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01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013A
KR20030081013A KR10-2003-0010076A KR20030010076A KR20030081013A KR 20030081013 A KR20030081013 A KR 20030081013A KR 20030010076 A KR20030010076 A KR 20030010076A KR 20030081013 A KR20030081013 A KR 2003008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 terminal
terminal
male connecto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가와히로시
시노나가나오유키
이토다이스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0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와의 거리변화가 생기지 않는 와이핑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접속대응관계를,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는다. 수커넥터 단자(2)를 갖는 수커넥터(10a)와, 암커넥터 단자(5)를 갖는 암커넥터(10b)와, 수커넥터 보디(1) 및 암커넥터 보디(3) 중 어느 한쪽에 가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중계커넥터 단자(4)와, 수커넥터 단자(2) 및 암커넥터 단자(5)의 양쪽에 중계커넥터 단자(4)를 접촉시켜, 활주시키는 구동기구부(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신호를 접속, 절단 및 전환을 행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디바이스의 집적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디바이스의 검사공정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검사공정에서는, 측정대상의 반도체 디바이스(127)와, 테스트장치의 단자가 배치된 테스트 헤드(121)와의 사이에, 몇개의 스테이지의 보드를 배치한다. 우선, 테스트 헤드(121)의 바로 위에는, 마더보드(122)를 배치한다. 이 마더보드는, 테스트 헤드에서의 단자의 배열에 맞추어 콘택이 배열되어 있고, 측정대상의 반도체 디바이스가 변해도 변화하지 않는다. 마더보드의 상측부분에는, 암콘택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그 위 쪽에 위치하는 퍼포먼스(performance) 보드(124)의 하측부분에 설치된 수콘택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케이블(123)에 의해 접속된다.
그 퍼포먼스 보드(124)는 복수개의 보드로 구성된다. 각 퍼포먼스 보드의 사이에는 커넥터(1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퍼포먼스 보드 상에는, 콘택터(125)가 배열된다. 측정대상의 디바이스(127)의 단자(126)는, 직접, 이 테스트 보드(125)에 접속된다. 측정대상으로서는, 통상, 다수의 반도체칩(127)이 대상이 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반도체칩에 형성되는 단자는 수십개라 해도, 동시에 수백개를 측정하므로, 퍼포먼스 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110)의 단자수는 수천개에 달한다.
마더보드와 측정대상의 디바이스와의 사이에, 퍼포먼스 보드나 소켓보드를 설치하는 것은, 측정대상의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또한 측정하려는 성능에 따라, 융통성을 갖고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커넥터는, 예를 들면 상기한 퍼포먼스 보드(124) 사이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110)이다. 이 커넥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천개의 단자가 설치되므로, 그 접속을 확실히 행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상기한 보드 사이의 접속부에 사용되는 종래의 커넥터(110)의 구조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서의 IX-IX 단면도이다. 접속동작을 설명하면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수커넥터 보디(101)에 고정된 수커넥터 단자(102)를, 암커넥터 보디에 고정된 2개의 암커넥터 단자(10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커넥터(110a)와 암커넥터(110b)를 끼워 맞춘다. 이어서, 커넥터 단자 개폐기구부(107)에 의해 암커넥터 단자(105)를 수커넥터 단자(102)에 밀어 놓고,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접촉시켜, 전기적 접속을 얻는다.
