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049B1 -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049B1
KR100572049B1 KR1020030018595A KR20030018595A KR100572049B1 KR 100572049 B1 KR100572049 B1 KR 100572049B1 KR 1020030018595 A KR1020030018595 A KR 1020030018595A KR 20030018595 A KR20030018595 A KR 20030018595A KR 100572049 B1 KR100572049 B1 KR 10057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ervice
flange case
diaphragm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900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두성에스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성에스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성에스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0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스프링 챔버를 구성하는 헤드부와 플랜지 케이스의 결합을 별도로 제작된 반가공 클램프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서비스 챔버를 구성하는 플랜지 케이스와 서비스 하우징의 결합을 클립 클램프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정성이 확보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조립 공정을 단축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프링 챔버, 서비스 챔버, 헤드부, 플랜지 케이스, 클램프, 다이어프램

Description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BRAKE ACTUATOR AND ITS ASSEMBL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조립에 사용되는 헤드부, 클램프 및 플랜지 케이스의 사시도.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스프링 챔버를 조립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서비스 챔버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2: 스프링 챔버
3: 서비스 챔버 21: 스프링 다이어프램
22: 제2 스프링 23: 파워스프링
24: 피스톤 25: 제2 푸시로드
31: 서비스 다이어프램 32: 제1 스프링
35: 제1 푸시로드 40: 헤드부
50: 플랜지 케이스 60: 클램프
70: 서비스 하우징 80: 클립 클램프
90: 하부 금형 100: 상부 금형
본 발명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플랜지 케이스와 헤드부 및 플랜지 케이스와 서비스 하우징 사이에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부품으로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제동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통상의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그 내부에 강력한 파워를 가진 코일 스프링과 다이어프램 등의 부품이 내장되어 있고 압축공기에 따라 스프링이 압축되거나 풀리면서 푸시로드를 작동시키도록 하여 운전자의 제어에 따라 적합한 브레이크 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통상적으로 스프링 챔버와 서비스 챔버로 이루어지게 된다. 스프링 챔버를 덮고 있는 헤드부는 강력한 파워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고 있는 동안, 코일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하여 플랜지 케이스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강한 결합력을 제공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하므로 결합방식에 있어서 많은 제안이 있어 왔다.
특히 미국특허 제5,067,391호에서는 헤드부의 끝단을 탄성한계 이상으로 벤딩함으로써 헤드부가 플랜지 케이스에 결합되도록 하였다. 즉, 미국특허 제5,067,391호에는 헤드부와 플랜지 케이스의 결합에 있어서 헤드부의 끝단을 플랜지 케이스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편를 감싸도록 벤딩함으로써 헤드부를 플랜지 케이스에 결합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결합방식은 내구성 면에서는 비교적 우수한 면을 보이고는 있으나, 별도의 구동장치를 통하여 헤드부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헤드부의 끝단을 별도의 도구를 전진시키면서 서서히 플랜지 케이스를 벤딩처리함으로써 공정시간이 길어짐과 아울러 스프링 다이어프램의 결합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헤드부와 플랜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다이어프램이 제대로 결합되었는지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스프링 챔버와는 달리 서비스 챔버는 상기한 코일 스프링보다는 탄성력이 작은 스프링을 구비하여 제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빈도수에 따라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필요시마다 플랜지 케이스로부터 서비스 하우징을 분리하고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를 갖고 있어야 한다. 즉, 이러한 체결방식으로서 종래에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클램프를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각각의 클램프를 리테이닝 볼트 및 너트로 조여서 고정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리테이닝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각각의 반원형 클램프를 조립함으로써 체결하는 서비스 챔버의 체결방식을 보면, 상기 리테이닝 볼트 및 너 트가 오랜 시간동안 잠금 상태로 방치될 경우, 상기 리테이닝 볼트 및 너트는 주변의 기후, 즉 공기 중에 내포되어 있는 습기에 의해 산화작용을 일으키면서 부식이 진행됨에 따라 서비스 챔버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데 곤란함을 갖고 있었다. 