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747B1 -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톤 발생방법 - Google Patents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톤 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747B1
KR101307747B1 KR1020120038017A KR20120038017A KR101307747B1 KR 101307747 B1 KR101307747 B1 KR 101307747B1 KR 1020120038017 A KR1020120038017 A KR 1020120038017A KR 20120038017 A KR20120038017 A KR 20120038017A KR 101307747 B1 KR101307747 B1 KR 101307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oip
dual mode
mvoip
mvoi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김영을
Original Assignee
(주)뉴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온시스 filed Critical (주)뉴온시스
Priority to KR102012003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모드 무선 VoIP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종래의 전화망이 요구하는 DTMF(Dgitall Tone Multi-Frequency) 신호를 직접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특정 DTMF 발생기를 구비하여 스마트 단말에서도 DTMF 송출을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듀얼모드 mVoIP 단말, CDMA 교환기, Key폰/ARS, 일반단말,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를 포함하고,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CDMA 교환기와 VoIP 망을 통해 VoIP 교환기, 모바일 키퍼와 연동되어 호 제어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VoIP 망을 통해 VoIP 교환기와 VoIP 교환기 제어신호로 연동되고, 모바일 키퍼와 모바일 키퍼 제어신호 정보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VoIP 망을 통해 CDMA 교환기, VoIP 교환기, 모바일 키퍼와 각각 통신을 통해 Key폰/ARS의 3-way-call 모드를 구성하여 음성통화시 DTMF 발생장치에 의해 DTMF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VoIP 망은 Key폰/ARS과 Public Network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모바일 키퍼는 DTMF 신호 발생기, PBX 채널 연결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톤 발생방법 {A method for generating three-way-call and DTMF tone to Dual mode mVoIP}
본 발명은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DTMF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Mobile Keeper를 구비하고 VoIP 교환기 및 CDMA 교환기 사이에 3-way-call 모드를 구성하여 음성통화시 DTMF 발생장치에 의해 DTMF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3-way-call이 가능한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얼모드 무선 VoIP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에서 3-way-call 및 DTMF(Dgitall Tone Multi-Frequency) 송출을 위해 종래의 전화망에서는 DTMF 신호를 직접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듀얼모드 무선 VoIP 단말이 스마트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으며,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조사마다 하드웨어 또는 운영체계에 따라 기능의 구현 및 제약이 가해지며,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CDMA 전화를 구현하는 APP(응용프로그램)은 음성통화는 정상임에도 DTMF(Digital Tone Multi-Frequency) 를 사용할 수 없는 치명적 문제를 갖고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DTMF 사용할 수 없는 그 세부적인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도시한 호 흐름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장치는 듀얼모드 mVoIP 단말(10), CDMA 교환기(20), Key폰/ARS(50), 일반단말(60) 및 VoIP 교환기(70)로 구성되며, 보다 세부적으로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상기 CDMA 교환기(20)와 VoIP 망(30)을 통해 연동되고, 상기 VoIP 망(30)은 Key폰/ARS(50)과 통신망(4) 즉, Public Network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그 세부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에서 mVoIP 어플을 구동하여 VoIP 망(30)을 통해 VoIP 교환기(70)로 TCP/IP 연결 설정을 요구하고(S11)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이 사용자의 착신요청 ARS 번호를 받은 후 VoIP 교환기(70)와의 TCP/IP Link를 통하여 VoIP 교환기(70)에게 Remote-Call-back = 자신의 CDMA번호로 설정하고(S12), 착신요청 번호를 설정(Destination = ARS장치의 전화번호)한 후, Remote-Call-back을 활성화 시킨 후(S13), CDMA 전화를 대기한다. 이후, 상기 CDMA 교환기(20)로부터 CDMA call이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유입되면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APP이 CDMA 전화를 가로채기해서 APP 화면에서 통화 모드인 제 1 음성경로가 설정 된다(S14)
이후, 상기 VoIP 교환기(70)는 상기 Key폰/ARS(50)로 전화발신 정보를 전송하고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제 2 음성경로가 성립되면 상기 제 1 음성경로 및 제 2 음성경로를 통해 듀얼모드 mVoIP 단말(10)와 Key폰/ARS(50)가 통화로가 설정된다.
