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015B1 -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015B1
KR100574015B1 KR1020030033223A KR20030033223A KR100574015B1 KR 100574015 B1 KR100574015 B1 KR 100574015B1 KR 1020030033223 A KR1020030033223 A KR 1020030033223A KR 20030033223 A KR20030033223 A KR 20030033223A KR 100574015 B1 KR100574015 B1 KR 100574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overpass
elevator
beams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761A (ko
Inventor
전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암메디테크
Priority to KR1020030033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015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에 장애인 및 노약자, 임산부 전용 승강대가 설치된 육교에 있어서, 승강대를 승강로 및 육교의 지주로 동시 활용하므로써 승강대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설계요건을 갖도록 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면서 승강대를 누드타입으로 하여 외부에서 승강대의 내부가 보이도록 하므로써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승강대내에 발생될 수 있는 기계적인 고장등을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부수적인 특징이 있는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육교(O)의 보행판(1)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메인빔(10) 양단을 직선방향으로 연장하여 이 연장부(11)의 아래 위에 직립방향으로 복수의 수직빔(20)을 사각방향으로 배열되게 설치하여 메인빔을 지지할 수 있게 하면서 수직빔의 내부공간에는 승강차(50)가 운행될 수 있는 승강공간이 확보되게 하며, 또 수직빔의 외곽에는 투명창(42)이 끼워진 샤시(41)를 둘러 설치하고 상부와 하부에 출입구(43a,43b)가 설치된 승강부스(40)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3018511104-pat00001
육교, 승강기, 엘리베이터, 장애인

Description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an overpass and elevator plat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대를 갖는 육교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대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판과 승강대의 연결구조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판과 승강대의 연결구조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차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행판 10. 메인빔
10a. 강판 10b,11. 연장부
20. 수직빔 30. 크로스 빔
40. 승강부스 41. 샤시
42. 투명창 44. 캐노피
50. 승강차 52. 완충수단
본 발명은 양측에 장애인 및 노약자, 임산부 전용 승강대가 설치된 육교에 있어서, 승강대를 승강로 및 육교의 지주로 동시 활용하므로써 승강대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설계요건을 갖도록 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면서 승강대를 누드타입으로 하여 외부에서 승강대의 내부가 보이도록 하므로써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승강대내에 발생될 수 있는 기계적인 고장등을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부수적인 특징이 있는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장애인 및 노약자, 임산부용 승강기가 설치된 육교는 일반인들은 계단을 통해 통행하고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등은 승강기를 통해 승강 통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일반인들과 장애인들이 불편없이 공통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승강기를 갖는 육교는 공지기술에 속한다. 이 공지기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공개특허 제1999-78563호를 보면 승강수단의 지지통체에 상판이 연결설치되고, 상판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계단부재가 설치된 구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 제 1종래기술은 육교보행판을 승강수단의 지지통체로서 지지하므로써 지주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과 동일하긴 하지만 이 명세서의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판이 지지통체의 일측에 걸쳐 있는 상황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계강도나 안전성에 대한 지식이 없이 출원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육교의 상판은 중량물이므로 이에 대하여 보다 튼튼한 지주역할을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다. 또한, 도면상 추정컨데 지지 통체의 일측에 고중량의 육교상판이 지지되어 있는 관계로 지지통체의 일측에 지속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통체의 붕괴우려가 있으며, 이렇게 붕괴될 경우 육교자체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또한, 상기 지지통체의 외벽은 불투명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의 미려도가 떨어지고, 통체내에서 운행되는 승강기의 이상발생시 어느 부분이 고장났는지의 육안판단이 불가능하므로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 탑승자 입장에서 보면 승강시 외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전망도가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 하나의 유사기술로 보이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215170호를 보면 강재교각의 내부에 승강로를 마련하여 이 승강로를 따라 승강기가 승강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상기한 선출과 거의 유사한 기술이다. 다만, 강제주형의 단부에 승강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마련하여 승강기의 운행을 가능케 한 것이 다를 뿐이다.
