로 유지되는 상태로 되어 있고, 또 돌기부 (4d) 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는 그 치수가 하측에 위치 하는 벽부 (1d) 사이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중립위치에서의 상기 조작노브 (4c) 의 흔들림이 억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복귀스프링 (2, 2) 에 의해 조작부재 (4) 는 상측으로 밀어올려져 양측의 스페이서 (3, 3) 가 돌기부 (4d) 와 벽부 (1d) 에 접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소정의 중립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노브 (4c) 가 도시된 좌측방향으로 가압되면, 조작노브 (4c) 가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에 따라서 구동체부 (4a) 도, 돌기부 (4d) 가 접동홈부 (1f) 로, 가이드돌출부 (4e) 가 가이드홈부 (1g) 로 각각 접동안내되어 좌측으로 원호 형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돌기부 (4d) 의 좌단부는 스페이서 (3) 를 개재하여 좌측에 배치된 복귀스프링 (2)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복귀스프링 (2) 을 압축시켜 간다. 이 슬라이드 이동과 함께 접동자편 (5) 의 접촉편 (5a) 이 기초대 (6) 의 표면 위를 접동하여 도전패턴과 접촉함으로써, 접점이 ON 상태가 되고, 신호가 외부단자 (7) 를 개재하여 외부의 회로로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복귀스프링 (2)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의 스프링 수납부 (1c) 내에 수납되어 있고, 따라서 우측의 복귀스프링 (2) 의 조작부재 (4) 측의 일단부 (실제로 접하는 것은 우측의 스페이서 (3)) 는 조작부재 (4) 의 돌기부 (4d) 의 우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 때, 구동체부 (4a) 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접동홈부 (1f) 에 따라서 돌기부 (4d) 가 원호 형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되지만, 한편 원호 형상의 접동홈부 (1f) 에 대응하는 스프링 수납부 (1c, 1c) 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이, 각 스프링 수납부 (1c) 에 복귀스프링 (2) 이 직선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대략 복귀스프링 (2) 은 돌기부 (4d) 의 원호 형상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부 (4d) 가 접동홈부 (1f) 를 원호 형상으로 접동할 때에는 복귀스프링 (2) 은 직선 형상으로 휘게 되어 있다. 이 같이, 돌기부 (4d) 가 접동홈부 (1f) 를 원호 형상으로 접동할 때에는 복귀스프링 (2) 이 직선 형상으로 휘게 하였기 때문에, 복귀스프링 (2) 을 직선 형상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또 대략 복귀스프링 (2) 의 단면에 수직으로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꼬이지 않게 됨과 동시에, 돌기부 (4d) 에 이상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조작부재 (4) 의 동작이 안정되고 확실한 복귀가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립위치로부터 이 같이 슬라이드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을 실시할 때, 조작노브 (4c) 는 약간 하측으로 이동하지만, 이 이동은 저항체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되고, 저항체 말단에서 접촉편 (5a) 까지의 거리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도 3 의 상태로부터 조작노브 (4c) 로의 가압이 해제되면, 복귀스프링 (2) 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지지되면서 구동체부 (4a) 가 압축되었던 좌측의 복귀스프링 (2) 의 탄성력에 의해 도 1 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돌기부 (4d) 의 우단부는 우측에 배치된 복귀스프링 (2) 에 탄성지지되고 있는 우측의 스페이서 (3) 에 맞닿게 되고, 이 때의 스페이서 (3) 의 탄성변형에 의해 충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중립위치 부근에서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의 탄성력은 조작부재 (4) 의 가늘고 긴 원호 형상을 한 돌기부 (4d) 양단의 조금 하측으로부터 부여되고, 조작부재 (4) 는 도 1 의 상측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으로 밀어올려져 돌기부 (4d) 상면이 연결홈부 (1e) 상측의 내면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된다. 또, 돌기부 (4d) 가 상측으로 밀어올려지면, 벽부 (1d) 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부 (4d) 가 벽부 (1d) 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점차 들어가게 되고, 복귀스프링 (2) 의 조작부재 (4) 의 일단부는 케이스 (1) 의 벽부 (1d) 에 각각 맞닿아 (실제로는 스페이서 (3) 를 개재하여) 조작부재 (4) 를 확실하게 중립위치로 위치결정한다. 이에 의해, 조작부재 (4) 는 슬라이드 이동방향으로 흔들림이 없고, 따라서 복귀정밀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조작노브 (4c) 가 도시된 우측방향으로 가압된 경우라도 상기와 동일한 동작이 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노브 (4c) 및 상기 구동체부 (4a) 가 원호 형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직선 형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또한, 이 예를 후술하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함), 이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또, 도전패턴은 저항체 및 집전체로 설명하여 슬라이드형 가변저항기를 구성하였지만, 도전패턴을 ON 상태와 OFF 상태가 되는 스위치패턴으로 형성하여 슬라이드형 스위치로 해도 된다. 또, 접동자편 (5) 과 도전패턴의 배치를 반대로 해 도 되고, 이들을 구동체부 (4a) 의 조작노브 (4c) 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 복귀스프링 (2) 을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고, 복귀스프링 (2) 을 八 자 형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케이스에 맞닿는 케이스 부분도 八 자 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복귀스프링 (2) 이 꼬이지 않고, 원활하게 조작부재 (4) 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 복귀스프링 (2) 과 조작부재 (4) 사이에 스페이서 (3) 를 개재시켰기 때문에, 복귀스프링 (2) 의 단면 형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작부재 (4) 는 원활하게 조작부재 (4) 의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복귀스프링 (2) 을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보다 효과적이다.