이때,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이 상기 Key 또는 ARS의 DTMF 신호를 필요로하는 경우는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사용자가 키패드 화면을 열고 해당 숫자 키패드를 조작하게 되지만(S16) 스마트폰의 운영체계(OS)는 이 DTMF 톤 발생기로의 접근을 거절하여 에러 처리되므로써(S17) ARS송출이 불가능하게 된다.(S18)
즉, 스마트폰의 APP 프로그램으로 종래의 CDMA 이동전화 및 VoIP 전화를 제어하게 되는데, APP(앱)이 VoIP의 신호와 음성, 그리고 ARS를 위한 DTMF 톤 발생을 모두 제어할 수 있는데 반하여, CDMA 이동전화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신호와 음성만 제어 가능하며, ARS를 위한 DTMF는 제어가 불가능하다. 이는 운영체계(OS)에서 일반 사용자 앱에게는 DTMF 제어 권한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VoIP 교환기(70)가 CDMA교환기(20)에게 전화를 요청하여 그 무선 CDMA 전화를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이 수신하면, 전화 앱이 이 전화를 가로채어 제어권을 가져오게 되는데,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이 상기 Key 또는 ARS의 DTMF 신호를 필요로하는 경우는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사용자가 키패드 화면을 열고 해당 숫자 키패드를 조작하게 되지만 스마트폰의 운영체계(OS)는 이 DTMF 톤 발생기로의 접근을 거절하여 에러 처리되므로써 ARS 송출을 송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DTMF 발생기를 구비하여 스마트 단말에서도 DTMF 송출을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호출을 행하는 시스템과 방법(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A CALL)(특허출원번호 제10-2010-701163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듀얼모드 무선 VoIP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종래의 전화망이 요구하는 DTMF(Dgitall Tone Multi-Frequency) 신호를 직접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특정 DTMF 발생기를 구비하여 스마트 단말에서도 DTMF 송출을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DTMF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Mobile Keeper를 구비하고 VoIP 교환기 및 CDMA 교환기 사이에 3-way-call 모드를 구성하여 음성통화시 DTMF 발생장치에 의해 DTMF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3-way-call이 가능한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듀얼모드 mVoIP 단말, CDMA 교환기, Key폰/ARS,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를 포함하여 mVoIP 단말은 상기 CDMA 교환기와 VoIP 망을 통해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와 연동되고, Key폰/ARS는 통신망(public network)을 통해 VoIP 망과 연동되어 각각 호 제어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에 있어서,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mVoIP 어플 구동에 의해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로 TCP/IP 연결 설정을 요구하고 사용자의 착신요청 ARS 번호를 TCP/IP Link를 통하여 VoIP 교환기로 자신의 CDMA 번호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착신요청 번호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VoIP 교환기에서 CDMA 교환기로 제 1음성경로를 생성하고 음성경로 생성에 따른 CDMA 호(Call)를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음성경로 생성에 따른 호(call)에 대해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구동 엡(app)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CDMA 전화를 대기하는 제 3 단계;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APP이 CDMA 전화를 가로채기해서 APP 화면에서 통화 모드가 설정되면, VoIP 교환기, CDMA 교환기, 듀얼모드 mVoIP단말 간 제 1 음성경로가 설정되는 제 4 단계; 상기 VoIP 교환기의 전송된 전화발신 정보에 따라 Key폰/ARS의 응답신호에 따라 VoIP 교환기 및 Key폰/ARS 간 제 2 음성경로가 생성된 후, 듀얼모드 mVoIP 단말와 Key폰/ARS 사이의 통화 채널이 연결되는 제 5 단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 사용자의 키패드 구동에 의해 DTMF를 송출하면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상기 모바일 키퍼로 전화 착신 및 DTMF 송신 가능 번호를 예약 및 회신 요청에 따라 모바일 키퍼는 해당 응답 신호를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모바일 키퍼에서 수신한 3-way-call 예약번호를 VoIP 교환기로 전송하고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간 제 3 음성경로를 설정하도록 3-way-call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 7 단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키퍼는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예약된 번호로 3-way-call 수신 준비 완료 신호를 전송하고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 간 제 3 음성경로가 설정되어 3-way-call을 위한 통화로가 연결되고 듀얼모드 mVoIP 단말 사용자 입력 디지트(Digit) 정보를 받아 모바일 키퍼로 전송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키퍼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전송된 디지트 정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도록 모바일 키퍼 내 DTMF 발생기에게 명령하고, 생성된 DTMF 신호는 PBX 블록 유닛의 연결된 음성채널을 통하여 VoIP 교환기로 전송하여 3-way-call이 형성되어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도 DTMF 톤을 청취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9 단계가 이루어진 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키패드를 닫거나 통화 종료 신호에 따라 모바일 키퍼는 모바일 키퍼와 TCP/IP Link를 통해 모바일 키퍼 내 PBX 블록 유닛의 제 3 음성경로 호 및 DTMF 발생기 자원을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VoIP 교환기는 제 1 음성경로와 제 2 