또한, 리테이닝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체결과 분리를 함에 있어서 별도의 체결공구가 부수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리테이닝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너트를 수회 내지 수십 회를 회전시켜 분리 또는 결합해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과 아울러,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스프링 챔버를 구성하는 헤드부와 플랜지 케이스의 결합이 강력하면서도 효과적인 체결구조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스프링 챔버를 금형 및 반가공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단축함과 동시에 비용 및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부와 플랜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다이어프램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스프링 챔버의 조립 후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결합상태의 불량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서비스 챔버를 구성하 는 플랜지 케이스와 서비스 하우징 사이의 체결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서비스 챔버의 체결 및 분리를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처리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는 관통공을 갖는 분할벽에 의해 이등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벽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하로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챔버부를 갖도록 형성된 플랜지 케이스의 하부에 서비스 하우징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벽 및 서비스 하우징 사이에는 설치되는 서비스 다이어프램과, 상기 서비스 다이어프램을 상기 분할벽 쪽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과,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서비스 다이어프램의 가압력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제1 푸시로드가 내장되어 있는 서비스 챔버; 및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상부에 헤드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플랜지 케이스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게재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파워스프링 및 상기 파워스프링을 지지하면서 가압하는 피스톤이 마련된 스프링 다이어프램과,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과 상기 분할벽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분할벽의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 푸시로드를 포함하는 스프링 챔버로 구성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하단부와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상단부측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각각 적정한 폭만큼 연장 형성되는 걸림편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각각의 걸림편을 체결하는 환형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는 관통공을 갖는 분할벽에 의해 이등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벽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하로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챔버부를 갖도록 형성된 플랜지 케이스의 하부에 서비스 하우징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벽 및 서비스 하우징 사이에는 설치되는 서비스 다이어프램과, 상기 서비스 다이어프램을 상기 분할벽 쪽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과,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서비스 다이어프램의 가압력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제1 푸시로드가 내장되어 있는 서비스 챔버; 및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상부에 헤드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플랜지 케이스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게재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파워스프링 및 상기 파워스프링을 지지하면서 가압하는 피스톤이 마련된 스프링 다이어프램과,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과 상기 분할벽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분할벽의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 푸시로드를 포함하는 스프링 챔버로 구성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하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측 가장자리에서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각각 적정한 폭만큼 연장 형성되는 걸림편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각각의 걸림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걸림편에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각각의 걸림편을 착탈할 수 있는 다수의 클립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조립방법은 헤드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하부 금형에 형성된 원형의 걸림턱에 반가공 클램프를 안착시키는 단계; 헤드 부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을 상기 반가공 클램프의 내측면에 일치시켜 헤드부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헤드부 내에 파워스프링, 피스톤, 스프링 다이어프램, 제2 스프링 및 푸시로드를 순차적으로 정렬하고 플랜지 케이스를 덮는 단계; 상기 플랜지 케이스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부 금형을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파워스프링을 압축함과 동시에 상기 반가공 클램프의 미가공된 부분을 벤딩함으로써 헤드부와 플랜지 케이스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하부 및 상부 금형을 제거하여 스프링 챔버를 완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타단부에 서비스 다이어프램, 제1 스프링 및 제1 푸시로드를 순차적으로 정렬하고 서비스 하우징을 체결하여 서비스 챔버를 완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구성과 그 조립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일실시예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1)는 크게 스프링 챔버(2)와 서비스 챔버(3)로 이루어진다.
