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906B1 - 수냉 버티컬 엔진,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 및선외기 - Google Patents

수냉 버티컬 엔진,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 및선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906B1
KR100576906B1 KR1020030070565A KR20030070565A KR100576906B1 KR 100576906 B1 KR100576906 B1 KR 100576906B1 KR 1020030070565 A KR1020030070565 A KR 1020030070565A KR 20030070565 A KR20030070565 A KR 20030070565A KR 100576906 B1 KR100576906 B1 KR 10057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water jacket
cylinder head
cylinder
cylind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265A (ko
Inventor
다와히로키
우시야마히데유키
구로다다츠야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99003A external-priority patent/JP39751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98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5043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02Arrangements for cooling cylinders or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0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28Arrangements,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cooling-water in outboard drives, e.g. cooling-water int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20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 F01P3/202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for outboard marin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01P7/165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characterised by systems with two or more l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propellers
    • F02B61/045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propellers for marin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02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 F02F1/10Cylinders; Cylinder heads  having cooling means for liquid cooling
    • F02F1/108Siamese-type cylinders, i.e. cylinders cast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02Arrangements for cooling cylinders or cylinder heads
    • F01P2003/027Cooling cylinders and cylinder heads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7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f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2075/1804Number of cylinders
    • F02B2075/1816Number of cylinders f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18DOHC [Double overhead cam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02F2001/244Arrangement of valve stems in cylinder heads
    • F02F2001/245Arrangement of valve stems in cylinder heads the valve stems being orientated at an angle with the cylinder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수냉 버티컬 엔진(water-cooled vertical engine)은, 엔진 룸(engine room) 내 배기 통로(24)에 형성된 배기 가이드(guide) 냉각 워터 재킷(water jacket) JMl 및 배기 매니폴드(manifold) 냉각 워터 재킷 JM2와, 실린더 블록(cylinder block)(11)에 형성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와,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15)에 형성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를 구비한다. 냉각수 펌프(46)로부터의 냉각수를 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를 경유해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에 공급하는 제1냉각 경로와,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에 공급하는 제2냉각 경로를 대개 독립시키고, 또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에 각각 서모스탯(thermostat)(84, 85)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수냉 버티컬 엔진,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 및 선외기{WATER-COOLED VERTICAL ENGINE, OUTBOARD MOTOR EQUIPPED WITH WATER-COOLED VERTICAL ENGINE, AND OUTBOARD MOTOR}
도 1은 선외기(船外機)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4방향 확대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5는 도 4의 5방향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6은 도 1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1의 7-7선 화살표에서 본 확대도(마운트 케이스의 상면도(上面圖) ).
도 8은 도 1의 8-8선 화살표에서 본 확대도(펌프 몸체의 하면도(下面圖)).
도 9는 도 1의 9-9선 화살표에서 본 확대도(블록 등의 소(小) 조립체의 하면도).
도 10은 배기 매니폴드의 확대도.
도 11은 배기 매니폴드 및 배기 가이드의 접속부의 확대도.
도 12는 도 14의 12-12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배기 가이드의 평면도).
도 13은 도 14의 13-13선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14-14선 화살표에서 본 확대도.
도 15는 도 1의 15-15선 화살표에서 본 확대도.
도 16은 도 15의 16-16선 확대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17-17선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18-18선 단면도.
도 19는 엔진 냉각계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실린더 블록 12: 로어 블록(rower block)
13: 크랭크 샤프트(13) 14: 크랭크 케이스
15: 실린더 헤드 16: 헤드 커버
17: 실린더 18: 피스톤
19: 커넥팅 로드 20: 연소실
21: 흡기 포트 22: 흡기 매니폴드
23: 배기 포트 24: 배기 통로
25: 흡기 밸브 26: 배기 밸브
27: 밸브 가동 기구 28: 사일렌서(silencer)
29: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
30: 타이밍 체인(timing chain) 31: 체인 커버
32: 플라이휠(flywheel) 33: 오일 펌프
34: 오일 펌프 몸체 35: 마운트 케이스(mount case)
35g: 오일 복귀 통로 36: 오일 케이스
36d: 오일 팬(oil pan) 37: 익스텐숀 케이스
38: 기어 케이스 39: 언더 커버(under cover)
40: 엔진 커버 41: 구동 축
43: 프로펠라 44: 프로펠라 축
45: 전후진 절환 기구 46: 냉각수 펌프
47: 스트레이너(strainer) 48: 하부 급수 통로
49: 상부 급수관 51: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52: 시프트 로드(shift rod) 53, 54: 0링
55: 개스킷(gasket) 57: 인젝터 베이스(injector base)
58: 인젝터 61: 배기 매니폴드
62: 배기 가이드 63: 배기실
64: 배기 도출관 65: 호스(hose)
66: 검수구(檢水口) 67: 냉각수 온도 센서
68: 급수관 69: 분기 부재
70, 71: 급수관 72: 캠 구동 스프로킷(sprocket)
73, 74: 캠 샤프트 75: 캠 종동 스프로킷
76a: 체인 텐셔너(chain tensioner)
76b: 체인 가이드(chain guide)
77: 밸런서(balancer) 장치 78, 79: 밸런서 샤프트
80: 밸런서 종동 스프로킷 81: 밸런서 구동 스프로킷
82: 무단 체인 83a: 체인 텐셔너
84: 제1서모스탯 85: 제2서모스탯
86: 볼트 87: 서모스탯 커버
87a: 커플링(coupling) 88: 배수관
89: 냉각수 온도 센서 91: 오일 스트레이너(oil strainer)
92: 흡입 파이프 93: 오일 호스
94, 95: 서모스탯 실(室)
JB: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H: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Ml: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2: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3: 제2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본 발명은 크랭크 샤프트를 대개 연직 방향에 배치하고, 배기 통로 수단, 실린더 블록 및 실린더 헤드에 각각 워터 재킷(water jacket)을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냉 버티컬 엔진을 구비한 선외기(船 外機)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냉매에 의해 냉각되는 엔진을 구비한 선외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과,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을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과, 그것을 탑재한 선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외기용의 버티컬 엔진에는 수냉식 엔진이 사용된다. 이 종류의 수냉식 엔진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 및 실린더 헤드를 냉각수로 균등하게 냉각하면, 비교적 발열량이 큰 실린더 헤드를 적정 온도로 냉각했을 경우에, 비교적 발열량이 작은 실린더 블록이 과냉각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양자(兩者)를 적정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한 선외기의 냉각 구조가, 일본국 특개소61-167111호 공보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61-167111호 공보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도 2, 도 2a∼도 2c, 도 3, 도 3a 및 도 3b 참조)에서는,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저온의 냉각수를 실린더 헤드의 워터 재킷에 공급하고, 그 결과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를 실린더 블록의 워터 재킷에 공급함으로써, 실린더 헤드를 충분히 냉각하면서 실린더 블록의 과냉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에는, 이하의 항목에 있어서 충분하지 않았다.
