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916B1 - 골프백 - Google Patents
골프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7916B1 KR100577916B1 KR1020000031305A KR20000031305A KR100577916B1 KR 100577916 B1 KR100577916 B1 KR 100577916B1 KR 1020000031305 A KR1020000031305 A KR 1020000031305A KR 20000031305 A KR20000031305 A KR 20000031305A KR 100577916 B1 KR100577916 B1 KR 1005779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olf bag
- golf
- housing
- main body
- outer s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40—Bags with partitions or club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과제) 골프백을 골프카트에 적재하여 골프플레이를 하는 때에, 골프백의 수납체의 장치위치를 골프플레이어의 사용하기 쉬운 위치에 이동하여 간단히 골프용구를 꺼내고 넣을 수 있는 골프백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내부에 골프클럽(b)이 수납되는 골프백본체(1)와, 이 골프백본 체(1)의 외측부에 부설한 수납체(2)와로 이루어지는 골프백(A)에 있어서, 수납체 (2)는, 골프백본체(1)의 외측부에 마련한 위치변환수단(8)에 의해, 골프백 본체(1)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이동자재하게 마련한다.
골프백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골프백의 제 1의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골프백의 이동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골프백의 이동후의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수납체에 장치한 위치변환수단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의 골프백을 골프카트에 실어놓은 상태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골프백의 제 2의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골프백의 이동후의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수납체에 장치한 위치변환수단의 요부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있어서의 위치변환수단의 타의 실시예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골프백을 골프카트에 실어놓은 상태를 보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A : 골프백 b : 골프클럽
1 : 골프백본체 2 : 수납체
8 : 위치변환수단 9 : 지지체
10 : 회동축(回動軸) 11 : 작동체
22 : 안내체 20 : 접동체(摺動體)
27, 28 : 무치(務齒) 29 : 손잡이체
본 발명은, 걸프백의 수납체로부터 골프용구 등을 꺼내고 넣음에 임하여, 매우 사용이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골프백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골프플레이에 있어서, 골프장 내의 이동은 골프카트에 의하는 경우가 흔해져, 통상, 골프플레이어는,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은 골프카트(50)의 후부하대(後部荷台)(51)에, 3인∼4인 분의 골프백(52)을 싣고 있었다.
또, 골프플레이중에는 골프백(52)의 수납포킷(53)으로부터 대체(代替)의 골프볼이나 티 등의 여러가지 골프용구를 꺼내고 넣는 일이 자주 행해진다.
그러나, 수납포킷(53)은 골프백(52)의 외측하부에 고착돼 있는 것으로, 한편, 수납포킷(53)은,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골프카트(50)의 후부하대 (51)보다 전방 멀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골프용구의 꺼내고 넣는 작업에 있어서는 골프백(52)의 골프클럽(54) 등이 걸려서 골프플레이어의 손이 미치기 어려워, 수납포킷 (53)의 사용이 매우 어려웠다.
특히, 몸집이 작은 골프플레이어나 여성캐디에 의하는 경우에는, 꺼내고 넣 기가 한층 어려워지며, 그 때문에, 3인∼4인분의 골프백을 실었을 때는 골프카트 (50)의 후부하대(51)에 있어서의 양 사이드로부터도 손이 미치지 않아, 그 내측이 된 골프백(52)에 대하여, 그 수납포킷(53)은 사용할 수 없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부에 어러채의 골프클럽이 수납되는 골프백본체와, 이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부설한 수납체와로 이루어지는 골프백에 있어서, 수납체는, 상기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마련한 위치변환수단에 의해,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이동자재하게 마련함에 의해, 골프백을 골프카트에 적재하여 골프플레이를 행하는 때에, 골프백의 수납체의 장치위치를 골프플레이어의 사용하기 쉬운 위치에 이동하여 간단히 골프용구를 꺼내고 넣을 수가 있는 골프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내부에 여러채의 골프클럽이 수납되는 골프백본체와, 이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부설한 수납체와로 이루어지는 골프백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는, 상기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마련한 위치변롼수단에 의해, 상기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이동자재하게 마련한 골프백의 구성에 있다.