먼저, 플랜지 케이스(50)는 그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챔버부, 즉, 스프링 챔버(2) 및 서비스 챔버(3)를 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 케이스(50)는 상, 하부를 이등분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공(54)을 갖는 분할벽(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분할벽(55)의 외주연으로부터 상, 하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경사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플랜지 케이스(50)의 상부에는 헤드부(40)를 결합하여 스프링 챔버(2)를 구성하고, 플랜지 케이스(50)의 하부에는 서비스 하우징(70)을 결합하여 서비스 챔버(3)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 챔버(3)는 그 내부에 서비스 다이어프램(31)과, 상기 서비스 다이어프램(31)을 플랜지 케이스(50)의 분할벽(55) 쪽으로 가압시키는 제1 스프링(32)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챔버(2)는 그 내부에 스프링 다이어프램(21) 및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21)과 상기 플랜지 케이스(50)의 분할벽(55) 사이에 제2 스프링(22)이 설치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21)은 상기 플랜지 케이스(50)와 헤드부(40) 사이에 개재되어, 압축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21)의 상면에는 강력한 탄성을 가진 파워스프링(23) 및 상기 파워스프링(23)을 지지하면서 가압하는 피스톤(2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21)의 저면에 상부가 안착되고, 그 하부가 상기 스프링 챔버(3)를 통해 끼워지도록 상기 플랜지 케이스(50)의 분할벽(55)에 형성된 관통공(54)으로 연통가능하게 제2 푸시로드(25)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다이어프램(31)의 저면에 상부가 안착되고, 그 하부가 상기 서비스 하우징(60) 내의 서비스 챔버(3)를 통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1)의 외부 로 연장되어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1 푸시로드(35)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1)는 차량 운전자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스프링 챔버(2) 및 서비스 챔버(3)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압축공기가 들어가고 빠져나옴에 따라 상기 제1 및/또는 제2 푸시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 액추에이터(1)의 스프링 챔버(2) 및 서비스 챔버(3)에는 상술한 부품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부품이 설치되는바, 이러한 세세한 내부구조 및 작동은 이미 알려져 있는 종래기술과 다름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이러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내부구조 및 그 작동은 상술한 미국특허 제5,067,391호 등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스프링 챔버(2) 및 서비스 챔버(3)의 체결구조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1)의 헤드부(40), 클램프(60) 및 플랜지 케이스(5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40)는 캡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 케이스(50)와 결합되는 부위인 헤드부(40)의 하단부의 가장자리에는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소정의 폭만큼 연장되는 걸림편(4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41)의 기울기는 헤드부 외벽을 기준으로 하여 약 90°내지 135°의 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V자 형태의 홈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되는 클램프(60)에 의해 상기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와의 체결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즉, 걸림편(41) 재질의 탄성적 특성과 기하학적 형상의 특성에 의해 파워스프링(23)의 갑작스런 충격 하중 및 지속적인 피로 환경으로부터도 그 체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플랜지 케이스(50)의 상단부측 가장자리에도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각각 적정한 폭만큼 연장 형성되는 걸림편(51)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는 클램프(60)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클램프(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주위를 따라 주벽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의 구멍(63)을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 사이에는 스프링 다이어프램(21)이 개재되는데, 상기 클램프에 형성된 구멍(63)을 통해서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의 체결 후에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21)이 일정하게 체결되어 있는지를 육안으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의 체결방법을 중심으로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조립방법을 도 3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의 체결을 살펴보면, 상, 하부 중 어느 일측에 주벽에 대해 수직으로 걸림편을 가공한 반가공 클램프(61)를 이용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라 상술되는 금형을 별도로 제작하여 준비하여야 한다는 점을 인식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준비된 하부 금형(90)에 반가공 클램 프(61)를 안착시킨다. 상기 하부 금형(90)은 상기 헤드부(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부(40)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헤드부(40)의 걸림편(41)이 걸리는 부분에 원형의 걸림턱(9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91)은 상기 헤드부(40)가 클램프(6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이 견고히 이루어지도록,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아래로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가공 클램프(61)를 상기 걸림턱(91)에 일치하도록 하여 안착시키는데,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반가공 클램프(61)라 함은 클램프의 일측, 즉, 상기 하부 금형(90)의 걸림턱(91)에 안착되는 부분에만 수직으로 걸림편을 제작한 1차 가공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반가공 클램프(61)의 형태는 제작하기가 비교적 용이하며 후술되는 2차 가공에서 파워스프링(23)을 압축하는 축 방향의 힘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2차 가공을 하여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가공 클램프(61)는 그 둘레의 주벽에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구멍(6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의 결합 후에 그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다이어프램(21)의 체결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불량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하부 금형(90)에 반가공 클램프가 안착된 후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0)의 걸림편(41)을 상기 반가공 클램프(61)의 내측면, 즉, 상기 하부 금형의 걸림턱(91)에 일치시켜 헤드부(40)를 안착시킨다. 즉, 상기 헤드부(40)의 가장자리에는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폭만큼 연장된 걸림편(41)이 형성되어 상기 반가공 클램프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 금형(90)에 헤드부(40)를 안착시킨 후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40) 내에 파워스프링(23), 피스톤(24), 스프링 다이어프램(21), 제2 스프링(22) 및 제2 푸시로드(25)가 차례로 정렬시키고 상기 플랜지 케이스(50)의 분할벽(55)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 케이스(5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부 금형(100)을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파워스프링(23)을 압축함과 동시에 상기 반가공 클램프(61)의 미가공된 부분을 벤딩처리하게 되는데, 이는 클램프(60)의 상부측이 상기 플랜지 케이스에 형성된 걸림편과 동일한 형상으로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클램프에 대해 다시 2차 가공을 함으로써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를 체결하여 스프링 챔버(2)를 조립하게 된다.