즉, 실린더 헤드의 워터 재킷의 상부 입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의 온도를 하부 출구에 설치한 서모스탯(thermostat)으로 관리하는 타입(도 2 및 도 2a 참조)은, 공회전 시(時) 등의 저온 시에 서모스탯이 밸브를 폐쇄하면, 실린더 헤드의 워터 재킷 내의 냉각수의 흐름이 정체되어서 서모스탯의 추종성(追從性)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각수 통로를 절환하는 절환 밸브를 이용해도, 운전 상태의 급격한 변화에는 추종할 수 없고, 냉각수 온도의 만족한 관리가 곤란하다. 무엇보다도, 상기 서모스탯이 밸브를 개방할 때까지 실린더 블록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극저온 시의 운전에는 부적절하다. 또한, 실린더 헤드의 워터 재킷의 상부 입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의 온도를 실린더 블록의 워터 재킷의 상부 출구에 설치한 서모스탯으로 관리하는 타입(도 2b 참조)은, 실린더 헤드의 워터 재킷의 입구로부터 서모스탯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서모스탯으로부터 떨어진 실린더 헤드의 워터 재킷의 입구의 냉각수 온도에 대한 서모스탯의 추종성이 악화된다.
실린더 헤드의 워터 재킷의 하부 입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의 온도를 상부 출구에 설치한 서모스탯으로 관리하는 타입(도 2c 및 도 3a 참조)은, 실린더 블록 측의 냉각수 온도를 직접 관리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냉각 효과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실린더 헤드의 워터 재킷의 하부 입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의 온도를 상부 출구에 설치한 서모스탯으로 관리하고, 또한 실린더 블록의 워터 재킷의 하부 입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의 온도를 상부 출구에 설치한 서모스탯으로 관리하는 타입(도 3 참조)은, 실린더 헤드 측의 서모스탯이 밸브를 개방할 때까지 실린더 블록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가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상술한 도 2, 도 2a, 도 2c, 도 3a의 것과 동일하고, 냉각수 통로를 절환하는 절환 밸브의 결점도 동일하다. 또한, 실린더 헤드의 워터 재킷의 하부 입구로부터 유입된 냉각수의 온도를 실린더 블록의 워터 재킷의 상부 출구에 설치한 서모스탯으로 관리하는 타입(도 3b 참조)은, 실린더 헤드의 워터 재킷의 입구로부터 서모스탯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는 문제가 상 술한 도 2b의 것과 동일하다.
또한, 수냉식 엔진의 실린더 블록 및 실린더 헤드를 냉각수로 균등하게 냉각하면, 비교적 발열량이 큰 실린더 헤드를 적정 온도로 냉각했을 경우에, 비교적 발열량이 작은 실린더 블록이 과냉각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양자를 적정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한 엔진의 냉각 장치가, 일본국 특공평2-3014호 공보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일본국 특공평2-301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을 독립해서 설치하고, 양쪽 워터 재킷의 냉각수 온도를 각각 대응하는 냉각수 온도 센서로 검출하여, 검출된 냉각수 온도에 근거해서 양쪽 워터 재킷에 배분하는 냉각 수량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추가해서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을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에서는, 각각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 온도 센서를 설치하면, 합계 3개의 냉각수 온도 센서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온도 관리를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과, 그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수 온도 센서의 수(數)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수냉 버티컬 엔진의 과열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하면, 대개 연직 방향에 배치된 크랭크 샤프트와, 크랭크 샤프트에 커넥팅 로드를 통해서 접속된 피스톤과, 피스톤을 왕복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실린더와, 실린더가 설치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블록에 체결되어서 실린더 및 피스톤과 협동해서 연소실을 구성하는 실린더 헤드와, 헤드 내 배기 통로와, 연소실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에 도출하는 배기 통로 수단과,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상기 연소실 주변의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는 대개 구획되어서 독립되어 있는, 상기 연소실 주변의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배기 통로 수단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는 대개 구획되어서 독립되어 있는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각각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를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으로서,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을 경유해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1냉각 경로와,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2냉각 경로를 설치하고,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각각 서모스탯을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을 경유해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1냉각 경로와,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2냉각 경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충분한 냉각이 필요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는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직접 공급할 수 있고, 또한 과냉각이 염려되는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에는,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을 통과해서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어, 수냉 버티컬 엔진의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양쪽의 온도 관리를 동시에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고온으로 되는 배기 통로 수단에 저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므로, 배기 통로 수단을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각각 서모스탯을 설치했으므로, 각각의 서모스탯의 설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의 냉각수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또한 임의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특징에 추가해서, 복수의 실린더를 대개 연직 방향에 병렬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실린더를 대개 연직 방향에 병렬 설치한 다기통(多氣筒) 엔진의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온도 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3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특징에 추가해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은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결합면에 냉각수 입구를 구비하고, 실린더 블록에 접속된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입구를 통해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수냉 버티컬 엔진을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은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결합면에 냉각수 입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냉각수 입구를 통해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할 수 있어, 실린더 블록에 접속된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외부 배관을 통해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냉각수 통로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4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특징에 추가해서, 상기 냉각수 입구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의 최하부에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결합면의 냉각수 입구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의 최하부에 설치했으므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체류한 잔류수(殘溜水)를 냉각수 입구로부터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5특징에 의하면, 대개 연직 방향에 배치된 크랭크 샤프트와, 크랭크 샤프트에 커넥팅 로드를 통해서 접속된 피스톤과, 피스톤을 왕복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실린더와, 실린더가 설치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블록에 체결되어서 실린더 및 피스톤과 협동해서 연소실을 구성하는 실린더 헤드와, 헤드 내 배기 통로와, 연소실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에 도출하는 배기 통로 수단과,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상기 연소실 주변의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는 대개 구획되어서 독립되어 있는, 상기 연소실 주변의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배기 통로 수단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는 대개 구획되어서 독립되어 있는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각각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를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로서,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을 경유해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1냉각 경로와,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2냉각 경로를 설치하고,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각각 서모스탯을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를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을 경유해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1냉각 경로와,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2냉각 경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충분한 냉각이 필요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는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직접 공급할 수 있고, 또한 과냉각이 염려되는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에는,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을 통과해서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어, 수냉 버티컬 엔진의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양쪽의 온도 관리를 동시에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게다가 고온으로 되는 배기 통로 수단에 저온의 냉각수를 공급하므로, 배기 통로 수단을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각각 서모스탯을 설치했으므로, 각각의 서모스탯의 설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의 냉각수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또한 임의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6특징에 의하면, 흡·배기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 내에서 발생하는 