이 기술은 제 1종래기술에 비해 지지상태가 안정적이긴 하지만 이 역시 강제교각의 외벽은 불투명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의 미려도가 떨어지고, 교각내에서 운행되는 승강기의 이상발생시 어느 부분이 고장났는지의 육안판단이 불가능하므로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 탑승자 입장에서 보면 승강시 외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전망도가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승강기의 승강대를 육교의 지주로 활용하므로써 인도에 대한 승강 기의 점유면적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시설비의 감액이 가능한 것에 특징으로 갖는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대를 반투명, 또는 투명처리하여 외부에서도 승강대의 내부가 보이도록 하므로써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승강대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계적인 고장등을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갖는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육교의 보행판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메인빔 양단을 직선방향으로 연장하여 이 연장부의 아래 위에 직립방향으로 복수의 수직빔을 사각방향으로 배열되게 설치하여 메인빔을 지지할 수 있게 하면서 수직빔의 내부공간에는 승강차가 운행될 수 있는 승강공간이 확보되게 하며, 또 수직빔의 외곽에는 투명창이 끼워진 샤시를 둘러 설치하고 상부와 하부에 출입도어가 설치된 승강부스가 형성되게 하므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육교의 보행판을 이루고 있는 강재판의 양단부를 직선방향으로 연장하되 이 연장부에는 승강차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공을 형성하고, 또 연장부의 아래위에는 직립방향으로 복수의 수직빔을 사각방향으로 배열되게 설치하여 강재판을 지지할 수 있게 하면서 수직빔의 내부공간에는 승강차가 운행될 수 있는 승강공간이 확보되게 하며, 또 수직빔의 외곽에는 투명창이 끼워진 샤시를 둘러 설치하고 상부와 하부에 출입도어가 설치된 승강부스가 형성되게 하므로써 또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육교와 승강대를 연결함에 있어서 승강대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승강대를 누드형으로 하므로써 실용성과 디자인성 향상에 특징을 둔 것으로서, 육교의 보행판 형태에 따라 두 가지 실시예가 제시된다.
(1 실시예) : 도 1 ~ 도 3 및 도 5참조
육교(Overpass : O)의 보행판(1)이 빔형(beam type)으로 된 경우에 있어서, 보행판을 이루고 있는 양쪽 메인빔(10)의 양쪽단부를 승강로의 넓이만큼 직선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부(11)의 아래위에 직립방향으로 복수의 수직빔(20)을 사각방향으로 배열되게 설치하여 메인빔(10)을 지지토록 하였다.
이때, 4개의 수직빔(20) 간에는 수직빔의 수직상태를 유지케 보강하는 크로스빔(30)에 의해 연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4개의 수직빔(20) 내부는 승강차(50)가 운행할 수 있도록 운행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수직빔(20)의 외곽에는 이 수직빔에 의해 지지되는 누드형의 승강부스(4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스(40)는 수직빔(20)에 연결되는 샤시(41)에 의해 사각통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샤시(41) 사이에는 투명창(42)(또는 반투명창도 관계없음)이 끼움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승강부스의 내부, 즉 승강로의 내부가 보이도록 하였다. 이렇게 승강부스(40)의 내부가 보이므로 해서 부스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 계적인 고장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불투명체와 비교할 때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스(40)의 상하부 출입구(43a,43b)에는 탑승자가 탑승대기시 비,눈을 잠시 피할 수 있으면서 빗물이 승강차의 내부로 직접 유입됨을 막아주는 캐노피(canopy)(4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차(50)의 벽면(51)도 투명체로 할 경우 탑승자의 승강시 외부가 보이므로해서 탑승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외부에서도 탑승객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차(50)의 바닥면에는 승강차의 추락시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수단(42)이 직결된다. 이때, 통상 승강차(50)의 바닥면에는 쉬브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프레임(53)이 설치되므로 완충수단(52)은 이를 회피한 바닥면에 설치하는 것이 피트(fit)를 줄이는데 바람직하며, 완충수단은 코일스프링, 쇼크 업쇼버, 공압실린더, 에어스프링, 고무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육교의 보행판(1) 단부에 승강부스(40)가 직결될 경우에는 승강계단(2)과 승강부스(40)의 상부 출입구(43a)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따라서, 승강계단(2)의 상부를 상부 출입구(43a)와의 간섭이 없는 위치에서 보행판(1)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승강계단(2)의 상부가 차도쪽으로 약간 치우치게 되기는 하지만 시공상에 큰 어려움은 없다.