다음에, 푸시업(push-up) 기구부(106)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수커넥터 보디(101)를 밀어 올린다. 수커넥터 단자(102)는, 암커넥터 단자(105)에 접촉한 상태로 맞닿아 스쳐가면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접속할 때에, 수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를 맞닿아 스쳐가는 것은, 전기적 접속을 양호한 상태로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핀수가 많은 커넥터에서는 필수적이다. 이 커넥터 단자끼리의 맞닿은 접촉을, 와이핑 동작, 또는 간단하게 와이핑라 부른다. 상기한접속부 주변에, 이 와이핑 동작을 행하게 하는 기구를 설치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수커넥터에 접속하는 신호선과 암커넥터에 접속하는 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한 커넥터의 접속으로는, 와이핑시에, 수커넥터(110a)가 왕복동작을 행하므로, 수커넥터(110a)와 암커넥터(110b)로 형성되는 접속부의 단자방향길이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접속부 주변에 설치하는 와이핑 기구는, 상기 수커넥터가 암커넥터와의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접속부 주변의 와이핑 기구나 그 밖의 기구부분이 복잡하게 된다. 즉, 와이핑 동작에 필요한 모터 등의 구동원이나 그 전달을 위한 치차기구 등을, 커넥터의 폭이 변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배치하면, 매우 복잡하게 된다. 치차기구도 복잡화하고, 또한 구동의 전달에서의 부품 수도 증대한다. 더욱이, 상기한 왕복운동을 허용할 수 없는 경우, 사용하는 커넥터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수커넥터 단자(102)에 접속하는 신호선과, 암커넥터 단자(105)에 접속하는 신호선과는, 접속하는 대응관계가 고정되어 있다. 즉,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수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를, 고정한 접속대응관계를 유지한 상태로, 접속하거나, 차단할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한 접속대응관계를 변경하는 것은 할 수 없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도이다(수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가 비접촉상태).
도 3은 도 2에서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구동기구부가 하단(제2 위치)에 위치하여, 수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수커넥터가 오른쪽방향으로 활주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도이다(수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가 비접촉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2 접속관계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도이다.
도 7은 반도체 디바이스가 일반적인 테스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의 IX-IX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와의 거리변화가 생기지 않는 와이핑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하고, 수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와의 접속대응관계를,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수커넥터 보디 및 그 수커넥터 보디에 유지된 수커넥터 단자를 갖는 수커넥터와, 수커넥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암커넥터 단자 및 그 암커넥터 단자를 유지하는 암커넥터 보디를 갖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 보디 및 암커넥터 보디 중 어느 한쪽에 가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중계커넥터 단자와, 수커넥터 단자 및 암커넥터 단자의 양쪽에 중계커넥터 단자를 접촉시켜, 활주(rubbing)시키는 구동기구부를 구비한다(제1 국면).
이 구성에 의해, 와이핑 동작시에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와의 거리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커넥터 주변의 기구부분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커넥터에 대한 높이 제한을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구동기구부(와이핑 기구부)나, 후출하는 개폐기구부는, 어느 것이나 커넥터의 주변에 배치된 모터나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치차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 때문에,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거리가 변화하면, 상기한 각종 기구의 배치가 대단히 번거롭게 된다. 상기구성에 의해, 커넥터 주변의 기구부의 복잡화를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부품 자체의 간단화, 및 부품 수의 감소 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종 부의 기구의 신뢰성이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암커텍터 보디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중계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구동기구부는, 제1 상태에서, 중계커넥터 단자가 수커넥터 단자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하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할 때, 수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를 접촉시키고, 또한 중계커넥터 단자를 이동시켜 암커넥터 단자에 접촉시켜, 그 중계커넥터 단자를, 수커넥터 단자 및 암커넥터 단자의 양쪽에 활주시킬 수 있다(제2 국면).
이 구성에 의해, 기계적 접촉에 의해 전기적 접속을 얻는 부분에서는, 단자끼리가 활주하여 와이핑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전기적 접속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수커넥터 보디 및 암커넥터 보디의 양쪽 모두 움직이지 않고, 상기한 와이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접속부 주변의 기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구동기구부는, 제1 위치에서, 수커넥터 단자 및 중계커넥터 단자의 적어도 한쪽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수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를 접촉시키지 않도록 하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수커넥터 단자 및 중계커넥터 단자의 적어도 한쪽을 탄성적으로 복원시켜, 수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가 탄성적으로 밀어 넣어 활주하도록 하고, 또한 중계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를 탄성적으로 밀어 넣어 활주시킬 수 있다 (제3 국면).
이 구성에 의해, 커넥터 단자를 가요성이 있는 탄성부재, 예를 들면 금속으로 구성함으로써, 활주 즉 와이핑에서의 커넥터 단자 사이의 부착력을 그 탄성력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구동기구부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할 때,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상태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중계커넥터 단자는, 구동기구부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연동하는 구동기구 연동부와, 암커넥터 보디의 측벽에 설치된 오목부인 가이드에 수납되는 볼록부를 구비할 수 있다(제4 국면).