또, 케이스 (1) 에 조작부재 (4) 를 호상으로 이동하도록 수납하였기 때문에, 복귀스프링 (2) 을 길게 해도 대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소형으로 긴 스트로크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수직면에서 복귀스프링 (2) 은 조작부재 (4) 에 접하기 때문에, 원활하게 복귀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부재 (4) 의 구동체부 (4a) 에 접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복귀스프링 (2, 2) 의 타단측과 걸어맞추는 돌기부 (4d) 가 형성됨과 동시에,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에는 구동체부 (4a) 의 접동면보다 하측에 접동방향에 따라서 병설된 한 쌍의 스프링 수납부 (1c, 1c) 를 형성하고, 이 한 쌍의 스프링 수납부 (1c, 1c) 사이에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홈부 (1e) 를 형성하며, 이 연결홈부 (1e) 에 연속해서 한 쌍의 스프링 수납부 (1c, 1c) 에 구동체부 (4a) 의 돌기부 (4d) 를 접동안내하는 상기 접동홈부 (1f) 를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재 (4) 의 구동체부 (4a) 와 중첩되는 위치에 병설하여 복귀스프링 (2) 을 배치하는 상기 스프링 수납부 (1c) 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체부 (4a) 의 접동방향으로 나열하여 상기 복귀스프링 (2) 을 배치하는 구조에 비하여 구동체부 (4a) 의 접동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부품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3) 을 개재시켰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그 경우에는 복귀스프링 (2, 2) 의 조작노브 (4c) 측의 단부가 돌기부 (4d) 에 접하고, 또 벽부 (1d) 에 근접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중립위치에서의 복귀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8 ∼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 도 11 은 제 2 실시예인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을 나타내며, 도 8 은 요부종단면도, 도 9 는 도 8 의 요부확대설명도, 도 10 은 요부횡단면도, 도 11 은 도 10 의 요부확대설명도이다. 또한, 이 제 2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도 12 및 도 13 의 종래예와 이하에 설명하는 부분 이외에는 동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특징부분 이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조작부재인 슬라이드체 (22) 의 스프링 도피홈 (22b) 과 걸림편 도피홈 (22c) 의 연접부에 단부가 상측으로 감에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된 테이퍼부 (30) 로 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 (30) 상부는 슬라이드체 (22) 의 중립위치에서 스프링 걸림편 (21b) 으로부터 각각의 복귀스프링 (23) 측으로 돌출 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복귀스프링 (23, 23) 은 슬라이드체 (22) 측의 일단부가 스프링 걸림편 (21b) 으로부터 돌출된 테이퍼부 (30) 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슬라이드체 (22) 를 케이스 (21) 의 중앙위치로 탄성지지한다. 이 때, 슬라이드체 (22) 는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처음부터 틈이 있기 때문에, 양측의 복귀스프링 (23, 23) 에 의해 상기 직교하는 방향 (도 8 의 상측방향) 으로 슬라이드체 (22) 를 밀어올려서 양 복귀스프링 (23, 23) 의 슬라이드체 (22) 측의 일단부는 각 스프링 걸림편 (21b, 21b) 에 각각 맞닿게 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체 (22) 는 도 8 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위치결정된다.