도 3d에는 상부 금형(100)을 이용하여 상기 반가공 클램프(61)의 미가공된 부분을 벤딩함으로써, 상기 플랜지 케이스(50) 및 헤드부(40)를 체결시키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40)와 플랜지 케이스(50)를 체결하여 스프링 챔버(2)의 조립이 완성되면 상기 하부 금형(90) 및 상부 금형(100)을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을 통해 완성된 스프링 챔버(2)가 도 3e에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 챔버(2)의 조립이 완성되면, 여기에 서비스 하우징(70)을 결합하여 서비스 챔버(3)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1)를 완성시킨다. 상기 플랜지 케이스(50)가 분할벽(55)과 서비스 하우징(70)에 의해 이루어지는 서비스 챔버(3)에는 서비스 다이어프램(31), 제1 스프링(32) 및 제1 푸시로드가 차례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 케이스(50)의 하부에 서비스 하우징(70)을 체결하면 서비스 챔버가(3)가 조립되어 브레이크 액추에이터(1)가 완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액추에이터(1)의 서비스 챔버(3)를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 케이스(50)와 서비스 하우징(70)의 체결구조 및 방법을 중심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랜지 케이스(50)의 하단부 및 상기 하우징(70)의 상단부측 가장자리에는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각각 적정한 폭만큼 걸림편(53)(73)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각각의 걸림편(53)(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걸림편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관통공(76)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76)에는 힌지축(77)이 결합된다. 상기 힌지축(77)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각각의 걸림편(53)(73)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클립 클램프(80)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 케이스(50) 및 서비스 하우징(70)에 형성된 걸림편(53)(73)에 착탈하는 클립 클램프(80)의 착탈부위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여, 클립 클램프(80)를 상기 걸림편(53)(73)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클립 클램프(80)는 4개로 분할하여 체결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플랜지 케이스(50)와 서비스 하우징(70) 사이에 힌지축(77)과 클립 클램프(80)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면, 특별한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서비스 챔버(3)로부터 클립 클램프(80)를 착탈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챔버(3)의 분해 및 조립시에 그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다 향상된 방식의 체결구조를 갖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간단하고 저렴하게 액추에이터를 조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의 결합이 용이하고 조립 후에 그 불량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챔버의 체결구조를 갖게 되면, 별도의 체결 및 분리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서비스 챔버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스프링 챔버 및 서비스 챔버의 개선된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관통공을 갖는 분할벽에 의해 이등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벽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하로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챔버부를 갖도록 형성된 플랜지 케이스의 하부에 서비스 하우징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벽 및 서비스 하우징 사이에는 설치되는 서비스 다이어프램과, 상기 서비스 다이어프램을 상기 분할벽 쪽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과,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서비스 다이어프램의 가압력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제1 푸시로드가 내장되어 있는 서비스 챔버; 및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상부에 헤드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플랜지 케이스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게재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파워스프링 및 상기 파워스프링을 지지하면서 가압하는 피스톤이 마련된 스프링 다이어프램과,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과 상기 분할벽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분할벽의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 푸시로드를 포함하는 스프링 챔버로 구성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하단부와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상단부측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각각 적정한 폭만큼 연장 형성되는 걸림편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각각의 걸림편을 체결하는 환형의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의 주벽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4. 관통공을 갖는 분할벽에 의해 이등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벽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하로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챔버부를 갖도록 형성된 플랜지 케이스의 하부에 서비스 하우징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분할벽 및 서비스 하우징 사이에는 설치되는 서비스 다이어프램과, 상기 서비스 다이어프램을 상기 분할벽 쪽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과,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서비스 다이어프램의 가압력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제1 푸시로드가 내장되어 있는 서비스 챔버; 및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상부에 헤드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플랜지 케이스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게재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파워스프링 및 상기 파워스프링을 지지하면서 가압하는 피스톤이 마련된 스프링 다이어프램과,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과 상기 분할벽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다이어프램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분할벽의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제2 푸시로드를 포함하는 스프링 챔버로 구성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하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측 가장자리에서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각각 적정한 폭만큼 연장 형성되는 걸림편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각각의 걸림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걸림편에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각각의 걸림편을 착탈할 수 있는 다수의 클립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클램프는 걸림편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클램프는 4개로 분할하여 체결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7. 헤드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하부 금형에 형성된 원형의 걸림턱에 반가공 클램프를 안착시키는 단계;
    헤드부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을 상기 반가공 클램프의 내측면에 일치시켜 헤드부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헤드부 내에 파워스프링, 피스톤, 스프링 다이어프램, 제2 스프링 및 푸시로드를 순차적으로 정렬하고 플랜지 케이스를 덮는 단계;
    상기 플랜지 케이스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부 금형을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파워스프링을 압축함과 동시에 상기 반가공 클램프의 미가공된 부분을 벤딩함으로써 헤드부와 플랜지 케이스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하부 및 상부 금형을 제거하여 스프링 챔버를 완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랜지 케이스의 타단부에 서비스 다이어프램, 제1 스프링 및 제1 푸시로드를 순차적으로 정렬하고 서비스 하우징을 체결하여 서비스 챔버를 완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조립방법.