이것에 의해, 구동기구부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중계커넥터 단자는, 대향하는 2개의 커넥터 단자편으로 이루어져, 수커넥터 단자를 그 2개의 커넥터 단자편의 사이에 끼우는 커넥터 단자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제5 국면).
이 구성에 의해,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와의 끼워 맞춘 구조를 강고하게 할 수 있고, 안정한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는, 모두 공통하는 방향에 따라 공통의 피치로 나란히 놓인 2 이상의 커넥터 단자를 갖는다. 그리고, 구동기구부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커넥터 단자가 나란히 놓인 방향에 따라,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 중 어느 한쪽을 상대방에 대하여 활주시키는 활주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제6 국면).
이 구성에 의해, 수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와의 접속관계를 한번에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에 있어서는 수커넥터 보디와 암커넥터 보디와의 커넥터 단자가 연장되는 방향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없으므로, 커넥터 주위의 기구의 복잡화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활주기구는, 상기 방향으로 수커넥터 단자 또는 암커넥터 단자를 활주시키는 동력전달기구 등이 해당한다.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는, 수커넥터 보디 및 그 수커넥터 보디에 유지되고, 소정의 방향에 따라 나란히 놓인 2 이상의 수커넥터 단자를 갖는 수커넥터와, 수커넥터 단자와 동일한 방향에 따라 나란히 놓인 2 이상의 암커넥터 단자 및 그 2 이상의 암커넥터 단자를 유지하는 암커넥터 보디를 갖는 암커넥터를 갖는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수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지 않도록 하고,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할 때, 암커넥터 단자와 수커넥터 단자를 개별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개폐기구부를 갖는다. 또한, 개폐기구부가 제1 상태에서,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 중 어느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커넥터 단자가 나란히 놓인 방향에 따라 활주시키는 접속전환 기구부를 구비한다(제7 국면).
이 구성에 의해, 수커넥터 단자 또는 암커넥터 단자는, 장해를 받지 않고 단자배열방향에 따라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라는 부품(하드)에 의해 접속관계를 전환할 수 있다. 접속전환기구는, 전술한 활주기구와 동일한 기구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에서는, 수커넥터 단자 및 암커넥터 단자는, 공통의 일정한 피치로 나란히 놓여 있다. 그리고, 접속전환 기구부는, 개폐기구부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의 어느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커넥터 단자가 나란히 놓인 방향에 따라 소정피치의 정수배 활주시켜 중지하고, 개폐기구부가 제2 상태로 변경될 때, 활주 후의 위치에서의 수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를 접촉시키는 이동피치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제8 국면).
이 구성에 의해, 접속전환의 제어를 간단화할 수 있다. 이 접속전환의 제어는, 통상의 프로그램제어 등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에서는, 수커넥터 보디 및 암커넥터 보디 중 어느 한쪽에 가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중계커넥터 단자를 갖는다. 그리고, 개폐기구부는, 제1 상태에서, 중계커넥터 단자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쪽의 커넥터 보디에 유지된 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와의 사이에 틈을 설치한다. 개폐기구부는, 또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할 때에, 중계커넥터 단자를 수커넥터 단자 및 암커넥터 단자의 양쪽에 접촉하여 활주시킬 수 있다(제9 국면).
이 구성에 의해, 활주 후(전환 후)의 단자끼리에 대해서도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와이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에서는, 개폐기구부는, 중계커넥터 단자가 부착되어 있는 쪽의 커넥터 보디에 부착되고, 수커넥터 단자 및 중계커넥터 단자의 적어도 한쪽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수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를 접촉시키지 않도록 하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수커넥터 단자 및 중계커넥터 단자의 적어도 한쪽을 탄성적으로 복원시켜, 수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가 탄성적으로 밀어 넣도록 하며, 또한 중계커넥터 단자를 이동시켜, 암커넥터 단자에 탄성적으로 밀어 넣도록 하고, 그 중계커넥터 단자를, 상기 수커넥터 단자 및 상기 암커넥터 단자의 양쪽에 활주시킬 수 있다(제10 국면).