열(熱)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과, 상기 냉각 수단에 이송되는 냉매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배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기 통로 수단과, 상기 배기 통로 수단을 열원(熱源)으로 해서, 이 열원에 의해 상기 냉매의 일부를 가열하고, 가열에 의해 승온(昇溫)된 냉매를 상기 냉각 수단에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한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를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소실로부터 배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기 통로 수단을 열원으로 해서, 이 열원에 의해 승온된 냉매를 연소실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에 공급하므로, 적정 온도로 승온된 냉매를 냉각 수단에 공급해서 과냉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7특징에 의하면, 대개 연직 방향에 연장하는 크랭크 샤프트를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연소실과, 연소실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에 유도하는 배기 통로 수단에 설치된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과, 연소실의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실린더 블록에 설치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 연소실의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각각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를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으로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을 대개 독립시키는 동시에,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의 하류측에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을 접속하고, 과열을 검지하기 위한 냉각수 온도 센서를 배 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각각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제안한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8특징에 의하면, 대개 연직 방향에 연장하는 크랭크 샤프트를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연소실과, 연소실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에 유도하는 배기 통로 수단에 설치된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과, 연소실의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실린더 블록에 설치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 연소실의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각각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를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로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을 대개 독립시키는 동시에,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의 하류측에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을 접속하고, 과열을 검지하기 위한 냉각수 온도 센서를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각각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를 제안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을 대개 독립시켜,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의 하류측에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을 접속했으므로, 고온으로 되기 쉬운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저온의 냉각수를 공급해서 과열을 방지하고, 또한 과냉각이 되기 쉬운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에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을 통과해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를 공급해서 과냉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 드 냉각 워터 재킷 중, 제1냉각계를 구성하는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에 대하여 1개의 냉각수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또한 제2냉각계를 구성하는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대하여 1개의 냉각수 온도 센서를 설치했으므로, 냉각수 온도 센서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해서 부품 점수 및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특히, 직렬로 접속된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중, 상류측의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에 냉각수 온도 센서를 설치했으므로, 과열의 발생을 지체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냉각수 통로(11g, 11h)는 본 발명의 냉각수 입구에 대응하고, 실시예의 배기 포트(23)는 본 발명의 헤드 내 배기 통로에 대응하며, 실시예의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는 본 발명의 배기 통로 수단에 대응하고, 실시예의 냉각수 펌프(46)는 본 발명의 공급 수단에 대응하며, 실시예의 제1서모스탯(84) 및 제2서모스탯(85)은 본 발명의 서모스탯에 대응하고, 실시예의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manifold) 냉각 워터 재킷 JM2는 본 발명의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에 대응하며, 실시예의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는 본 발명의 냉각 수단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따라 이하에서 상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외기 O는, 스티어링(steering) 축(96)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조타(操舵) 운동을 실행하고, 틸트(tilt) 축(97)을 중 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틸트 운동을 실행하도록 선체에 부착되어 있으며, 선외기 O의 상부에 탑재된 직렬 4기통 4행정(行程)의 수냉 버티컬 엔진 E는, 실린더 블록(11)과, 실린더 블록(11)의 전면(前面)에 결합된 로어 블록(12)과, 대개 연직 방향에 배치되어서 저널(journal)(13a…)을 실린더 블록(11) 및 로어 블록(12)에 끼워지도록 지지된 크랭크 샤프트(13)와, 로어 블록(12)의 전면에 결합된 크랭크 케이스(14)와, 실린더 블록(11)의 후면에 결합된 실린더 헤드(15)와, 실린더 헤드 (15)의 후면에 결합된 헤드 커버(16)를 구비한다. 실린더 블록(11)에 주물로 둘러싸인 4개의 슬리브(sleeve) 형상의 실린더(17…)의 내부에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지는 피스톤(18…)은, 각각 커넥팅 로드(19…)를 통해서 크랭크 샤프트 (13)의 크랭크 핀(13b…)에 접속된다.
실린더 헤드(15)에 피스톤(18…)의 정상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연소실(20…)은, 실린더 헤드(15)의 좌측면, 즉 배의 진행 방향을 전방으로 해서 좌현측에 개구하는 흡기 포트(21…)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22)에 접속되는 동시에, 실린더 헤드(15)의 우측면에 개구하는 배기 포트(23…)를 통해서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에 접속된다. 흡기 포트(21…)의 하류단(下流端)을 개폐하는 흡기 밸브(25…)와, 배기 포트(23…)의 상류단(上流端)을 개폐하는 배기 밸브(26…)는, 헤드 커버(16)의 내부에 수납된 DOHC형의 밸브 가동 기구(27)에 의해 개폐 구동된다. 흡기 매니폴드(22)의 상류측은, 크랭크 케이스(14)의 전방에 배치되어, 전면에 고정된 스로틀 밸브(29)에 접속되어 있으며, 사일렌서(silencer)(28)를 경유한 흡기가 공급된다. 실린더 헤드(15) 및 흡기 매니폴드(22) 사이에 끼워진 인젝터 베이스(57) 에, 흡입 포트(21…) 내에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58…)가 설치된다.
엔진 E의 실린더 블록(11), 로어 블록(12), 크랭크 케이스(14) 및 실린더 헤드(15)의 상면(上面)에는, 크랭크 샤프트(13)의 구동력을 밸브 가동 기구(27)에 전달하는 타이밍 체인(30)(도 14 참조)을 수납하는 체인 커버(31)(도 15 참조)가 결합되고, 또한, 실린더 블록(11), 로어 블록(12) 및 크랭크 케이스(14)의 하면(下面)에는 오일 펌프 몸체(34)가 결합되고, 또한 오일 펌프 몸체(34)의 하면에는 마운트 케이스(35), 오일 케이스(36), 익스텐숀 케이스(37) 및 기어 케이스(38)가 순차로 결합된다.
오일 펌프 몸체(34)는, 그 하면과 마운트 케이스(35)의 상면과의 사이에 오일 펌프(33)를 수납하는 것이며, 반대측의 실린더 블록(11) 등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플라이휠(32)이 배치되어, 오일 펌프 몸체(34)에 의해 플라이휠 실(室)과 오일 펌프 실(室)이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케이스(36), 마운트 케이스(35) 및 엔진 E의 아래쪽의 일부의 주위가 합성 수지제의 언더 커버(39)로 덮혀지고, 엔진 E의 상부가 언더 커버(39)의 상면에 결합되는 합성 수지제의 엔진 커버(40)로 덮혀진다.
크랭크 샤프트(13)의 하단에 접속된 구동 축(41)은 펌프 몸체(34), 마운트 케이스(35), 오일 케이스(36)를 관통해서 익스텐션 케이스(37)의 내부를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후단(後端)에 프로펠라(43)를 구비해서 기어 케이스(38)에 전후 방향에 지지된 프로펠라 축(44)의 전단(前端)에, 시프트 로드(52)에 의해 조작되는 전후진 절환 기구(45)를 통해서 접속된다. 구동 축(41)에 설치된 냉각수 펌프(46)에 는, 기어 케이스(38)에 설치된 스트레이너(47)로부터 윗쪽에 연장되는 하부 급수 통로(48)가 접속되어, 냉각수 펌프(46)로부터 윗쪽에 연장되는 상부 급수관(49)이 오일 케이스(36)에 설치된 냉각수 통로(36b)(도 6 참조)에 접속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케이스(36)의 하면(36L)에, 상기 상부 급수관(49)의 상단이 접속되는 냉각수 공급 구멍(36a)이 형성된다. 오일 케이스(36)의 상면(36U)에, 냉각수 공급 구멍(36a)에 연결되는 냉각수 통로(36b)가 오일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배기관부(36c)의 주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마운트 케이스(35)의 하면(35L)에 결합되는 오일 케이스(36)의 상면(36U)의 냉각수 통로 (36b)와 동일한 모양의 냉각수 통로(35a)가, 마운트 케이스(35)를 관통하는 배기 통로(35b)의 주위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마운트 케이스(35)를 윗쪽에서 본 것으로, 하면에 오일 케이스(36)가 결합된다. 배기 통로(35b)의 외주(外周)를 냉각수 공급 통로(35c…) 및 냉각수 배출 통로(35d)가 둘러싸고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운트 케이스(35)의 하면(35L)에 하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냉각수 통로(35a)에 연통하는 냉각수 공급 통로(35c…)(도 6 참조)가, 마운트 케이스(35)의 상면(35U)의 실린더 블록 탑재면의 영역 외의 상면에 상향으로 개방되도록, 또한 원통 형상의 배기 통로(35b)의 외주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배기 통로(35b)의 외벽에 연속하는 벽(35h…)에 의해, 3개의 원호 형상의 냉각수 공급 통로(35c…)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원통 형상의 배기 통로(35b)의 외주의 상기 냉각수 공급 통로(35c…)의 설치 범위 이외의 범위에, 1개의 원호 형상의 냉각수 배수 통로(35d)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수 공급 통로(35c…)와는 외벽에 형성된 벽(35i…)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후술하는 오일 펌프 몸체(34)를 포함하는 실린더 블록 소 조립체에 결합되는 마운트 케이스(35)의 상면(35U)에, 냉각수 공급 통로(35e)가 평면으로 보아 실린더 (17)의 중앙을 가로질러 선외기 O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상면(35U)에 상향으로 개방되는 횡단면 U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이 냉각수 통로(35e)에 상기 냉각수 통로(35a)가 윗쪽으로 연장해서 연통 된다. 마운트 케이스 (35)의 상면(35U)에는, 그 냉각수 통로(35a)의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되었을 때에 밸브를 개방해서 냉각수를 보내는 릴리프 밸브(relief valve)(51)가 설치된다(도 4 및 도 7참조).