음성경로가 연결된 기본 음성통화 상태를 유지하는 제 10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제 6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키퍼는 모바일 키퍼 내 PBX 채널 연결 유닛에게 VoIP 교환기로 부터의 전화 수신 가능한 채널을 예약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하고 PBX 채널 유닛이 할당한 3-way-call을 위하여 예약된 전화번호를 해당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전송하고, 모바일 키퍼에서 전화 예약 응답 신호를 수신한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예약된 번호의 전화수신 대기 명령을 모바일 키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듀얼모드 mVoIP 단말, CDMA 교환기, 일반단말(설문조사 단말),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를 포함하여 mVoIP 단말은 상기 CDMA 교환기와 VoIP 망을 통해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와 연동되고, 일반단말은 통신망(public network)을 통해 VoIP 망과 연동되어 각각 호 제어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에 있어서,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mVoIP 어플 구동에 의해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로 TCP/IP 연결 설정을 요구하고, 듀얼모드 mVoIP 단말이 CDMA 전화 수신 모드를 선택하면, 설정된 TCP/IP Link을 통하여 VoIP 교환기로 설정된 CDMA 번호를 전송하여 CDMA 전화를 대기하는 제 1 단계; 일반단말에서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call(호) 접속신호가 수신되면 VoIP 교환기는 일반단말로 제 1 음성경로 성립을 전송하고, 해당 호 접속 신호와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요청 정보를 검색하여 CDMA 교환기로 지정된 CDMA 번호 송출 신호를 전송하고 CDMA 교환기에서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CDMA 호 전송신호를 송출하는 제 2 단계;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APP이 CDMA 전화를 가로채기해서 APP 화면에서 통화 모드가 표시되면, 해당 가로채기 및 응답신호를 CDMA 교환기를 통해 VoIP 교환기로 전송되고 VoIP 교환기와 듀얼모드 mVoIP 단말간 제 2 음성경로가 생성하고 임의단말과 VoIP 교환기간의 제 1 음성경로와 VoIP 교환기과 CDMA 교환기간의 제 2 음성경로 사이의 통화채널이 연결되어 듀얼모드 mVoIP 단말과 일반단말간 통화로가 설정되는 제 3 단계;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사용자의 키패드 구동에 의해 DTMF를 송출하면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상기 모바일 키퍼로 전화 착신 및 DTMF 송신 가능 번호를 예약 및 회신 요청에 따라 모바일 키퍼는 해당 응답 신호를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모바일 키퍼에서 수신한 3-way-call 예약번호를 VoIP 교환기로 전송하고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간 제 3 음성경로를 설정하도록 3-way-call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 5 단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요청신호에 따라 모바일 키퍼는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예약된 번호로 3-way-call 완료 신호를 전송하고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간 제 3 음성경로가 설정되어 3-wya-call을 위한 통화로가 연결되고 듀얼모드 mVoIP 단말 사용자 입력 디지트(Digit) 정보를 받아 모바일 키퍼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키퍼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전송된 디지트 정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도록 모바일 키퍼 내 DTMF 발생기에게 명령하고, 생성된 DTMF 신호는 PBX 블록 유닛의 연결된 음성채널을 통하여 VoIP 교환기로 전송하고, VoIP 교환기로 전송된 DTMF 신호는 일반단말 및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각각 전달되어 3-way-call이 형성되어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도 DTMF 톤을 청취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제 7 단계가 이루어진 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키패드 종료 신호에 따라 모바일 키퍼는 모바일 키퍼 내 PBX 블록 유닛의 제 3 음성경로 호 및 DTMF 발생기 자원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VoIP 교환기는 제 1 음성경로와 제 2 음성경로가 연결된 기본 음성통화 상태를 유지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모바일 키퍼 내 PBX 채널 연결 유닛에게 VoIP 교환기로 부터의 전화 수신 가능한 채널을 예약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하고 PBX 채널 유닛이 할당한 3-way-call을 위한 예약된 전화번호를 해당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전송하고, 모바일 키퍼에서 전화 예약 응답 신호를 수신한 듀얼모드 mVoIP 단말는 예약된 번호의 전화수신 대기 명령을 모바일 키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은, 듀얼모드 무선 VoIP 단말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종래의 전화망이 요구하는 DTMF(Dgitall Tone Multi-Frequency) 신호를 직접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특정 DTMF 발생기를 구비하여 스마트 단말에서도 DTMF 송출을 제약 없이 3-way-call 및 DTMF 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은 DTMF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Mobile Keeper를 구비하고 VoIP 교환기 및 CDMA 교환기 사이에 3-way-call 모드를 구성하여 음성통화시 DTMF 발생장치에 의해 DTMF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장치 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도시한 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발신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착신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장치는 듀얼모드 mVoIP 단말(10), CDMA 교환기(20), Key폰/ARS(50), 일반단말(60), VoIP 교환기(70) 및 모바일 키퍼(80)를 포함한다.
