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529B1 -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 - Google Patents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529B1
KR100575529B1 KR1020040042141A KR20040042141A KR100575529B1 KR 100575529 B1 KR100575529 B1 KR 100575529B1 KR 1020040042141 A KR1020040042141 A KR 1020040042141A KR 20040042141 A KR20040042141 A KR 20040042141A KR 100575529 B1 KR100575529 B1 KR 100575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all
gateway
voip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6993A (ko
Inventor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4004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52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6Call signalling protocols; H.323 and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66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H.323 표준의 게이트웨이가 H.323 터미널 및 전화번호관리 프로그램이 내장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으로부터 VoIP 커넥션 신호와 멀티톤(DTMF)데이터를 전송받아서, VoIP 콜을 생성시키고 멀티톤을 송출하여 아웃바운드 콜을 생성한 후 내선으로 호전환을 실행함으로써, 편리한 아웃바운드 환경을 제공하며 간단하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만으로 가능한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과 접속되어 있으며, H.323터미널로서 게이트웨이와의 사이에 H.323접속을 수행하여 사용자측 내선전화와 착신자측 전화 간의 전화접속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공통 주소록데이터베이스 관리,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로그인 관리,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와; 전화교환장치의 아날로그 내선과 연결된 H.323 VoIP 게이트웨이로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H.323 접속요구에 따라 VoIP콜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DTMF데이터를 전송받아 전화교환장치로 DTMF를 송출하여 아웃바운드 콜의 생성 및 사용자측 내선전화에 지정된 내선으로 호전환을 요청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전화국 국선 접속후 착신자 측 전화번호로 다이얼한 후 사용자측 내선전화로 호전환하는 전화교환장치와; 상기 전화교환장치와 연결되는 사용자측 내선전화와; 공중전화망(PSTN)과 연결된 착신자측 전 화로 이루어진다.
인터넷, 전화, 게이트웨이, 클라이언트, 브이오아이피(VoIP), 아웃바운드, 오토콜

Description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CALL CONNECT SYSTEM USING VoIP}
도 1은 본 발명의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에 적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별정용 게이트웨이 2: VoIP
3: 공중전화망(PSTN) 4: 외부전화
100: 클라이언트 시스템 110: 오토콜 클라이언트
120: 로컬데이터 130: 오토콜 엔진
140: H.323 스택 150: 오토콜 리스너
200: 서버 300: 전화교환장치
400: 내선전화 500: 게이트웨이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선전화와 H.323 터미널과 게이트웨이간의 VoIP를 이용하여 편리한 아웃바운드 환경을 제공하며, 간단하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만으로 가능한 VoIP 전화접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화기는 교환기를 이용하며 발신자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통해 말을 하면, 음성신호가 아날로그 방식의 전기신호로 전환되어 전화 회선을 통하여 교환기로 전달되고, 착신자의 전화기는 교환기에서 전달된 전기신호를 다시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송수화기에 전달하여 상호간의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일반전화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변환없이 착신자에게 전달하는 간단한 원리를 오랜 기간 변함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단지 교환기의 기술이 수동식 교환기에서 기계식 교환기, 아날로그 전자교환기, 디지털 전자교환기로 변화하였을 뿐이다.
한편, 최근에는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의 발달로 발신자의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압축하여 인터넷이나 전용선 같은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착신자에게 전달하고, 착신자에게 도달한 디지털 압축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방식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할 수 있는 인터넷폰이 개발되었다.