(2 실시예) : 도 1, 도 2, 도 4참조
육교(O)의 보행판(1)이 일체형 강판(10a)인 경우에는 강판을 무작정 연장하게 되면 승강로가 막히기 때문에, 강판(10a)의 양단부를 승강로의 넓이 만큼 연장하되, 연장부(10b)에 승강차(5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 통과공(10c)을 반드시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강판(10a)의 연장부(10b)의 아래 위에는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빔(20)들이 연결하여 강판(10a)의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그외의 구성은 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다시 한 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4개의 수직빔(20) 간에는 수직빔의 수직상태를 유지케 보강하는 크로스빔(30)에 의해 연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4개의 수직빔(20) 내부는 승강차(50)가 운행할 수 있도록 운행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수직빔(20)의 외곽에는 이 수직빔에 의해 지지되는 누드형의 승강부스(4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부스(40)는 수직빔(20)에 연결되는 샤시(41)에 의해 사각통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샤시(41) 사이에는 투명창(42)(또는 반투명창도 관계없음)이 끼움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승강부스의 내부, 즉 승강로의 내부가 보이도록 하였다. 이렇게 승강부스(40)의 내부가 보이므로 해서 부스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인 고장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불투명체와 비교할 때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스(40)의 상하부 출입구(43a,43b)에는 탑승자가 탑승대기시 비,눈을 잠시 피할 수 있으면서 빗물이 승강차의 내부로 직접 유입됨을 막아주 는 캐노피(canopy)(4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차(50)의 벽면(51)도 투명체로 할 경우 탑승자의 승강시 외부가 보이므로해서 탑승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외부에서도 탑승객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차(50)의 바닥면에는 승강차의 추락시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수단(42)이 직결된다. 이때, 통상 승강차(50)의 바닥면에는 쉬브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프레임(53)이 설치되므로 완충수단(52)은 이를 회피한 바닥면에 설치하는 것이 피트(fit)를 줄이는데 바람직하며, 완충수단은 코일스프링, 쇼크 업쇼버, 공압실린더, 에어스프링, 고무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육교의 보행판(1) 단부에 승강부스(40)가 직결될 경우에는 승강계단(2)과 승강부스(40)의 상부 출입구(43a)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따라서, 승강계단(2)의 상부를 상부 출입구(43a)와의 간섭이 없는 위치에서 보행판(1)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승강계단(2)의 상부가 차도쪽으로 약간 치우치게 되기는 하지만 시공상에 큰 어려움은 없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는 육교의 보행판을 승강대에 의해 지지하되, 기존에 비해 보다 안전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보장되며, 또한 승강대 및 승강차가 누드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상황을 외부에서 볼 수 있고, 또 내부에서 외부상황을 볼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고 전망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누드형의 승강대는 불투명체에 비해 외관미가 우수하여 조형미를 향상시키는 장점도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육교(O)의 보행판(1)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메인빔(10) 양단을 직선방향으로 연장하여, 이 연장부(1)의 아래 위에 직립방향으로 복수의 수직빔(20)을 사각방향으로 배열되게 설치하므로써 메인빔을 지지할 수 있게 하면서 수직빔의 내부공간에는 승강차(50)가 운행될 수 있는 승강공간이 확보되게 하며, 또 수직빔의 외곽에는 투명창(42)이 끼워진 샤시(41)를 빙둘러 설치하고 상부와 하부에 출입구(43a,43b)가 설치된 승강부스(40)가 형성되게 하며, 또한 상기 승강차(50)의 벽면(51)을 투명체로 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차(50)의 저면에 추락시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수단(52)이 직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가 설치된 육교.
  5. 삭제
KR1020030033223A 2003-05-24 2003-05-24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 KR100574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223A KR100574015B1 (ko) 2003-05-24 2003-05-24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223A KR100574015B1 (ko) 2003-05-24 2003-05-24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761A KR20040100761A (ko) 2004-12-02
KR100574015B1 true KR100574015B1 (ko) 2006-04-26

Family

ID=3737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223A KR100574015B1 (ko) 2003-05-24 2003-05-24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030B1 (ko) * 2021-03-15 2021-07-05 지엠산업(주) 통기형 실외용 승강기 프레임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618B1 (ko) * 2022-09-19 2023-06-29 에이원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육교와 승강기를 연결하는 브릿지 설치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030B1 (ko) * 2021-03-15 2021-07-05 지엠산업(주) 통기형 실외용 승강기 프레임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761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71160B (zh) 移动式汽车维修保养工程车的工作平台
CN105645223A (zh) 钢结构一体化电梯
KR100574015B1 (ko) 육교와 승강대의 연결구조
EP141714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orming a safety space in the lower part of an elevator shaft
CN101128384A (zh) 具有不对称的导轨的升降机
JP5284590B2 (ja) 建築物耐震用の乗客コンベア装置
KR101143917B1 (ko) 저층용 승강기
CN107161869A (zh) 一种高速铁路遮板专用悬臂简易吊车
CN107651530A (zh) 升降机
JPH11228058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CN206940276U (zh) 一种高速铁路遮板专用悬臂简易吊车
CN208040293U (zh) 收缩式梯子
KR200457171Y1 (ko) 승강로 상승형 하천용 엘리베이터
CN211895621U (zh) 一种施工升降机用返绳轮架总成
CN211419276U (zh) 一种施工升降机用施工平台总成
CN213231154U (zh) 一种一体式外呼厅门门套
JP3619519B2 (ja) デッキとキャビンの昇降装置を有する車両
CN220564172U (zh) 一种用于塔吊的升降机
CN218759088U (zh) 一种基于地坑式智能立体车库的人车防坠系统
CN212292447U (zh) 一种安全电梯
CN213707433U (zh) 一种既有建筑用外加式电梯系统
CN209976454U (zh) 一种液晶面板提升机的检修爬梯
CN218931398U (zh) 顶吊式有机房载货电梯的轿厢架
JP2002370881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346389Y1 (ko) 승강장 안전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