내부에 여러 채의 골프클럽이 수납되는 골프백본체와, 이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부설한 수납체와로 이루어지는 골프백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는 상기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마련한 위치변환수단에 의해, 상 기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이동자재하게 마련한 골프백의 구성에 있다.
또,
위치변환수단은,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장치한 지지체와, 이 지지체에 그의 기부에 마련한 회동축에 의해 상기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회동자재하게 장치하고, 그의 타단부를 수납체에 대하여 회동자재하게 장치한 작동체와를 구비시킨다.
또한,
위치변환수단은,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있어서 그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장치한 안내체와, 수납체에 장치하여 상기 안내체에 접동(摺動)자재하게 걸어맞춘 접동체와를 구비시킨다.
게다가,
위치변환수단은, 패스너로서, 그의 무치(務齒)와 손잡이체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있어서 적의의 위치에 수납체를 멈추어 위치를 부여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골프백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 및 도 5∼도 7에 있어서, A는 골프백으로, 내부에 여러채의 골프클럽(b)이 수납되는 골프백본체(1)와, 이 골프백본체(1)의 외측부에 부설한 수납체 (2)와에 의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골프백본체(1)는 저부(3)를 가진 통상(筒狀)으로 형성돼 있어, 상부의 개구부(4)로 이의 내부에, 각종의 골프클럽(b)이 종향으로 다수 수납된 다.
상기의 수납체(2)는, 틀체(5)와 주머니체(6)로 이루어지고, 이 가운데, 틀체 (5)는 단면 원호상의 반할원통상으로 형성하여, 그의 길이방향의 양단부(5a, 5a)가 골프백본체(1)의 외측면에 맞닿고, 한편, 그 틀체(5)의 내측면과 골프백본체(1)의 외측면에 소정의 터널상의 공동부(5b)가 형성되게 하여 있다.
또, 상기의 주머니체(6)는, 복수의 구획으로 간막이돼 있어서, 각각의 구획에 골프용 장갑이나 골프볼, 티 등의 골프용구(도시하지 않음)를 그의 수납스페이스나 목적에 따라 수용하는 것으로, 이들 구획의 개구는 패스너 등의 개폐부재(7)에 의해 개폐자재하게 돼 있다.
그리고, 이 수납체(2)는, 골프백본체(1)의 외측부에 마련한 위치변환수단(8)에 의해, 골프백본체(1)의 외측부에 마련한 높이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h로 나타내는 방향)에 대하여 이동자재하게 마련돼 있다.
이 위치변환수단(8)의 제 1의 예는, 도 1∼도 4에 나타낸 것으로, 골프백본체(1)의 외부측에 장치한 지지체(9)와, 이 지지체(9)에 그의 기부에 마련한 회동축(10)에 의해 골프백본체(1)의 높이방향에 회동자재하게 장치하고, 그의 타단부를 수납체(2)에 대하여 회동자재하게 장치한 작동체(11)와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지지체(9)는 골프백본체(1)의 외형상에 걸맞게 판상(板狀)으로 형성하여, 골프백본체(1)의 외측부에 나사나 리벳 등의 지착(止着)부재(12)에 의해 고착하여 있고, 외측면에 축받이(13)를 돌설하여 있다.
또, 작동체(11)는, 몽둥이체의 두다리상으로 형성하여, 지지체(9)의 축받이 (13)에 그의 회동축(10)을 장착하고, 그의 타단부의 계지체(係止體)(14, 14)를,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납체(2)에 있어서의 틀체(5)의 내면에 고착한 받이부재 (15, 15)에 장치하여 있다.
따라서,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납체(2)가 골프백본체(1)의 하부위치에 있을 때는, 위치변경수단(8)에 있어서의 작동체(11)가, 그 수납체(2)의 중량을 받아서 매어달아 지지하는 상태로 되고, 또,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납체(2)가 골프백본체(1)의 상부위치에 있을 때는, 위치변환수단(8)에 있어서의 작동체(11)에, 그 수납체(2)가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이 수납체(2)의 회동작동에 있어서는, 핸들(19)에 의해 실시하면 가편하게 행해지는 것으로, 이 핸들(19)은,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4에 보이는 바아 같이, 틀체(5)에 장치한다.