나아가, 컴퓨터(PC)와 전화시스템을 연동하여 정보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컴퓨터와 전화시스템을 연결시키는 모든 형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전화통합(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기술이 개발되어 고전적인 정보처리 기능과 함께 교환네트워크의 기능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일반전화를 인터넷망과 접속시켜 주기 위해서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Internet Telephony Gateway)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 장치란 공중전화망에 가입되어 있는 일반전화를 인터넷망과 인터페이스 시켜주기 위해 관문(Gateway)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Internet Telephony Gateway)를 이용하여 개인용컴퓨터(PC)와 일반전화기 간에 전화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피씨투폰(PC-to-Phone) 서비스를 하는 기업들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피씨투폰(PC-to-Phone) 서비스 중 컴퓨터(PC) 장착형의 자동 다이얼링 시스템은 수동적인 전화사용을 자동화한 점은 있으나, 복잡한 컴퓨터(PC) 조작이나 헤드셋 등을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여러 가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컴퓨터(PC)에 설치하고자 할 때 많은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용중에 하드웨어의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전화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통한 의사전달이 불가능하다는 기능상의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잡한 컴퓨터(PC) 조작이나 헤드셋 등이 불필요하여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전화 이외에 다양한 방식의 의사전달기능이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수행되는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은, 인터넷과 접속되어 있으며, H.323터미널로서 게이트웨이와의 사이에 H.323접속을 수행하여 사용자측 내선전화와 착신자측 전화 간의 전화접속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공통 주소록데이터베이스 관리,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로그인 관리,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와;
전화교환장치의 아날로그 내선과 연결된 H.323 VoIP 게이트웨이로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H.323 접속요구에 따라 VoIP콜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DTMF데이터를 전송받아 전화교환장치로 DTMF를 송출하여 아웃바운드 콜의 생성 및 사용자측 내선전화에 지정된 내선으로 호전환을 요청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전화국 국선 접속후 착신자 측 전화번호로 다이얼한 후 사용자측 내선전화로 호전환하는 전화교환장치와;
상기 전화교환장치와 연결되는 사용자측 내선전화와;
공중전화망(PSTN)과 연결된 착신자측 전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로컬 데이터베이스 및 서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콜정보 및 환경정보 등을 전송받아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인 오토콜 클라이언트와,
상기 오토콜 클라이언트로부터 콜정보 및 환경정보 등을 전송받아 저장하고 오토콜 엔진을 실행하는 오토콜 리스너와,
사용자로부터 통화요청시, 저장되어 있는 환경정보와 콜정보 등을 로드하여 게이트웨이와의 H.323 접속을 시도하며, 접속완료시 국선 억세스 코드 및 전화번호 다이얼을 위한 멀티톤(DTMF) 데이터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오토콜 엔진과,
H.323 스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토콜 클라이언트는 이메일(E-mail) 또는 단문메시지서비스(SMS) 시스템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에 적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은 개인용 컴퓨터(PC)에 H.323 터미널로서 게이트웨이(500)와의 사이에 H.323 접속을 수행하여 사용자측 내선전화(400)와 착신자측 전화간의 전화접속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 설치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전화번호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한 오토콜 클라이언트(110)와, 실질적인 H.323 터미널로서 게이트웨이(500)와의 사이에 H.323 접속을 수행하는 오토콜 엔진(130)과, 오토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정보를 저장하여 오토콜 엔진(130)을 실행 시키기 위한 오토콜 리스너(150)와, H.323 스택(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토콜 리스너(150)는 오토콜 클라이언트(110)로부터 콜정보, 환경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오토콜 엔진(130)을 실행시킨다.
상기 오토콜 엔진(130)은 저장되어 있는 환경정보와 콜정보 등을 로드하여 지정된 게이트웨이(500)로 H.323 접속을 요구하고, 접속이 완료되면 국선 억세스 코드 및 전화번호 등을 게이트웨이(500)에 전송하며, 훅플래쉬(Hook-Flash:Hook on/off+Flash) 명령을 전송한 후 스스로 종료한다.
즉, 상기 오토콜 엔진(130)은 실질적인 H.323 터미널로서, 지정된 오토콜 게이트웨이(500)로 H.323 접속을 시도하며, 접속이 완료되면 국선연결 및 전화번호 다이얼을 위한 멀티톤(DTMF:Dual Tone Multi-frequency) 데이터를 오토콜 게이트웨이(500)로 전송한다.
H323 스택(Stack)은 라이브러리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오토콜 클라이언트(110)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전화번호부를 관리하고, 통화연결시 해당 전화번호를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거나 오른쪽 마우스 버튼의 전화걸기 메뉴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메일(E-mail)이나 단문메세지서비스(SMS)와 같은 확장시스템과도 연동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 구성을 통하여, 오토콜 클라이언트(110)의 전화번호관리 프로그램으로부터 전화를 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전화번호 등을 전송받아서 상기 오토콜 리스너(150)를 이용하여 오토콜 엔진(130)을 실행시키고, 오토콜 엔진(130)을 통해 게이트웨이(500)와의 사이에 H.323 접속을 시도하여, VoIP 콜이 생성되도록 한다.