또한, 상기 냉각수 배출 통로(35d)는 오일 케이스(36)의 하면(36L)의 전 영역에 형성된 개구(36e)(도 7 참조)를 통하고, 오일 케이스(36), 익스텐션 케이스 (37) 및 기어 케이스(38)의 내부에 형성된 배기실(63)에 연통된다. 또한 마운트 케이스(35)의 하면(35L)과 오일 케이스(36)의 상면(36U)과의 사이에 끼워진 개스킷 (55)에는, 마운트 케이스(35)의 냉각수 배출 통로(35d)(도 7 참조)로부터 낙하하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펀칭 가공 구멍(55a…)과, 팽창실(63)의 일부를 구획해서 소음 효과를 발휘하는 펀칭 가공 구멍(55b…)이 설치된다(도 6 및 도 7 참조).
이어서, 도 4∼도 6 및 도 10∼도 13에 근거해서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의 구조를 설명한다.
배기 통로 수단은, 크게 나누어서,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 부분과, 엔진 룸과 구획된 배기실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5)의 우측면에 결합되어, 각각의 연소실(20)로부터의 배기를 도입하는 단관부(單管部)(61a…)와, 이것들의 하류 유역에서 집합하는 집합부 (61b)를 구비한 배기 매니폴드(61)와, 이 배기 매니폴드(61)에 접속하고, 엔진 룸 외에 배기를 유도하는 배기 가이드(62)를 구비한다.
도 6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배기 가이드(62)는 엔진 룸의 격벽을 구성하는 마운트 케이스(35)의 상면(35U)에 결합하고, 마운트 케이스(35)를 관통하는 배기 통로(35b)와 연통한다. 배기 통로(35b)는 오일 케이스(36)에 일체로 형성된 배기관부(36c)와 연통하고, 배기실(63)과 연통한다. 실시예에서는, 오일 케이스 (36)가 배기실(63)의 외벽부를 구성하는 동시에, 배기관부(36c)를 구성하고 있지만, 다른 구성으로서, 배기관부(36c)를 별개의 통로로 해도 좋다. 또한 배기 통로 수단은, 그 일부가 일체적으로 연속하는 구성이라도 좋지만,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와 동(同) 외부 통로를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부분의 조립성의 향상이나 배기실(63)에 대한 밀봉성의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기실(63)의 상부는 오일 케이스(36)에 설치한 배기 도출관(64)을 통해서 언더 커버(39)의 외부에 연통하고 있고, 엔진 E의 저(低) 부하 운전 시에 배기 가스를 수중에 배출하는 일 없이, 배기 도출관(64)을 통해서 대기중에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배기 매니폴드(61)는 4개의 배기 포트(23…)에 연통하는 4개의 단관부(61a…)와, 그것들의 단관부(61a…)가 일체로 집합하는 집합부(61b)를 구비하고 있고, 집합부(61b)의 대부분은 실린더 헤드(15)의 측면에 밀착되어 있지만, 집합부(61b) 의 하단부 근방이 실린더 헤드(15)의 측면에서 이반(離反)하는 방향에, 그 중심선이 거리 α만큼 굴곡되어 있다(도 10 참조). 배기 가이드(62)는 S자 형상으로 만곡되고, 그 상단의 대(大) 직경으로 된 결합부(62a)의 내주(內周)에 배기 매니폴드 (61)의 하단부 내주(內周)가 1쌍의 0링(53, 54)을 통해서 끼워 맞추어진다.
이렇게, 배기 매니폴드(61)의 하단부 근방만을 실린더 헤드(15)의 측면에서 이반하는 방향에 굴곡시키고, 배기 매니폴드(61)의 다른 상반부는, 실린더 헤드 (15)의 측면을 따르는 형태로 접속시켰으므로,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의 배치 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대직경의 결합부(62a)가 실린더 헤드(15)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배기 매니폴드(61)는, 최하위의 연소실(20) 보다도 아래쪽 부분이 굴곡되어 있으므로, 상하 방향에 배치된 복수의 연소실(20…)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흐름에 불평형한 영향을 부여하는 것이 방지되어, 배기 효율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61) 및 배기 가이드(62)의 결합부(62a)는 0링(53, 54)을 통해서 끼워 맞추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기 매니폴드(61) 및 배기 가이드(62)의 결합 작업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의 상하 방향의 치수 오차를 결합부(62a)에서 흡수해서 조립 부착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0링(53, 54)의 근방에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의 상단부 및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0링(53, 54)의 열(熱)에 의한 열화(劣化)가 방지된다.
배기 가이드(62)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62b)에 3개의 볼트 구멍(62c…)과, 배기 통로(62d)를 둘러싸는 원호 형상으로 분할된 3개의 냉각수 유입구(62e…)와 1개의 냉각수 유출구(62f)가 형성된다. 배기 가이드(62)의 플랜지(62b)를 마운트 케이스(35)의 상면(35U)의 취부좌(取付座)(35f)(도 7 참조)에 볼트로 체결하였을 때, 배기 가이드(62)의 냉각수 유입구(62e…)가 마운트 케이스(35)의 냉각수 공급 통로(35c…)에 연통하는 동시에, 냉각수 유출구(62f)가 마운트 케이스(35)의 냉각수 배출 통로(35d)에 연통한다. 취부좌(35f)의 마운트 케이스(35)의 하면(35L) 측에 대해서는, 냉각수 배출 통로(35d)를 구성하는 외벽 중, 반대 배기 통로(35b) 측이 개스킷 면 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멈추고, 외벽 하면과 개스킷 면과의 사이로부터 냉각수가 개스킷(55) 상에 배수된다.
배기 가이드(62)에는, 그 배기 통로(62d)를 둘러싸도록 상면 측의 반(半) 원주를 덮는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과, 하면 측의 반 원주를 덮는 제2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3이 형성되어 있고, 배기 가이드(62)의 상단부에 있어서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의 원주 방향의 일부가 반경 방향에 팽출(膨出)해서 팽출부(62g)를 구성한다.
배기 매니폴드(6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 원주 방향에 연장하는 관통 구멍(61c)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기 매니폴드(61)의 하단을 배기 가이드(62)의 결합부(62a)의 내주에 끼워 맞추면, 배기 매니폴드(61)의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와 배기 가이드 (62)의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이, 배기 매니폴드(61)의 관통 구멍 (61c)과 배기 가이드(62)의 팽출부(62g)를 통해서 서로 연통한다(도 13 참조).
도 4 및 도 5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61)의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의 상부에는, 냉각수의 일부를 실린더 블록(11)에 분배하기 위한 커플링(61d)과, 냉각수의 일부를 호스(65)를 통해서 검수구(檢水口)(66)(도 2 참조)에 공급하기 위한 커플링(61e)과,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 센서(67)가 설치된다.