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에서도, 커넥터 단자를 탄성력이 있는 재료, 예를 들면 금속으로 구성함으로써, 접속 전환의 전후에, 수커넥터 보디와암커넥터 보디와의 간격을 변경하지 않고 와이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개폐기구부는, 전술한 구동기구부와 기능적으로 변하는 것은 없다.
(발명의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커넥터 10을 나타내는 기본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서, 수커넥터 단자(2)는 수커넥터 보디에 고정되고, 암커넥터 단자(5)는 암커넥터 보디(3)에 고정되어 있다. 수커넥터 단자(2)와, 암커텍터 단자(5)를 후속하도록, 중계커텍터 단자(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중계커넥터 단자(4)는, 구동기구부(6)에 의해 구동된다.
접속시에, 수커넥터(10a)와 암커넥터(10b)를 위치 정합시켜, 수커넥터 보디(1)와, 암커넥터 보디(3)를 대면시킨다. 이 상태로, 수커넥터 단자(2)와, 암커넥터 단자(5)와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있다. 이때, 중계커넥터 단자(4)는 구동기구부(6)에 의해, 수커넥터 단자(2) 및 암커넥터 단자(5)의 양쪽에 접촉하지 않고, 도 1에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오른쪽의 위치에 놓여져 있다. 구동기구부는, 이때 제1 상태(제1 위치)에 있다.
수커넥터 단자(2)와 암커넥터 단자(5)와의 전기적 접속을 얻는 경우, 구동기구부(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상태인 좌측에 위치하고, 중계커넥터 단자(4)를 수커넥터 단자(2) 및 암커넥터 단자(5)의 양쪽에 접촉시킨다. 또한, 이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상하로 활주하여 와이핑을 행한다.
처음에 수커넥터 보디(1)와 암커넥터 보디(3)를 위치 정합하여 대면시킨 후, 와이핑이 종료할 때까지, 수커넥터(10a)와 암커넥터(10b)와의 사이의 거리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와이핑의 기구부를 수커넥터(10a)와 암커넥터(10b)와의 간격이 변화한다고 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배치의 복잡화의 방지나 부품 수의 감소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상기 실시예 2에서의 커넥터의 부분절단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커넥터(10a)와, 암커넥터(10b)와는, 끼워 맞추어져, 접속된 상태에 있다. 수커넥터(10a)는, 수커넥터 단자(2)와, 수커넥터 단자를 유지하는 수커넥터 보디(1)를 가지고 있다. 수커넥터 단자(2)는 2개 있고, 어느 것이나 수커넥터 보디베이스부(1a)를 관통하여, 암커넥터쪽으로 돌출한 수커넥터 보디돌출부(1b)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수커넥터 단자에는, 금도금이 시행된 구리 등이 사용되고, 또한, 수커넥터 보디에는 절연수지가 사용된다. 수커넥터는, 예를 들면, 수커넥터 단자가 배치된 형으로 절연수지를 충전하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암커넥터(10b)에는, 수커넥터 단자(2)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 중계커넥터 단자쌍(4)과, 구동기구부(6)와, 암커넥터 단자쌍(5)과, 암커넥터 보디(3a, 3b)와, 연동부(7)를 구비한다. 구동기구부(6)는, 2개의 중계커넥터 단자편의 사이에 위치한다. 구동기구부(6)는,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제1 위치인 상단위치에서는, 2개의 중계커넥터 단자편의 간격을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크게 한다. 구동기구부(6)가, 제2 위치인 하단위치에 이동할 때, (M1) 2개의 중계커넥터 단자편은 복원하여 수커넥터 단자에 접촉하고, (M2) 중계커넥터 단자에 부착된 연동부(7)의 구동기구 연동부(7a)에 연동하며, 중계커넥터 단자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암커넥터 단자(5)는, 암커넥터 보디(3)의 바닥부(3b)에 고정되어 있다. 암커넥터 보디(3)는, 측부(3a)와, 바닥부(3b)를 가지며, 측부내면에는 홈부(3c)가 설치되고, 연동부(7)의 홈연동부(7b)가 그 안을 안내한다. 연동부(7)는, 중계커넥터 단자(4)를 유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암커넥터 보디(3)와, 암커넥터 단자(5)와는, 일체적으로 사출성형된다.