한편, 서버(200)는 공통적으로 관리해야할 주소록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의 로그인을 관리하고,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도 관리하는 등 시스템 전반을 관리한다.
상기 게이트웨이(500)는 전화교환장치(300)의 아날로그 내선과 연결된 H.323 VoIP 게이트웨이(500)로서,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으로부터 H.323 접속요구에 따라 VoIP콜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으로부터 DTMF데이터를 전송받아 전화교환장치로 DTMF를 송출하여 아웃바운드 콜의 생성 및 사용자측 내선전화(400)에 지정된 내선으로 호전환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500) 외에 외부전화(4)와 연결되는 별정용 게이트웨이(1)를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화교환장치(300)는 자동식 구내교환기(PABX: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나 키폰(K/P:Key Phone) 등으로 구성되고, 게이트웨이(500)와 연동되어 게이트웨이(500)의 요청에 따라 전화국 국선 접속 후 착신자 측 외부전화(4)로 다이얼 하고 다시 사용자측 내선전화로 호전환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착신자측 외부전화(4)와 사용자측 내선전화(400) 간에 공중전화교환망(PSTN)을 통한 접속이 이루어져 전화통화가 가능해진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VoIP 전화접속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측 내선전화와 착신자측 전화간에 접속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의 전화번호 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전화를 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전화번호 등을 얻고 오토콜 엔진(130)을 실행시킨다.
상기 오토콜 엔진(130)은 실질적인 H.323 터미널로서 지정된 게이트웨이(500)로 H.323 접속을 시도한다. 상기 접속이 완료되면 오토콜 엔진은 국선연결 및 전화번호 다이얼을 위한 멀티톤(DTMF) 데이터를 게이트웨이(5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게이트웨이(500)는 상기 멀티톤(DTMF)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화교환장치(300)로 실제 멀티톤(DTMF)을 발생하여 콜을 생성한다. 전화번호 다이얼 후 링백톤이 들리면 오토콜 엔진(130)은 게이트웨이(500)에게 훅플래쉬 명령을 전송한 후 사용자측 내선번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500)는 훅플래쉬를 수행한 후 전화교환장치(300)에 사용자측 내선전화(400)로 호전환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전화교환장치(300)를 통해 착신자 측 전화번호로 다이얼한 후 사용자 측 내선전화(400)로 호전환이 완료되면, 오토콜 엔진(130)은 종료되고, 해당 내선전화(400)와 착신자 측 전화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VoIP 전화접속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컴퓨터(PC) 상에 자체개발하여 설치된 소프트웨어 형태의 H.323 터미널과, VoIP(2)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H.323 아날로그 게이트웨이(500) 간의 접속을 통해 멀티톤(DTMF)의 전송 및 채널 제어기능을 이용한 아웃바운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있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클릭하면 전화교환장치(300)와 연동되어 있는 오토콜 게이트웨이(500)를 통해 사용자측 내선전화와 착신자 측 전화간에 통화연결이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내선전화(400)를 이용하여 아웃바운드를 실시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응용예로서, 마이크로소프트 엑셀파일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 등 주소록 파일의 연락처 정보와 연동이 가능하며, 서버(200)에서 모든 통화에 대한 발신, 수신 및 통화시간 등의 통계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화번호부를 서버(200)에 저장하여 회사의 관련 전화번호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기타 부가적으로 단문메세지서비스(SMS)나 메신저 등의 탑재가 가능하며, 인터넷 홈페이지에 탑재하여 클릭 하나로 통합적인 실행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기존의 전시적 자원관리(ERP:Enterprize Resource Planning) 솔루션의 약점인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보완하여 회사 자원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웹상에 탑재하여 고객관계유지(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를 통해 기존고객 뿐만 아니라 잠재고객에 대한 적절한 정보수집 및 응대가 가능하여 고객서비스의 품질도 향상시킴과 동시에 마케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VoIP 전화접속시스템은 복잡한 컴퓨터(PC) 조작 이나 헤드셋이 불필요하며 간단한 마우스 클릭으로 원하는 상대방과 일반전화로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전화 이외에 다양한 방식의 의사전달기능을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회사 자원관리 및 고객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인터넷과 접속되어 있으며, H.323터미널로서 게이트웨이와의 사이에 H.323접속을 수행하여 사용자측 내선전화와 착신자측 전화 간의 전화접속을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공통 주소록데이터베이스 관리,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로그인 관리,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와;