이어서, 도 3∼도 5에 근거해서 실린더 블록(11)의 냉각계의 구조를 설명한다.
배기 가이드(62)의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 (61)의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를 통과해서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를 냉각시킴으로써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는, 배기 매니폴드(61)의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의 상단에 설치한 상기 커플링(61d)으로부터 급수관(68)을 경유해서 T형의 3방향 조인트(joint), 또는 분기 부재(69)에 공급되어, 거기에서 2개의 급수관(70, 71)에 분기된다. 실린더 블록(11)에는 4개의 실린더(17…)를 둘러싸는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가 형성된다.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상단 부근의 위치(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연소실(20)의 측부(側部))와 하단 부근의 위치(최하위의 연소실(20)의 측부)에 커플링(11a, 11b)이 설치되어 있으며, 위쪽의 커플링 (11a)에 위쪽의 급수관(70)이 접속되고, 아래쪽의 커플링(11b)에 아래쪽의 급수관 (71)이 접속된다. 이렇게,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와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를 급수관(68, 70, 71)으로 접속했으므로, 실린더 블록(11)이나 실린더 헤드(15)의 내부에 냉각수 공급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가공이 용이 해진다.
펌프 몸체(34)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슬릿(slit) 형상의 냉각수 통로(34a)(도 8 참조)는, 상기 마운트 케이스(35)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슬릿 형상의 냉각수 통로(35e)(도 7 참조)에 연통되는 동시에, 실린더 블록(11)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냉각수 통로(35e)와 맞춤면 형상이 같아서 실린더(17…)의 좌우 폭 방향 중앙을 가로질러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냉각수 통로(11c)(도 9 참조)에 연통된다. 도 3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의 냉각수 통로(11c)는 하면이 개방된 홈 형상의 것으로서, 그 홈의 위벽을 관통하는 2개의 관통 구멍(11d, 11e)을 통해서 실린더 블록(11)의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하단에 연통된다.
도 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의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를 흐른 냉각수는, 실린더 블록(11)의 상부 좌측에 형성한 냉각수 통로 (11f)를 통해서 후술하는 서모스탯에 공급된다.
이어서, 도 3, 도 6 및 도 9에 근거해서 실린더 헤드(15)의 냉각계의 구조를 설명한다.
실린더 블록(11)의 하면에 형성한 슬릿 형상의 냉각수 통로(11c)의 측벽으로부터 실린더 헤드(15)를 향해서 2개의 짧은 냉각수 통로(11g, 11h)가 분기되어 있으며, 이 냉각수 통로(11g, 11h)는 실린더 블록(11) 및 실린더 헤드(15) 사이의 개스킷(56)을 통해서 실린더 헤드(15)의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에 연통된다. 또한, 실린더 블록(11)의 실린더(17…)를 둘러싸는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는, 실린더 블록(11) 및 실린더 헤드(15)의 결합면에 개재(介在)하는 개스킷(56)을 통해서 실린더 헤드(15)의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로부터 격리되어 있다(도 2 및 도 6 참조).
이어서, 냉각수의 순환계에 설치된 서모스탯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13)의 상단에 설치한 캠 구동 스프로킷(sprocket)(72)과 실린더 헤드(15)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1쌍의 캠 샤프트 (73, 74)에 설치한 캠 종동 스프로킷(75, 75)에 타이밍 체인(30)이 감아 걸린다. 유압식의 체인 텐셔너(tensioner)(76a)가 타이밍 체인(30)의 느슨한 측에 맞닿고, 반대 측에는 체인 가이드(76b)가 맞닿는다. 캠 구동 스프로킷(72)의 톱니 수는 캠 종동 스프로킷(75, 75)의 톱니 수의 반(半)이며, 따라서 캠 샤프트(73, 74)는 크랭크 샤프트의 반의 회전수로 회전된다.
크랭크 케이스(14)의 내부에는 밸런서(balancer) 장치(77)가 수납되어 있으며, 그 2개의 밸런서 샤프트(78, 79)의 한쪽에 설치한 밸런서 종동 스프로킷(80)과 크랭크 샤프트(13)에 설치한 밸런서 구동 스프로킷(81)에 무단 체인(82)이 감아 걸린다. 체인 텐셔너(83a)가 무단 체인(82)의 느슨한 측에 맞닿고, 반대 측에는 체인 가이드(63b)가 맞닿는다. 밸런서 구동 스프로킷(81)의 톱니 수는 밸런서 종동 스프로킷(80)의 톱니 수의 2배이며, 따라서 밸런서 샤프트(78, 79)는 크랭크 샤프트(13)의 2배의 회전수로 회전한다.
도 15∼도 18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 및 실린더 헤드(15)의 상면이 체인 커버(31)로 덮혀져 있으며, 이 체인 커버(31)의 내부에 타이밍 체인(30)이 수납된다. 타이밍 체인(30)의 윤활을 도모하기 위해, 체인 커버(31)의 내 부는 기름 분위기로 유지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 및 실린더 헤드(15)의 결합면을 가로지르도록 체인 커버(31)에 형성된 서모스탯 취부좌(31a)는, 그 하면이 실린더 블록(11) 및 실린더 헤드(15)의 상면에 맞닿는 동시에, 그 상면이 체인 커버 (31)의 본체 부분 상면 보다도 한층 높아져 있다. 또한, 체인 커버(31)에는, 크랭크 샤프트(13)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59)가 설치된다(도 15 참조).
체인 커버(31)의 서모스탯 취부좌(31a)에는, 실린더 블록(11)의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로부터 윗쪽으로 분기되는 냉각수 통로(11i)에 연통하는 냉각수 통로(31b, 31c)와, 실린더 헤드(15)의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로부터 분기되는 냉각수 통로(15a)에 연통하는 냉각수 통로(31d, 31e)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수 통로(31c)에는 실린더 블록(11) 측의 제1서모스탯(84)이 부착되고, 냉각수 통로(31e)에는 실린더 헤드(15) 측의 제2서모스탯(85)이 부착된다. 밸브 몸체(84a)를 구비한 제1서모스탯(84) 및 밸브 몸체(85a)를 구비한 제2서모스탯(85)은 각각 서모스탯 실(室)(94, 95) 내에 수납되어, 서모스탯 취부좌(31a)의 상면에 3개의 볼트(86)로써 고정되는 공통의 서모스탯 커버(87)로 덮혀진다. 서모스탯 커버(87)에 설치한 커플링(87a)이, 배수관(88)을 통하고, 배기 가이드(62)에 설치한 커플링 (62h)을 통해서 상기 제2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3에 접속된다.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 측의 제2서모스탯(85)이 면하는 체인 커버 (31)의 냉각수 통로(31e)에, 냉각수 온도 센서(89)가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흡기 밸브(25…) 및 배기 밸브(26…)로 차단된 연소 실(20…) 내의 연소 가스가 제1열원이고,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를 지나서 외부에 흐르는 배기 가스가 제2열원이며,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와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가 상기 제1열원의 냉각을 위한 제1냉각 수단이고, 이 제l냉각 수단과의 열교환 후, 제2열원을 냉각하는 것이 제2냉각 수단이며,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과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가 그것에 상당한다.