보다 세부적으로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상기 CDMA 교환기(20)와 VoIP 망(30)을 통해 VoIP 교환기(70), 모바일 키퍼(80)와 연동되어 호 제어 관련 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VoIP 망(30)을 통해 VoIP 교환기(70)와 VoIP 교환기 제어신호로 연동되고, 모바일 키퍼(80)와 모바일 키퍼 제어신호 정보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VoIP 망(30)을 통해 CDMA 교환기(20), VoIP 교환기(70), 모바일 키퍼(80)와 각각 통신을 통해 Key폰/ARS(50)의 3-way-call 모드를 구성하여 음성통화시 DTMF 발생장치에 의해 DTMF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VoIP 망(30)은 Key폰/ARS(50)과 통신망(4) 즉, Public Network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모바일 키퍼(80)는 DTMF 신호 발생기, PBX 채널 연결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발신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그 세부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에서 mVoIP 어플을 구동하여 VoIP 망(30)을 통해 VoIP 교환기(70) 및 모바일 키퍼(80)로 TCP/IP 연결 설정을 요구하고(S21)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이 사용자의 착신요청 ARS 번호를 받은 후 VoIP 교환기(70)와의 TCP/IP Link를 통하여 VoIP 교환기(70)에게 Remote-Call-back = 자신의 CDMA번호로 설정하고(S22), 착신요청 번호를 설정(Destination = ARS 장치의 전화번호)한 후, Remote-Call-back을 활성화시키면, 상기 VoIP 교환기(70)에서 CDMA 교환기(20)로 Remote-Call-back을 실행시켜 제 1음성경로를 생성하고 음성경로 생성에 따른 호(Call)을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음성경로 생성에 따른 호(call)에 대해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구동 엡(app)을 자동으로 실행정보를 CDMA 교환기(20)로 전송하고 CDMA 전화를 대기한다.
이후,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APP이 CDMA 전화를 가로채기해서 APP 화면에서 통화 모드가 되면, 상기 VoIP 교환기(70), CDMA 교환기(20), 듀얼모드 mVoIP단말(10) 간 제 1 음성경로가 설정되고(S24), 상기 VoIP 교환기(70)는 상기 Key폰/ARS(50)로 전화발신 정보를 전송하고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제 2 음성경로가 성립되고 듀얼모드 mVoIP 단말(10)와 Key폰/ARS(50) 사이의 통화 채널이 연결된다.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와 Key폰/ARS(50) 사이의 통화 채널이 연결상태에서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사용자가 DTMF를 사용하기 위해 키패드를 구동하면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상기 모바일 키퍼(80)로 전화 착신 및 DTMF 송신 가능 번호를 예약하여 회신을 요구한다.(S25)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전화 착신 및 DTMF 송신 가능 번호를 예약 및 회신을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키퍼(80)는 모바일 키퍼(80) 내 PBX 채널 연결 유닛에게 상기 VoIP 교환기(70)로부터의 전화 수신 가능한 채널을 예약하도록 예약 명령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모바일 키퍼(80)은 모바일 키퍼 내 PBX 채널 유닛이 할당한 3-way-call을 위하여 예약된 전화번호를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전송하고, 예약 응답 신호를 수신한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는 예약된 번호의 전화수신 대기 명령을 모바일 키퍼(8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VoIP 교환기(70)로 상기 모바일 키퍼(80)로 받은 착신번호 및 DTMF 송신 가능 번호 즉 3-way-call 예약번호를 전송하여(S26) 상기 VoIP 교환기(70) 및 모바일 키퍼(80)간 제 3 음성경로를 설정하도록 3-way-call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키퍼(80)는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예약된 번호로 3-way-call 수신 준비 완료 신호를 전송하고(S27) 상기 VoIP 교환기(70) 및 모바일 키퍼(80)간 제 3 음성경로가 설정되어 3-way-call을 위한 통화로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VoIP 교환기(70)가 3-way-call을 시도하면, 모바일 키퍼(80)의 PBX 블록 유닛에서 제 3 음성경로 전화를 수신 완료하고, 이를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에게 TCP/IP Link를 통해 통보한다.