KR1020030018595A 2003-03-25 2003-03-25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 KR100572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595A KR100572049B1 (ko) 2003-03-25 2003-03-25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595A KR100572049B1 (ko) 2003-03-25 2003-03-25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900A KR20040083900A (ko) 2004-10-06
KR100572049B1 true KR100572049B1 (ko) 2006-04-17

Family

ID=3736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595A KR100572049B1 (ko) 2003-03-25 2003-03-25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859B1 (ko) * 2013-02-12 2014-10-07 (주)지앤피오토모티브 스프링 타입의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KR101446860B1 (ko) * 2013-02-12 2014-10-07 (주)지앤피오토모티브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KR101482851B1 (ko) * 2013-05-07 2015-01-14 (주)지앤피오토모티브 차량용 브레이크 챔버의 챔버 헤드
BR112017004532A2 (pt) * 2014-09-09 2017-12-05 Arfesan Arkan Fren Elemanlari Sanayi Ve Ticaret A S câmara de serviço de frenagem fabricada por composição de compartimento de pressão e compartimento sem atuação de pressão e um método de conexão desta câma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900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245B1 (ko) 일정한 예압 압축을 이용하여 볼 및 소켓 타입 메카니즘을 조립하는 방법
JP2005036811A (ja) ロータエンドプレートの保持システム
US20080209705A1 (en) Fracture surface treatment method and fracture surface treatment apparatus of a ductile metal part,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a ductile metal part being fractured and having its fracture surfaces treated
CN202187877U (zh) 往复活塞泵的驱动单元
WO2021093037A1 (zh) 一种牵引电机轴承的拆卸装置及应用于该装置的方法
KR101028563B1 (ko) 커넥팅로드 파티클 제거장치
KR100572049B1 (ko)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
CN1757487A (zh) 增强性能的修理工具
KR101285370B1 (ko) 전동차 주공기압축기 에어엔드용 베어링탈착기
CN103240594A (zh) 机动车真空助力器上的弹簧自动装配装置
KR100682475B1 (ko) 전자클러치용 디스크 및 허브 조립체
US20180141194A1 (en) Tool kit for vehicles
WO2005111389A1 (ja) 無膨張マットを巻いたセラミック触媒担体の収容外筒への圧入装着方法及び圧入装着装置
JP4730943B2 (ja) フランジ抜き工具
JP4555837B2 (ja) 鋼管または鋼管杭の把持装置
KR101183353B1 (ko) 출력기어의 베어링 해체용 지그
JP6530692B2 (ja) 砥石車固定装置及び砥石車の脱着方法
CN210476820U (zh) 拆卸工装
CN114367944A (zh) 轴承零件拆卸工具
JP2019063922A (ja) プーリ抜取装置
WO2021139226A1 (zh) 快拆式雨刷刮臂组件
KR101275138B1 (ko) 선박엔진용 크랭크축의 다중 플랜지형 저어널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 장치
CN105033946A (zh) 安装工具组件
KR102359034B1 (ko) 스핀들 너트의 토글부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CN204076175U (zh) 汽车变速箱轴系拆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5

Year of fee payment: 15