또한, 이 수납체(2)의 위치에 대응시키어, 도 1에 가상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골프백본체(1)의 높이방향에 걸쳐, 어깨걸이체(숄더)(16)가 마련돼 있는 것으로, 골프백본체(1)에 있어서의 상부(개구부 4 주연부)와, 그 골프백본체(1)의 중간부와에 그의 단부를 맞물림쇠붙이(도시않음)에 의해서 장치되어 있다.
이 어깨걸이체(16)를 어깨에 걸침으로써, 비교적 중량이 있는 골프백(A)의 운반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그 어깨걸이체(16)의 근방에 마련한 손잡이(17), 또는, 하부의 손잡이(18)에 의해서도 간편한 운반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이 어깨걸이체(16)는, 사용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골프백본 체(1)의 외방부에 튀어나오는 상태로 되는 것이고, 또한, 비사용시는, 수납체(2)에 있어 서의 틀체(5)에 마련한 공동부(5b)에 그의 일부가 넣어져서, 골프백본체(1) 측부에 따라서 간 상태로 되는 것으로, 돌출하는 개소가 없어져, 주머니체(6)에 대한 골프용구의 꺼내고 넣음에 있어서, 이 어깨걸이체(16)는 하등 방해가 되지 않는다.
즉, 그 어깨걸이체(16)는, 이 공동부(5b)에 대하여 출입자재하게 마련됨과 동시에, 이 공동부(5b)에 도시하지 않은 우산의 축방향이 대응하게 장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1의 실시예의 골프백(A)은, 이하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그 골프백(A)의 운반에 임하여서는, 위치변환수 단(8)에 의해 수납체(2)를 회동하여,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골프백본체(1)의 하부에 위치시켜 두는 것으로, 어깨걸이체(16)나 손잡이(17) 등을 이용하여 비교적 경쾌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수납체(2)가 하부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골프클럽(b)이 든 골프백본체(1)의 중심위치가 비교적 하방에 있기 때문에, 그 골프백(A)을 세워두어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골프플레이에 있어서는, 복수개(통상은 4개)의 골프백(A)은,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은, 골프카트(20)의 후부하대(21)에 수납체(2)를 상측으로 하여 나란히 고정되는 것으로, 미리,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납체(2)를 골프백본체 (1)의 상부(개구부 4 부근)에 위치시켜 둔다.
이 작업은, 수납체(2)가, 도 1에 보이는 골프백본체(1)의 하부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위치변환수단(8)에 의해 수납체(2)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틀체(5)의 핸들(19)을 쥐어 수납체(2)를 끌어 올리면, 그 수납체(2)는 작동체(11)가 그의 회동축(10)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틀체(5)가 골프백본체(1)의 외측면에서 떨어지면서 상방에 들려 올라가고, 이 수납체(2)를 더 끌어 올리면,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수납체(2)는 골프백본체(1)에 있어서의 개구부(4) 부근까지 이동함과 동시에, 그 틀체(5)가 골프백본체(1)의 외측면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골프백(A)을 수납체(2)를 위쪽으로 하여 골프카트(20)의 후부하대(21)에 실어놓으면, 그 수납채(2)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후부하대(21)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위치에 있기 때문에, 골프의 플레이중에 있어서, 골프볼 등의 골프용구가 필요해진 때는, 골프백본체(1)에 수용한 골프크럽(b) 등이 방해가 되지 않아, 간단히 이 수납체(2)에서 꺼낼 수가 있고, 또 그의 수납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수납체(2)의 고정에 있어서는, 면상(面狀) 패스너나 훅 등의 임의의 지착(止着)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실시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골프백(A)에 있어서의 제 2의 실시예를 도 6∼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위치변환수단(8)의 타의 예를 보이는 것으로, 그 위치변환수단(8)은, 골프백본체(1)의 외측부에 있어서 그 골프백본체(1)의 높이방향(도 1에 있어서 화살표 h로 나타내는 방향)에 대하여 장치한 안내체(22)와, 수납체(2)에 장치하여 안내체(22)에 접동자재하게 계합시킨 접동체(23)와로 이루어진다.
더구나, 골프백(A)에 있어서, 골프백본체(1)와 수납체(2)의 구성은, 상기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 부재는 동일부호를 달고, 또, 상세한 설명은 제1의 실시예의 것을 원용한다.