다음에, 커넥터(10)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구동기구부(6)를 상단위치로 하여, 수커넥터 단자(2)를 2개의 중계커넥터 단자편(4)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 때, 수커넥터 보디베이스부(1a)와, 암커넥터 보디(3)의 상단(3d)과는 접촉하도록 한다. 이 후, 구동기구부(6)를 제2 위치인 하단위치로 이동한다. 구동기구부(6)의 상기 이동에 따라, 중계커넥터 단자(4)는 탄성에 의해 복원하여 수커넥터 단자에 접촉한다. 구동기구부(6)는, 더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연동부(7)의 구동기구 연동부(7a)에 연동하며, 중계커넥터 단자편을 동시에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위치인 하단위치에 도달한다. 그 때, 중계커넥터 단자편(4)은, 개소 A에서 수커넥터 단자(2)에 밀어 넣은 상태로 활주하므로, 와이핑이 행해지고, 중계커넥터 단자(4)와, 수커넥터 단자(2)와의 안정한 전기적 접속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중계커넥터 단자(4)는,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암커넥터 단자(5)에도, 개소 B에 밀어 넣으면서 활주하여, 와이핑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중계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와는, 안정한 전기적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커넥터(10)에서는, 구동기구가, 수커넥터 보디나 암커넥터 보디를 움직이지 않고, 중계커넥터 단자를 이동시켜, 수커넥터 단자 및 암커넥터 단자에 대하여 와이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수커넥터(10a)와, 암커넥터(10b)가 거리변화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커넥터(10)를 사용하는 주변부의 치수적 제한 및 복잡한 기구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 결과, 본 커넥터의 사용범위나 용도를, 종래의 커넥터보다도 확대한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는, 모두 공통하는 방향에 따라 공통의 피치로 나란히 놓인 2 이상의 커넥터 단자를 갖는다. 그리고, 구동기구부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커넥터 단자가 나란히 놓인 방향에 따라,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 중 어느 한쪽을 상대방에 대하여 활주시키는 활주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수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와의 접속관계를 한번에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에 있어서는 수커넥터 보디와 암커넥터 보디와의 커넥터 단자가 연장되는 방향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없으므로, 커넥터 주위의 기구의 복잡화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활주기구는, 상기 방향으로 수커넥터 단자 또는 암커넥터 단자를 활주시키는 동력전달기구 등이 해당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2의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기구(6)를 제1 위치인 상단부에 놓고, 수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수커넥터 또는 암커넥터를, 단자가 배열되어 있는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단자배열방향에 따른 활주에 의해, 수커넥터 단자는, 암커넥터 단자와의 접속상대를 변경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에서는, 수커넥터 단자 및 암커넥터 단자는, 공통의 일정한 피치로 나란히 놓여 있다. 그리고, 접속전환 기구부는, 개폐기구부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의 어느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커넥터 단자가 나열하는 방향에 따라 소정피치의 정수배 활주시켜 중지하고, 개폐기구부가 제2 상태로 변경될 때, 활주 후의 위치에서의 수커넥터 단자와 암커넥터 단자를 접촉시키는 이동피치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접속전환의 제어를 간단화할 수 있다. 이 접속전환의 제어는, 통상의 프로그램제어 등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에서는, 수커넥터 보디 및 암커넥터 보디 중 어느 한쪽에 가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중계커넥터 단자를 갖는다. 그리고, 개폐기구부는, 제1 상태에서, 중계커넥터 단자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쪽의 커넥터 보디에 유지된 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와의 사이에 틈을 설치한다. 개폐기구부는, 또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할 때에, 중계커넥터 단자를 수커넥터 단자 및암커넥터 단자의 양쪽에 접촉하여 활주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활주 후(전환 후)의 단자끼리에 대해서도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와이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에서는, 개폐기구부는, 중계커넥터 단자가 부착되어 있는 쪽의 커넥터 보디에 부착되고, 수커넥터 단자 및 중계커넥터 단자의 적어도 한쪽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수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를 접촉시키지 않도록 하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수커넥터 단자 및 중계커넥터 단자의 적어도 한쪽을 탄성적으로 복원시켜, 수커넥터 단자와 중계커넥터 단자가 탄성적으로 밀어 넣도록 하며, 또한 중계커넥터 단자를 이동시켜, 암커넥터 단자에 탄성적으로 밀어 넣도록 하고, 그 중계커넥터 단자를, 상기 수커넥터 단자 및 상기 암커넥터 단자의 양쪽에 활주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커넥터에서도, 커넥터 단자를 탄성력이 있는 재료, 예를 들면 금속으로 구성함으로써, 접속 전환의 전후에, 수커넥터 보디와 암커넥터 보디와의 간격을 변경하지 않고 와이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개폐기구부는, 전술한 구동기구부와 기능적으로 변하는 것은 없다.