이어서, 엔진 E의 윤활계의 구조를, 도 3, 도 4 및 도 6∼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오일 케이스(36)는 오일 팬(oil pan)(36d)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 오일 스트레이너(oil strainer)(91)를 구비한 흡입 파이프(92)가 수납된다. 오일 펌프(33)에는 오일 흡입 통로(33a), 오일 토출 통로(33b) 및 오일 릴리프 통로(33c)가 설치되어 있으며, 오일 흡입 통로(33a)는 흡입 파이프(92)에 접속되고, 오일 토출 통로(33b)는 실린더 블록(11)의 하면에 형성한 오일 공급 구멍(11m)(도 9 참조)을 거쳐서 엔진 E의 각각의 피윤활부에 접속되며, 오일 릴리프 통로(33c)는 오일 펌프(33)로부터의 복귀 오일을 오일 팬(36d) 내로 배출한다.
실린더 헤드(15) 및 헤드 커버(16)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 가동 기구(27)로부터의 복귀 오일의 일부는, 헤드 커버(16)에 설치한 커플링(16a), 오일 호스(93) 및 마운트 케이스(35)를 관통하는 오일 복귀 통로(35g)(도 7 참조)를 통해서 오일 팬(36d)에 복귀되고, 밸브 가동 기구(27)로부터의 복귀 오일의 다른 일부는, 실린더 헤드(15)에 형성한 오일 복귀 통로(15b)(도 9 참조), 실린더 블록(11) 및 실린더 헤드(15)의 패킹(packing) 면에 개구하는 오일 복귀 통로(11j)(도 9 참조), 실 린더 블록(11)을 관통하는 오일 복귀 통로(11k)(도 9 참조), 펌프 몸체(34)를 관통하는 오일 복귀 통로(34b)(도 8 참조) 및 마운트 케이스(35)를 관통하는 오일 복귀 통로(35g)(도 7 참조)를 경유해서 오일 팬(36d)에 복귀된다. 실린더 블록(11) 및 실린더 헤드(15) 사이의 개스킷(56)에 개구하는 오일 복귀 통로(11j)는, 거기에 개구하는 2개의 냉각수 통로(11g, 11h)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도 3 참조).
또한 크랭크 케이스(14)로부터의 복귀 오일은, 펌프 몸체(34)를 관통하는 오일 복귀 통로(도시하지 않음) 및 마운트 케이스(35)를 관통하는 오일 복귀 통로 (35g)(도 7 참조)를 통해서 오일 팬(36d)에 복귀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주로 도 19의 냉각수 회로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엔진 E의 운전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13)에 접속된 구동 축(41)이 회전하면, 그 구동 축(41)에 설치한 냉각수 펌프(46)가 작동하고, 스트레이너(47)를 통해서 빨아 올려진 냉각수를 하부 급수 통로(48) 및 상부 급수관(49)을 통해서 오일 케이스(36)의 하면의 냉각수 공급구(36a)에 공급한다. 냉각수 공급구(36a)를 통과한 냉각수는 오일 케이스(36)의 상면(36U)의 냉각수 통로(36b) 및 마운트 케이스(35)의 하면(35L)의 냉각수 통로(35a)에 유입되고, 거기에서 분기된 냉각수의 일부는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의 배기 가이드(62)에 형성한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61)에 형성한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에 공급된다. 실린더 헤드(15)의 연소실(20…)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배기 매니폴드 (61)의 단관부(61a…) 및 집합부(61b), 배기 가이드(62)의 배기 통로(62d), 마운트 케이스(35)의 배기 통로(35b) 및 오일 케이스(36)의 배기관부(36c)를 경유해서 배기실(63)로 배출되며, 그 때에 배기 가스로 고온이 된 엔진 룸 내 배기 통로(24)를 상기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를 흐르는 냉각수로써 냉각시킨다.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를 밑에서부터 위로 흘러서 약간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는, 배기 매니폴드(61)의 상단에 설치한 커플링(61d)으로부터 급수관(68) 및 분기 부재(69)를 거쳐서 2개의 급수관(70, 71)으로 분기되고, 실린더 블록(11)에 설치한 커플링(11a, 11b)을 경유해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측면의 하부 및 상부에 유입된다. 이 때, 냉각수 통로(36b, 35a)의 저온의 냉각수의 일부는, 실린더 블록(11)의 하단의 냉각수 통로(11c)에 개구하는 2개의 관통 구멍(11d, 11e)을 통해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하단에 유입된다. 또한 냉각수 통로(36b, 35a)의 저온의 냉각수의 일부는, 실린더 블록(11)의 하단의 냉각수 통로(11c)로부터 2개의 냉각수 통로(11g, 11h)를 경유해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의 하단에 유입된다.
엔진 E의 난기(暖機) 운전 중은,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서모스탯(84)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서모스탯(85)은 밸브를 폐쇄하고 있으며,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 내의 냉각수는 흐르지 않고 체류하여, 엔진 E의 난기가 촉진된다. 이 때, 냉각수 펌프(46)는 계속해서 회전하지만, 그 고무제의 임펠러의 주 위로부터 냉각수가 누출됨으로써, 냉각수 펌프(46)는 실질적으로 공회전 상태로 된다.
엔진 E의 난기 운전이 완료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면 제1, 제2서모스탯 (84, 85)이 밸브를 개방하고,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냉각수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의 냉각수는, 서모스탯 커버(87)의 공통의 커플링(87a)으로부터 배수관(88) 및 배기 가이드(62)의 커플링(62h)을 경유해서 제2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3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2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3을 흐르는 사이에 배기 가이드(62)를 냉각시킨 냉각수는, 마운트 케이스(35) 및 오일 케이스(36)를 위로부터 아래로 통과해서 배기실(63)로 배출된다. 엔진 E의 회전수가 증가해서 냉각수 통로(36b, 35a)의 내압이 소정값 이상으로 되면, 릴리프 밸브(51)가 밸브를 개방해서 잉여의 냉각수가 배기실(63)로 배출된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61)의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의 상단에 설치된 커플링(61e)은 호스(65)를 통해서 검수구(66)에 접속되어 있고, 이 검수구(66)로부터 물이 분출됨으로써 냉각수의 순환을 확인할 수 있다. 검수구(66)에 연결되는 커플링(61e)이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 내에 체류하는 공기를 냉각수와 함께 검수구(66)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검수구(66)를 이용해서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 내의 공기의 배출을 실행하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나 공기 배출구를 특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부품 점수 및 조립 공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게다가 배기 매니폴드(61) 및 검수구(66)를 각각 선외기 O의 한쪽의 현측(舷側) 및 다른 쪽의 현측에 설치했으므로, 배기 매니폴드(61)에 대하여 검수구(66)가 낮은 위치에 있어도, 배기 매니폴드(61)로부터 검수구(66)까지의 거리를 길게 해서 하강 구배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배기 매니폴드(61) 내의 공기를 검수구(66)에 원활하게 밀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가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에 연통되어 있고,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 및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를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은 제1서모스탯(84)에 의해 제어된다. 만일,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가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에 연통되어 있지 않고 막다른 곳이라고 하면, 검수구(66)를 대직경으로 해서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로부터 나온 냉각수의 전량을 배출하든지, 검수구(66)와는 별개인 냉각수 배출구를 설치해서 냉각수를 배출 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냉각수의 유량이 증가해서 냉각수 펌프(46)의 부하(負荷)가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를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에 연통시킴으로써,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를 통과한 냉각수를 낭비적으로 배출할 필요를 없게 해서 냉각수 펌프(46)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를 서로 독립시켜, 엔진 E의 운전 중에 과열되기 쉬운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에 저온의 냉각수를 직접 공급하고, 엔진 E의 운전 중에 과냉각이 되기 쉬운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에,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를 통과해서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를 공급하므로, 실린더 헤드(15) 및 실린더 블록(11)을 각각 적정 온도로 냉각해서 엔진 E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게다가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에 각각 서모스탯(84, 85)을 설치했으므로, 각각의 서모스탯(84, 85)의 설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의 냉각수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또한 임의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런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하단으로부터 냉각수를 공급해서 상단에서 냉각수를 배출하면, 냉각수 온도의 분포가 하부에서 저온이 되고 상부에서 고온이 되기 때문에,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냉각 성능이 상하 방향으로 불균일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로부터의 냉각수를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상하 방향에 분리된 2개소에 공급함으로써,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냉각 성능을 상하 방향에 균일화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 회전수의 급격한 증가에 의해 신규의 냉각수가 공급되어도, 그 냉각수는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및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를 경유해서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에 공급되므로, 연소실(20…) 주변의 온도가 급변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하단에 2개의 관통 구멍(11d, 11e)을 통해서 보조적으로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 내의 냉각수의 체류를 방지해서 냉각 성능의 균일화를 한층 촉진할 수 있고, 게다가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하단에 관통 구멍(11d, 11e)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엔진 정지 시의 잔류수의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냉각수 통로(36b, 35a)로부터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에의 냉각수의 공급을 외부 배관을 통해서 실행하지 않고, 실린더 블록(11)에 형성한 냉각수 통로(11g, 11h)로부터 실린더 헤드(15)와의 사이의 개스킷(56)을 통해서 실행하므로, 그 냉각수 통로(11g, 11h)의 특별한 조립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외부 배관을 생략해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11) 및 실린더 헤드(15) 사이에 끼워져 있는 개스킷(56)을 이용해서 냉각수 통로(11g, 11h)를 밀봉 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밀봉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 점수가 삭감된다. 게다가 냉각수 통로(11g, 11h)가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엔진 정지 시의 잔류수의 처리가 용이하다.