그리고, 상기의 안내체(22)는,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골프백본체 (1)의 높이방향에 연장하는 요상(凹狀)의 홈(24)을 형성하여 있고, 그 홈(24)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빠짐방지 가장자리(25)를 마련하여 있다.
또, 상기 접동체(23)는,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안내체(22)의 홈(24)에 끼워지는 T자 형의 철상(凸狀)체(26)을 마련하여 있어, 이 홈(24)과 접동체(23)과의 접동계합에 의해, 골프백본체(1)의 높이방향에 있어서 임의로 이동 및 임의위치에 위치를 부여시킬 수 있다.
역시, 이 예에 있어, 위치변환수단(8)은,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안내체(22)인 테이프에 장치한 자웅(雌雄)의 무치(27, 28)와, 접동체(23)인 손잡이체(29)와로 이루어지는 패스너여도 좋은 것으로, 테이프에 장치한 자웅의 무치(27, 28)를 골프백본체(1)의 높이방향에 장치하고, 이 무치(27, 28)에 계합자재하게 장치한 손잡이체(29)를 수납체(2)에 있어서의 틀체(5)의 내면부에 장치하여 있다.
더구나, 패스너식의 위치변환수단(8)은, 무치(27, 28)와 손잡이체(29)와의 계합에 의해, 골프백본체(1)의 높이방향에 있어서 적의의 위치에 수납체(2)를 붙들어 위치를 부여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형편에 맞추어, 골프백본체(1)에 있어, 수납체(2)에 손이 미치는 위치까지 그 수납체(2)를 끌어 올리면 된다. 이 작용·효과는 도 6∼도 8에 보이는 슬라이더식의 위치변환수단(8)에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 골프백본체(A)의 운반에 임하여서는, 위치변환수단(8)에 의해 수납체(2)를 회동하여,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골프백본체(1)의 하부에 위치시켜 놓는 것으로, 어깨걸이체(160나 손잡이(17) 등를 이용하여 비교적 경쾌하게 행할 수가 있다.
한편, 이 수납체(2)가 하부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골프클럽(b)이 든 골프백본체(1)의 중심위치가 비교적 하방에 있기 때문에, 그 골프백(A)을 세워두어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골프플레이에 있어서는, 복수개(통상은 4개)의 골프백(A)은,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은, 골프카트(20)의 후부하대(21)에 수납체(2)를 상측으로 하여 나란히 고정되는 것으로, 미리,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납체(2)를 골프백본체 (1)의 상부(개구부 4 부근)에 위치시켜 둔다.
이 작업은, 수납체(2)가, 도 6에 보이는 골프백본체(1)의 하부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위치변환수단(8)에 의해 수납체(2)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틀체(5)의 핸들(19)을 쥐어 수납체(2)를 끌어 올리면, 그 수납체(2)는 그의 접동체(23)가 안내체(22)에 따라서 개구부(4)에 향해 접동한다.