도 2 및 도 3에서, 수커넥터 단자 2c는 암커넥터 단자 5a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지 않다. 구동기구부(6)를 도 3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으면, 중계커넥터 단자쌍(4)은 수커넥터 단자(2)를 끼워 넣고 있지 않으므로, 수커넥터(10a)가 단자배열방향에 따라 이동하는데 장해가 되는 부분은 없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커넥터(10b)는 움직이지 않고, 수커넥터(10a)를 오른쪽방향으로 활주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도 5에 나타내는 과도적 상태를 지나서, 예를 들면,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커넥터 단자를 1피치만큼, 암커넥터에 대하여 활주시킬 수 있다. 이 단자배열방향에 따른 활주에 의해, 수커넥터 단자 2c는, 암커넥터 단자쌍 5a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던 상태에서, 암커넥터 단자쌍 5b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접속을 변경한다. 또한, 암커넥터 단자와 전기접속하지 않고 있던 수커넥터 단자 2b는, 암커넥터 단자 5a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단자배열방향에 따른 활주 후, 구동기구부(6)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탄성복원력에 의해 중계커넥터 단자쌍에 수커넥터 단자를 끼워 넣고, 또한 구동기구(6)의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에, 개소 A와 개소 B와의 2개소로 와이핑을 행하게 한다. 와이핑에 의해, 상기 활주 후의 접속상대끼리 안정한 전기적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단자배열방향에 따른 활주 및 그 후의 와이핑에 의해, 수커넥터 단자에 접속하는 신호선과, 제2 암커넥터 단자에 접속하는 신호선과의 접속상대를 한번에 전환하여, 접속 및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수커넥터 또는 암커넥터의 단자배열방향에 따른 이동은, 커넥터를 사용하는 주변의 구동기구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커넥터(10a) 및 암커넥터(10b)의 각 단자에 접속하는 신호를, 서로 고정한 1개의 단자상대와 접속하고, 또한 절단하는 것만이 아닌,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배열방향에 따라 활주시켜, 새로운 단자상대와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종래의 고정적인 접속관계의 접속 및 절단이라는 기능에 부가하여, 접속관계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 단자배열방향에 따른 활주에서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와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킬 필요는 없고, 또한, 양자를 분리시킬 필요도 없다. 물론, 양자의 거리를 변화시키거나, 분리시켜 행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했지만, 상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표시되며,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및 접속전환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접촉하는 단자끼리를 와이핑할 수 있다. 이 결과, 커넥터 주변의 기구부분을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사용하는 커넥터에 대한 높이 제한을 완만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단자배열방향에 따라 활주시킴으로써, 신호의 접속상대를 한번에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소정의 복수의 접속관계를 전환할 경우, 소프트웨어적으로 행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보드의 종류를 바꾸는 등의 공정수나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게 커넥터라는 하드에 의해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수커넥터 보디 및 그 수커넥터 보디에 유지된 수커넥터 단자를 갖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암커넥터 단자 및 그 암커넥터 단자를 유지하는 암커넥터 보디를 갖는 암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 보디 및 암커넥터 보디 중 어느 한쪽에 가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중계커넥터 단자와,
    상기 수커넥터 단자 및 상기 암커넥터 단자의 양쪽에 상기 중계커넥터 단자를 접촉시켜, 활주시키는 구동기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 보디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중계커넥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부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중계커넥터 단자가 상기 수커넥터 단자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할 때, 상기 수커넥터 단자와 상기 중계커넥터 단자를 접촉시키고,
    상기 중계커넥터 단자를 이동시켜 상기 암커넥터 단자에 접촉시키며, 그 중계커넥터 단자를, 상기 수커넥터 단자 및 상기 암커넥터 단자의 양쪽에 활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수커넥터 보디 및 그 수커넥터 보디에 유지되고, 소정의 방향을 따라 나란히 놓인 2 이상의 수커넥터 단자를 갖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 단자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나란히 놓인 2 이상의 암커넥터 단자 및 그 2 이상의 암커넥터 단자를 유지하는 암커넥터 보디를 갖는 암커넥터와,
    제1 상태에서, 상기 수커넥터 단자와 상기 암커넥터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할 때, 상기 암커넥터 단자와 상기 수커넥터 단자를 개별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개폐기구부와,