특히,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로부터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에 냉각수를 수도(受渡)하는 2개의 냉각수 통로(11g, 11h)를 좌우로 분리해서 설치했으므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의 좌우 양측에 냉각수를 균등하게 공급해서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2개의 냉각수 통로(11g, 11h)의 사이에 실린더 헤드(15)로부터의 복귀 오일을 안내하는 오일 복귀 통로(11j)를 설치했으므로, 2개의 냉각수 통로(11g, 11h)를 흐르는 냉각수의 유량이 불평형해지는 것 을 방지하면서, 냉각수 통로(11g, 11h) 및 캠 실(室) 최하부에 설치한 오일 복귀 통로(11j)를 좁은 공간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11d, 11e)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에 연통하는 냉각수 통로(11g, 11h)를, 실린더 블록(11)의 내부에 형성한 분기부인 냉각수 통로(11c)에서 분기되게 했으므로, 상기 분기부에 특별한 밀봉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부품 점수가 삭감된다.
그런데, 엔진 E의 운전 중에 냉각수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했을 경우, 엔진 E가 과열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경보가 발령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 및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로 구성되는 냉각계의 냉각수 온도 센서(67)가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로 구성되는 냉각계의 냉각수 온도 센서(89)가 제2서모스탯(85)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의 합계 4개의 워터 재킷을 2계통으로 분리함으로써,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 및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에 대하여 1개의 냉각수 온도 센서(67)를 설치하면 좋게 되어, 상기 4개의 워터 재킷에 각각 냉각수 온도 센서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특히, 제1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l,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 및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 중,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 보다도 상류측의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에 냉각수 온도 센서(67)를 설치했으므로, 냉각수 온도의 이상(異常) 상승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 냉각 워터 재킷 JM2의 냉각수 온도 센서(67)는 검수구(66)에 연결되는 커플링(61e)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검수구(66)를 향해서 냉각수가 흐름으로써 냉각수 온도 센서(67)의 근방에 냉각수가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냉각수의 온도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로부터의 냉각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1서모스탯(84)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로부터의 냉각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2서모스탯(85)은, 엔진 E의 상면에 있어서 크랭크 샤프트(13) 및 캠 샤프트(73, 74)를 접속하는 타이밍 체인(30)을 덮는 체인 커버(31)의 위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 커버(40)를 떼는 것만으로, 체인 커버(31)나 타이밍 체인(30)에 방해되는 일 없이 제1, 제2서모스탯(84, 85)을 윗쪽에서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를 제1서모스탯(84)에 접속하는 냉각수 통로(31b, 31c)와,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를 제2서모스탯(85)에 접속하는 냉각수 통로(31d, 31e)를 체인 커버(31)에 형성했으므로, 외부 배관을 통해서 접속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서모스탯(84, 85)의 출구 측은 공통의 배수관(88)을 통해서 제2배기 가이드 냉각 워터 재킷 JM3에 접속되므로, 엔진 E의 내부에 냉각수를 배출하는 통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가공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배수관(88)의 개수를 1개로 억제해서 부품 점수 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11) 측의 제1서모스탯(84)과 실린더 헤드(15) 측의 제2서모스탯(85)을 서로 근접해서 배치하고, 또한 실린더 블록(11) 및 실린더 헤드(15)에 공통의 패킹 면을 통해서 결합되는 체인 커버(31)에 제1, 제2서모스탯(84, 85)을 부착했으므로, 제1, 제2서모스탯(84, 85)을 좁은 공간에 콤팩트하게 부착할 수 있다. 특히, 제1, 제2서모스탯(84, 85)을 수용하는 서모스탯 실(室)(94, 95)을 타이밍 체인(30)의 회전 평면 보다도 윗쪽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의 간섭을 피하면서 대형화를 억제해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서모스탯 실(室)(94, 95)에 연결되는 냉각수 통로(31b, 31d)가 타이밍 체인(30)의 루프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무효 공간이 유효하게 이용되고, 상호의 간섭을 피하면서 대형화를 억제해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의 최상부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 JH의 최상부로부터 냉각수를 도출(導出)하므로, 냉각수의 도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JB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위쪽의 커플링 (11a)은 최상위의 연소실(20)의 측방(側方)이 아니고, 위로부터 2번째의 연소실 (20)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플링(11a)으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저온인 채로 제1서모스탯(84)에 작용해서 부적절한 작동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서모스탯(84)을 적절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커플링(11a)의 위치를, 적어도 최상위의 연소실(20)의 상하 방향 중앙 위치 보다도 아래쪽으로 배 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逸脫)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설계 변경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다기통 엔진 E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단기통 엔진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온도 관리를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는 엔진과, 그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를 제공하며, 또한, 냉각수 온도 센서의 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수냉 버티컬 엔진의 과열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8)

  1. 연직 방향에 배치된 크랭크 샤프트와, 크랭크 샤프트에 커넥팅 로드를 통해서 접속된 피스톤과, 피스톤을 왕복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실린더와, 실린더가 설치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블록에 체결되어서 실린더 및 피스톤과 협동해서 연소실을 구성하는 실린더 헤드와, 헤드 내 배기 통로와, 연소실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에 도출하는 배기 통로 수단과,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상기 연소실 주변의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는 구획되어서 독립되어 있는, 상기 연소실 주변의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배기 통로 수단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는 구획되어서 독립되어 있는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각각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를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으로서,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을 경유해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1냉각 경로와,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2냉각 경로를 설치하고,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각각 서모스탯을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실린더를 연직 방향에 병렬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
  3.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은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의 결합면에 냉각수 입구를 구비하고, 실린더 블록에 접속된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입구를 통해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수냉 버티컬 엔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입구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의 최하부에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
  5. 연직 방향에 배치된 크랭크 샤프트와, 크랭크 샤프트에 커넥팅 로드를 통해서 접속된 피스톤과, 피스톤을 왕복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실린더와, 실린더가 설치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블록에 체결되어서 실린더 및 피스톤과 협동해서 연소실을 구성하는 실린더 헤드와, 헤드 내 배기 통로와, 연소실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에 도출하는 배기 통로 수단과,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상기 연소실 주변의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 실린더 헤드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는 구획되어서 독립되어 있는, 상기 연소실 주변의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배기 통로 수단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는 구획되어서 독립되어 있는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각각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를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로서,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을 경유해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1냉각 경로와, 냉각수 펌프로부터의 냉각수를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공급하는 제2냉각 경로를 설치하고,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각각 서모스탯을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