이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키패드 화면을 활성화하고 사용자 입력을 받아 매 디지트(Digit) 정보를 실어서 모바일 키퍼(80)로 전송한다.(S28) 상기 모바일 키퍼(80)는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에서 전송된 디지트 정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도록 모바일 키퍼(80) 내 DTMF 발생기에게 명령하고, 생성된 DTMF 신호는 PBX 블록 유닛의 연결된 음성채널을 통하여 상기 VoIP 교환기(70)로 전송한다.(S29)
상기의 절차에 의해 VoIP 교환기(70)를 중심으로 3-way-call이 형성되었으므로,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에서도 DTMF 사운드를 직접 청취가 가능하여 종래의 ARS 장치를 비롯하여 키폰 등 모든 DTMF 응용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에서 키패드를 닫거나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모바일 키퍼(80)는 모바일 키퍼(30)와 TCP/IP Link를 통해 “예약된 번호”를 변수로 상기 모바일 키퍼(80)내 PBX 블록 유닛의 제 3 음성경로 호 및 DTMF 발생기 자원을 해제하도록 명령하면, 상기 VoIP 교환기(70)는 제 1 음성경로와 제 2 음성경로가 연결된 기본 음성통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음성통화의 해제 절차는 통상의 교환기에서의 해제 절차와 동일하며, 이때 모든 전화 연결 자원 및 TCP/IP Link 도 해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착신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그 세부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에서 mVoIP 앱(App_을 구동하여 VoIP 망(30)을 통해 VoIP 교환기(70) 및 모바일 키퍼(8)로 TCP/IP 연결 설정을 요구한다.(S31) 이때,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이 CDMA 전화 수신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설정된 TCP/IP Link을 통하여 VoIP 교환기(70)로 "Remote-Call-back = 자신의 CDMA 번호"로 설정 신호를 전송하고(S32), Remote-Call-back을 활성화시키고, CDMA 전화를 대기한다.
이후, 외부 임의 단말(예를들어 설문조사 장치)에서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call(호) 접속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VoIP 교환기(70)는 외부 임의 단말로 제 1 음성경로 성립을 전송하고, 해당 호 접속 신호와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요청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CDMA 교환기(20)로 Remote-Call-back = 자신의 CDMA 번호로 지정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S34) CDMA 교환기(20)에서 해당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CDMA 호 전송신호를 송출한다.
이후,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APP이 CDMA 전화를 가로채기해서 APP 화면에서 통화 모드가 표시되면(S35), 해당 가로채기 및 응답신호가 CDMA 교환기(20)를 통해 VoIP 교환기(70)로 전송되고 VoIP 교환기(70)와 듀얼모드 mVoIP 단말(10)간 제 2 음성경로가 성립된다.