    상기 개폐기구부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수커넥터 및 상기 암커넥터 중 어느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상기 커넥터 단자가 나란히 놓인 방향을 따라 활주시키는 접속전환 기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3-0010076A 2002-04-09 2003-02-18 커넥터 KR200300810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06553 2002-04-09
JP2002106553A JP2003303648A (ja) 2002-04-09 2002-04-09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013A true KR20030081013A (ko) 2003-10-17

Family

ID=2867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076A KR20030081013A (ko) 2002-04-09 2003-02-18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79716B2 (ko)
JP (1) JP2003303648A (ko)
KR (1) KR20030081013A (ko)
CN (1) CN1450691A (ko)
DE (1) DE10305825A1 (ko)
TW (1) TW5821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49261U (en) * 2003-07-30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790055B1 (en) * 2003-08-27 2004-09-1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traddle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stage connecting clamp
US6966784B2 (en) * 2003-12-19 2005-11-22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Flexible cable interconnect assembly
JP2006245403A (ja) * 2005-03-04 2006-09-14 Japan Radio Co Ltd 蓄電器の接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蓄電器の充放電装置
US7172444B1 (en) * 2005-07-28 2007-02-06 Jui-Shu Huang Hard drive contact pin connector device
US7341474B2 (en) * 2006-05-08 2008-03-11 Tektronix, Inc. Lumped resistance electrical cable
JP2018200819A (ja) * 2017-05-29 2018-12-20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切り替え機構、およびコネクタ
JP6747408B2 (ja) * 2017-09-20 2020-08-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コネクター、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774A (en) * 1991-01-09 1992-03-0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chanically compliant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JP2772319B2 (ja) * 1992-07-13 1998-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シール構造
JP2000068011A (ja) 1998-08-19 2000-03-03 Amp Japan Ltd 零挿入力型電気コネクタ
JP3399878B2 (ja) * 1999-07-16 2003-04-21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リレー装置付き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
JP3755865B2 (ja) * 2000-06-26 2006-03-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79716B2 (en) 2004-01-20
TW582129B (en) 2004-04-01
DE10305825A1 (de) 2003-11-13
TW200305303A (en) 2003-10-16
US20030190828A1 (en) 2003-10-09
JP2003303648A (ja) 2003-10-24
CN1450691A (zh)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682B1 (ko) 스위치가 붙은 동축 커넥터
KR100527567B1 (ko) 포인팅장치
US6056573A (en) IC card connector
US7964815B2 (en) Push-button switch
KR20030081013A (ko) 커넥터
JP6198365B1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152196A (ja) 端子接続構造及び電気コネクタ
KR890001357B1 (ko) 다련(多連)스위치
JP3929946B2 (ja) コネクタ
US4417106A (en) Sealed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nd electrical switch made therefrom
KR20070121546A (ko) 스위치
CA1204831A (en) Actuator f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s
US7534974B2 (en) Slide switch
KR100363467B1 (ko) 푸시 스위치
KR890006356Y1 (ko) 스위치 장치
JP3169859U (ja) スイッチ装置
EP0081929B1 (en) Sealed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nd electrical switch made therefrom
US4398069A (en) Sealed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nd actuating mechanism therefor
US3370138A (en) Three position limit switch
KR100578765B1 (ko)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CN109935487B (zh) 一种按动开关
CN110033963B (zh) 一种切换结构及转换开关电器
JP4326871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0444097B1 (ko) 스위치
CA1312352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