  6. 흡·배기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과, 상기 냉각 수단에 이송되는 냉매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배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기 통로 수단과, 상기 배기 통로 수단을 열원으로 하여, 이 열원에 의해 상기 냉매의 일부를 가열하고, 가열에 의해 승온된 냉매를 상기 냉각 수단에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한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
  7. 연직 방향에 연장하는 크랭크 샤프트를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연소실과, 연소실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에 유도하는 배기 통로 수단에 설치된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과, 연소실의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실린더 블록에 설치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 연소실의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각각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를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으로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을 독립시키는 동시에,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의 하류측에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을 접속하고, 과열을 검지하기 위한 냉각수 온도 센서를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각각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
  8. 연직 방향에 연장하는 크랭크 샤프트를 따라 배치된 복수 개의 연소실과, 연소실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외부에 유도하는 배기 통로 수단에 설치된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과, 연소실의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실린더 블록에 설치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과, 연소실의 주위를 냉각시키기 위해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과, 상기 각각의 워터 재킷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펌프를 구비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로서,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을 독립시키는 동시에,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의 하류측에 실린더 블록 냉각 워터 재킷을 접속하고, 과열을 검지하기 위한 냉각수 온도 센서를 배기 통로 냉각 워터 재킷 및 실린더 헤드 냉각 워터 재킷에 각각 설치한,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
KR1020030070565A 2002-10-11 2003-10-10 수냉 버티컬 엔진,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 및선외기 KR100576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9003A JP3975151B2 (ja) 2002-10-11 2002-10-11 水冷バーチカルエンジン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船外機
JPJP-P-2002-00298999 2002-10-11
JP2002298999A JP3935043B2 (ja) 2002-10-11 2002-10-11 水冷バーチカルエンジンを搭載した船外機
JPJP-P-2002-00299003 2002-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265A KR20040033265A (ko) 2004-04-21
KR100576906B1 true KR100576906B1 (ko) 2006-05-03

Family

ID=3203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565A KR100576906B1 (ko) 2002-10-11 2003-10-10 수냉 버티컬 엔진,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 및선외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76892B2 (ko)
EP (1) EP1408212B1 (ko)
KR (1) KR100576906B1 (ko)
CA (1) CA2444140C (ko)
ES (1) ES233608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8396B1 (en) 2005-06-20 2008-01-15 Brunswick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a marine propulsion engine
DE102005062294A1 (de) * 2005-12-24 2007-06-28 Dr.Ing.H.C. F. Porsche Ag Verfahren zur Kühl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6043836B4 (de) * 2006-09-19 2018-06-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urbelgehäus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20090130928A1 (en) * 2007-07-20 2009-05-21 Brunswick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a turbocharged marine propulsion device
US8479691B1 (en) * 2009-05-19 2013-07-09 Brunswick Corporation Method for cooling a four stroke marine engine with multiple path coolant flow through its cylinder head
US8402930B1 (en) 2009-05-19 2013-03-26 Brunswick Corporation Method for cooling a four stroke marine engine with increased segregated heat removal from its exhaust manifold
CN101956626A (zh) * 2010-10-31 2011-01-26 无锡开普动力有限公司 一种柴油发动机的气缸盖
JP2012241687A (ja) * 2011-05-24 2012-12-10 Yamaha Motor Co Ltd 船外機
JP2013124592A (ja) * 2011-12-14 2013-06-24 Yamaha Motor Co Ltd 船外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船舶
US9365274B1 (en) 2013-11-19 2016-06-14 Brunswick Corporation Outboard marine propulsion devices having cooling systems
US10890097B1 (en) * 2018-05-22 2021-01-12 Brunswick Corporation Cooling systems for marine engines having offset temperature-responsive discharge valves
US11352937B1 (en) * 2021-02-08 2022-06-07 Brunswick Corporation Marine drives and cooling systems for marine drives having a crankcase cool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115A (ja) * 1985-01-17 1986-07-28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海水直冷式舶用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S61167111A (ja) * 1985-01-17 1986-07-28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H023014A (ja) 1988-06-17 1990-01-08 Nec Corp 強誘電性液晶素子の製造方法
JP2810986B2 (ja) * 1989-04-20 1998-10-15 三信工業株式会社 4サイクル船外機の潤滑装置
US5383803A (en) * 1990-02-20 1995-01-24 Pilgrim; David R. Outboard motor cooling system
JPH0814092A (ja) * 1994-06-24 1996-01-16 Sanshin Ind Co Ltd 2サイクルエンジンの燃焼制御装置
JP3465515B2 (ja) * 1997-01-31 2003-11-10 スズキ株式会社 船外機の冷却装置
JP3765900B2 (ja) * 1997-02-03 2006-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船外機用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4017767B2 (ja) * 1998-10-14 2007-12-05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エンジンの潤滑オイル供給装置
US6682380B1 (en) * 2000-05-05 2004-01-27 Bombardier Motor Corporation Of America Marine engine cooling systems and methods
DE10061546B4 (de) * 2000-12-11 2011-07-21 Behr Thermot-tronik GmbH, 70806 Kühlanlage für einen mit flüssigem Kühlmittel gekühlten Verbrennungsmotor eines Kraftfahrzeuges
CA2385797C (en) * 2001-05-15 2009-07-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Outboard motor
US6821171B1 (en) * 2003-07-31 2004-11-23 Brunswick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a four cycle outboard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44140A1 (en) 2004-04-11
EP1408212B1 (en) 2009-12-09
EP1408212A1 (en) 2004-04-14
KR20040033265A (ko) 2004-04-21
US20050042949A1 (en) 2005-02-24
ES2336089T3 (es) 2010-04-08
US6976892B2 (en) 2005-12-20
CA2444140C (en) 200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5064C (en) Outboard motor equipped with water-cooled engine
KR100576906B1 (ko) 수냉 버티컬 엔진, 수냉 버티컬 엔진을 탑재한 선외기 및선외기
JP3971690B2 (ja) 水冷バーチカルエンジンを搭載した船外機
CA2444409C (en) Water-cooled vertical engine and outboard motor equipped therewith
JP3935043B2 (ja) 水冷バーチカルエンジンを搭載した船外機
CA2444944C (en) Water-cooled vertical engine and outboard motor equipped therewith
JP4252787B2 (ja) 船外機
JP2005282460A (ja) 水冷エンジン
JP3923406B2 (ja) 水冷バーチカルエンジンを搭載した船外機
JP3935044B2 (ja) 水冷バーチカルエンジン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船外機
JP3975151B2 (ja) 水冷バーチカルエンジン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船外機
CA2564160C (en) Water-cooled vertical engine and outboard motor equipped therewith
JP4252844B2 (ja) バーチカルエンジン
JP2004132311A (ja) 水冷バーチカルエンジン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船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