    전화교환장치의 아날로그 내선과 연결된 H.323 VoIP 게이트웨이로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H.323 접속요구에 따라 VoIP콜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부터 DTMF데이터를 전송받아 전화교환장치로 DTMF를 송출하여 아웃바운드 콜의 생성 및 사용자측 내선전화에 지정된 내선으로 호전환을 요청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전화국 국선 접속후 착신자측 전화번호로 다이얼한 후 사용자측 내선전화로 호전환하는 전화교환장치와;
    상기 전화교환장치와 연결되는 사용자측 전화와;
    공중전화망(PSTN)과 연결된 착신자측 전화로 이루어지되;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로컬 데이터베이스 및 서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콜정보 및 환경정보 등을 전송받아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이메일(E-mail) 또는 단문메시지서비스(SMS) 시스템과 연동하는 오토콜 클라이언트와,
    상기 오토콜 클라이언트로부터 콜정보 및 환경정보 등을 전송받아 저장하고 오토콜 엔진을 실행하는 오토콜 리스너와,
    사용자로부터 통화요청시, 저장되어 있는 환경정보와 콜정보 등을 로드하여 게이트웨이와의 H.323 접속을 시도하며, 접속완료시 국선 억세스 코드 및 전화번호 다이얼을 위한 멀티톤(DTMF) 데이터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오토콜 엔진과,
    H.323 스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040042141A 2004-06-09 2004-06-09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 KR100575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141A KR100575529B1 (ko) 2004-06-09 2004-06-09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141A KR100575529B1 (ko) 2004-06-09 2004-06-09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993A KR20050116993A (ko) 2005-12-14
KR100575529B1 true KR100575529B1 (ko) 2006-05-03

Family

ID=3729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141A KR100575529B1 (ko) 2004-06-09 2004-06-09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747B1 (ko) * 2012-04-12 2013-09-11 (주)뉴온시스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톤 발생방법
CN115967789B (zh) * 2021-08-27 2023-08-29 山东奥邦交通设施工程有限公司 一种收费站电话和监控视频联动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993A (ko)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3498B2 (en) Private dialing plan for voice on a packet-based network
JP2004537920A (ja) 拡張型ip電話操作
WO2005069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
ZA200204152B (en) A method of supplying information to a user of a mobile station.
US7203298B2 (en) Call completion services for hybrid public/private communications networks
US2011030523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hosted-pbx service
US200500251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web services
CN101068230B (zh) 在媒体网关中实现用户交换机的方法
CN101534312A (zh) 基于初始会话协议的点击拨号代理呼叫方法及装置
KR100575529B1 (ko)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
CN1249974C (zh) 一种基于因特网的被叫集中付费业务实现方法
KR20030037135A (ko) 사설교환기의 내선가입자회로를 통해 접속되는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장치
US7180890B2 (en) Phone connector component operationally connectable through packet network to any selected one or more switch components for originating and/or terminating telecommunication service
CN107508752B (zh) 一种基于微信企业号及ippbx的企业融合通话方法
JP2002232566A (ja) コールセンタ運営統計収集システム
US200602469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enterprise IP-PBX and cellular mobile services
CN101635776A (zh) 一种即时聊天工具对话框文本呼出pstn的系统和方法
KR100419017B1 (ko) 자동 호 분배 및 발신자 정보 표시 시스템
KR100943059B1 (ko) 아이피 센트렉스 기반 콜센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아이피 센트렉스 기반 콜센터 서비스 준비 방법
KR20010094490A (ko)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통화 접속 방법
KR100371917B1 (ko)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CN115086892B (zh) 一种基于短信通知的动态绑定呼叫任务与主被叫双方号码的方法
US7990956B2 (en) Voice communication system over IP phone system
CN201515497U (zh) 能够与个人计算机进行实时媒体交互的通信终端
US8311206B1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s for voicemail services in a system that uses disparate signal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