이때, 임의단말과 상기 VoIP 교환기(70)간의 제 1 음성경로와 VoIP 교환기(70)과 CDMA 교환기(20)간의 제 2 음성경로 사이의 통화채널이 연결되어 듀얼모드 mVoIP 단말(10)과 통화로가 설정된다.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와 임의단말 사이의 통화 채널이 연결상태에서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사용자가 DTMF를 사용하기 위해 키패드를 구동하면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상기 모바일 키퍼(80)로 전화 착신 및 DTMF 송신 가능 번호를 예약하여 회신을 요구한다.(S36)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전화 착신 및 DTMF 송신 가능 번호를 예약 및 회신을 요구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키퍼(80)는 모바일 키퍼(80) 내 PBX 채널 연결 유닛에게 상기 VoIP 교환기(70)로부터의 전화 수신 가능한 채널을 예약하도록 예약 명령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모바일 키퍼(80)은 모바일 키퍼 내 PBX 채널 유닛이 할당한 3-way-call을 위하여 예약된 전화번호를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전송하고, 예약 응답 신호를 수신한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는 예약된 번호의 전화수신 대기 명령을 모바일 키퍼(8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VoIP 교환기(70)로 상기 모바일 키퍼(80)로 받은 착신번호 및 DTMF 송신 가능 번호 즉 3-way-call 예약번호를 전송하여(S37) 상기 VoIP 교환기(70) 및 모바일 키퍼(80)간 제 3 음성경로를 설정하도록 3-way-call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키퍼(80)는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예약된 번호로 3-way-call 완료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VoIP 교환기(70) 및 모바일 키퍼(80)간 제 3 음성경로가 설정되어 3-wya-call을 위한 통화로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VoIP 교환기(70)가 3-way-call을 시도하면, 모바일 키퍼(80)의 PBX 블록 유닛에서 제 3 음성경로 전화를 수신 완료하고, 이를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에게 TCP/IP Link를 통해 통보한다.
이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은 키패드 화면을 활성화하고 사용자 입력을 받아 매 디지트(Digit) 정보를 실어서 모바일 키퍼(80)로 전송한다.(S38)
상기 모바일 키퍼(80)는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에서 전송된 디지트 정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도록 모바일 키퍼(80) 내 DTMF 발생기에게 명령하고, 생성된 DTMF 신호는 PBX 블록 유닛의 연결된 음성채널을 통하여 상기 VoIP 교환기(70)로 전송한다.(S39) 이때, 상기 VoIP 교환기(70)로 전송된 DTMF 신호는 외부 임의단말 발신자 및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로 각각 전달되게 된다.
이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10)에서 키패드를 닫게되면, 상기 모바일 키퍼(80)는 모바일 키퍼(30)와 TCP/IP Link를 통해 “예약된 번호”를 변수로 상기 모바일 키퍼(80)내 PBX 블록 유닛의 제 3 음성경로 호 및 DTMF 발생기 자원을 해제하도록 명령하면, 상기 VoIP 교환기(70)는 제 1 음성경로와 제 2 음성경로가 연결된 기본 음성통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음성통화의 해제 절차는 통상의 교환기에서의 해제 절차와 동일하며, 이때 모든 전화 연결 자원 및 TCP/IP Link 도 해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듀얼모드 mVoIP 단말
20 : CDMA 교환기
30 : VoIP 망
40 : 통신망(Public Network)
50 : Key폰/ARS
60 : 일반단말
70 : VoIP 교환기
80 : 모바일 키퍼

Claims (6)

  1. 듀얼모드 mVoIP 단말, CDMA 교환기, Key폰/ARS,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를 포함하여 mVoIP 단말은 상기 CDMA 교환기와 VoIP 망을 통해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와 연동되고, Key폰/ARS는 통신망(public network)을 통해 VoIP 망과 연동되어 각각 호 제어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에 있어서,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mVoIP 어플 구동에 의해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로 TCP/IP 연결 설정을 요구하고 사용자의 착신요청 ARS 번호를 TCP/IP Link를 통하여 VoIP 교환기로 자신의 CDMA 번호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착신요청 번호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VoIP 교환기에서 CDMA 교환기로 제 1음성경로를 생성하고 음성경로 생성에 따른 CDMA 호(Call)를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음성경로 생성에 따른 호(call)에 대해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구동 엡(app)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CDMA 전화를 대기하는 제 3 단계;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APP이 CDMA 전화를 가로채기해서 APP 화면에서 통화 모드가 설정되면, VoIP 교환기, CDMA 교환기, 듀얼모드 mVoIP단말 간 제 1 음성경로가 설정되는 제 4 단계;
    상기 VoIP 교환기의 전송된 전화발신 정보에 따라 Key폰/ARS의 응답신호에 따라 VoIP 교환기 및 Key폰/ARS 간 제 2 음성경로가 생성된 후, 듀얼모드 mVoIP 단말와 Key폰/ARS 사이의 통화 채널이 연결되는 제 5 단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 사용자의 키패드 구동에 의해 DTMF를 송출하면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상기 모바일 키퍼로 전화 착신 및 DTMF 송신 가능 번호를 예약 및 회신 요청에 따라 모바일 키퍼는 해당 응답 신호를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모바일 키퍼에서 수신한 3-way-call 예약번호를 VoIP 교환기로 전송하고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간 제 3 음성경로를 설정하도록 3-way-call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 7 단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키퍼는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예약된 