이 같이 슬라이드체 (22) 의 양측에 테이퍼부 (30, 30) 를 형성하고, 테이퍼부 (30, 30) 의 긴 부분은 케이스 (21) 의 스프링 걸림편 (21b, 21b)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이들의 짧은 부분은 케이스 (21) 의 스프링 걸림편 (21b, 21b) 사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 이 테이퍼부 (30) 는 원호면으로 형성해도 되고, 이에 의해 조작부재 (22) 는 원할하게 조작부재 (22) 의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같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복귀스프링에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이 복귀스프링의 조작부재측의 단부가 맞닿는 부분에 테이퍼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케이스에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대응하고 있지만, 복귀스프링으로서 고무, 판스프링 등을 사용한 경우에는 복귀스프링의 조작부재에 형성하는 면 형상을 테이퍼로 하면 되고, 이 경우 벽부 (1d) 에 맞닿는 복귀스프링의 면은 이 면과 동일한 면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수직인 면으로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의 단부가 맞닿는 케이스측의 맞닿음부 사이의 거리와, 탄성부재의 조작부재측의 단부가 맞닿는 조작부재의 맞닿음부 사이의 거리가 달라도, 조작부재는 탄성부재에 의해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케이스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하고, 양자의 길이의 차이가 적어지고, 따라서 복귀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를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을 八 자 형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을 수납하는 케이스부분도 八 자 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이 꼬이지 않고 원활하게 조작부재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퍼면을 원호면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작부재는 원활하게 조작부재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와 조작부재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시켰기 때문에, 탄성부재의 단면 형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작부재는 원활하게 조작부재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탄성부재를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보다 효과적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재를 활 형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형성하 였기 때문에, 소형으로 긴 스트로크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수직면에서 코일스프링은 조작부재에 접하기 때문에, 원활하게 복귀가 가능해진다.
Claims (7)
-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접동자(摺動子)편 또는 도전패턴의 일측을 형성한 조작부재와,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케이스와,상기 조작부재를 끼고 한 쌍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재측의 일단부가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케이스에 위치결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으로 압축 가능하게 배치된 탄성부재를 갖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으로서,상기 탄성부재의 조작부재측의 일단부가 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에서 길이가 다르도록 테이퍼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를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八 자 형상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을 수납하는 상기 케이스부분도 八 자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을 원호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에서 길이가 다르도록 테이퍼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를 호(弧)형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152623A JP4071545B2 (ja) | 2002-05-27 | 2002-05-27 | スライド型電気部品 |
JPJP-P-2002-00152623 | 2002-05-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1672A KR20030091672A (ko) | 2003-12-03 |
KR100578765B1 true KR100578765B1 (ko) | 2006-05-12 |
Family
ID=2976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9244A KR100578765B1 (ko) | 2002-05-27 | 2003-05-09 |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071545B2 (ko) |
KR (1) | KR100578765B1 (ko) |
CN (1) | CN1230849C (ko) |
TW (1) | TWI22565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39131B2 (en) * | 2005-08-25 | 2008-03-04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lide switch apparatus |
JP2009081082A (ja) * | 2007-09-27 | 2009-04-16 | Fujifilm Corp | 入力装置 |
KR100967131B1 (ko) * | 2007-12-04 | 2010-07-05 | 주식회사 만도 | 압력센서 |
JP5113204B2 (ja) * | 2010-03-10 | 2013-01-09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摺動子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
CN102412093A (zh) * | 2011-12-29 | 2012-04-11 | 上海自动化仪表股份有限公司 | 单键控制多路的滑键磁簧开关 |
-
2002
- 2002-05-27 JP JP2002152623A patent/JP407154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5-09 KR KR1020030029244A patent/KR10057876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3-05-27 CN CNB031383432A patent/CN123084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5-27 TW TW092114278A patent/TWI225657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1672A (ko) | 2003-12-03 |
TWI225657B (en) | 2004-12-21 |
JP2003346602A (ja) | 2003-12-05 |
CN1230849C (zh) | 2005-12-07 |
JP4071545B2 (ja) | 2008-04-02 |
CN1467769A (zh) | 2004-01-14 |
TW200405374A (en) | 2004-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3280B1 (ko) | 푸시버튼스위치 | |
US20150333442A1 (en)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JP3732380B2 (ja) | ポインティング装置 | |
US6841744B1 (en) | Slide switch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US5997315A (en) | Connector and IC card connector | |
CN101620944B (zh) | 按钮开关 | |
KR100578765B1 (ko) |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 |
KR20090072963A (ko) | 콘택트 부재 및 전기 커넥터 | |
WO2009093644A1 (ja) | スライド式スイッチ | |
KR20130006306A (ko) | 스위치 | |
JP3169859U (ja) | スイッチ装置 | |
US4121063A (en) | Power transmission flat cable for remote-controlled electrical apparatus | |
KR100551920B1 (ko) |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 |
CN107086101B (zh) | 滑动式可变电阻器 | |
EP0310091B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KR20030081013A (ko) | 커넥터 | |
US3957334A (en) | Printed circuit board array for card reader | |
JP4087603B2 (ja) | スライド型電気部品 | |
KR102174098B1 (ko) | 케이블 커넥터 | |
KR100549028B1 (ko) | 스위치 장치 | |
CN109994333B (zh) | 用于按钮开关的按钮组件、按钮开关以及电子设备 | |
JP3658872B2 (ja) | 電池収納装置及び携帯用電子機器 | |
JP2021022435A (ja) | スライドスイッチ | |
JP2005223205A (ja) | スライド型電気部品 | |
JP2013168527A (ja) | スライド型可変抵抗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