그리고,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수납체(2)가 골프백본체(1)에 있어서의 개구부(4) 부근까지 이동하면, 핸들(19)의 끌어 올리기를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골프백(A)을 수납체(2)를 위쪽으로 하여 골프카트(20)의 후부하대(21)에 실어놓으면, 그 수납채(2)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후부하대(21)로부터 외측으로 튀어나온 위치에 있기 때문에, 골프의 플레이중에 있어서, 골프볼 등의 골프용구가 필요해진 때는, 골프백본체(1)에 수용한 골프크럽(b) 등이 방해가 되지 않아, 간단히 이 수납체(2)에서 꺼낼 수가 있고, 또 그의 수납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수납체(2)의 고정에 있어서는, 면상(面狀) 패스너나 훅 등의 임의의 지착(止着)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골프용구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체를, 골프백본체에 대하여 그의 높이방향에 이동자재하게 마련하여 있기 때문에, 골프백본체를 세워 둘 때는 그 수납체를 하방에 위치시키어 재치의 안정을 도모하고, 골프카트에 실은 때는, 플레이어의 손이 미치는 범위에 수납체를 위치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수납체 내의 골프용구의 꺼내고 넣기가 용이하고, 또 신속히 행할 수가 있는 등의 각별한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 내부에 여러 자루의 골프클럽이 수납되는 골프백본체와, 이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부설한 수납체와로 이루어지는 골프백에 있어서,상기 수납체는, 상기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이동자재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 내부에 여러 자루의 골프클럽이 수납되는 골프백본체와, 이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부설한 수납체와로 이루어지는 골프백에 있어서,상기 수납체는, 상기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마련한 위치변환수단에 의해, 상기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이동자재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 제 2 항에 있어서,위치변환수단은,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장치한 지지체와, 이 지지체에 그의 기부에 마련한 회동축에 의해 상기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회동자재하게 장치하고, 그의 타단부를 수납체에 대하여 회동자재하게 장치한 작동체와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 제 2 항에 있어서,위치변환수단은, 골프백본체의 외측부에 있어서 그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장치한 안내체와, 수납체에 장치하여 상기 안내체에 접동자재하게 계합시킨 접동체와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위치변환수단은, 패스너로서, 그의 무치와 손잡이체와의 계합에 의해, 골프백본체의 높이방향에 있어서 적의의 위치에 수납체를 붙들어 위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126777A JP3497115B2 (ja) | 2000-04-27 | 2000-04-27 | ゴルフバッグ |
JP??2000-126777 | 2000-04-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8330A KR20010098330A (ko) | 2001-11-08 |
KR100577916B1 true KR100577916B1 (ko) | 2006-05-09 |
Family
ID=6027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31305A KR100577916B1 (ko) | 2000-04-27 | 2000-06-08 | 골프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791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50194A (en) * | 1979-10-25 | 1982-09-21 | Larry Harold Kline | Universal golf bag |
JPH0675540U (ja) * | 1993-04-01 | 1994-10-25 | 株式会社薄井製作所 | ゴルフクラブ用バッグ |
JP2000070115A (ja) * | 1998-09-01 | 2000-03-07 | Soken Kk | カーテン吊り具 |
-
2000
- 2000-06-08 KR KR1020000031305A patent/KR1005779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50194A (en) * | 1979-10-25 | 1982-09-21 | Larry Harold Kline | Universal golf bag |
JPH0675540U (ja) * | 1993-04-01 | 1994-10-25 | 株式会社薄井製作所 | ゴルフクラブ用バッグ |
JP2000070115A (ja) * | 1998-09-01 | 2000-03-07 | Soken Kk | カーテン吊り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8330A (ko) | 2001-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83563A (en) | Golf bag | |
JP3497115B2 (ja) | ゴルフバッグ | |
US5234114A (en) | Golfing equipment carrier | |
US10722769B1 (en) | Cart-attachable mobile golf bag | |
US20040035728A1 (en) | Golf bag having integrated wheels and an extendable handle | |
KR100577916B1 (ko) | 골프백 | |
US20050072695A1 (en) | Golf club bag | |
US20240009527A1 (en) | Side Loading Golf Bag with Side Loading Club Securement Structure | |
KR200486996Y1 (ko) | 백 | |
US9409665B1 (en) | Portable bag with removable and collapsible carriage stand | |
KR200465612Y1 (ko) | 퍼팅용 매트를 구비한 가방 | |
JP2884325B2 (ja) | クラブ回動保持装置付きゴルフバッグ | |
US20060059644A1 (en) | Golf ball cleaning pouch | |
KR200412078Y1 (ko) | 골프용품 휴대 벨트 | |
US20080308436A1 (en) | Multi-purpose golf bag | |
JP3332585B2 (ja) | ダブルスライドファスナー付きサイドバッグ | |
KR200329914Y1 (ko) | 골프백 이송가방 | |
CN220218457U (zh) | 一种通信工程建设施工用扩展工具箱 | |
JP3232363U (ja) | ゴルフバッグ | |
JP4566720B2 (ja) | バッグ | |
CN213259404U (zh) | 一种家具设计用便携式工具箱 | |
KR200497794Y1 (ko) | 캐디 백 | |
JP3082427U (ja) | 旅行用ケース | |
CN112744432A (zh) | 一种便于羽毛球存取的保存箱 | |
KR200256801Y1 (ko) | 운동용 공의 휴대용 수납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