번호로 3-way-call 수신 준비 완료 신호를 전송하고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 간 제 3 음성경로가 설정되어 3-way-call을 위한 통화로가 연결되고 듀얼모드 mVoIP 단말 사용자 입력 디지트(Digit) 정보를 받아 모바일 키퍼로 전송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키퍼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전송된 디지트 정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도록 모바일 키퍼 내 DTMF 발생기에게 명령하고, 생성된 DTMF 신호는 PBX 블록 유닛의 연결된 음성채널을 통하여 VoIP 교환기로 전송하여 3-way-call이 형성되어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도 DTMF 톤을 청취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가 이루어진 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키패드를 닫거나 통화 종료 신호에 따라 모바일 키퍼는 모바일 키퍼와 TCP/IP Link를 통해 모바일 키퍼 내 PBX 블록 유닛의 제 3 음성경로 호 및 DTMF 발생기 자원을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VoIP 교환기는 제 1 음성경로와 제 2 음성경로가 연결된 기본 음성통화 상태를 유지하는 제 10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6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키퍼는 모바일 키퍼 내 PBX 채널 연결 유닛에게 VoIP 교환기로 부터의 전화 수신 가능한 채널을 예약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하고 PBX 채널 유닛이 할당한 3-way-call을 위하여 예약된 전화번호를 해당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전송하고, 모바일 키퍼에서 전화 예약 응답 신호를 수신한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예약된 번호의 전화수신 대기 명령을 모바일 키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
  4. 듀얼모드 mVoIP 단말, CDMA 교환기, 일반단말(설문조사 단말),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를 포함하여 mVoIP 단말은 상기 CDMA 교환기와 VoIP 망을 통해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와 연동되고, 일반단말은 통신망(public network)을 통해 VoIP 망과 연동되어 각각 호 제어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에 있어서,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mVoIP 어플 구동에 의해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로 TCP/IP 연결 설정을 요구하고, 듀얼모드 mVoIP 단말이 CDMA 전화 수신 모드를 선택하면, 설정된 TCP/IP Link을 통하여 VoIP 교환기로 설정된 CDMA 번호를 전송하여 CDMA 전화를 대기하는 제 1 단계;
    일반단말에서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call(호) 접속신호가 수신되면 VoIP 교환기는 일반단말로 제 1 음성경로 성립을 전송하고, 해당 호 접속 신호와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요청 정보를 검색하여 CDMA 교환기로 지정된 CDMA 번호 송출 신호를 전송하고 CDMA 교환기에서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CDMA 호 전송신호를 송출하는 제 2 단계;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APP이 CDMA 전화를 가로채기해서 APP 화면에서 통화 모드가 표시되면, 해당 가로채기 및 응답신호를 CDMA 교환기를 통해 VoIP 교환기로 전송되고 VoIP 교환기와 듀얼모드 mVoIP 단말간 제 2 음성경로가 생성하고 임의단말과 VoIP 교환기간의 제 1 음성경로와 VoIP 교환기과 CDMA 교환기간의 제 2 음성경로 사이의 통화채널이 연결되어 듀얼모드 mVoIP 단말과 일반단말간 통화로가 설정되는 제 3 단계;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사용자의 키패드 구동에 의해 DTMF를 송출하면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상기 모바일 키퍼로 전화 착신 및 DTMF 송신 가능 번호를 예약 및 회신 요청에 따라 모바일 키퍼는 해당 응답 신호를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은 모바일 키퍼에서 수신한 3-way-call 예약번호를 VoIP 교환기로 전송하고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간 제 3 음성경로를 설정하도록 3-way-call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 5 단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요청신호에 따라 모바일 키퍼는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예약된 번호로 3-way-call 완료 신호를 전송하고 VoIP 교환기 및 모바일 키퍼간 제 3 음성경로가 설정되어 3-wya-call을 위한 통화로가 연결되고 듀얼모드 mVoIP 단말 사용자 입력 디지트(Digit) 정보를 받아 모바일 키퍼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모바일 키퍼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전송된 디지트 정보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도록 모바일 키퍼 내 DTMF 발생기에게 명령하고, 생성된 DTMF 신호는 PBX 블록 유닛의 연결된 음성채널을 통하여 VoIP 교환기로 전송하고, VoIP 교환기로 전송된 DTMF 신호는 일반단말 및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각각 전달되어 3-way-call이 형성되어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도 DTMF 톤을 청취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7 단계가 이루어진 후,
    상기 듀얼모드 mVoIP 단말의 키패드 종료 신호에 따라 모바일 키퍼는 모바일 키퍼 내 PBX 블록 유닛의 제 3 음성경로 호 및 DTMF 발생기 자원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VoIP 교환기는 제 1 음성경로와 제 2 음성경로가 연결된 기본 음성통화 상태를 유지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모바일 키퍼 내 PBX 채널 연결 유닛에게 VoIP 교환기로 부터의 전화 수신 가능한 채널을 예약하도록 명령 신호를 전송하고 PBX 채널 유닛이 할당한 3-way-call을 위한 예약된 전화번호를 해당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듀얼모드 mVoIP 단말로 전송하고, 모바일 키퍼에서 전화 예약 응답 신호를 수신한 듀얼모드 mVoIP 단말는 예약된 번호의 전화수신 대기 명령을 모바일 키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 톤 발생방법.
KR1020120038017A 2012-04-12 2012-04-12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톤 발생방법 KR101307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017A KR101307747B1 (ko) 2012-04-12 2012-04-12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톤 발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017A KR101307747B1 (ko) 2012-04-12 2012-04-12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톤 발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747B1 true KR101307747B1 (ko) 2013-09-11

Family

ID=4945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017A KR101307747B1 (ko) 2012-04-12 2012-04-12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톤 발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7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198B1 (ko) * 1995-06-23 1998-12-01 양승택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dtmf 서비스를 위한 스위치 제어방법
KR20050116993A (ko) * 2004-06-09 2005-12-14 (주)씨에스테크놀로지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
KR20050117703A (ko) * 2004-06-11 2005-12-15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VoIP 단말의 DTMF 전송방법
JP2011030142A (ja) 2009-07-29 2011-02-10 Yamaha Corp Dtmf発生装置、イコライザ装置、およびディザ発生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198B1 (ko) * 1995-06-23 1998-12-01 양승택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dtmf 서비스를 위한 스위치 제어방법
KR20050116993A (ko) * 2004-06-09 2005-12-14 (주)씨에스테크놀로지 VoIP를 이용한 전화접속시스템
KR20050117703A (ko) * 2004-06-11 2005-12-15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VoIP 단말의 DTMF 전송방법
JP2011030142A (ja) 2009-07-29 2011-02-10 Yamaha Corp Dtmf発生装置、イコライザ装置、およびディザ発生回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9769B1 (en) Method for in-progress telephone call transfer between a wireless telephone and a wired telephone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rol link
US9019958B2 (en) Outbound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ment o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855054B2 (en) Two-way radio based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
KR20200139729A (ko) 액세스 트래픽 스티어링, 스위칭 및/또는 스플리팅 작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34838A (ko) 미디어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신호 변환 장치
MX2014011265A (es) Aparato, metodo y sistema de integracion de servicio de telefono movil y satelital.
US20170070604A1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cordless telephone system, and cordless telephone communication method
US20030162544A1 (en) Call handling device
CN106888459B (zh) 降低d2d信令开销与频谱资源干扰的信息终端及其通信方法
EP3913936B1 (en) Multimode base station and cord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34544B2 (en) Route select service
TW201808027A (zh) 用於將蜂巢式行動裝置的有害輻射重新定位到基本裝置的裝置及方法
CA2925280A1 (en) Outbound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ment o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8001492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handover method
CN111787496B (zh) 一种手机间转接电话的方法及设备
JP3701492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
KR101307747B1 (ko) 듀얼모드 mVoIP 단말에서 3-way-call 및 DTMF톤 발생방법
US9065918B2 (en) Third party call control utilizing a voice user interface
JP2007201829A (ja) 通信制御システム
WO2016003872A1 (en) Outbound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ment o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792474B2 (ja) 通信中切替方式および切替方法
CN108076205B (zh) 一种多通路终端的来电录音方法及装置
CN107371145B (zh) Ussd切换方法及系统、核心网、原始ussd平台
KR101813038B1 (ko) 구내 전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H11298968A (ja) 事業所型プライベートシステムにおける呼制御方式および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